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핵심은 반복하여 눈에 익힌 다음에 얼개를 잡는 겁니다. 그리고 그것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Time to Performance 입니다. 그래서 의대생들이 암기는 제일 뒤로 하고 맨 처음 하는게 기출문제부터 푸는 거고요. 간단한 예를 들어 일본어를 정복하고자 한다면 학원에 가는 게 아니라 먼저 JLPT 기출단어장 3000 단어장 책 사서 정독으로 10번 빠르게 반복해서 보는 겁니다. 열한 번째 부터 아는 단어는 젖히고 모르는 단어만 체크해서 3000 단어를 마스터 할 때까지 줄여나가는 겁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하는 게 두꺼운 JLPT 1급 문제집을 사서 오답 문항지문은 읽지도 않으면서 빼고 정답 문항지문만 정독하면서 정답지문 전체를 아예 노랑 형광펜으로 마킹합니다. 그리고 답안지는 버립니다. 그렇게 마킹한 상태 그대로 JLPT 1급 문제집 전체를 정독으로 문제와 답만 3번 가볍게 훑어봅니다. 그다음 모든 문항 지문들을 노랑 형광펜으로 정독하면서 전체 마킹 뒤 이제는 분홍형광펜으로 번호만 점 찍어 문제 푸는 형식으로 책 한 장 문제를 다 풉니다. 분홍형광펜으로 전체 채점하여 맞는 것은 동그라미 틀린 것은 선 긋습니다.
※ 단 찍어서 맞힌 것은 맞아도 틀림으로 표시합니다.// 다시 틀린 문제만 정독하면서 정답 오답 구분 없이 분홍형광펜으로 문제 번호들 전체 마킹, 그리고 재차 녹색 형광펜으로 분홍형광펜이 틀렸다는 것만 푸는데 이번에는 녹색 형광펜으로 번호만 점 찍어 문제 풀고 녹색 형광펜으로 전체 채점하여 맞는 것은 동그라미 틀린 것은 선 긋습니다.
여기까지 하면 책 한 권을 한꺼번에 두 번 훏어보는 건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이번에는 파랑 형광펜으로 세 번, 책 한 권 전체를 한꺼번에 훏어 봅니다.
그리고 여기서 틀린 문제는 더는 풀지 말고 틀린 문제 바로 하단의 공백 부분에 서술형 문장으로 바꿉니다. 그런데 빈칸 채울 문장이 길다 싶으면 자릅니다. 문장이 길다 싶으면 “비타민 D는 ( ) 과 ( ) 의 흡수촉진, ( ) 의 정상적인 발육에 관여한다. 그리고 결핍 시, ( 구루병 )병, ( 골연화 )증, ( 골다공 )증이 생긴다.”
이렇게 윗부분만 빈칸 채우기 만들고 아래 빈칸 채우기는 답을 적어 보입니다. 이런 식으로 책 전체를 가볍게 정독하면서 10번을 봅니다.
다음에는 “비타민 D는 ( 칼슘 ) 과 ( 인 ) 의 흡수촉진, ( 뼈 ) 의 정상적인 발육에 관여한다. 그리고 결핍 시, ( )병, ( )증, ( )증이 생긴다.”
이렇게 아랫부분만 빈칸 채우기 만들고 위 빈칸 채우기는 답을 적어 보입니다. 이것 또한 위와 같은 식으로 책 전체를 가볍게 정독하면서 10번을 봅니다. 복잡한 문장이나 수식은 한꺼번에 빈칸 채우기를 하지 말고 될 수 있으면 따로따로 분리해서 간단하게 만들어 서로를 부분으로 만든 다음 채워 넣기를 합니다.
10번 반복 이후에도 빈칸에 답을 못 적으면 두꺼운 책의 틀린 문제 부분에 인덱스를 달아 문제 번호를 쓰고 다른 건 보지 않고 인덱스 단 부분만 들춰서 맞춘 건 인덱스를 뜯고 틀린 건 인덱스를 붙여 둔 채 마지막 한 문제라도 다 빈칸 채우기를 할 수 있을 때까지 무한반복 합니다.
여기까지 오면 대략 얼개가 잡힙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JLPT 1급 실전 모의고사 문제집 ( 5회분 ) 사서 앞에 서술한 방법 그대로 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중요한 게 몰입과 집중입니다. 하루의 목표를 세울 때 “3시간 하고 30분 쉬자”가 아닙니다. “아침 9시부터 저녁 10시까지 책 한 권을 훏어보자” 입니다.
이렇게 온종일 몰입과 집중이 이루어지고 그 다음 날에 무조건 쉬는 겁니다. 쉬는데 그냥 집에서 어슬렁거리지 말고 오전에는 한강 자전거도로 가서 한 시간가량 자전거 타고 저녁에는 복싱장 이나 격투기장 가서 2시간 죽어라 운동하는 겁니다.
하루 공부하고 하루 쉬는 걸 반복합니다. 공부를 농구 처럼 하는 거지 마라톤 처럼 하지 말라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빠른 스피드와 즐거움입니다. 공부는 암기가 아닙니다. 공부는 반복입니다.
