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투자자 : [잘하는 것]만 하면 됨. 주도주를 못사서 못 버는 게 아님. 내가 잘 아는 것에 비중을 태워서 먹는게 중요. 시장의 쏠림을 피해서 내 차례가 올 때까지 천천히.. 그게 반복되면 자산 쌓이는 것. // 기관투자 : 전부 해야 함(하우스 색깔 등등). 쉬지 못하고 항상 해야 함. // 투자 방법 : 기업의 [변화]. 매크로는 20% 정도 참고하면서 글로벌 수요 변화 정도 파악. [기업 발굴 방법]은 변화를 내가 빨리 파악할 수 있는 분야. 소비재, kpop k에스테틱.. 내수 위주였다가 해외로 수출나가는 기업. 소통이 자주 있어서 정보를 누구를 통해서만 들어야하고 볼 수 없는 기업 투자는 어렵더라. // [종목이름]을 어떻게 미리부터 듣는지? 일단 오랫동안 지켜봐야 하고.. 중소형주는 굉장히 많은 기업을 [다] 봐야 한다. [핵심]은 분석을 통해 [경쟁 우위]를 알아야 하는 것. // 개인투자자가 이걸 어떻게 하나? 기업 수.. 탐방도 어렵고.. → 내가 관심이 많은 쪽. 즉 내 직업 & 취미 관련. 앞으로 성장 있는 영역을 고르고(사향 사업x). 탐방 가능하면 탐방 가고, 공개 자료 다 보고 정보를 빨아들여야하고. 잘못된 정보를 고르고. 회사가 가는 방향에 동의할 수 있다면 투자할 수 있는데 가격에 얼마나 반영돼있는지 체크 후 사는데. 사더라도 [많이 사야] 함. 업계에 있는 사람을 컨택할 수 있으면 좋음. // 디피 : 우리나라 기업보고서 어려움.. 보통 ipo때 만든 자료 업데이트만 하는 식.. 그래서 탐방 가야 한다는 말 있음. // 앞으로가 중요한데 과거를 말하는 사업보고서는 큰 도움 안돼 보이지만. 중요한 이유는 이 회사 겪어온 스토리가 중요. 왜 이런 의사 결정 했으며 왜 실패했는지 알면 앞으로 의사 결정을 동의하는 데에 도움이 됨. 업계 사람이랑 얘기하면 정말 좋음
0:10 전업투자자와 기관투자자의 차이 2:36 2023년 시장 전망 5:00 이은원님이 보는 매크로 지표 9:53 기준금리를 올렸는데도 시장이 좋았던 이유 11:57 이은원님이 투자 할 때 매크를 얼마나 참고하는지 (은원님이 투자하는 방법) 14:00 기업 발굴은 어떻게 하는지 - 제품이나 서비스를 먼저 경험해볼 수 있는 기업 16:21 기업 발굴 어떻게 하는지 더 구체적으로 - 면세점에 가면 답이 나왔었음 17:05 기업 발굴 어떻게 하는지 더더 구체적으로 - 오랫동안 봐와야 한다 18:26 기업 발굴 어떻게 하는지 더더더 구체적으로 - 관심 있는 산업 내 기업 다 봐야 한다 20:37 개인투자자들이 현실적으로 그렇게 다 볼 수 있는지 24:45 사입보고서 IR자료만으로도 그 회사를 파악할 수 있는지
@jaeha810 3
2023년 5월 22일 04:06질문이 좋습니다
@akrja4 3
2023년 5월 27일 19:22dp님질문 넘좋아요
@GreatHumiliator 3
2023년 5월 09일 12:21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승승짱구-x3s 3
2023년 5월 09일 17:23DP님 질문좋으네요
@우싸-z8w 3
2023년 5월 21일 13:06디피형..형이 인터뷰해야 퀄리티가 확실히 올라가여..!! ㅎㅎ
@떤프핑 3
2023년 5월 06일 12:28찐고수 등장 @.@
@MrDltmdghks 2
2023년 5월 02일 19:58오 이은원님 찐이다!
