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최근 황농문 교수님의 저서 슬로씽킹을 읽고 ‘의도적으로’ 학습의 즐거움을 만들어낼 수 있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공부에 대한 즐거움을 이야기 하는 것도 ‘자랑질’?이 될 수 있지만..... 교수님의 경험을 상세하게 집필해 주신 덕분에 제가 체감적으로만 느꼈던 인지적 순간들을 구체적인 생각과 언어로 정의하고,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유레카!’를 외치게 해 준 경험에 감사한 마음으로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특히나 슬로씽킹의 훈련 방법과 마음가짐을 지닌 상태로 학습을 진행할 때 집중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효율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4월에 슬로씽킹을 완독하고, 5월 부터 열흘씩 몰입 주간을 정하여 사업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있습니다. 흡수한 내용들이 창의적인 생각들로 확장되는 연쇄 반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공부하는 시간이 그 어느 때 보다 재밌고, 즐겁습니다.
그리고 너무나 신기했던 점은 살아오면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기 위한 과정에 경험했던 강한 몰입의 기억이었습니다. 몰입이 깊게 된 순간에는 현실 감각이 떨어지다 보니, 대인 관계 속에서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만나기도 했는데요. (조현병 의심, 국가 재난에 대한 미인지 등) 이런 문제들을 교수님의 경험담 속 사례들로 들을 수 있어서 내심 안심이 되기도 했답니다. 단순한 부작용이었다는 걸 알게되어서요.
문제해결에 대한 생각법이기 이전에 자신의 잠재력을 자력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최고의 생각법인 몰입 학습법과 슬로씽킹 훈련법을 공유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행복도가 수직상승중입니다.)
정년 이후, 몰입의 즐거움으로 채워가실 교수님의 새로운 행보에 축복이 가득하시길 기원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사실 저는 문과를 나오고, 대학은 컴퓨터시스템과 중퇴인데, 이런 논문도 이해하기 쉽게 말씀해주시는 황농문 대표님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도 어려서부터 오랫동안 안풀리는 문제에 대해서는 오래 고민하는 습관이 있었는데, 대표님처럼 몇 달까지 고민하고 몰입해서 생각해본적은 없었던것 같아요 ㅎㅎ 그리고 이런 논문이나 문제들도, 사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어려워보이지만, 발상의 전환 및 사고법을 알게되면 이전 단계만큼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런 좋은 강의를 소개해주신 스터디언 채널자님께도 감사를 표합니다 ^^
강의는 좋지만 외국의 유명한 학자의 팟캐스트들과 너무 비교되는 것은, 해당 논거를 제시할 때 개인의 경험 위주로 설명을 하고 관련 논문이나 연구 등을 소개해 주지 않는 것이다. 50시간 몰입에 관하여 주장을 펼칠 거면 개인의 경험에 기반한 사례가 아니라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의 평균을 가지고 얘기를 해야한다.
최근에 비슷한 경험을 한게 저는 깜깜 무식인데 칸트 철학을 공부하고 싶어서 필사부터 듣고 읽고 아무생각없이 백일 정도 반복했어요 정말 처음엔 뇌가 저리는 기분이 들더라고요 너무 어렵고요 그런데 엊그제부터 뭔가 술술 뚫리는 느낌이 들었어요 이런 영상을 보니 매우 반갑네요 공부하는데 더욱 힘이 될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저는 수학과외샘인데요 중고생 아이들에게 몰입으로 가르칩니다. 아이들의 별처럼 반짝반짝 빛이나는 눈을 볼 수 있어요. 해결하지 못한 문제는 세번이고 네번이고 계속 과제를 주고 수업시간에 같이 머리를 맞대기도 해주면서 아이가 해결 해내면 아이가 보여주는 그 얼굴은 잊을 수가 없어요. 몰입을 경험 한 아이는 시험이 다가와 약간의 힌트를 주려고 할때 아이가 오히려 선생님을 야단쳐요 방해한다고. ㅋㅋ 그럼 아 미안 그러죠. 항상 아이들에게 강조해요 수학공부는 문제를 푸는게 목적이 아니라 사고하는 과정이 목적이라고요. 저 자신도 학창시절 풀지 못한 문제를 걸어다니면서 밥먹으면서 생각하고 또 생각하다보니 꿈에서조차 나타나서 꿈에서 힌트를 얻어 푼 적도 있었어요. 몰입은 인생에 있어서 자신감을 주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슬럼프에도 일어설 수 있는 힘을 줘요.
