저는 부동산이 올해 연말에 바닥일거라는 예상은 아직 실감이 안나구여~ 우리나라는 1인당 소득대비 대출금액도 다른 선진국에 비해 압도적으로 크고 그 어떤 나라도 우리나라처럼 변동금리로 주택대출을 끼고 집을 산 나라는 하나도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대출리스크는 IMF에서도 경고하고 있어요 그런데 부동산 가격이 또 오를거라는 예상은 현실감이 떨어지네요 금리가 내릴거라는 예상은 성급한 예측이구여~지금 인플레이션으로 복합적인 상황이라 시간이 필요할거라고 봅니다
빈부격차나 양극화는 당연히 일어나리라 생각하지만, 자산이라는게 계속해서 누가 다음 사람이 가치를 느끼고 구입을 해주어야 유지되고 상승하는건데 . 이렇게 격차가 벌어져서 내 다음 살 수 있는 사람이 점점 줄어 소수의 사람들끼리의 자전거래로 자산시장이 계속 유지 될수 있을까요?
한국 가계자산중 부동산 비중이 76%인데 일본의 경우 35%정도 한국도 일본처럼 부동산 가치 하락(반토막 이하)이 일어나서 결국 일본과 같은 비율이 되면 그때부턴 안정화 될듯합니다. 즉 소득이 늘어서 부동산 자산 비중이 줄어드는게 아니라 소득은 크게 늘지 않지만 부동산 가치가 반토막 나서 부동산의 자산 비중이 적정 비율이 될 듯합니다. 게다가 향후 한국의 인구감소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연령층이 베이비붐 세대인대(가장 많은 부와 자산을 가지고 있는 연령대) 전체인구대비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의 비중이 일본보다 2배 높기 때문에 일본보다 더 빠른 자산가치의 하락이 진행될 듯 합니다 일본보다 안정화 시기가 짧다는 장점이!
앞으로 인구는 줄어도 서울 집값오른다는 말은 누구나 할 수 있을거 같고..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이고.. 다만 월급 안받고 투자위주로 성공한 분들이 일부 대기업, 전문직, 자영업 제외하곤 실질임금이 부동산 상승분만큼 오른다고 생각하는군요.. 현실은 대한민국 개국이래 가장 큰 수혜자인 운동권, 늙은 사람들이 싸게 사서 몇배로 올려놓은 집값을 점점 젊은 사람들은 집이 비싸서 영끌로 몰리는데 누구한테 바톤 터치하나요?
이 사람들이 한국의 출산율 감소를 외국과 비슷하게 생각하네. 쟈들 다 엉터리다. 지방에서 몰려오는 숫자보다 수도권 자체 출산율 감소가 더 크다. 해가 갈수록 지방에서 몰려올 지방인구가 줄어든다. 상경하는 숫자가 해마다 주는데 수도권 자체 출산율 감소는 계속돤다. 전국 어느곳이든 2021가격은 다시 오지 않는다15:05
외국은 부동산가격이 시장논리에 의해 움직였지만 한국은 정부가 인위적으로 세법으로 집값상승을 주도했죠 지금도 부동산세법을 외국 즉 미국세법식으로 전면 개편해보세요 부동산 지금 반값이하로 떨어지고 투기꾼들 대부분 없어집니다 그러나 정부는 그리하지 않을겁니다 부동산으로 투기하는 주세력이 가진자 권력을가진 정치인이 주세력이니 계속 해먹으로고 하지요 돈앞에는 여야가 따로 없죠 모두돈에 올인하죠
인구감소가 영향이 안갈리가요 인구가 줄어들기에 세금이 부족하고 그러기에 과도하게 세금을 걷을텐데 그런 가난한 1인가구들이 10억에 호가하는 집을 산다? 그리고 다른나라와는 다르게 지정학적리스크가 아주 큽니다 아직은 이게 부각되진 않았지만요 북에서 서울까지 미사일 닿는속도가 몇분이면 가능한데 그런곳에 밀집된다는거 자체 또한 리스크가 크죠