“공부는 암기다” 라고 생각하는 그 순간부터 고통이 시작됩니다. 앞서 언급 했듯이 우리가 농구를 할 때는 늘 긴장하게 되지요. 왜냐하면, 공격이든 수비이든 간에 앞 사람을 뚫던지 막아야지요. 근데 따분해하지 않습니다. 워낙 일이 매우 급하게 돌아가기 때문에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몰두하게 되어 있습니다.
위에 설명을 보면 암기하라는 말은 없습니다. 가능하면 빨리빨리 문제를 풀라고 합니다. 그리고 반복하라고 합니다. 문제를 풀면서 이벤트가 일어나고 그 문제에 대해 채점을 하면서 피드백이 이루어집니다. 빠르게 문제를 풀거나 반복하면서 지루한 틈을 주지 말라는 겁니다.
아기가 부모에게 아빠, 엄마라고 부를 때 보통 아기는 부모에게 아빠, 엄마라는 말을 최소한 100번 이상 듣는다고 합니다. 어느 날 아기가 부모에게 “아빠, 엄마” 라고 듣고 머릿속에 외워서 내뱉는 말이 아니라는 겁니다. 끊임없이 반복하여 뇌에 각인시킨 후에 그제야 아기는 “아빠, 엄마” 라는 말을 합니다. 공부 또한 그러합니다. 공부는 익히는 거지 암기가 아닙니다.
맨 처음 공부할 때 정독도 지겹다. 그러면 속독부터 하세요. 그리 한 5번 속독하고 정독하면 눈에 익은 내용이 있어 머릿속에 잘 들어옵니다. 이처럼 “속독 -> 정독 -> 반복 -> 문제풀이 -> 틀린문제 풀기 -> 반복 -> 빈칸 채워넣기 -> 반복” 의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공부해야지 공부할 때도 고통을 느끼지 않고 즐겁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거듭 말하지만, 공부를 꾸준히 이어가게 지탱하는 힘은 재미입니다. 그리고 재미를 북돋기 위해서는 최대치로 하루에 책 한 권을 훏어 보는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분량이 많다 치면 책 한 권을 나누어 1/4 또는 최소한 1/8로 겨우 감내할 수 있는 분량을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그래야지 시간에 쫓겨 몰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몰입만 한다고 공부를 계속 이어가기는 힘들지요. 문제를 계속 풀어야 하는 이유는 문제를 푸는 동안에 틀리면 피드백이 생기고 맞으면 쾌감이 들기 때문입니다. 결국, 주어진 시간 내에 작업을 끝내야 한다는 몰입과 계속 맞닥뜨리는 문제, 그리고 그 문제를 풀면서 생기는 피드백과 쾌감이 공부를 끝까지 이어나가게 되는 마중물이 됩니다.
** 내용정리 ** 1. 정 공부하기 싫고 동기부여가 안되면 일본어 공부 안하고 백지 상태에서 일본 워킹 홀리데이 신청한 후 한국사람 없는 곳에서 1년간 살아 봅니다. (1년 생활하면 독립성이 생깁니다 )/ 2. 일본에 1년 살다 오면 정신 차립니다.(동기부여 만땅) / 3. 공부법 요점// 첫 번째. 참고서 사서 외우지 말고 노트필기도 하지 말고 강의도 듣지 말고 두꺼운 기출문제집 문제 풀어 반복하여 얼개 잡기. / 두 번째. 두꺼운 문제집 가지고 책이 걸레가 될 때 까지 수없이 풀어 반복하기/ 세 번째. 두꺼운 기출문제집을 최대한 한 번 빨리 훏어 본다는 생각으로 빨리빨리 문제풀기(암기해서 한 페이지 세월아 네월아 하지 말고 히말라야 정상에서 스키타고 내려온다는 기분으로 문제집의 진도를 엄청 스피드 있게 나감)/ 네 번째. 암기를 절대 하지말것 그 자체가 고통임. 문제푸는 걸 놀이로 생각하고 공부를 즐기셈./ 참고사항. 난해한 지문이나 강의도 더 쉽게 이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잠잘 때 방 불 끄고 누워서 유튜브 들으면 됩니다. 그 중에서도 설명이나 서사 또는 요약이 잘 된 재미있는 유튜브 방송을 듣습니다. 절대 잡담하는 건 듣지 않습니다. / 조회수가 많이 나오는 공포, 역사, 경제, 과학 유튜브 방송을 듣습니다. 이게 별거 아닌 거 같지만 공포 방송에서 입담이 좋은 얘기꾼의 설명을 들을 때 뇌는 듣는 그 자체로 설명에 대해 어떻게든 정리를 할려고 합니다./ 다시 말해서 유튜브 방송을 많이 접할수록 이해도가 높아 갑니다./
늦깎이 박사수료생입니다 황교수님의 몰입 개념에 대해 경험을 통해 100% 신뢰하고 있습니다 전 머리가 결코 좋은 편도 아니고 노력형에 가까운데 몰입을 통해 뛰어난 사람들의 성과에 좀 늦더라도 도달하는 경험을 해왔습니다. 일상에서 마주하게 되는 사소한 문제나 논문이라는 과업을 해결하기위해 꾸준히 지금도 저는 몰입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몰입을 경험하지 않고 이 개념에 의심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언제나 교수님의 몰입에 대한 뜻깊은 강의를 나눠주심에 감사합니다😊
교수님의 말씀이 선불교에서 말하는 선정이나, 삼매의 상태와 비슷하네요. 이러한 경험을 해보기 위해서는 몇가지 환경이 중요한데, 규칙적인 운동, 단백질 위주의 식사, 이완된 몸과 마음의 상태. 내 몸도 마음도 사라진 상태를 경험하게 되면, 교수님이 말씀하신 물아일체의 상태, 내가 없어지고 내가 문제고 문제가 나인상태 즉 무아지경의 이르러 정말 최고의 퍼포먼스 상태를 이르게 됩니다. 매일 조금씩 일상에서 앉아서 하는 명상이 아니더라도 알아차림 명상도 도움이 됩니다.설거지 할때, 걸을때, 밥먹을때, 대화할때, 운전할때, 버스 기다릴때 기타 등등..내 생각이 현재에 있는지 아니면 다른곳, 과거, 미래에 가 있는지 훈련을 하다보면, 나중에 몰입이 필요할때 조금더 수월하게 접근 할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스터디언, 황농문 교수님.
