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배터리 핵심 소재 양극재 쇼티지 현상이 날이 갈수록 심화되면서, 배터리 소재 업계의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아무리 만들어도 부족한 양극재에 배터리 소재 업체들의 공장 증설 경쟁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29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1년 173억달러(약 22조원) 규모인 양극재 시장은 2030년 783억달러(약 99조9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양극재 수요는 2021년 50t 수준에서 2030년 330~520만t이 될 것으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내다보고 있다.
이처럼 각국의 친환경 정책 기조에 따라 최근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출하량이 급증하면서부터, 양극재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양극재는 전기차 배터리의 특성과 성능, 안정성 등을 결정짓는 핵심 소재인 만큼, 배터리 업계는 양극재 확보가 필수불가결 하다.
하지만 공급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로 인해 최근 양극재 쇼티지 현상이 발생되기 시작했다. 이는 오는 2025년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에코프로비엠, LG화학,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등 배터리 소재 업체들은 양극재 공장 증설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케파(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갈수록 덩치가 커지는 시장을 선점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겠단 전략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배터리가 전기차 수요를 못 따라가듯이 이 배터리 안에 들어가는 양극재도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양극재는 현재 생산만 하면 모두 팔린다”고 설명했다.
에코프로비엠은 전세계 양극재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답게 가장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보였다. 목표는 오는 2027년 말까지 양극재 생산능력을 71만t까지 확대하는 것이다. 현재 생산능력은 올해 19만t에서 내년 28만8000t으로로 높아질 전망이다.
양극재 추가 생산을 위한 총 투자 금액만 해도 3조 2000억원에 이른다. 최근에는 4732억원을 투입해 경북 포항시 제4캠퍼스 내 배터리 양극재 공장 생산라인을 확장하겠다고 나섰다.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활물질 생산능력 확대와 신규제품 NCMX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NCMX는 NCM 양극재에 특수 물질을 포함한 소재다.
북미 지역도 진출한다. 이를 위해 에코프로비엠은 북미지역 내 양극활물질 공장 신설을 위해 캐나다 배터리 소재 기업 에코캠 지분 100%를 1563억원에 취득하기로 했다.
LG화학은 양극재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한·중·미와 유럽으로 이어지는 글로벌 4각 생산 체계를 갖추겠단 청사진을 내놨다. 2023년 12만t의 규모의 생산 능력은 2028년 47만t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신규 글로벌 고객사 비중도 40%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단 포부를 밝혔다.
파우치, 원통형 배터리 중심 하이니켈 양극재 제품군 확대 및 니켈 비중 95% 수준의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 양산, 단입자 양극재 기술 적용 확대 등도 추진한다.
포스코퓨처엠도 대규모 수주에 맞춰 공장 증설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연 생산능력을 지난해 기준 10만5000t에서 2030년 61만t으로 확대하겠단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24일 6000억원을 투자해 경북 포항에 하이니켈 NCMA 양극재 공장을 연 6만t 규모로 추가 건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중국 화유코발트와 저장성에 연 3만t 규모의 양극재 합작 공장을 건설하는 등 총 6만t 생산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엘앤에프는 목표 생산량을 늘렸다. 생산능력을 당초 계획했던 2024년 22만t에서 2026년 43만t까지 확대했다. 현재 하반기 구지 2공장 양산을 앞두고 있으며, 향후 미국·유럽 등 해외 진출 및 국내 설비투자를 통해 양극재 생산능력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에서 28~30만t 규모의 생산능력 확보를, 미국과 유럽 등 주력 고객사가 밀집한 해외 현지에서 공장 신증설을 진행한다.
업계 관계자는 “양극재 공급을 크게 확대해도 모두 팔려 매출이 어마어마하게 증가하고 있다”며 “양극재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업체들의 투자는 가속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기차시대 젤 갑은 양극재입니다. 그 다음은 광물이구요.. 2차전지 실적 잘 나오는 우량 기업에 투자하신 투자자들께서는 무조건 물량 모으셔야 합니다. 특히 양극재 및 광물쪽 대장주인 에코그룹주 및 포스코 그룹주.. 두업체 수직계열화된 기업으로 가장 경쟁력이 뛰어나며 향후 가장 크게 성장할 기업입니다. 증권사 애들 및 공매도 농간에 절대 넘어가시지 말고, 일생에 한번 올까말까하는 기회 꼭 잡으시길 당부드립니다.