집단지성의 힘이군요! 5분의 캐미 너무 좋습니다. 마지막 부분에 인구의 이동과 관련해서 다양한 각도로 설명해 주시는 것 너무 도움이 많이 되네요... 특히 김광석 교수님이 마지막에 홉스테드? 집단주의적 성향... 사회학적인 설명 너무 재밌는 포인트 였어요... 이내용 더 깊이 듣고 싶네요~
고소득 1-2인가구는 서울중심, 3인이상 가구는 경기도로 이동하지 않을까요? 미국 맨하탄도 혼자 살다 결혼하면 뉴저지 퀸즈로 이동하더라구요. 그러다 이혼하면 다시 맨하탄 ㅋㅋ 사실 맨하탄 싱글이 모여사는 건 웃기지만 고소득자 만나려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러다 결혼하면 넓은집에 아이 키울려고 좀더 넓은 싱글패밀리 하우스로 이사하는데 우리나도 비슷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이민자가 많아진다면 우리나라들도 이민자들이 진입이 힘든곳 그들만모여 사는 곳이 생길꺼라 생각해요. 미국도 이민자들끼리만 모여 사는 곳이 많아요 백인동네는 엄청 비싸요 결국 빈부의 격차가 커지겠네요.
부읽남님 말씀 동감해요 10년후에 살수 없는 지역이 생길수 있다는 말씀 이민자들이 많이 생겨서.. 생각을 못 했는데 그러네요. 외국도 같은민족들이 사는 지역이 있어서 한국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은 비싸요 지역별 편차가 인종에 따라 달라요 이런 자리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본 끌여 들여서 문제 없을 거라 하는데. 도쿄 PIR지수는 15고 서울은 30이다. 까놓고 서울이 도쿄보다 잘 나가는 세계적 도시임? 물론 거품이 꺼져도 가격을 유지하는 건 사실인데 일본은 거품 완전이 빠지는 과정을 거쳤고 비싼곳은 일부 초역세권과 상업지역임. 이외의 지역은 3-5억이면 도쿄23구 내 신축 2층 단독주택 구입가능함. 너무 미래에 낙관적인 태도 같음. 아직 조정도 제대로 거치지 않았는데 서울만 불패? 전문가들이면 서민들이 당장 알기 쉽게 대처할 방향성을 잡아줘야함.
@song1009 184
2023년 4월 30일 18:34부읽.. 나오는거 보고 구독해지합니다. 수고하세요
@양념게장현자 98
2023년 4월 30일 18:49누가 미국, 프랑스, 등이 저출산이래? 1.5가 넘는데....
@김태호-v2l2j 93
2023년 4월 30일 17:40"인구의 증감보다 더 중요한 건 인구의 이동이다". 김광석 교수님 명언이시네요. 확 와닿게 이해가 갔습니다.
@Welthy-r5m 92
2023년 4월 30일 17:33부동산만 가지고 이야기한다면 문제가 단순하지만 국제분쟁의 블랙홀로 빠져든다면 한국 경제가 상상할 수 없는 침체가 진행될텐데 그런 상황속에서도 부동산 가격이 과연 상승할 까요?
@vira-o6n 78
2023년 4월 30일 18:44어떻게 인구감소가 영향이 없을 수가 있을까? 적당히 감소하는게 아니고 아버지세대에서 아들세대는 반이 줄어드는데...
@하늘아-s7p 74
2023년 4월 30일 17:40영끌오적은 왜 초대하는지?
@daniellheny6009 69
2023년 4월 30일 18:41유럽 어느 나라가 이렇게 급속히 인구 감소가 일어난 나라가 있나요?