@wdpark7639 1
2023년 6월 01일 10:45전업투자자 : [잘하는 것]만 하면 됨. 주도주를 못사서 못 버는 게 아님. 내가 잘 아는 것에 비중을 태워서 먹는게 중요. 시장의 쏠림을 피해서 내 차례가 올 때까지 천천히.. 그게 반복되면 자산 쌓이는 것. // 기관투자 : 전부 해야 함(하우스 색깔 등등). 쉬지 못하고 항상 해야 함. // 투자 방법 : 기업의 [변화]. 매크로는 20% 정도 참고하면서 글로벌 수요 변화 정도 파악. [기업 발굴 방법]은 변화를 내가 빨리 파악할 수 있는 분야. 소비재, kpop k에스테틱.. 내수 위주였다가 해외로 수출나가는 기업. 소통이 자주 있어서 정보를 누구를 통해서만 들어야하고 볼 수 없는 기업 투자는 어렵더라. // [종목이름]을 어떻게 미리부터 듣는지? 일단 오랫동안 지켜봐야 하고.. 중소형주는 굉장히 많은 기업을 [다] 봐야 한다. [핵심]은 분석을 통해 [경쟁 우위]를 알아야 하는 것. // 개인투자자가 이걸 어떻게 하나? 기업 수.. 탐방도 어렵고.. → 내가 관심이 많은 쪽. 즉 내 직업 & 취미 관련. 앞으로 성장 있는 영역을 고르고(사향 사업x). 탐방 가능하면 탐방 가고, 공개 자료 다 보고 정보를 빨아들여야하고. 잘못된 정보를 고르고. 회사가 가는 방향에 동의할 수 있다면 투자할 수 있는데 가격에 얼마나 반영돼있는지 체크 후 사는데. 사더라도 [많이 사야] 함. 업계에 있는 사람을 컨택할 수 있으면 좋음. // 디피 : 우리나라 기업보고서 어려움.. 보통 ipo때 만든 자료 업데이트만 하는 식.. 그래서 탐방 가야 한다는 말 있음. // 앞으로가 중요한데 과거를 말하는 사업보고서는 큰 도움 안돼 보이지만. 중요한 이유는 이 회사 겪어온 스토리가 중요. 왜 이런 의사 결정 했으며 왜 실패했는지 알면 앞으로 의사 결정을 동의하는 데에 도움이 됨. 업계 사람이랑 얘기하면 정말 좋음
@user-ew8qs7zl8p 1
2023년 6월 19일 20:21ㅋㅋ 이런 채널 20억 꼬라박은 사람이 경제 운운하는거 자괴감들지 않음?ㅋㅋ
@김-q7p2r
2023년 5월 03일 02:23먼저 정보를 주담을통해서 공개 ㅋㅋ
인싸들만 할수있는 투자 ㅋㅋ
@SunggukLim
2023년 5월 05일 20:00노하우라기보단 그냥 열심히 해라 같네요..
@StayCalmmmm
2025년 4월 13일 13:060:10 전업투자자와 기관투자자의 차이
2:36 2023년 시장 전망
5:00 이은원님이 보는 매크로 지표
9:53 기준금리를 올렸는데도 시장이 좋았던 이유
11:57 이은원님이 투자 할 때 매크를 얼마나 참고하는지 (은원님이 투자하는 방법)
14:00 기업 발굴은 어떻게 하는지 - 제품이나 서비스를 먼저 경험해볼 수 있는 기업
16:21 기업 발굴 어떻게 하는지 더 구체적으로 - 면세점에 가면 답이 나왔었음
17:05 기업 발굴 어떻게 하는지 더더 구체적으로 - 오랫동안 봐와야 한다
18:26 기업 발굴 어떻게 하는지 더더더 구체적으로 - 관심 있는 산업 내 기업 다 봐야 한다
20:37 개인투자자들이 현실적으로 그렇게 다 볼 수 있는지
24:45 사입보고서 IR자료만으로도 그 회사를 파악할 수 있는지
@초대박초부자
2023년 5월 02일 19:28개관??? 장난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