교수님 전 외국어를 생각하지않고 공부하지않고 매일 12시간 대화를 3개월해서 지금은 원어민처럼 통역일도합니다 . 내가 왜이리똑똑해졌지 궁금해서 이영상을보고 방법을 찾았네요 참고로 저는 건망증 환자입니다 . 그래서 항상 뭘잃어버렸나 생각을 자주하다보니 어느세 생각하는게 행복해져요
박사학위를 마치고 출연연에 와서 일한 지 벌써 3년. 대학원 시절 경험했던 몰입의 행복을 잊고 눈 앞의 많은 일을 쳐내며 하루 하루 살다가 문득 "이렇게 살면 안되는데"라고 생각하던 차에 이 영상을 접하게 되었네요. 영상 초입에서 말씀해 주신 교수님의 상황과 지금 제 상황이 너무 비슷해서 소름이 돋았습니다. 오래전 교수님의 책을 읽었고 현장 강연도 들은 적이 있어서 몰입의 위력은 잘 알고 있었으나 어느새 잊고 살고 있었습니다. 이 것이 우연이 아니라는 생각과 함께 큰 변화의 계기가 될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그동안 너무 집중이 안되고 인생이 지루하다고 생각이 들었다가 우연히 이 영상을 접하게 되었어요 영상을 끝까지 보면서 저에게 명확한 해결책을 주었어요 첫째, 도전 둘째, 문제 해결을 위한 몰입 정말 “몰입” 이라는 단어가 증요하고 저에게 와닿는 단어에요 앞으로 잘 실천해볼께요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어제까지 24시간 안 자고 논문 쓰느라 짐 금 영상을 보면서 눈물이 나올 것 같아요. 진짜 저의 겪고 있던 모든 순간을 자세히 논리 있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함이다. 발버둥 치는 것도 몰입 중에 일부라고 하셔서 내 자신을 원망하던 그런 시간이 떠올라서 자신한테 비난하던 생각들이 너무나 미안해지더라구요.ㅠㅠㅠ 시간이 흘러가는데 생각은 아무 진전이 없을 때 박사 포기하고 싶은 마음도 생깁니다. 교수님 너무 감사합니다.
저도 일주일동안 수학문제를 자나깨나 생각하다가 아침에 일어나 슈퍼맨의 뇌를 경험했습니다 너무 기분이좋았으나 넘치는 생각들때문에 잠을 못자서 무서운 생각이들어 이러다 미치는게 생각했는데 운동을 하면 이런 부작용이 사라진다하셔서 다시 도전해 보려고 합니다 이런상태로 몇년을 계셨다니 저도 경험해보고 싶습니다 죽어도 여한이 없을것 같아요 대단하세요 정말 주위 사람들은 이해를 못하는게 당연합니다
동감하고요. 삶에 대한 많은 응원과 용기와 도전을 일깨워 주시네요. 교수님 경험으로 부터 얻어진 이야기를 해주시니 신뢰도 있고요. 선한 영향력 좋아요. 자신의 능력을 가두지 않는 무한한 능력의 발산을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끊이지 않고 자신을 생각의 감옥에 가두지 않는 열린 생각의 프레임을 공유할 수 있어 좋습니다.
그 기분 알죠. 우주에 어려운 문제와 내가 대면하고 있고 그밖엔 아무것도 없는 듯한 느낌. 처음 느낌 건 수능 준비때 실제 수능보다 어려운 고난이도로 나온 문제집 지구과학 계산 문제 4시간 걸려 풀면서 한번. 또한번은 MBA finance 공부 시절 그룹과제가 있었는데 며칠동안 생각하다 유레카 모먼트가 있어 제가 문제 풀어 제 그룹 메이트 들이 놀랐었죠. 제가 영어도 네이티브 아니고 이과 출신도 아니라 IT 전공하고 똑똑했던 인도 친구가 어떻게 펀드 매니져 학우들도 아무도 못푼 이문제 풀었냐며 꼬치꼬치 깨묻던 생각 나네요. 별로 우등생은 아니었습니다. 요즘은 지적이 자극이 적어 좀 권태가 있는 듯. 자연스레 몰입 하는 사람들은 지적 자극이 떨어지면 권태가 심하게 오는 것 같습니다.
