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천재들의 충격적인 공부법 (황농문 몰입 아카데미 대표 4부) 황농문 대표 영상 보러가기 1 ......
전체 보러가기 유튜브 공감 댓글 보기
이런 분이 교육부장관을 해야합니다.
넘 반가운 강의에요! 영재교육 수학강사로서도 공감하고 몰입책읽고 실천한 1인으로서도 리마인드 넘 좋아요! 감사합니다.
우리의 교육이 바뀌지 않는 이유는 바로 말 잘 듣고 따라할 수 있는 노예가 필요해서가 아닐까요? 스스로 생각하고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들만 있다면 그 아이디어를 현실로 바꾸어줄 노예들이 많이 필요한데 정부에서는 노예 생산이 더 우선인 것 같습니다.
어려운 문제를 오랜 시간을 들여 생각하며 푸는 게 헝가리안 현상의 원인이다. 대략적으로 이렇게 이해했네요! 감사합니다.
답은 몰입이네요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에 오랜시간 몰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느껴지네요
수능시험 섣부르게 비판하면 안됩니다. 대학별 본고사 부활하면 더 심한 입시지옥 발생합니다. 수능시험 쉬워진다고 좋아하는 사람들은 조삼모사 생각해보세요
와 정말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교수님 다음 강의도 기대할게요!!
지금 나이가 들어 자걱증을 따고 기술사급공부를 몇년째 하고있다대학때 보다 공부를 훨씬 많이하고 불가능해 보이던 것들에 자신감이 생겼다 옛날에 책은 사봤지만이러한 구체적 코칭을 받지 않아 허송한 젊은날이 아쉽기는 하지만지금 부터라도 늦지않다는 생각이 든다성과를 보이고 후손들을 격려할 것이다
조선일보라 쫌... 아쉽군요
우리나라에 이런교육 시켜주는 학교 없을까요ㅜㅜㅜㅜ
감탄합니다. 젊은이들의 귀감입니다.
와 무엇보다 이 영상을 당장 윤석렬대통령이 봐야겠네요 ㅜㅜ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중1까지 시험 없고...점점 쉽게 냄...시험 문항수를 줄이고 난이도를 올리는 시험으로 바뀌어야함..
오랜시간 생각해서 해결하라
황농문 박사님께서 몰입이론을 강조하신게 어느덧 20년이 넘어가는데 아직도 우리나라 교육은 제자리걸음..
이런 훌륭한 강의를 볼수있다니요.. 감사합니다. 저 말씀 다 맞아요. 딸아이가 초3인데 고도영재 판정을 받았어요. 교수님 방식으로 키워왔던거 같습니다. 앞으로가 더 중요한거 같아 많이 찾아보고 있는데 교수님 강의가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우리 교수님!교수님 덕분에 우리 아이가 정말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공감합니다!!!
본고사만큼은 아니지만 지금의 수능 수학도 후반부 2문제 정도는 주어진 시간의 1/3정도 써야할 때가 있습니다. 난이도별로 골고루 섞여있긴 하지요. 총 시간을 문제수로 나누면 한 문제 당 3분 정도 나오지만요
갑자기 그 인간이 왜 어려운 문제 내지 말라고 난리를 피웠는지 이제 이해가 간다.
우리나라에도 그런 시도가 있지 않았을까요, 영재수학이나 경시대회같은거요..그런데 우리나라에만 들어오면 지독한 훈련을 통한 사교육으로 변질되는것 같아요. 교육은 높은 지적 도전을 하게하는 환경을 섬세하게 구성하는게 중요한데 오로지 입상 결과만이 중요해지니까요.
오랜시간 어려운 난제를 잘 푸는 게 진짜 수재임. 몇초만에 글자 거꾸로..아님 수리 장난질 잘 하는건 아이큐 만 높아도 가능한데..아이큐는 수재랑 상관 없는거 같음
ㄷㄷ도대체 무슨일 이지
그런 관을 가진 사람은 많은 것 같아요. 그런데 그런 사람들이 결정을 할 위치에 가 있는 것이 아닐 뿐이라고 생각해요.인간은 질투하고 경쟁하죠. 그리고 지금까지 사회는 그런 쪽에 균형이 기운거죠
난도가 올라갈수록 생각하는 속도를 늦추는 게 더 조은 거 같아요.제일 어려운 게 욕심 비우기 입니다. 완벽하게 이해하겠어 , 1등 하겠어 등등.
