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물가나 경제전반이 말이 아님이 느껴집니다. 언론은 너무 조용해요. 조용하다 못해 피하는 느낌이 너무 강해요... ㅠㅠ... 경제 유튜브 그냥 라디오처럼 잘 틀어놓는데 다 똑같이 입모아 경제 힘들다 그러는데 왜 공중파랑 ㅈㅈㄷ은 입 싹 다물고 있는게 너무 참담합니다.
0:00 미국 경제 상황에 한국도 직격타?! 17:53 정말 안타깝지만... 금융위기는 패닉을 넘어섰습니다 45:37 대한민국 경제파국 확률 99% 1:09:43 100만 원 벌면 국민연금 35만 원 납부, 감당되세요? 1:28:02 이걸 알아야 후회가 없다! 1:49:11 역전세 정점을 향해 가는 폭풍의 부동산! 2:07:43 빌라왕은 시작에 불과하다?!
실리콘밸리 살고있는 교민으로서 공감하는바가 많네요. 우리 한국이 내적으로 좀 단결해서 그 애너지를 외교를 위해 더 쓰면 좋겠네요. 중국에 대한 실질적인 외교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빨리. 중국과 전략적으로 디커플 할수 밖에 없는 때가 왔어요. 미국에게도 우리나라의 value를 leverage 해야 합니다. 들어보면 들을수록 2019년 중국발 팬대믹이 고의 일수 있다는 말의 논리들이 형성되네요.
1997년 12월 03일 시작된 국가부도(IMF). 당시 김영삼정부는 직전(몇 분 )까지 "대한민국경제는 펀더멘탈이 튼튼해 절대 부도나지 않는다"며 국민들을 솎이며 호언장담했었지 . . . 사실 대한민국처럼 펀더멘탈이 약한 경제는 없다 . 아무래도 전면개방경제라 그렇다고 생각한다 . 약한 외풍에도 흔들흔들하니 . . .
중국처럼 동남아를. 1.중국에 지난 30년간 중간재들을 수출을 하면서 대한민국이 살아왔습니다. 2.동남아시아 시장은 인건비가 중국의 절반수준인데 경제는 사회주의식 경제를하는 국가가 많습니다. 3.대한민국이 동남아시아에 ICT최종지 기지 공장들을 짓고서 대한민국과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중간재 시장으로 가치사슬을 만들고 최종재를 생산해서 미국에 수출해야 합니다. 4.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의 비결인 인적 자본을 구축하는데 힘써야 합니다. 5.동남아시아에 한국 대학교들을 짓고 동유럽과 아프리카 등등에도 한국인 대학교를 지어서 그곳들에 인적 자본을 충분히 충족시켜야만 합니다. 6.한국인 행정가들을 국가발전론에 입각해서 수출을 해서 경제 발전을 도모해야 합니다. 김도헌 올림.
우린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부겸총리가 돈이 없다고 돈을 풀지 않았어요. 이재명 대선후보가 요구했는데 여당후보였음에도 거절했는데 정치적인 이유였죠. 윤석렬 당선되자마자 없다던 돈이 갑자기 생겨서 풀었거든요. 경제대국중 코로나때 국가에서 우리나라만큼 돈을 풀지 않은 나라는 없다고 알고 있어요.
경제에 대해 잘모르지만 세계 경제가 심상치않음을 느끼는 요즘입니다. 아는만큼 보일텐데 금융원리 세계경제 흐름을 모르니 뉴스를봐도 전체 맥을 짚을수없으니 까막눈인게지요 ㅜㅡ . 잘안보이고 잘안들리고 가계도여유가 없으니 더 외면하고 방관했던것같아요~~이럴때일수록 더악착같이 공부하고 대처하는게 필요하는 생각이 드네요~이런시점에 꼭필요한 이야기들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각자도생이란말 하셨는데 각국가, 그리고 각 개인이 생존하기위해 고군분투해야 하는시기인듯합니다. 그렇게 지켜나가고 살아남았던 힘이 앞으로 나아가는 성장의 발판이 될것이라 생각합니다.
