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 간의 갈등, 남녀 간의 갈등, 계층 간의 갈등 등 편가르기가 그 어느때보다 심한 지금 꼭 필요한 내용이었던 것 같아요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폭력을 쓰고 억지 부리는 것이 아닌 소통을 하고 나와 상대방이 추구하는 것의 합의점을 찾는 방식이 당연하게 가능한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강의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문제점을 지적해주신거에 감사합니다. 제일 소통이필요한데가 정치판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들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요 ? 외국인들은 한국 드라마에 관심이 매우 많은것 같아요 해외반응을 검색만 해도 드라마는 정말 잘만드는것 같아요 요번 강의는좋아 감동 받았어요 💘항상 응원드립니다💘 구독 ✅ 좋아요👍알림🔔꾸욱 👇 꾸욱 👇 눌러 주시는것은 기본입니다💘
갈등의 포인트는 다름에서 끝나면 아무것도 안된다는 것이다. 결국 갈등은 합의를 필요로 한다. 인간이 합의를 위해 기댈 수 있는 것은 믿음, 논리, 매혹됨 세가지인데 모두 완전한 질서라기 보다는 혼돈에 가까운 것들이다. 인간 인생의 매력은 갈등이라는 혼돈에 혼돈의 도구들을 사용해 질서를 만들어내려 한다는 것이고, 인간 인생의 슬픔은 이것에 대한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결과들을 자신의 몸으로 자신의 인생으로 받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히틀러가 성공했다면? 적어도 체제가 붕괴되지 않으며 전쟁이 끝났다면? 공산당이 자유진영을 이겼다면? 그 경우도 반대의 현실도 우리는 온몸으로 받아내야만 한다. 다름을 알아도 인간의 비이성성을 알고 포스트모더니즘을 추종해도 현실은 눈앞에 있고 세상의 갈등이란 없어지지 않고 또한 그것을 온몸으로 받아내야하는 것이 인간이라면 우리는 갈등에 대해 전혀 다른 시각을 가져야한다. 세상에 선악이라는 질서를 만드는 행위는 또 다른 혼돈을 불러오고 현실은 존재하는 것이라면 장자가 말한 논쟁하지 말라라는 의미는 논쟁의 비합리성과 인간의 한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다름이라는 것의 더 확장된 가치를 말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갈등의 포인트는 다름에서 끝나면 된다는 것이다.
한국 드라마를 보면서 교훈과 깨달음을 얻을 때도 있지만, 세대 간의 갈등과 해결 방법에 접근하는 방식이 신기합니다. 대한민국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인 고령화+저출산 키워드 언급도 좋습니다. 젊은 외국인이 많이 유입되는 것도 좋은 솔루션이라고 생각했는데, 다문화적 다원주의를 수용할 준비가 되었냐는 질문에 멍~때렸네요.
꽤 충격적인 이야기, 그녀의 놀라운 영감과 통찰에 감명 받았습니다. 그녀는 갈등을 조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영웅과도 같은 존재로 보았고, 자신의 관점과 위치에서 강연이라는 테마로 이야기를 풀어냈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녀가 말하는 대한민국의 정치인들이 몇몇 떠올랐습니다. 김대중, 노무현, 이재명 같은 이들은 탁월한 언변가이자 협상가 였다고 생각 합니다.
갈등을 중간입장에서 대화로 해결하는 사람? 말은 좋은데 실제로는 거의 불가능한거 아닌가? 예를들어 한국정치에서 진보니 보수니 싸우는데 누가 그 갈등을 조정할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한국까지 갈거도 없이 저 여교수의 조국인 미국의 정치적인 갈등은 한국 뺨치던데? 나는 조선때 당쟁이 그렇게 심했는데 해결못한거 지금보니까 이해가 됨... 저 여교수의 말은 물론 좋은 말인데 입으로 좋은 말... 저 여교수 본인은 그렇게 갈등을 해결할수 있음? 시범을 보이셈
@부자가될거야-o4u 7
2023년 5월 28일 11:44세대 간의 갈등, 남녀 간의 갈등, 계층 간의 갈등 등 편가르기가 그 어느때보다 심한 지금 꼭 필요한 내용이었던 것 같아요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폭력을 쓰고 억지 부리는 것이 아닌 소통을 하고 나와 상대방이 추구하는 것의 합의점을 찾는 방식이 당연하게 가능한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yacha6347 3
2023년 5월 26일 21:09강연 보고 나니 예전에 감명깊게 봤던 영화 negotiator 가 생각 나네여. 어려운 상황에서 용기있게 대화로 상황을 풀어가던 내용이 인상깊었어요.
@empirekorea 3
2023년 5월 27일 14:36강의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문제점을 지적해주신거에 감사합니다. 제일 소통이필요한데가 정치판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들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요 ? 외국인들은 한국 드라마에 관심이 매우 많은것 같아요 해외반응을 검색만 해도 드라마는 정말 잘만드는것 같아요 요번 강의는좋아 감동 받았어요
💘항상 응원드립니다💘
구독 ✅ 좋아요👍알림🔔꾸욱 👇 꾸욱 👇 눌러 주시는것은 기본입니다💘
@dnftmdal 3
2023년 5월 27일 09:21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CoaSinte 3
2023년 5월 27일 03:31갈등의 포인트는 다름에서 끝나면 아무것도 안된다는 것이다.