이런 영상을 보면 머리 좋다는 게 뭔지 다시 생각해보게 됩니다. 배운 정답을 남들보다 빠르게 맞추는 게 머리가 좋은건가? 뇌의 몰입에 대해 조금은 뭔지 체험해본 거 같습니다 ~ 평소에 저더러 아이큐가 높아보인다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남들이 못하는 걸 제가 해내는 경우가 몇 번 있거든요. 스스로도 믿어지지 않고요. 그냥 저의 기질이 몰입하는 뇌를 비교적 사용할 줄 아는 기질 같습니다. 뇌를 몰입시키는 것의 최대 장점은 인생에 행복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우울하고 분노많은 한국사람들이 모두 자기 뇌를 좋은 쪽으로 깊이 몰입하는 실천을 한다면 아마 모두 스마일 웃고 너그럽고 속 없는 사람들처럼 살아갈듯요.. 모두가 몰입의 뇌를 많이 쓰고 기분좋게 하루하루 살기를 ~~
@해모힘-u6j 112
2023년 8월 05일 20:03공부의 핵심은 반복하여 눈에 익힌 다음에 얼개를 잡는 겁니다.
그리고 그것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Time to Performance 입니다.
그래서 의대생들이 암기는 제일 뒤로 하고 맨 처음 하는게 기출문제부터 푸는 거고요.
간단한 예를 들어 일본어를 정복하고자 한다면 학원에 가는 게 아니라 먼저 JLPT 기출단어장 3000 단어장 책 사서 정독으로 10번 빠르게 반복해서 보는 겁니다.
열한 번째 부터 아는 단어는 젖히고 모르는 단어만 체크해서 3000 단어를 마스터 할 때까지 줄여나가는 겁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하는 게 두꺼운 JLPT 1급 문제집을 사서 오답 문항지문은 읽지도 않으면서 빼고 정답 문항지문만 정독하면서 정답지문 전체를 아예 노랑 형광펜으로 마킹합니다.
그리고 답안지는 버립니다.
그렇게 마킹한 상태 그대로 JLPT 1급 문제집 전체를 정독으로 문제와 답만 3번 가볍게 훑어봅니다.
그다음 모든 문항 지문들을 노랑 형광펜으로 정독하면서 전체 마킹 뒤 이제는 분홍형광펜으로 번호만 점 찍어 문제 푸는 형식으로 책 한 장 문제를 다 풉니다.
분홍형광펜으로 전체 채점하여 맞는 것은 동그라미 틀린 것은 선 긋습니다.
※ 단 찍어서 맞힌 것은 맞아도 틀림으로 표시합니다.//
다시 틀린 문제만 정독하면서 정답 오답 구분 없이 분홍형광펜으로 문제 번호들 전체 마킹, 그리고 재차 녹색 형광펜으로 분홍형광펜이 틀렸다는 것만 푸는데 이번에는 녹색 형광펜으로 번호만 점 찍어 문제 풀고 녹색 형광펜으로 전체 채점하여 맞는 것은 동그라미 틀린 것은 선 긋습니다.
여기까지 하면 책 한 권을 한꺼번에 두 번 훏어보는 건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이번에는 파랑 형광펜으로 세 번, 책 한 권 전체를 한꺼번에 훏어 봅니다.
그리고 여기서 틀린 문제는 더는 풀지 말고 틀린 문제 바로 하단의 공백 부분에 서술형 문장으로 바꿉니다.
그런데 빈칸 채울 문장이 길다 싶으면 자릅니다. 문장이 길다 싶으면 “비타민 D는 ( ) 과 ( ) 의 흡수촉진, ( ) 의 정상적인 발육에 관여한다. 그리고 결핍 시, ( 구루병 )병, ( 골연화 )증, ( 골다공 )증이 생긴다.”
이렇게 윗부분만 빈칸 채우기 만들고 아래 빈칸 채우기는 답을 적어 보입니다.
이런 식으로 책 전체를 가볍게 정독하면서 10번을 봅니다.
다음에는
“비타민 D는 ( 칼슘 ) 과 ( 인 ) 의 흡수촉진, ( 뼈 ) 의 정상적인 발육에 관여한다. 그리고 결핍 시, ( )병, ( )증, ( )증이 생긴다.”
이렇게 아랫부분만 빈칸 채우기 만들고 위 빈칸 채우기는 답을 적어 보입니다.
이것 또한 위와 같은 식으로 책 전체를 가볍게 정독하면서 10번을 봅니다.
복잡한 문장이나 수식은 한꺼번에 빈칸 채우기를 하지 말고 될 수 있으면 따로따로 분리해서 간단하게 만들어 서로를 부분으로 만든 다음 채워 넣기를 합니다.
10번 반복 이후에도 빈칸에 답을 못 적으면 두꺼운 책의 틀린 문제 부분에 인덱스를 달아 문제 번호를 쓰고 다른 건 보지 않고 인덱스 단 부분만 들춰서 맞춘 건 인덱스를 뜯고 틀린 건 인덱스를 붙여 둔 채 마지막 한 문제라도 다 빈칸 채우기를 할 수 있을 때까지 무한반복 합니다.
여기까지 오면 대략 얼개가 잡힙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JLPT 1급 실전 모의고사 문제집 ( 5회분 ) 사서 앞에 서술한 방법 그대로 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중요한 게 몰입과 집중입니다.