@repairq5663 52
2023년 4월 30일 19:17채상욱 위원 설명이 제일 전문적 인듯~
정태일 씨는 늘 느꼈지만 가벼운 느낌 이네요
@youngmaeann6568 50
2023년 4월 30일 23:08저는 부동산이 올해 연말에 바닥일거라는 예상은 아직 실감이 안나구여~
우리나라는 1인당 소득대비 대출금액도 다른 선진국에 비해 압도적으로 크고 그 어떤 나라도
우리나라처럼 변동금리로 주택대출을
끼고 집을 산 나라는 하나도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대출리스크는 IMF에서도 경고하고 있어요
그런데 부동산 가격이 또 오를거라는
예상은 현실감이 떨어지네요
금리가 내릴거라는 예상은 성급한 예측이구여~지금 인플레이션으로
복합적인 상황이라 시간이 필요할거라고 봅니다
@박상기-s9o 48
2023년 4월 30일 17:54소득이 오르면 집값도 우상향
근데 한국 경제성장 매우 암울
결론 우 하양
@천재-o4s 41
2023년 4월 30일 18:18자~~인구 줄고
1ㅡ2인 가구가 늘어나는데
Mz세대들이 혼자사는데
빚 허덕이며 비싼 아파트 매수할까?
원룸 월세 오른다면 ㅇㅈ
@김태두-o2f 37
2023년 4월 30일 22:401-3편 다 보니 채상욱님 의견과 근거가 가장 깔끔하고 합리적인듯.
@sosuma 36
2023년 4월 30일 18:40문제는 경제 성장률이 장기 저성장 불가피…세계 1위의 가계대출…이거는 정말 심각한데… ㅠㅠ
@robin40014 29
2023년 4월 30일 19:58결국 우리나라는 다시 후진국이 된다는 거네
모든게 수도권에 집중되어 지옥이 되고 지방은 투성이 소멸된다는 거고
희망이 없다는 거네
@jdp7151 27
2023년 4월 30일 21:56빈부격차나 양극화는 당연히 일어나리라 생각하지만, 자산이라는게 계속해서 누가 다음 사람이 가치를 느끼고 구입을 해주어야 유지되고 상승하는건데 . 이렇게 격차가 벌어져서 내 다음 살 수 있는 사람이 점점 줄어 소수의 사람들끼리의 자전거래로 자산시장이 계속 유지 될수 있을까요?
@여객선 24
2023년 4월 30일 18:41생산인구가 줄어드는데 집값이 오른다고...
헛 똑똑이들...
우리 엄니에게 물어봐..
@bluegold8322 24
2023년 4월 30일 19:34한국 가계자산중 부동산 비중이 76%인데 일본의 경우 35%정도 한국도 일본처럼 부동산 가치 하락(반토막 이하)이 일어나서 결국 일본과 같은 비율이 되면 그때부턴 안정화 될듯합니다. 즉 소득이 늘어서 부동산 자산 비중이 줄어드는게 아니라 소득은 크게 늘지 않지만 부동산 가치가 반토막 나서 부동산의 자산 비중이 적정 비율이 될 듯합니다. 게다가 향후 한국의 인구감소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연령층이 베이비붐 세대인대(가장 많은 부와 자산을 가지고 있는 연령대) 전체인구대비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의 비중이 일본보다 2배 높기 때문에 일본보다 더 빠른 자산가치의 하락이 진행될 듯 합니다 일본보다 안정화 시기가 짧다는 장점이!
@joykim5379 24
2023년 4월 30일 23:17책임질 수 있는 말만 하세요
미국 집값 월급 대비 가능한 집값입니다
우리나라 서울 집값 문제 많습니다
@자라-t2d 21
2023년 4월 30일 18:56교육은 무슨 애들이 있어야 교육이지
@라임-z5t 18
2023년 4월 30일 22:24어디서 투기조장질이냐. 투기꾼들만 다 모아서왓네. 구독취소 마렵네
@jamesbee7302 18
2023년 4월 30일 18:07대한민국에 마지막 그리크지않은 단 한번의 상승이 남았다고 하는데 그리될거같다. 인구가 줄어드는데 우리나라는 어디 비교할수 없는 소멸수준이고 고령화도 최고속. 가구수도 머지않아 줄어든다는거.