추상적으로 "언제나 경기는 힘들었다" 이런 소리들 좀 하지 말자 ~ 서서히 침몰하는 배라고 해도 구멍난 칸 사람들은 위기를 바로 알지만 다른 칸에 있는 사람은 모를수 있겠지 ! 그래도 창문 밖에 사물이 기울고 있는것도 좀 보고 사람들 소문에 귀 기울이면 배가 진짜 기울고 있다는거 정도는 감지할 수 있지않나 ? 꽉꽉 막힌 외골수 우동사리 자랑하는것도 아니고 생각없이 내뱉지 좀 말고 ~
미국의 고금리 정책은 달러의 구매력을 상승시키고자 하기 위함이다. 그래야만 물건을 구매할 화폐의 가치가 상승해서 물가가 내려간다. 그러나 뱅크런을 일으킬 정도로 금융이 위기로 치달으면 고금리 정책을 계속할수 없다. 이제는 달러의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고금리 정책 대신에 금본위제도로 돌아가야 한다.그래야만 고금리 정책이 불러오는 폐해는 막고 화폐의 가치는 상승하게 된다. 중국의 경우에는 외국에 빌려준 부실채권을 불상환 하는 경제위기에 처한 외국 국가들이 많은데 이는 그 경제위기의 국가들의 땅을 담보물로 잡고 그 농토에서 농사를 짓거나 빌딩을 짓는등등의 토지환매부 채권으로 바꾸어야 한다. 그리고 중국에서 건축회사들이. 나와서 일대일로의 참여 국가들의 토지를 이용해서 장사를 하는것이 중국에 팔리지 않는 아파트나 건물을 짓는것보다 더 낫다. 김도헌 올림.
증평의 자랑이유!!... 고향에서 해준건 별로 없지만 늘 충청도 자랑과 자부심으로 생활하시길..... 빈농의 여자로 태어나 이대까지 다니건 의지와 노력도 대단하시고 사회도 힘든거 극복하고 지금의 김미경이 된 것입니다. 혹시 200만 경주김씨입니까??? $$ 충남최대배출학교(약3700명)=천안공업고등학교총동문회 천안동부지부 부회장겸 문화기획부장~
정확히 말씀드릴순 없지만 은행관계자에게 들었습니다. 대손충당금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대차대조표불황입니다. 현재는 허리띠 졸라매며 사는 방법이 최고입니다. 욕심때문에 패가망신한 주변의 수많은 케이스를 우린 지나온 세월로 배웠지만 같은 실수를 반복하겠죠. 벼락거지라는 듣도보도 못한 단어가 나오면서 성실히, 절약하며 사는 사람들을 바보취급하는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투자는 사업입니다. 투자는 공부하고, 목숨걸고 하세요.
최용식소장님의 원포인트: 신용파괴원리 이신데, 저는 코로나질병 이후 "경제질병" 이란 단어가 원포인트 같습니다. 우리집에도 코로나 잘 이겨냈듯이, 경제질병에 대한 경제공부와 독서,거기에 따른 대책을 어떻게 해야할지를 연구해 보아야 겠단 생각입니다. 책 꼭 받아보고 싶습니다. 50대주부도 경제공부 해야되는 시대에 살고있습니다. 12시인데 이정도면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까 걱정과 고민 입니다. 무서워서 공부합니다.
@shiningstar7138 341
2023년 5월 15일 20:10지금 물가나 경제전반이 말이 아님이 느껴집니다. 언론은 너무 조용해요. 조용하다 못해 피하는 느낌이 너무 강해요... ㅠㅠ... 경제 유튜브 그냥 라디오처럼 잘 틀어놓는데 다 똑같이 입모아 경제 힘들다 그러는데 왜 공중파랑 ㅈㅈㄷ은 입 싹 다물고 있는게 너무 참담합니다.
@ljh6983 219
2023년 5월 16일 02:03내일당장 망하더라도 오늘은 아무문제없다라고 말하는 언론이 제일문제다. IMF가 그렇게 왔다. 하루아침에
@RANDYORTON-mc4yn 96
2023년 5월 15일 22:37각자도생이네요 국민연금만 믿으면 안되고 개인연금, 투자가 필수인 시대라서 잘 공부해야 될 것 같아요
@밍키는사랑스러워 90
2023년 5월 16일 11:02금리를 올리고 환율 낮추면 외부자본 유입된다는데 동의하고 엄지척입니다.