@미경칩-뇌의해방일지 35
2023년 5월 30일 22:06시험을 위한 공부보다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공부가 답이네요 👍👍
@김프로-k4m 32
2023년 5월 30일 20:36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최근 황농문 교수님의 저서 슬로씽킹을 읽고 ‘의도적으로’ 학습의 즐거움을 만들어낼 수 있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공부에 대한 즐거움을 이야기 하는 것도 ‘자랑질’?이 될 수 있지만..... 교수님의 경험을 상세하게 집필해 주신 덕분에 제가 체감적으로만 느꼈던 인지적 순간들을 구체적인 생각과 언어로 정의하고,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유레카!’를 외치게 해 준 경험에 감사한 마음으로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특히나 슬로씽킹의 훈련 방법과 마음가짐을 지닌 상태로 학습을 진행할 때 집중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효율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4월에 슬로씽킹을 완독하고, 5월 부터 열흘씩 몰입 주간을 정하여 사업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있습니다. 흡수한 내용들이 창의적인 생각들로 확장되는 연쇄 반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공부하는 시간이 그 어느 때 보다 재밌고, 즐겁습니다.
그리고 너무나 신기했던 점은 살아오면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기 위한 과정에 경험했던 강한 몰입의 기억이었습니다. 몰입이 깊게 된 순간에는 현실 감각이 떨어지다 보니, 대인 관계 속에서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만나기도 했는데요. (조현병 의심, 국가 재난에 대한 미인지 등) 이런 문제들을 교수님의 경험담 속 사례들로 들을 수 있어서 내심 안심이 되기도 했답니다. 단순한 부작용이었다는 걸 알게되어서요.
문제해결에 대한 생각법이기 이전에 자신의 잠재력을 자력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최고의 생각법인 몰입 학습법과 슬로씽킹 훈련법을 공유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행복도가 수직상승중입니다.)
정년 이후, 몰입의 즐거움으로 채워가실 교수님의 새로운 행보에 축복이 가득하시길 기원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감사합니다.
’슬로씽킹‘ 독자 김지은 드림.
@푸른매실-k2k 24
2023년 5월 30일 23:06사실 저는 문과를 나오고, 대학은 컴퓨터시스템과 중퇴인데, 이런 논문도 이해하기 쉽게 말씀해주시는 황농문 대표님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도 어려서부터 오랫동안 안풀리는 문제에 대해서는 오래 고민하는 습관이 있었는데, 대표님처럼 몇 달까지 고민하고 몰입해서 생각해본적은 없었던것 같아요 ㅎㅎ
그리고 이런 논문이나 문제들도, 사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어려워보이지만, 발상의 전환 및 사고법을 알게되면 이전 단계만큼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런 좋은 강의를 소개해주신 스터디언 채널자님께도 감사를 표합니다 ^^
@심플이즈더베스트p9w1t 8
2023년 5월 31일 09:05포기하지 않는한 실패한것이 아니다!
끈기! 또한번 되새기는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alifawerlkado4735 7
2023년 6월 18일 19:01강의는 좋지만 외국의 유명한 학자의 팟캐스트들과 너무 비교되는 것은, 해당 논거를 제시할 때 개인의 경험 위주로 설명을 하고 관련 논문이나 연구 등을 소개해 주지 않는 것이다. 50시간 몰입에 관하여 주장을 펼칠 거면 개인의 경험에 기반한 사례가 아니라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의 평균을 가지고 얘기를 해야한다.
@남쌩라이브 7
2023년 6월 21일 00:23제가 고등학교때 읽었던 책이네요... 도움많이되었어요! 덕분에 고등학교때 하위권에서 지금은 여의도 금융권에서 일하고있습니다 ㅎㅎ
@guitar3768 5
2023년 6월 02일 19:18문제가 있으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생각해보기! 한달이 걸릴지라도
그러면 문제해결능력이 월등히 올라간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art_surfer 4
2023년 6월 05일 13:27포기하지 않고 계속생각하는 것!
사업하시는 분들 운동하시는 분들 어디서든 문제를 피하지않고 해결될 때까지 하는게 그릿 grit 이 떠오르네요. 말씀 감사합니다!