헝가리에 인재가 많았죠. 발명가도 많았구요.
동감
Kömal 은 아직도 헝가리에 있습니다. 헝가리어로 고등학생용 수학 및 물리 잡지라는 뜻이구요. 아직 헝가리에서 한달에 3 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구매 가능합니다.
우리나라도 빠른 시일내에 공교육이 헝가리식 교육으로 바뀌었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ㆍ
20:13
지금 수능쉽게해서 수능생등 혼란이장난아닌데국가경쟁력을 떨어치게만들려고 합의봤나봅니다
와드..
그럼 소위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킬러 문항은 유지하는게 맞는 방향인걸까요? 근데 킬러 문항은 교수님이 말씀하신 취지와는 좀 결이 다른걸로 보이긴하네요.
꾸준히 성장하고 싶으신가요? 평소 좋아하는 크리에이터분들이 있으신가요? 지금 바로 회원가입을 하시고, 크리에이터들을 구독해주세요! 동기부여가 될 다양한 글들과 상품을 추천해드려요!
@황금토끼-g7m 53
2023년 6월 26일 17:00이런 분이 교육부장관을 해야합니다.
@cpcnlt 28
2023년 6월 08일 16:35넘 반가운 강의에요! 영재교육 수학강사로서도 공감하고 몰입책읽고 실천한 1인으로서도 리마인드 넘 좋아요! 감사합니다.
@구독자-b8z 26
2023년 6월 18일 18:40우리의 교육이 바뀌지 않는 이유는 바로 말 잘 듣고 따라할 수 있는 노예가 필요해서가 아닐까요? 스스로 생각하고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들만 있다면 그 아이디어를 현실로 바꾸어줄 노예들이 많이 필요한데 정부에서는 노예 생산이 더 우선인 것 같습니다.
@legis605 21
2023년 6월 10일 22:52어려운 문제를 오랜 시간을 들여 생각하며 푸는 게 헝가리안 현상의 원인이다. 대략적으로 이렇게 이해했네요! 감사합니다.
@박찬선-f3u 14
2023년 6월 15일 09:14답은 몰입이네요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에 오랜시간 몰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느껴지네요
@지영김-i5o 9
2023년 6월 22일 12:11수능시험 섣부르게 비판하면 안됩니다. 대학별 본고사 부활하면 더 심한 입시지옥 발생합니다. 수능시험 쉬워진다고 좋아하는 사람들은 조삼모사 생각해보세요
@바른생활루틴이 9
2023년 6월 13일 19:06와 정말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교수님 다음 강의도 기대할게요!!
@gyuhonglee8983 6
2023년 6월 25일 18:56지금 나이가 들어 자걱증을 따고 기술사급공부를 몇년째 하고있다
대학때 보다 공부를 훨씬 많이하고 불가능해 보이던 것들에 자신감이 생겼다 옛날에 책은 사봤지만
이러한 구체적 코칭을 받지 않아 허송한 젊은날이 아쉽기는 하지만
지금 부터라도 늦지않다는 생각이 든다
성과를 보이고 후손들을 격려할 것이다
@jhl9444 6
2023년 6월 21일 14:50조선일보라 쫌... 아쉽군요
@euonnamin8246 6
2023년 6월 09일 07:32우리나라에 이런교육 시켜주는 학교 없을까요ㅜㅜㅜㅜ
@hyekyounglee1630 5
2023년 6월 27일 15:06감탄합니다. 젊은이들의 귀감입니다.
@최길희-o5t 4
2023년 6월 27일 11:47와 무엇보다 이 영상을 당장 윤석렬대통령이 봐야겠네요 ㅜㅜ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tv-zk5lv 4
2023년 7월 03일 09:17중1까지 시험 없고...점점 쉽게 냄...시험 문항수를 줄이고 난이도를 올리는 시험으로 바뀌어야함..