서민들이나 기업들 부동산이 금리인상의 여파를 크게 받는게 걱정되고 그로인해 현정부에 비난이 쏟아질께 겁이나서 현실을 부정하는거 같아 걱정됩니다.
선출직이라지만 자기표 보다 나라걱정이 우선인 정치인을 보고싶습니다.
@쿠우-l7z 71
2023년 5월 16일 01:58부동산이 망한것은 한국의 국민들이 어리석게 모두 투기짓을 했기때문임. 그 대가를 모두가 치르게될것
@MKTV 70
2023년 5월 15일 15:532023년, 지금껏 겪어보지 못한 최악의 경제 위기!
대체 언제쯤 잠잠해질까요?
힘든 시기인 요즘 여러분의 2023년을 대비할 수 있는
7가지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0:00 미국 경제 상황에 한국도 직격타?!
17:53 정말 안타깝지만... 금융위기는 패닉을 넘어섰습니다
45:37 대한민국 경제파국 확률 99%
1:09:43 100만 원 벌면 국민연금 35만 원 납부, 감당되세요?
1:28:02 이걸 알아야 후회가 없다!
1:49:11 역전세 정점을 향해 가는 폭풍의 부동산!
2:07:43 빌라왕은 시작에 불과하다?!
🟠 매일 나를 성장시키는 습관 【MKYU】
👉🏻 https://bit.ly/3JUEt7D
👩🦱 미경쌤의 진짜 일상은? 【김미경의 인스타그램】
👉 https://bit.ly/2KhMghw
@권순창-k3m 70
2023년 5월 15일 21:26미국 경제의 희생냥이 될수있지...
@yulee9500 63
2023년 5월 15일 22:10물가가 너무 올라갔는데 연봉은 그대로에요ㅠ 이게 문제에요..
신입연봉은 올라간거같은데.. 대리급이상으론 10년전이나 차이별로 안남
@eroriwop031 61
2023년 5월 15일 23:52나라가 망해가는 걸 실시간으로 보는 느낌
@peony350 57
2023년 5월 16일 04:24세계무역수지 순위가 1년만에 180계단 떡락했는데 경제위기가 아니라면 말이 안되지
@yunok3261 57
2023년 5월 16일 16:22코인투자자 공무원 국회의원 지방의회의원 싹 전수조사 해야됩니다
@krnxemb 56
2023년 5월 16일 05:34실리콘밸리 살고있는 교민으로서 공감하는바가 많네요. 우리 한국이 내적으로 좀 단결해서 그 애너지를 외교를 위해 더 쓰면 좋겠네요. 중국에 대한 실질적인 외교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빨리. 중국과 전략적으로 디커플 할수 밖에 없는 때가 왔어요. 미국에게도 우리나라의 value를 leverage 해야 합니다. 들어보면 들을수록 2019년 중국발 팬대믹이 고의 일수 있다는 말의 논리들이 형성되네요.
@유한주-v1z 54
2023년 5월 15일 20:42기업들 살리겠다고 예금이자 낮춰 등떠밀어 갭투기 주식투기 사기판 잔치상에 내멀아 빚쟁이 양산 돈빌려줄태니 너두해봐 하우스 도박판 경제정치
@sunyy-s5n 43
2023년 5월 15일 23:09진짜 왜 모른척하냐 이렇게 손놓고잏을때가 아니다 무정부상태
@GyungLee 34
2023년 5월 15일 23:17이제 3류국가되면 그래도 강남집값 서울집값 지켜지나요? 얼마전 강남사는 지인이 그러더군요ㆍ나라가 어느정도 멀쩡해야 내자산도 지키는데 큰일이라고~! 뭔가 고급정보들을 다 알고있는 그 표정에서 파국을 읽었습니다!!
@손유진-k4r 32
2023년 5월 16일 07:13지금은 70년만에 오는 패권전쟁시간입니다. 지금은 경제보다 외교와안보가 더중요합니다. 경제는 전세계적인 위기입니다.
@rainbowsea9679 24
2023년 5월 16일 06:231997년 12월 03일 시작된 국가부도(IMF).
당시 김영삼정부는 직전(몇 분 )까지 "대한민국경제는 펀더멘탈이 튼튼해 절대 부도나지 않는다"며
국민들을 솎이며 호언장담했었지 . . .