@Fkf3384nr 16
2023년 4월 30일 17:54앞으로 인구는 줄어도 서울 집값오른다는 말은 누구나 할 수 있을거 같고..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이고.. 다만 월급 안받고 투자위주로 성공한 분들이 일부 대기업, 전문직, 자영업 제외하곤 실질임금이 부동산 상승분만큼 오른다고 생각하는군요.. 현실은 대한민국 개국이래 가장 큰 수혜자인 운동권, 늙은 사람들이 싸게 사서 몇배로 올려놓은 집값을 점점 젊은 사람들은 집이 비싸서 영끌로 몰리는데 누구한테 바톤 터치하나요?
안현모 15
2023년 4월 30일 17:421~3편까지 쭉 다 보았습니다. 김광석 실장님이 말씀주시는 탈동조화. 부동산 시장을 한 단어로 표현하는 인사이트 있는 표현이시네요. 많이 배웠습니다.
@hiddentruth9372 15
2023년 4월 30일 22:45이 사람들이 한국의 출산율 감소를 외국과 비슷하게 생각하네. 쟈들 다 엉터리다. 지방에서 몰려오는 숫자보다 수도권 자체 출산율 감소가 더 크다. 해가 갈수록 지방에서 몰려올 지방인구가 줄어든다. 상경하는 숫자가 해마다 주는데 수도권 자체 출산율 감소는 계속돤다. 전국 어느곳이든 2021가격은 다시 오지 않는다15:05
@wooseoklee178 15
2023년 4월 30일 22:06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이제 시작인데...
더군다나 경제성장성은 낮아지고 있고...
money tank 14
2023년 4월 30일 17:51지방에 대출받아서 집산사람들 지금 곡소리나고있는건맞음 친구 2억정도? 대출 받아서 아파트 삿는데 지금 이자만 한달에 120씩 나감 관리비 이것저것 따지면 달에 160~170 내면서 사는중
집값이 올라주면 또 모르겠는데 대출이자는오르고 집값은 빠지고있음
전광수 14
2023년 4월 30일 17:44인구가 감소해도 가격은 올라갈 수 있다. 광석이형이 교육비로 비유해서 설명해 주시니 이해가 확 되네요.
@lucky_tv 14
2023년 4월 30일 17:27📌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ZidFSQPL3_I
🌟 『박정호, 채상욱, 김광석, 부읽남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youtu.be/q_2FdPauzFU
👉 2부. https://youtu.be/eQ-wydBwXw0
👉 3부. https://youtu.be/peUo6iT98fY
👉 4부. https://youtu.be/jzxKG0PBDcE
@임민수-y9r 13
2023년 4월 30일 19:05국토균형 발전을
정부는 골고루 공장 공기업등 지방으로 발전시켜야해요
천재 12
2023년 4월 30일 18:19라이트하우스 이거 봐야 되는데ㅋㅋ
hany하니 12
2023년 4월 30일 19:04서울인구 줄기 시작했어요.
1인가구는 경제력 취약층인 경우가 많습니다.