하루의 목표를 세울 때 “3시간 하고 30분 쉬자”가 아닙니다. “아침 9시부터 저녁 10시까지 책 한 권을 훏어보자” 입니다.
이렇게 온종일 몰입과 집중이 이루어지고 그 다음 날에 무조건 쉬는 겁니다.
쉬는데 그냥 집에서 어슬렁거리지 말고 오전에는 한강 자전거도로 가서 한 시간가량 자전거 타고 저녁에는 복싱장 이나 격투기장 가서 2시간 죽어라 운동하는 겁니다.
하루 공부하고 하루 쉬는 걸 반복합니다. 공부를 농구 처럼 하는 거지 마라톤 처럼 하지 말라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빠른 스피드와 즐거움입니다.
공부는 암기가 아닙니다. 공부는 반복입니다.
“공부는 암기다” 라고 생각하는 그 순간부터 고통이 시작됩니다.
앞서 언급 했듯이 우리가 농구를 할 때는 늘 긴장하게 되지요. 왜냐하면, 공격이든 수비이든 간에 앞 사람을 뚫던지 막아야지요. 근데 따분해하지 않습니다.
워낙 일이 매우 급하게 돌아가기 때문에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몰두하게 되어 있습니다.
위에 설명을 보면 암기하라는 말은 없습니다. 가능하면 빨리빨리 문제를 풀라고 합니다.
그리고 반복하라고 합니다. 문제를 풀면서 이벤트가 일어나고 그 문제에 대해 채점을 하면서 피드백이 이루어집니다.
빠르게 문제를 풀거나 반복하면서 지루한 틈을 주지 말라는 겁니다.
아기가 부모에게 아빠, 엄마라고 부를 때 보통 아기는 부모에게 아빠, 엄마라는 말을 최소한 100번 이상 듣는다고 합니다.
어느 날 아기가 부모에게 “아빠, 엄마” 라고 듣고 머릿속에 외워서 내뱉는 말이 아니라는 겁니다.
끊임없이 반복하여 뇌에 각인시킨 후에 그제야 아기는 “아빠, 엄마” 라는 말을 합니다.
공부 또한 그러합니다. 공부는 익히는 거지 암기가 아닙니다.
맨 처음 공부할 때 정독도 지겹다. 그러면 속독부터 하세요. 그리 한 5번 속독하고 정독하면 눈에 익은 내용이 있어 머릿속에 잘 들어옵니다.
이처럼 “속독 -> 정독 -> 반복 -> 문제풀이 -> 틀린문제 풀기 -> 반복 -> 빈칸 채워넣기 -> 반복” 의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공부해야지 공부할 때도 고통을 느끼지 않고 즐겁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거듭 말하지만, 공부를 꾸준히 이어가게 지탱하는 힘은 재미입니다.
그리고 재미를 북돋기 위해서는 최대치로 하루에 책 한 권을 훏어 보는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분량이 많다 치면 책 한 권을 나누어 1/4 또는 최소한 1/8로 겨우 감내할 수 있는 분량을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그래야지 시간에 쫓겨 몰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몰입만 한다고 공부를 계속 이어가기는 힘들지요.
문제를 계속 풀어야 하는 이유는 문제를 푸는 동안에 틀리면 피드백이 생기고 맞으면 쾌감이 들기 때문입니다.
결국, 주어진 시간 내에 작업을 끝내야 한다는 몰입과 계속 맞닥뜨리는 문제, 그리고 그 문제를 풀면서 생기는 피드백과 쾌감이 공부를 끝까지 이어나가게 되는 마중물이 됩니다.
** 내용정리 **
1. 정 공부하기 싫고 동기부여가 안되면 일본어 공부 안하고 백지 상태에서 일본 워킹 홀리데이 신청한 후 한국사람 없는 곳에서 1년간 살아 봅니다. (1년 생활하면 독립성이 생깁니다 )/
2. 일본에 1년 살다 오면 정신 차립니다.(동기부여 만땅) /
3. 공부법 요점//
첫 번째. 참고서 사서 외우지 말고 노트필기도 하지 말고 강의도 듣지 말고 두꺼운 기출문제집 문제 풀어 반복하여 얼개 잡기. /
두 번째. 두꺼운 문제집 가지고 책이 걸레가 될 때 까지 수없이 풀어 반복하기/
세 번째. 두꺼운 기출문제집을 최대한 한 번 빨리 훏어 본다는 생각으로 빨리빨리 문제풀기(암기해서 한 페이지 세월아 네월아 하지 말고 히말라야 정상에서 스키타고 내려온다는 기분으로 문제집의 진도를 엄청 스피드 있게 나감)/
네 번째. 암기를 절대 하지말것 그 자체가 고통임. 문제푸는 걸 놀이로 생각하고 공부를 즐기셈./
참고사항. 난해한 지문이나 강의도 더 쉽게 이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잠잘 때 방 불 끄고 누워서 유튜브 들으면 됩니다. 그 중에서도 설명이나 서사 또는 요약이 잘 된 재미있는 유튜브 방송을 듣습니다. 절대 잡담하는 건 듣지 않습니다. /