사실 대한민국처럼 펀더멘탈이 약한 경제는 없다 .
아무래도 전면개방경제라 그렇다고 생각한다 .
약한 외풍에도 흔들흔들하니 . . .
@김도헌-o1k 20
2023년 5월 15일 20:01중국처럼 동남아를.
1.중국에 지난 30년간 중간재들을 수출을 하면서 대한민국이 살아왔습니다.
2.동남아시아 시장은 인건비가 중국의 절반수준인데 경제는 사회주의식 경제를하는 국가가 많습니다.
3.대한민국이 동남아시아에 ICT최종지 기지 공장들을 짓고서 대한민국과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중간재 시장으로 가치사슬을 만들고 최종재를 생산해서 미국에 수출해야 합니다.
4.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의 비결인 인적 자본을 구축하는데 힘써야 합니다.
5.동남아시아에 한국 대학교들을 짓고 동유럽과 아프리카 등등에도 한국인 대학교를 지어서 그곳들에 인적 자본을 충분히 충족시켜야만 합니다.
6.한국인 행정가들을 국가발전론에 입각해서 수출을 해서 경제 발전을 도모해야 합니다.
김도헌 올림.
@HJKIM-x5l 20
2023년 5월 15일 21:00김미경 대표님 감사합니다.
@김혜지-p8t 17
2023년 5월 15일 19:31감사해요💕
한에이스 16
2023년 5월 15일 19:532023년 12월 31일 한국경제 멀쩡하면 이 분들 새해 첫 날 반성문 쓰고 당분간 얼굴 내밀지 않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다고 봅니다.
@serpent977e 16
2023년 5월 16일 06:56그냥..
각자 알아서 도생 해야 합니다.
정부를 믿을 상황도..믿어서도 안됩니다.
@yjyang8067 16
2023년 5월 17일 15:17우린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부겸총리가 돈이 없다고 돈을 풀지 않았어요. 이재명 대선후보가 요구했는데 여당후보였음에도 거절했는데 정치적인 이유였죠. 윤석렬 당선되자마자 없다던 돈이 갑자기 생겨서 풀었거든요. 경제대국중 코로나때 국가에서 우리나라만큼 돈을 풀지 않은 나라는 없다고 알고 있어요.
T 15
2023년 5월 15일 22:53하아 1년사이에 사회모든곳이 다 썩어버린느낌
@katewang3582 13
2023년 5월 16일 10:02한국도 미국도 공실이 어마어마한 상업용 부동산에서 터진다는 말이 계속나오네요.
@태린강-p3z 11
2023년 5월 19일 02:19구멍가게 해서 근 근히 풀칠하고 사는사람들 다들굶어죽게생겼는데
아무도 모르는체 지들욕심체우느라바쁨
@김미경-x2b3s 10
2023년 5월 28일 10:01근데... 서민이 대비할수있는건 없다는얘기같네요~흐름과 상황 백날 알고있어봐야 비가 언제오는건알아도 우산 파는곳은 없다는얘기같네요 ~😢
아랑 9
2023년 5월 15일 20:12반년 넘게 계속 경기 침체 경기 침체...이정도면 인디언 기우제 수준
@김현기-c8v 7
2023년 5월 16일 00:38좀 절망적이긴 하지만 생각해 봐야 할 내용이라 봅니다
@캐리와친구들-p3v 6
2023년 5월 21일 02:11아니...침체라면서 펜션예약은 꽉차있고 다들 명품에 쇼핑에 외식에~
요샌 애들옷도.장난감도 물려받는거 싫어한다.돈 많은가봐~침체 아닌듯.소비 많~~음.
@심기형-e5y 6
2023년 5월 15일 19:56별경제학자들이 더큰 그림을 보아야 현재 상항은. 화폐 리셋이다 현물과 화폐가 가격차이가 현저하게 현물이 오라가는시기 인데 초기과정 에서 오바이트하는시기...
@조용행-j8c 6
2023년 5월 20일 11:43지금의 난관을 이기려면 자유통일이 답입니다.