@petertskim 3
2023년 6월 12일 04:53교육부 장관 하셔야 될분 이시네요
@QueeNYHJ 3
2023년 6월 08일 11:27답이 없는 인생에 나만의 답을 찾고 후회없는 인생을 위해 몰입 꼭 해야겠어요
@양들의친목-c9e 3
2023년 6월 06일 07:50최근에 비슷한 경험을 한게 저는 깜깜 무식인데 칸트 철학을 공부하고 싶어서 필사부터 듣고 읽고 아무생각없이 백일 정도 반복했어요 정말 처음엔 뇌가 저리는 기분이 들더라고요 너무 어렵고요 그런데 엊그제부터 뭔가 술술 뚫리는 느낌이 들었어요 이런 영상을 보니 매우 반갑네요 공부하는데 더욱 힘이 될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극한까지가서충전이필 3
2023년 5월 31일 20:26언제나 그랬듯이 답을 찾을것이다
@huniely9583 2
2023년 6월 08일 22:09밥도 안먹고 어떻게 50시간을 그것만 생각하나??
@키라의머리공방춘천 2
2023년 5월 31일 19:11몰입 합본판은 뭐고
두번째이야기는 뭔가요?
합본판 사면
다 들어있는내용인가요?
아님 순서대로 따로 사야하나요?
내용이 틀린가요?
@jcta1000 2
2023년 6월 03일 02:16많이 바쁘신가 보내요.
좀 지쳐보이세요.
너무 열심히 일하고 계신듯 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gps6729 2
2023년 6월 23일 22:56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kang_1122 2
2023년 6월 10일 20:21수학 끝까지 풀어보라고 하는 건 상위권만 사용하세요. 하위권은 그 시간이 아까우니까
@cpcnlt 1
2023년 6월 12일 23:21와 스터디언에서 최초공개 감사합니다 교수님~ 잘 배우고갑니다. 무식한 자로서 합금하면 되는거아닌가? 했던 ^^ 즐겁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저는 매일 감사하고있습니다.😊
@골드실버의삶 1
2023년 6월 15일 14:57뇌란 제때 사용하지않으면 돌처럼 딱딱하게 하게 굳게 되는데 이굳은 뇌를 활성화해서 몰입능력을 길르는데 많은시간노력이 많이 필요합니다.
@bujatcmclinic6741 1
2023년 6월 14일 10:15좋은 내용 강의 감사합니다 저도 마음 깊이 세겨 노력해 보겠습니다
@이기우-v1w 1
2023년 6월 11일 18:45잘 들었습니다. 좋은 영감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together-w5b
2024년 5월 01일 10:15저는 수학과외샘인데요 중고생 아이들에게 몰입으로 가르칩니다. 아이들의 별처럼 반짝반짝 빛이나는 눈을 볼 수 있어요. 해결하지 못한 문제는 세번이고 네번이고 계속 과제를 주고 수업시간에 같이 머리를 맞대기도 해주면서 아이가 해결 해내면 아이가 보여주는 그 얼굴은 잊을 수가 없어요. 몰입을 경험 한 아이는 시험이 다가와 약간의 힌트를 주려고 할때 아이가 오히려 선생님을 야단쳐요
방해한다고. ㅋㅋ 그럼 아 미안 그러죠. 항상 아이들에게 강조해요 수학공부는 문제를 푸는게 목적이 아니라 사고하는 과정이 목적이라고요.
저 자신도 학창시절 풀지 못한 문제를 걸어다니면서 밥먹으면서 생각하고 또 생각하다보니 꿈에서조차 나타나서 꿈에서 힌트를 얻어 푼 적도 있었어요. 몰입은 인생에 있어서 자신감을 주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슬럼프에도 일어설 수 있는 힘을 줘요.
@Xxxxx0864
2023년 6월 25일 08:4450시간을 어떻게 생각하는거에요??
잠자는 시간도 포함인가요?
@골드실버의삶
2023년 6월 14일 11:32몰입능력을 키우지 못하고 어른된 사람은 몰입능력을ㅈ키울수 있나요?
@celsius200do
2023년 6월 19일 00:33산과나무뿐인 세상에 자동차 비행기 손안의 핸드폰이 나올수 있었던 이유. 더 젊을때 이것을 알았더라면 니콜라테슬라 뺨 때렸을텐데
@재미가없노
2023년 6월 12일 07:20어렵다 ㄲㅈ
@hilaxfs7741
2023년 6월 07일 00:08맛습니다 저도 동감합니다
@molip5653
2023년 6월 12일 19:05허허 이게 워뇨띠가 한방법중 하나군 찾았누 ㅋㅋㅋㅋ
@메리골드-v9n
2023년 6월 25일 15:102:40마음이 불편하면 슬로씽킹이 아니다
@petertskim
2023년 6월 12일 05:03실제 간증들을 될수있는한 다들어보고 싶네요 수학,영어,연구,그외 인생문제 사업문제도 몰입으로 좋은 기발한 생각 방법이 떠오를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