결국 갈등은 합의를 필요로 한다. 인간이 합의를 위해 기댈 수 있는 것은 믿음, 논리, 매혹됨 세가지인데 모두 완전한 질서라기 보다는 혼돈에 가까운 것들이다.
인간 인생의 매력은 갈등이라는 혼돈에 혼돈의 도구들을 사용해 질서를 만들어내려 한다는 것이고, 인간 인생의 슬픔은 이것에 대한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결과들을 자신의 몸으로 자신의 인생으로 받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히틀러가 성공했다면? 적어도 체제가 붕괴되지 않으며 전쟁이 끝났다면? 공산당이 자유진영을 이겼다면? 그 경우도 반대의 현실도 우리는 온몸으로 받아내야만 한다. 다름을 알아도 인간의 비이성성을 알고 포스트모더니즘을 추종해도 현실은 눈앞에 있고 세상의 갈등이란 없어지지 않고 또한 그것을 온몸으로 받아내야하는 것이 인간이라면
우리는 갈등에 대해 전혀 다른 시각을 가져야한다.
세상에 선악이라는 질서를 만드는 행위는 또 다른 혼돈을 불러오고 현실은 존재하는 것이라면 장자가 말한 논쟁하지 말라라는 의미는 논쟁의 비합리성과 인간의 한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다름이라는 것의 더 확장된 가치를 말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갈등의 포인트는 다름에서 끝나면 된다는 것이다.
@mrtony5778 3
2023년 5월 30일 11:35한국 드라마를 보면서 교훈과 깨달음을 얻을 때도 있지만, 세대 간의 갈등과 해결 방법에 접근하는 방식이 신기합니다.
대한민국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인 고령화+저출산 키워드 언급도 좋습니다.
젊은 외국인이 많이 유입되는 것도 좋은 솔루션이라고 생각했는데, 다문화적 다원주의를 수용할 준비가 되었냐는 질문에 멍~때렸네요.
핵심 : 최대한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하고, 고려해야 한다...명심하겠습니다^^
훌륭한 강의 잘 봤습니다. 세바시 화이팅!!!
@tlqkdwlsWk 2
2023년 5월 26일 17:59와!!! “백인” 미국인 박사 출신이 한국의 K-드라마를 보다가 깨달은게 있다니!!! 국뽕이 차오르고 눈물이 앞을 가리네요!! 역시 백범 김구 선생님의 말씀처럼 문화의 힘이 중요합니다❤❤❤정말 기대가 됩니다😂😂
🎉🎉🎉🎉🎉🎉🎉🎉🎉🎉
@이은미-v5n 2
2023년 5월 27일 00:48잘봤어요
@sebasi15 1
2023년 5월 26일 18:32[책이벤트 당첨자] th, yacha, coa s, 웅담랑, 대한제국, 부자가될거야, 영공채, 람쥐썬더, 미스터토니, 꽁치감자네
👏👏👏 짝짝짝! 댓글 이벤트에 당첨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3년 6월 25일까지 friends@sebasi.co.kr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유튜브 캡쳐 화면 / 당첨된 영상의 강연자 명 / 유튜브 닉네임 / 이름 / 휴대폰 연락처 / 배송주소]를 보내주세요. *해외거주자일 경우 당첨자에서 제외됩니다 *당첨메일 발송 시 개인정보활용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며, 확인 후 삭제 처리합니다.
@영공채 1
2023년 5월 28일 22:10꽤 충격적인 이야기, 그녀의 놀라운 영감과 통찰에 감명 받았습니다. 그녀는 갈등을 조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영웅과도 같은 존재로 보았고, 자신의 관점과 위치에서 강연이라는 테마로 이야기를 풀어냈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녀가 말하는 대한민국의 정치인들이 몇몇 떠올랐습니다. 김대중, 노무현, 이재명 같은 이들은 탁월한 언변가이자 협상가 였다고 생각 합니다.
@지성과감성 1
2023년 5월 26일 18:39세바시 응원합니다
galaxy
2023년 5월 26일 19:07갈등을 중간입장에서 대화로 해결하는 사람?
말은 좋은데 실제로는 거의 불가능한거 아닌가?
예를들어 한국정치에서 진보니 보수니 싸우는데 누가 그 갈등을 조정할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한국까지 갈거도 없이 저 여교수의 조국인 미국의 정치적인 갈등은 한국 뺨치던데?
나는 조선때 당쟁이 그렇게 심했는데 해결못한거 지금보니까 이해가 됨...
저 여교수의 말은 물론 좋은 말인데 입으로 좋은 말...
저 여교수 본인은 그렇게 갈등을 해결할수 있음?
시범을 보이셈
@worldinconversation
2025년 1월 19일 06:12Sebasi Talk, this is a request to correct the Director of World in Conversation's name, it is Dr. Laurie Mulvey. Not Rory.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