100프로 6
2023년 5월 15일 21:35그냥 문젯거리 떠넘기다가 터진거지
@혜정박-e4c 6
2023년 5월 18일 08:28경제에 대해 잘모르지만 세계 경제가 심상치않음을 느끼는 요즘입니다. 아는만큼 보일텐데 금융원리 세계경제 흐름을 모르니 뉴스를봐도 전체 맥을 짚을수없으니 까막눈인게지요 ㅜㅡ . 잘안보이고 잘안들리고 가계도여유가 없으니 더 외면하고 방관했던것같아요~~이럴때일수록 더악착같이 공부하고 대처하는게 필요하는 생각이 드네요~이런시점에 꼭필요한 이야기들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각자도생이란말 하셨는데 각국가, 그리고 각 개인이 생존하기위해 고군분투해야 하는시기인듯합니다. 그렇게 지켜나가고 살아남았던 힘이 앞으로 나아가는 성장의 발판이 될것이라 생각합니다.
ddukee 5
2023년 5월 15일 22:29그래서 뭐 어쩌라고. 해법을 내놔야지 힘든다고만 하면 해결ㄷ히나??
티따냐니 5
2023년 5월 15일 22:33경제와 정치는 불과분의 관계입니다~~~ 정치에 대한 아무런 논의 가 없는 것은 안타깝습니다~~~
@서연변-n2w 5
2023년 5월 16일 12:57자영업자들은 대출 갚을수없어 적자인채로 운영하는 분이 많습니다.
@hcroh1711 5
2023년 5월 16일 04:33추상적으로 "언제나 경기는 힘들었다" 이런 소리들 좀 하지 말자 ~ 서서히 침몰하는 배라고 해도 구멍난 칸 사람들은 위기를 바로 알지만 다른 칸에 있는 사람은 모를수 있겠지 ! 그래도 창문 밖에 사물이 기울고 있는것도 좀 보고 사람들 소문에 귀 기울이면 배가 진짜 기울고 있다는거 정도는 감지할 수 있지않나 ? 꽉꽉 막힌 외골수 우동사리 자랑하는것도 아니고 생각없이 내뱉지 좀 말고 ~
@전혜년 5
2023년 5월 17일 12:06연금 보험 믿지 마세요. 나는 속았타고 느껴요. 잡은 고기는 수익률을 낮추어서 조금줍니다. 고객 잡기 위해 수익뉼 높다고 합니다. 그러나 해약 못 햐는 수준이 되면 그 때부터는 회사가 갑입니다. 경험입니다.
@fundamantal2032 4
2023년 5월 16일 20:27에휴~~늘 두려움과 탐욕이란 미끼로 무지한 다수의 국민과 개미만 늘 시스템속에 매스컴의 장난에 놀아나는 세상..역사는 늘 이렇게 반복되는듯..거짓나팔수들..가면놀이들..죽어야 끝나겠지..
@zoona7156 4
2023년 5월 15일 23:12👍
김도헌 3
2023년 5월 15일 20:37미국의 고금리 정책은 달러의 구매력을 상승시키고자 하기 위함이다.
그래야만 물건을 구매할 화폐의 가치가 상승해서 물가가 내려간다.
그러나 뱅크런을 일으킬 정도로 금융이 위기로 치달으면 고금리 정책을 계속할수 없다.
이제는 달러의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고금리 정책 대신에 금본위제도로 돌아가야 한다.그래야만 고금리 정책이 불러오는 폐해는 막고 화폐의 가치는 상승하게 된다.
중국의 경우에는 외국에 빌려준 부실채권을 불상환 하는 경제위기에 처한 외국 국가들이 많은데 이는 그 경제위기의 국가들의 땅을 담보물로 잡고 그 농토에서 농사를 짓거나 빌딩을 짓는등등의 토지환매부 채권으로 바꾸어야 한다.
그리고 중국에서 건축회사들이. 나와서 일대일로의 참여 국가들의 토지를 이용해서 장사를 하는것이 중국에 팔리지 않는 아파트나 건물을 짓는것보다 더 낫다.
김도헌 올림.
@여누여누-x4j 3
2023년 5월 18일 18:46꼭 책이 받고 싶기도하지만! 이상하게도 이말씀이 귀에 들어오네요! 미국은 지금 사면초가!!