@남자박재우-h6x 12
2023년 4월 30일 22:19외국은 부동산가격이 시장논리에 의해 움직였지만 한국은 정부가 인위적으로 세법으로 집값상승을 주도했죠 지금도 부동산세법을 외국 즉 미국세법식으로 전면 개편해보세요 부동산 지금 반값이하로 떨어지고 투기꾼들 대부분 없어집니다 그러나 정부는 그리하지 않을겁니다 부동산으로 투기하는 주세력이 가진자 권력을가진 정치인이 주세력이니 계속 해먹으로고 하지요 돈앞에는 여야가 따로 없죠 모두돈에 올인하죠
도넉 12
2023년 4월 30일 19:01인구감소가 영향이 안갈리가요 인구가 줄어들기에 세금이 부족하고 그러기에 과도하게 세금을 걷을텐데 그런 가난한 1인가구들이 10억에 호가하는 집을 산다? 그리고 다른나라와는 다르게 지정학적리스크가 아주 큽니다 아직은 이게 부각되진 않았지만요 북에서 서울까지 미사일 닿는속도가 몇분이면 가능한데 그런곳에 밀집된다는거 자체 또한 리스크가 크죠
@돈키호테-k4o 11
2023년 5월 01일 05:17전문가 분들 집값 떨어진다는 분들은 아직도 못봤슴 건설사 나팔수들이 많다는거죠
@보석의노래 11
2023년 4월 30일 20:54인구가 감소하면 가구도 감소한다 그게 정답인듯 인구가 감소하는데 가구가 증가한다?? 무슨 말인지!!ㅋ
@dyshin8363 11
2023년 4월 30일 19:36가구수가 느는데 는 가구들이 돈이 없어 ㅋㅋ
김환희 10
2023년 4월 30일 17:51집단지성의 힘이군요! 5분의 캐미 너무 좋습니다. 마지막 부분에 인구의 이동과 관련해서 다양한 각도로 설명해 주시는 것 너무 도움이 많이 되네요... 특히 김광석 교수님이 마지막에 홉스테드? 집단주의적 성향... 사회학적인 설명 너무 재밌는 포인트 였어요... 이내용 더 깊이 듣고 싶네요~
@user-uz5qs9nu4f 10
2023년 5월 01일 00:14제생각으로는 인구수 줄어도 우리나라는 땅도좁고 자재비가비싸서 많이 떨어지지는 않을듯하네요
@skim-kl5li 9
2023년 4월 30일 21:55가구수도 무한정늘어나는건아니다 일본쪽으로간다. 부동산은 끝물이라고 보느게 정상.
@49QQ 9
2023년 5월 01일 09:28살 사람은 다 샀다. 나머지는 살 수 있는 능력이 없다.
@프리-y8g 8
2023년 4월 30일 20:21노인이 절반이고 인구가 반토막날 나라랑 한창 성장기때의 이탈리아 프랑스가 같나요.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인구절벽인데 너무 우습게 보는듯하네요
@천재-o4s 8
2023년 5월 01일 02:38한마디 더~~~
인구는 줄어드는데 사교육비는 늘어난다~~좋다 일반에서 사교육비가 엄청 늘었는데 비싼 집까지 사서 이자원금에
비싸진 사교육비까지 감당 되나?
전문가 맞나? 내년부터 원급이 몆십배
아니 두배라도 뛰면 인정할께
@koreawalkerhyun 8
2023년 5월 01일 07:12경제가 나락아여서 집값은 안오를거같습니다. 외교가 엉망진창이잖아요. 무역적자 날로갈수록 심각. 미국에133조퍼주고왔는데 울나라는 꼴랑 네플릭스만받아오고. 원전수출 폴란드40조도 날렸다고함. 원전수츌 안하기로 도장꽉찍고오고. 클났음요. 경제가 좋아야 그뒤 부동산이죠.
@모퉁이북카페 7
2023년 4월 30일 20:48일본은 왜 쏙 빼나요? 저출산 고령화에 ㅎㅎ
@날아라-n8w 7
2023년 4월 30일 20:25문제는 가계부채다
@parkpeter6383 7
2023년 4월 30일 22:22모두 우상향한다고? 냄새가나네
자유시장 6
2023년 4월 30일 17:06정말 부동산어밴저스 맞네요. 너무 좋은기획이세요^^
한란 6
2023년 4월 30일 17:47부동산 정말 맨붕인거 같어요
이렇게 혼란스러울때 그나마
"김작가님 모시는분들"
액기스 핵심을 알려주심 참고돼고
도움돼네요 김작가님 펜을써
감사하네요 늘 구독 잘하고있어요~
현 6
2023년 4월 30일 19:10집 공짜로 주는시대가 열려가기 시작하는데.. 못느끼는듯
@sarahskim8195 5
2023년 5월 01일 06:28고소득 1-2인가구는 서울중심, 3인이상 가구는 경기도로 이동하지 않을까요? 미국 맨하탄도 혼자 살다 결혼하면 뉴저지 퀸즈로 이동하더라구요. 그러다 이혼하면 다시 맨하탄 ㅋㅋ 사실 맨하탄 싱글이 모여사는 건 웃기지만 고소득자 만나려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러다 결혼하면 넓은집에 아이 키울려고 좀더 넓은 싱글패밀리 하우스로 이사하는데 우리나도 비슷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이민자가 많아진다면 우리나라들도 이민자들이 진입이 힘든곳 그들만모여 사는 곳이 생길꺼라 생각해요. 미국도 이민자들끼리만 모여 사는 곳이 많아요 백인동네는 엄청 비싸요 결국 빈부의 격차가 커지겠네요.