@GH-pd9ve 3
2023년 6월 24일 21:55오랜시간 생각해서 해결하라
@davidyoo8151 3
2024년 1월 26일 15:05황농문 박사님께서 몰입이론을 강조하신게 어느덧 20년이 넘어가는데 아직도 우리나라 교육은 제자리걸음..
@meditation0912 3
2023년 9월 26일 18:49이런 훌륭한 강의를 볼수있다니요.. 감사합니다. 저 말씀 다 맞아요. 딸아이가 초3인데 고도영재 판정을 받았어요. 교수님 방식으로 키워왔던거 같습니다. 앞으로가 더 중요한거 같아 많이 찾아보고 있는데 교수님 강의가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vivian10003 3
2023년 8월 20일 08:18우리 교수님!교수님 덕분에 우리 아이가 정말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jieunkang9020 3
2023년 6월 30일 13:00공감합니다!!!
@소하동과학-물리쌤 3
2023년 6월 09일 09:03본고사만큼은 아니지만 지금의 수능 수학도 후반부 2문제 정도는 주어진 시간의 1/3정도 써야할 때가 있습니다. 난이도별로 골고루 섞여있긴 하지요. 총 시간을 문제수로 나누면 한 문제 당 3분 정도 나오지만요
@saepho3815 3
2023년 7월 17일 00:05갑자기 그 인간이 왜 어려운 문제 내지 말라고 난리를 피웠는지 이제 이해가 간다.
@sykim8358 2
2023년 7월 04일 11:49우리나라에도 그런 시도가 있지 않았을까요, 영재수학이나 경시대회같은거요..그런데 우리나라에만 들어오면 지독한 훈련을 통한 사교육으로 변질되는것 같아요. 교육은 높은 지적 도전을 하게하는 환경을 섬세하게 구성하는게 중요한데 오로지 입상 결과만이 중요해지니까요.
@테리-f4z 2
2023년 7월 13일 12:11오랜시간 어려운 난제를 잘 푸는 게 진짜 수재임. 몇초만에 글자 거꾸로..아님 수리 장난질 잘 하는건 아이큐 만 높아도 가능한데..아이큐는 수재랑 상관 없는거 같음
@정승환-t3b 2
2023년 6월 08일 16:01ㄷㄷ도대체 무슨일 이지
@JIAEOUNPARK-lo8ld 2
2023년 7월 13일 08:59그런 관을 가진 사람은 많은 것 같아요. 그런데 그런 사람들이 결정을 할 위치에 가 있는 것이 아닐 뿐이라고 생각해요.
인간은 질투하고 경쟁하죠. 그리고 지금까지 사회는 그런 쪽에 균형이 기운거죠
@hyekyounglee1630 2
2024년 5월 07일 07:19난도가 올라갈수록 생각하는 속도를 늦추는 게 더 조은 거 같아요.
제일 어려운 게 욕심 비우기 입니다. 완벽하게 이해하겠어 , 1등 하겠어 등등.
@kim.serenaemery7569 1
2023년 6월 24일 17:49헝가리에 인재가 많았죠. 발명가도 많았구요.
@user-chanwon 1
2023년 6월 17일 13:41동감
@europeguide 1
2023년 7월 31일 05:50Kömal 은 아직도 헝가리에 있습니다. 헝가리어로 고등학생용 수학 및 물리 잡지라는 뜻이구요. 아직 헝가리에서 한달에 3 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구매 가능합니다.
@림안나 1
2023년 7월 12일 09:00우리나라도 빠른 시일내에 공교육이 헝가리식 교육으로 바뀌었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ㆍ
@user-chanwon 1
2023년 6월 17일 14:0020:13
@성공한자
2023년 7월 16일 08:19지금 수능쉽게해서 수능생등 혼란이장난아닌데
국가경쟁력을 떨어치게만들려고 합의봤나봅니다
@부라르크다커
2023년 7월 19일 21:34와드..
@kwj21st
2023년 6월 30일 19:04그럼 소위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킬러 문항은 유지하는게 맞는 방향인걸까요? 근데 킬러 문항은 교수님이 말씀하신 취지와는 좀 결이 다른걸로 보이긴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