조회수가 많이 나오는 공포, 역사, 경제, 과학 유튜브 방송을 듣습니다. 이게 별거 아닌 거 같지만 공포 방송에서 입담이 좋은 얘기꾼의 설명을 들을 때 뇌는 듣는 그 자체로 설명에 대해 어떻게든 정리를 할려고 합니다./
다시 말해서 유튜브 방송을 많이 접할수록 이해도가 높아 갑니다./
@아트스페이스이드 102
2023년 6월 04일 04:21늦깎이 박사수료생입니다
황교수님의 몰입 개념에 대해 경험을 통해 100% 신뢰하고 있습니다
전 머리가 결코 좋은 편도 아니고 노력형에 가까운데 몰입을 통해 뛰어난 사람들의 성과에 좀 늦더라도 도달하는 경험을 해왔습니다. 일상에서 마주하게 되는 사소한 문제나 논문이라는 과업을 해결하기위해 꾸준히 지금도 저는 몰입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몰입을 경험하지 않고 이 개념에 의심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언제나 교수님의 몰입에 대한 뜻깊은 강의를 나눠주심에 감사합니다😊
@jesushorn 101
2023년 6월 03일 16:46교수님의 말씀이 선불교에서 말하는 선정이나, 삼매의 상태와 비슷하네요. 이러한 경험을 해보기 위해서는 몇가지 환경이 중요한데, 규칙적인 운동, 단백질 위주의 식사, 이완된 몸과 마음의 상태. 내 몸도 마음도 사라진 상태를 경험하게 되면, 교수님이 말씀하신 물아일체의 상태, 내가 없어지고 내가 문제고 문제가 나인상태 즉 무아지경의 이르러 정말 최고의 퍼포먼스 상태를 이르게 됩니다. 매일 조금씩 일상에서 앉아서 하는 명상이 아니더라도 알아차림 명상도 도움이 됩니다.설거지 할때, 걸을때, 밥먹을때, 대화할때, 운전할때, 버스 기다릴때 기타 등등..내 생각이 현재에 있는지 아니면 다른곳, 과거, 미래에 가 있는지 훈련을 하다보면, 나중에 몰입이 필요할때 조금더 수월하게 접근 할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스터디언, 황농문 교수님.
@아린-n2l 68
2023년 6월 05일 09:23교수님 정말 소중한 얘기들 대중적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해주셔 무척 감사드립니다! 😊❤❤❤
@신박-x8n 53
2023년 7월 15일 08:16교수님 전 외국어를 생각하지않고 공부하지않고 매일 12시간 대화를 3개월해서 지금은 원어민처럼 통역일도합니다 . 내가 왜이리똑똑해졌지 궁금해서 이영상을보고 방법을 찾았네요 참고로 저는 건망증 환자입니다 . 그래서 항상 뭘잃어버렸나 생각을 자주하다보니 어느세 생각하는게 행복해져요
@Prof.C 51
2023년 6월 09일 20:41박사학위를 마치고 출연연에 와서 일한 지 벌써 3년. 대학원 시절 경험했던 몰입의 행복을 잊고 눈 앞의 많은 일을 쳐내며 하루 하루 살다가 문득 "이렇게 살면 안되는데"라고 생각하던 차에 이 영상을 접하게 되었네요. 영상 초입에서 말씀해 주신 교수님의 상황과 지금 제 상황이 너무 비슷해서 소름이 돋았습니다. 오래전 교수님의 책을 읽었고 현장 강연도 들은 적이 있어서 몰입의 위력은 잘 알고 있었으나 어느새 잊고 살고 있었습니다. 이 것이 우연이 아니라는 생각과 함께 큰 변화의 계기가 될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user-chanwon 43
2023년 6월 13일 11:292:00 도전없는 삶은 무료 3:03 고통과 게임 3:55 후회는 뭘의미하느냐?를 알아야함 어떻게 사느냐 7:44 결과집착- 도전이안됨-과정에몰입- 결과는 상관없다 8:52 몰입도를 올림 눈에 보이지 않지만 - 법칙
@hsjw495 37
2023년 6월 03일 23:09우리나라가 산업 각분야, 그리고 우주항공까지 기술강국이 된 배경에는
황농문박사님의 숨은 공로 덕이라 생각합니다.
@곰인형-d7b 36
2023년 6월 08일 10:54그동안 너무 집중이 안되고 인생이 지루하다고 생각이 들었다가 우연히 이 영상을 접하게 되었어요 영상을 끝까지 보면서 저에게 명확한 해결책을 주었어요 첫째, 도전 둘째, 문제 해결을 위한 몰입 정말 “몰입” 이라는 단어가 증요하고 저에게 와닿는 단어에요 앞으로 잘 실천해볼께요 감사합니다😊
@sq8558 36
2023년 6월 08일 09:25ㅠㅠㅠㅠㅠ어제까지 24시간 안 자고 논문 쓰느라 짐 금 영상을 보면서 눈물이 나올 것 같아요.
진짜 저의 겪고 있던 모든 순간을 자세히 논리 있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함이다. 발버둥 치는 것도 몰입 중에 일부라고 하셔서 내 자신을 원망하던 그런 시간이 떠올라서 자신한테 비난하던 생각들이 너무나 미안해지더라구요.ㅠㅠㅠ 시간이 흘러가는데 생각은 아무 진전이 없을 때 박사 포기하고 싶은 마음도 생깁니다. 교수님 너무 감사합니다.