남회장님 책 실전 투자의 투자의 정석 읽고 있는중입니다.지금까지 읽어본 책중에 최고인거 같네요. 현재 반도체 공장 가동률 30%이하입니다. 단기간에 생산량 늘어나지 않을거 같구요. 반도체 감산하면 재고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삼성.SK는 재고를비싸게 팔수 있으니 좋겠지만 원자재.장비업체는 수주가 줄어 이익이 감소할텐데 주가는 삼성과 같이 움직이는 참 아이러니한 현상입니다. AI, 쳇GPT 관련주가 미국장에서 오르면 이와 관계가 먼 반도체 메모리를생산하고 있는 국내 반도체가 덩달아 오르는 현상도 이해하지 못하지만 시장 투자자들의 기대 때문에 올라간다고 생각됩니다. 전 반도체 제조사에서 근무하고 있는데 반도체 불경기는 좀 오래갈거 같은 생각입니다.
@cyp0880 58
2023년 5월 29일 18:22‘만들고 만들어도 부족한’ 양극재…배터리 소재 업계, 증설 경쟁 ‘활활’
전기자동차 배터리 핵심 소재 양극재 쇼티지 현상이 날이 갈수록 심화되면서, 배터리 소재 업계의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아무리 만들어도 부족한 양극재에 배터리 소재 업체들의 공장 증설 경쟁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29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1년 173억달러(약 22조원) 규모인 양극재 시장은 2030년 783억달러(약 99조9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양극재 수요는 2021년 50t 수준에서 2030년 330~520만t이 될 것으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내다보고 있다.
이처럼 각국의 친환경 정책 기조에 따라 최근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출하량이 급증하면서부터, 양극재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양극재는 전기차 배터리의 특성과 성능, 안정성 등을 결정짓는 핵심 소재인 만큼, 배터리 업계는 양극재 확보가 필수불가결 하다.
하지만 공급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로 인해 최근 양극재 쇼티지 현상이 발생되기 시작했다. 이는 오는 2025년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에코프로비엠, LG화학,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등 배터리 소재 업체들은 양극재 공장 증설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케파(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갈수록 덩치가 커지는 시장을 선점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겠단 전략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배터리가 전기차 수요를 못 따라가듯이 이 배터리 안에 들어가는 양극재도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양극재는 현재 생산만 하면 모두 팔린다”고 설명했다.
양극재 원료 및 배터리. 왼쪽부터 리튬, 원통형 배터리, 니켈, 양극재, 코발트.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은 전세계 양극재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답게 가장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보였다. 목표는 오는 2027년 말까지 양극재 생산능력을 71만t까지 확대하는 것이다. 현재 생산능력은 올해 19만t에서 내년 28만8000t으로로 높아질 전망이다.
양극재 추가 생산을 위한 총 투자 금액만 해도 3조 2000억원에 이른다. 최근에는 4732억원을 투입해 경북 포항시 제4캠퍼스 내 배터리 양극재 공장 생산라인을 확장하겠다고 나섰다.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활물질 생산능력 확대와 신규제품 NCMX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NCMX는 NCM 양극재에 특수 물질을 포함한 소재다.
북미 지역도 진출한다. 이를 위해 에코프로비엠은 북미지역 내 양극활물질 공장 신설을 위해 캐나다 배터리 소재 기업 에코캠 지분 100%를 1563억원에 취득하기로 했다.
LG화학은 양극재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한·중·미와 유럽으로 이어지는 글로벌 4각 생산 체계를 갖추겠단 청사진을 내놨다. 2023년 12만t의 규모의 생산 능력은 2028년 47만t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신규 글로벌 고객사 비중도 40%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단 포부를 밝혔다.
파우치, 원통형 배터리 중심 하이니켈 양극재 제품군 확대 및 니켈 비중 95% 수준의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 양산, 단입자 양극재 기술 적용 확대 등도 추진한다.
포스코퓨처엠도 대규모 수주에 맞춰 공장 증설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연 생산능력을 지난해 기준 10만5000t에서 2030년 61만t으로 확대하겠단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24일 6000억원을 투자해 경북 포항에 하이니켈 NCMA 양극재 공장을 연 6만t 규모로 추가 건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중국 화유코발트와 저장성에 연 3만t 규모의 양극재 합작 공장을 건설하는 등 총 6만t 생산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엘앤에프는 목표 생산량을 늘렸다. 생산능력을 당초 계획했던 2024년 22만t에서 2026년 43만t까지 확대했다. 현재 하반기 구지 2공장 양산을 앞두고 있으며, 향후 미국·유럽 등 해외 진출 및 국내 설비투자를 통해 양극재 생산능력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에서 28~30만t 규모의 생산능력 확보를, 미국과 유럽 등 주력 고객사가 밀집한 해외 현지에서 공장 신증설을 진행한다.
업계 관계자는 “양극재 공급을 크게 확대해도 모두 팔려 매출이 어마어마하게 증가하고 있다”며 “양극재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업체들의 투자는 가속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기차시대 젤 갑은 양극재입니다. 그 다음은 광물이구요.. 2차전지 실적 잘 나오는 우량 기업에 투자하신 투자자들께서는 무조건 물량 모으셔야 합니다. 특히 양극재 및 광물쪽 대장주인 에코그룹주 및 포스코 그룹주.. 두업체 수직계열화된 기업으로 가장 경쟁력이 뛰어나며 향후 가장 크게 성장할 기업입니다. 증권사 애들 및 공매도 농간에 절대 넘어가시지 말고, 일생에 한번 올까말까하는 기회 꼭 잡으시길 당부드립니다.