윤시원tv 5
2023년 4월 30일 18:19거식적인게 사라진 세상이에요. 국가의 역할도 질문하는 전문가가 없어요. 안타까워요.
그린차 5
2023년 4월 30일 17:59부읽남님 말씀 동감해요
10년후에 살수 없는 지역이 생길수 있다는 말씀 이민자들이 많이 생겨서..
생각을 못 했는데 그러네요.
외국도 같은민족들이 사는 지역이 있어서 한국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은 비싸요
지역별 편차가 인종에 따라 달라요
이런 자리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빅샷 5
2023년 4월 30일 18:35한국말 잘하는 한국 사람도 살기 힘든 나라에 누가 이민을 올까 ㅋㅋ
@whiteasasa 5
2023년 4월 30일 22:00서울 외에는 개똥값될거라는 100프로 아님??? 가구수고 뭐고 인구가 개판나는데 어떻게 오름... 서울도 잘 골라야지
@jae52 4
2023년 5월 01일 01:33이전 통계는 다 잊어라
앞으로 또다른 현실이 열릴것이다
@eek7608 4
2023년 5월 04일 14:52전문가들 예상은 그냥 예측해보는 의미일뿐
전문가들말이 다 맞다면 모든전문가들이
사실 재벌들이 돼있어야죠.
길위에서 4
2023년 4월 30일 17:281부~3부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4부도 기대합니다😊
왕도토리 4
2023년 4월 30일 20:24결혼을 안하고 가정을 이루지
않는데 아파트 수요는 당연히줄겠죠
가구수가 는다고 해서 아파트 수요가 늘진 않아요 !!
전문가들??? ㅎㅎ
소소 3
2023년 4월 30일 18:40일본은 집을 감가상각으로 보는데 우리나라도 그렇게 보는 성향이 나타나면 헬ㅇ ㅣ오픈되는거지.
과연 우리나라 사람들은 집을 감가상각으로 볼지...
하양이 3
2023년 4월 30일 17:502008년-2013년 같이 갈 것 같다.
@다알리아-s8n 2
2023년 5월 07일 08:14잘 듣고 갑니다.
BB 2
2023년 4월 30일 21:24채상욱님 옆을 쳐다보면서눈을 돌리는(눈치?) 인터뷰는 처음 봤네요(원래 엄청 당당한 분?)~^^
선배들 눈치를 보지 않는 수평적인 자유로운 토론장이 되어야 합니다^^ 그게 진짜 발전이죠.
@coco-wi4eh 2
2023년 5월 05일 08:17집값 오른다오른다 부추기던 한명 이런데 나오는게 참 뻔뻔하네
james 2
2023년 4월 30일 18:53서울.수도권 까지는 우상향 빈부격차는 부동산이 상당부분 영향을 미침 지방은 회복세가 더딤 지방은 일자리가 받쳐주는 곳 내집장만 적기는 무릎인 지금부터 실거래가 보면서 타이밍을 보라는거네 ~ 이런 토록 좋음
Youn sik Chung 2
2023년 4월 30일 20:16우상향이라고 생각하시면 빛내서 집사면 되죠 뭐ㅡ 견딜수 있을런지는 알수 없으나.