@홍성민-o8x 22
2023년 6월 03일 17:31저도 일주일동안 수학문제를 자나깨나 생각하다가 아침에 일어나 슈퍼맨의 뇌를 경험했습니다 너무 기분이좋았으나 넘치는 생각들때문에 잠을 못자서 무서운 생각이들어 이러다 미치는게 생각했는데 운동을 하면 이런 부작용이 사라진다하셔서 다시 도전해 보려고 합니다 이런상태로 몇년을 계셨다니 저도 경험해보고 싶습니다 죽어도 여한이 없을것 같아요 대단하세요 정말 주위 사람들은 이해를 못하는게 당연합니다
@user-rf7ek5qt2g 19
2023년 6월 08일 16:20수동적으로 도전 해야 하는 것은 고통이지만, 능동적으로 도전하는 것은 게임(놀이)이라는 말씀이 많이 공감됩니다.
@아다다-k7s 18
2023년 6월 03일 20:02교수님 덕분에 몰입을 체험하고 만학을 즐깁니다.사는게 재미있네요.
몰입을 즐기려면 일단 즐길. 거리를 찾는거겠죠...
감사합니다...
@stayawayfromUTB 14
2023년 6월 11일 21:13교수님말씀에 100%공감요. 몰입했을때의 즐거움은 많은분이 경험해본적 있을거라 봅니다. 비록 지속하긴 힘들어도😅
또 한번 동기부여 받습니다
@meowmeow_choi 10
2023년 6월 03일 18:44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올라오자마자 본 줄도 모르고 두번을 돌려 봤네요.
@사계-b2p 10
2023년 6월 25일 06:45교수님
저는 자주 생각하는데요, 생각할수록 여러각도로 답이나오고 이해에 폭이 깊어집니다..저는 교수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agoodomen4822 10
2023년 6월 04일 16:59결과에 집작하니 시작도 못하거나 안한적이 많습니다 후회하지만 앞으로는 하지 않겠습니다
감사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kitai89 9
2023년 6월 04일 02:19저도 능력을 가지고싶습니다
@산식김-z5x 9
2023년 6월 24일 09:22교수님!
25년정도는 지난것 같군요.
교수님의 몰입 책을 읽은 적이 있는데, 지금 생각하니, 바르게 이해하지 못해 실행하지 않았던게 많이 후회 되서, 이제는 실천ㆍ도전 해 보렵니다!
어쩌면, 인생에 가장 중요한 도구인 것 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soundamit 9
2023년 6월 04일 11:47엊그제 친구기다리는겸 교보문고에서 몰입이란 책을 삼십분간 읽었고 내용이 좋아서 학교 도서관에서 빌렸는데 이 영상이 뜨네요..신기하네
@esthergrace7889 9
2023년 7월 11일 12:32동감하고요. 삶에 대한 많은 응원과 용기와 도전을 일깨워 주시네요. 교수님 경험으로 부터 얻어진 이야기를 해주시니 신뢰도 있고요. 선한 영향력 좋아요. 자신의 능력을 가두지 않는 무한한 능력의 발산을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끊이지 않고 자신을 생각의 감옥에 가두지 않는 열린 생각의 프레임을 공유할 수 있어 좋습니다.
@strtn-q1t 7
2023년 6월 05일 11:27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grey_nyc 6
2023년 6월 21일 15:44그 기분 알죠. 우주에 어려운 문제와 내가 대면하고 있고 그밖엔 아무것도 없는 듯한 느낌. 처음 느낌 건 수능 준비때 실제 수능보다 어려운 고난이도로 나온 문제집 지구과학 계산 문제 4시간 걸려 풀면서 한번. 또한번은 MBA finance 공부 시절 그룹과제가 있었는데 며칠동안 생각하다 유레카 모먼트가 있어 제가 문제 풀어 제 그룹 메이트 들이 놀랐었죠. 제가 영어도 네이티브 아니고 이과 출신도 아니라 IT 전공하고 똑똑했던 인도 친구가 어떻게 펀드 매니져 학우들도 아무도 못푼 이문제 풀었냐며 꼬치꼬치 깨묻던 생각 나네요. 별로 우등생은 아니었습니다. 요즘은 지적이 자극이 적어 좀 권태가 있는 듯.
자연스레 몰입 하는 사람들은 지적 자극이 떨어지면 권태가 심하게 오는 것 같습니다.
@solomondeveloper 6
2023년 7월 09일 00:31교수님의 명강의에 감사드립니다. ~ 😊
이 강의를 접한지는 며칠 안됐지만, 요즘의 저의 모습을 너무나도 정확히 말씀하시네요. 😄
하나님은 역시 누구에게나 차별없이 성공할수 있는 두뇌라는 훌륭한 자산을 주셨음을 감사드릴 따름입니다. ~ 😇
@박현주-r2k 6
2023년 6월 04일 19:40좋은강의 덕분에 감사드립니다.
@마은경-u5c 5
2023년 6월 04일 13:31정말 몰입해보고싶어요.