@황덕규-g9v 35
2023년 5월 29일 18:00이차전지는 조심하세요~~!!빠떼리 아저씨든 소위 전문가하는 사람들 주구장창 이차전지 이차전지하는데~~^^
그리 좋으면 방송에서 추천하겠나?~~
지들꺼 개인들에게 넘기려고 하는거지^^
주식 시장에선 아무도 믿으면 안됨~
@Kim-zr9ge 27
2023년 5월 30일 03:48지금은 반도체이지만 결국은 곧 다시 2차전지가 대세😢
@fafan777 16
2023년 5월 29일 18:05연말쯤에 실적좋은 2차전지 대장주들 어떨지 궁금해지네요
@허영진-i1d 12
2023년 5월 29일 17:39남석관 회장님 나오는 방송은 꼭 챙겨 봅니다.
근데 김작가에 자주 나왔던 개형 김정환님은 요즘 조용하네요.
무슨일 있으신가요?
@문지수-g2n 8
2023년 5월 29일 17:48남석관 회장님 넘 반갑습니다 🎉 종목 정보 넘 감사합니다
@1손 5
2023년 5월 29일 18:44지수오르면
거의기본적으로다갈걸요
지구별여행자 5
2023년 5월 29일 17:22ㅋ
@lucky_tv 5
2023년 5월 29일 18:38🌟 『남석관 회장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youtu.be/-prWOl5QyiI
👉 2부. https://youtu.be/DHPDimtmuJ8
👉 3부. https://youtu.be/Ig4HUv5My-U
📌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ZidFSQPL3_I
@gayeongnam357 4
2023년 5월 29일 23:05너무 멋지십니다 남회장님 남씨가문의 영광입니다. 저도 배워가고싶습니다. 간절히 부자가 되고싶습니다.
찬바람 4
2023년 5월 29일 17:52드디어 갈팡지팡 하게
만드는 소식 나옴.
주식은 타이밍이 아니라 타임이라고 했죠 아마
@정종진-o3o 3
2023년 5월 30일 13:40조선은 어떤지 궁금 합니다
@Maiseuse 3
2023년 5월 31일 18:42종목 얻어갈 생각하는사람은 참 안됐다. 이리 배워갈께 많은데 먹다 버린것들을 달라고 구걸하는거랑 뭐가 다를까생각함. 방송충분히 너무 좋았습니다. 두분다 감사합니다
@Eaglecho100 3
2023년 6월 03일 10:46남회장님 책 실전 투자의 투자의 정석 읽고 있는중입니다.지금까지 읽어본 책중에 최고인거 같네요. 현재 반도체 공장 가동률 30%이하입니다. 단기간에 생산량 늘어나지 않을거 같구요. 반도체 감산하면 재고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삼성.SK는 재고를비싸게 팔수 있으니 좋겠지만 원자재.장비업체는 수주가 줄어 이익이 감소할텐데 주가는 삼성과 같이 움직이는 참 아이러니한 현상입니다. AI, 쳇GPT 관련주가 미국장에서 오르면 이와 관계가 먼 반도체 메모리를생산하고 있는 국내 반도체가 덩달아 오르는 현상도 이해하지 못하지만 시장 투자자들의 기대 때문에 올라간다고 생각됩니다.
전 반도체 제조사에서 근무하고 있는데 반도체 불경기는 좀 오래갈거 같은 생각입니다.
@-redhealcompany8512 2
2023년 5월 30일 17:47사람들이 가장 궁금한 부분일듯! 알맞게 주제를 선정해주시네요
@임경숙-t6g 2
2023년 5월 29일 20:51감사합니다.()
@추억닷컴2 2
2023년 5월 29일 18:172차전지 무거운거만 보니까 그런거구요..1~2만원대 이엔플러스나 보급형배터리 알에프세미나 자이글이
변동성이 좀 잇습니다...며칠사이로 15프로정도 왓다리 갓다리 합니다..
반도체는 미래반도체가 화요일에 10프로 이상 급등할것 같구요...
주느 1
2023년 5월 29일 17:46당장 더 올라가기 어려워보이는데…😅
AI 이슈로 삼전, 하이닉스 올라가는 거보고.. 배터리랑 반도체 조정 한번에 받으면 쫌 타격클듯;;
@ehk201 1
2023년 6월 10일 13:38차트는 단타용..
@peterkim754 1
2023년 6월 07일 15:27오늘 다시보니 전문가들의 발언이 ??????????
@leesung6641
2023년 7월 28일 17:52밧데리 아저씨 W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