@오션뷰인생 3
2023년 5월 16일 09:16증평의 자랑이유!!... 고향에서 해준건 별로 없지만 늘 충청도 자랑과 자부심으로 생활하시길..... 빈농의 여자로 태어나 이대까지 다니건 의지와 노력도 대단하시고 사회도 힘든거 극복하고 지금의 김미경이 된 것입니다. 혹시 200만 경주김씨입니까??? $$ 충남최대배출학교(약3700명)=천안공업고등학교총동문회 천안동부지부 부회장겸 문화기획부장~
@shindelala 3
2023년 5월 18일 14:22어떻게 될까요....너무 걱정되요
@roj5820 3
2023년 5월 16일 11:40모든 영상의
제작 싯점이 23년 초반 인가요??
@leslieforever 2
2023년 6월 07일 00:32공동의 선은 없더라고요! 그저 각자의 위치와 수준에서 판단하고 그 결과와 책임 또한 오롯이 스스로의 몫입니다!! 각자도생! 굥정부를 만든 자들과 거부했던 분들 그저 선택과 결과 그대로 받으면 됩니다! 다시한번 각자도생!!!
@yskim7336 1
2023년 5월 16일 07:33감사합니다~~~~
@sagichijima 1
2023년 5월 17일 18:37자막 좀 넣으십시오
인생은솔로잉 1
2023년 5월 15일 20:17망무새 멈춰
상길 정 1
2023년 5월 15일 22:461년 초중고대 휴교령
사교육 제한
VAT는 1%
경마 카지노
귀요미 1
2023년 5월 15일 23:40경제는 늘 안좋았던거 같은뎈ㅋㅋㅋㅋㅋ
@mint2161 1
2023년 5월 21일 20:41물밑에서 올라오고 있다는 신용파괴원리가 작동중이라는데 가시화싯점이 언제쯤일까요 ㅠ
경원 김 1
2023년 5월 15일 23:25뭐가설치니뭐가따라한다는말이맞내
@Oldbigbrother
2023년 5월 21일 07:29정확히 말씀드릴순 없지만 은행관계자에게 들었습니다. 대손충당금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대차대조표불황입니다. 현재는 허리띠 졸라매며 사는 방법이 최고입니다. 욕심때문에 패가망신한 주변의 수많은 케이스를 우린 지나온 세월로 배웠지만 같은 실수를 반복하겠죠. 벼락거지라는 듣도보도 못한 단어가 나오면서 성실히, 절약하며 사는 사람들을 바보취급하는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투자는 사업입니다. 투자는 공부하고, 목숨걸고 하세요.
@라일락-flower
2023년 5월 30일 23:13최용식소장님의 원포인트:
신용파괴원리 이신데,
저는 코로나질병 이후 "경제질병" 이란 단어가 원포인트 같습니다.
우리집에도 코로나 잘 이겨냈듯이, 경제질병에 대한 경제공부와 독서,거기에 따른 대책을 어떻게 해야할지를 연구해 보아야 겠단 생각입니다.
책 꼭 받아보고 싶습니다.
50대주부도 경제공부 해야되는 시대에 살고있습니다.
12시인데 이정도면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까 걱정과 고민 입니다.
무서워서 공부합니다.
@JeySoundTherapy
2023년 6월 06일 20:45이번 상승 끝나면 낭떨어지 예상합니다. 8월 쯤 변곡나오면 번지점프하러 가겠죠~ 그래야 차트 완성되고 밑힘이 생겨 이후 추세상승합니다. 낭떨어지 끝날때 투자 타이밍 잘잡으세요~
랴이야야야호야다
2023년 5월 16일 00:06요즘 흉흉하내
@jasingam_tv
2023년 5월 17일 18:00영상 잘 보았습니다. 앞으로 자주 놀러 올께요!🙂
@ameliakim8524
2023년 5월 25일 04:30ㅋㅋㅋ 미경언니 그럼 어떻게 되는되요 그래서요 그럼우린 어떻해요~ 꼭꼭 찍어서 순간순간 질문 넘 잘해주시는 ~
@김창학-d3j
2023년 6월 06일 06:59금융위기 터질 수밖에 없다 :
오지말라고 안올것도 아니고
우리가 원한다고 되는것도 아니고
징징거릴 필요없다 그저 받아드려야지
흥망성쇠는 경제원리보다 우선하는 대자연의 법칙이다 !
@정미-y2c
2023년 5월 21일 10:55유비무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