@왕호랭이 5
2023년 6월 23일 23:2710:23 도파민과잉 분비로 인한 간땡이 부음은 너무 웃깁니다 ㅋㅋㅋ 😂
@LOVEHANGAE 3
2023년 6월 07일 09:19감사합니다. 몰입에 대해서 더 깊이 생각해 보겠습니다.
@star2524 3
2023년 8월 31일 12:05영상 집중해서 잘 봤습니다
몰입은 곧 끈기이기도 하겠네요
끈기없는 저는 많이 반성합니다😅
@자미성 3
2023년 8월 21일 11:30교수님의 말씀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joshuan75 3
2023년 9월 16일 21:41이제까지 제가 들은 모든 말 중에서 최고로 저의 가능성에 자신감을 실어주는 강의였습니다.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star2524 3
2023년 8월 31일 12:06이 책을 오래전에 구매한 후에 두번이나 읽어도 어려워서
조카에게 주었는데요 ㅎㅎ
영상 매우 유익했습니다
Jack마이클 3
2023년 6월 03일 16:48몰입이 되면 설겆이 하면서도 그 문제에 대한 생각으로 설겆이 시간이 싫지 않음. 오히려 설겆이 시간이 기다려짐. 몰입을 할 수 있는 시간이라서.
@Finan_cier 3
2023년 6월 04일 08:3550시간 몰입 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디❤
@isabellelee7750 2
2023년 6월 10일 10:45감사합니다 교수님 희망이 생겼어요!!
민민 2
2023년 6월 03일 16:081빠
@PearlFactTV 2
2023년 6월 19일 04:34교수님 감사합니다
@장미의제자 2
2023년 10월 10일 07:19내 나이 60이 넘었지만 뭔가 또 다른 도전을 하게 만들어줬습니다.
이 아침이 달라보입니다.
박사님의 쉽고도 어려운것이지만 앍게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seldaddy 1
2023년 10월 23일 11:27존경하는 황농문 선생님.
@강우주-j5l 1
2023년 10월 18일 14:36좋아하는 스타일입니다.
공감합니다.
몰입 최고입니다.
늘 도전합니다.
@wingsdawn9130 1
2023년 11월 05일 20:44이런 영상을 보면 머리 좋다는 게 뭔지 다시 생각해보게 됩니다. 배운 정답을 남들보다 빠르게 맞추는 게 머리가 좋은건가? 뇌의 몰입에 대해 조금은 뭔지 체험해본 거 같습니다 ~ 평소에 저더러 아이큐가 높아보인다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남들이 못하는 걸 제가 해내는 경우가 몇 번 있거든요. 스스로도 믿어지지 않고요. 그냥 저의 기질이 몰입하는 뇌를 비교적 사용할 줄 아는 기질 같습니다. 뇌를 몰입시키는 것의 최대 장점은 인생에 행복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우울하고 분노많은 한국사람들이 모두 자기 뇌를 좋은 쪽으로 깊이 몰입하는 실천을 한다면 아마 모두 스마일 웃고 너그럽고 속 없는 사람들처럼 살아갈듯요.. 모두가 몰입의 뇌를 많이 쓰고 기분좋게 하루하루 살기를 ~~
@根本仙伊 1
2023년 12월 30일 10:19교수님잘듣고갑니다
@differentthink1504 1
2025년 7월 14일 10:15너무 당연한 얘기를 있어보이게 얘기하는 것도 능력. 타고난 마케터임.
@gkrmdtla5124 1
2023년 8월 01일 11:17구하면 얻을것이요 찾으면 찾을것이요 두드리면 열릴것이다 하신뜻이군요
@bruce7717 1
2023년 7월 04일 10:03잘보았습니다 선생님!❤
@Guiwdc 1
2023년 7월 22일 07:30취업을 했는데 창의력이 필요한 파트에 있고 풀리지 않는 문제가 있는데 몰입으로 해결해봐야겠어요..!!
@sea-d1o 1
2023년 7월 08일 10:36정말 맞는 말씀…..
@꽃쁘니를찾아서 1
2023년 7월 05일 06:23교수님 말씀 핵심적이고 차분하게 말씀하셔서 귀에 쏙쏙 와닿아 좋습니다~!!!^^
화면에 오타가 보여서
편집 하시는 분에게
조심히 말씀 드려봅니다.
아인슈타인이 한 말을 번역한 한글에 오타가 보이는데
'비로서'가 아니라 '비로소'입니다.
@김정희-r2d
2023년 7월 26일 11:55교수님 너무 감사합니다 실천해 보겠습니다 늘 건강하세요
@신박-x8n
2023년 7월 26일 17:04노과학의 진실 지금 몰입의 법칙중입니다 일공부모든게 즐겁네요 어제 술을 마셨고 아침 일어나자 밥안먹고몰입중 진짜 하는방법을 터득하고는 계속 몰입중입니다 밀린일들을 다하고있습니다 몰입시 제 증상은 움직임이 없다 와 박사님 어릴때부터 자주그랬는데 이게 빈혈인줄알았다 .
@뽀드리-l4s
2023년 10월 24일 18:29너무 공감됩니다 항상 그 생각만 하면 어느 순간 걷다가도 아주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던 기억이 나네요! 삶에 치여 생각을 안하게 된지 정말 오래 됐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조렌버핏-j5c
2023년 7월 23일 21:17👍👍👍와~~~명강의 이십니다
깨달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