@도랄드덕 2
2023년 5월 01일 06:18어차피 서울에서 살기어려운 상황이라
저는 살집하나 빼고는 자산을 모두 해외 투자하고 있습니다
@레전드-v1n 2
2023년 5월 03일 11:20일본 끌여 들여서 문제 없을 거라 하는데. 도쿄 PIR지수는 15고 서울은 30이다.
까놓고 서울이 도쿄보다 잘 나가는 세계적 도시임?
물론 거품이 꺼져도 가격을 유지하는 건 사실인데 일본은 거품 완전이 빠지는 과정을 거쳤고 비싼곳은 일부 초역세권과 상업지역임. 이외의 지역은 3-5억이면 도쿄23구 내 신축 2층 단독주택 구입가능함.
너무 미래에 낙관적인 태도 같음. 아직 조정도 제대로 거치지 않았는데 서울만 불패? 전문가들이면 서민들이 당장 알기 쉽게 대처할 방향성을 잡아줘야함.
Ratio Golden 1
2023년 4월 30일 22:13출산율 20년만에 반토막 … 2030년 잠재성장률 0%대 추락
냥이사랑 1
2023년 4월 30일 17:51서울은 어차피 한정된 공간이라서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지만
그외 지역중 제주도는 현재도 집값이 높다고 하는데 제주도의 특수성을 생각해서
주택 가격이 변동이 클까요?
@hwanghwang6453 1
2023년 6월 09일 22:39양심이 없어신듯~
집값이 우상향을 바라는 듯
참 실망스럽네요
불새 1
2023년 4월 30일 18:00언제쯤 실거주집 사면 될까요?
hwanee 1
2023년 4월 30일 19:43어떤 의견에 대해 욕하는 사람들이 많다면 옳은말일 확률이 높다 앞으로도 부동산은 죽지 않을 것으로 보여짐
@Ponge777 1
2023년 5월 03일 11:41오늘 뉴스보니 산업은행이 부산이전확정 낫다고 하던데 그런 주요기관들의 분산이
서울로의 집중되는것을 지방으로 분산될수도 잇다고 생각이 드네요
@상중-l1w 1
2023년 5월 02일 09:29타산지석? 우린 다를거다?
우리 지금 꼬라지 봐요.
힘있는 자들은 당장 자기 이익에 부합하기만 하면 공익은 안중에 없고,
뻔한 거짓말 거리낌없이 마구 던지고, 또 그런 것들을 물고빠는 어리석은 국민들...
미래는 어둡습니다.
Isaac Kim
2023년 4월 30일 19:58다섯분 넘 좋습니다^^
하성 김
2023년 4월 30일 21:23이야....어디서 이런 대화에 껴보겠나....정말 감사합니다.
태솔
2023년 4월 30일 21:23대단한 방송입니다
역시 김작가 tv입니다
인싸이트 존경합니다
Ratio Golden
2023년 4월 30일 22:11통계청이 2월 인구동향을 발표했는데요, 2월 출생아 수가 1만 9,939명으로 1년 전에 비해 766명(3.7%) 감소했습니다.
월간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2월 기준으로 가장 적은 숫자라고 합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월 기준으로는 2만 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처음이다. 1981년 이래 월간 통계에서 역대 최저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Rodan Leo
2023년 4월 30일 22:09기본적인 부동산이 궁극적 우상향을 지속하려면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출산율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자식이 없으면 국민평형 84제곱미터를
살필요가 없다.
출산율이 현재와 같다면
서울에서고 국지적으로
아파트를 구매할 때 따지는 많은
요인을 복합적으로 따져서
가격차가 많이 날 것으로 생각되며
결국 누구나 원하는 신축 브랜드아파트에
지하철역 보도가능 아파트만
최종적으로 우상향 하리라 생각합니다
엔퀴리오
2023년 4월 30일 22:19인구수는줄어도 가구수는다고 수요가늘까.1인-2인가구일텐데..나이대른보거나 소득을보더라도 주거형태가 구매보단월세등으로갈가능성이클것같음.
ㄱ😅
홍성돈
2023년 4월 30일 22:18김광석 실장님의 설명이 젤 팩트인듯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