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를 인하해서 부동산 시장이 급락했다고 보기보단, 과거 높았던 금리의 시차(기준금리가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기까지의 시간)로 인해 부동산 시장은 이미 하락세 였고
기준금리인하 후 금리동결 시점에 뒤늦은 금리인하 효과가 실물경제에 다다른것 아닐까요? 그래서 부동산 시장 바닥을 다지는 모습으로 보여지고요.
하지만 더 큰 영향을 미친건 금리등락 속도라고 봅니다. 영상 속 기준금리 등락 그래프에서 기준금리가 짧은시간에 많이 내려간걸 보실수 있는데,
그럼 왜 급격한 기준금리 인하가 발생 했냐에 초점을 맞추면 2007~2008년 당시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즉 세계금융위기로 인해 미국4대 은행중 하나인 리먼 브라더스 파산, 뱅크런, 증시폭락, 급등한 실업률, 자산가치 하락 등 엄청난 혼란 속에 있었고
미국은 망가진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급격한 금융완화가 필요했던거죠. 세계금융위기의 도화선이 과열된 부동산시장 이였으므로 부동산 폭락은 말할것도 없고요.
미국 부동산시장의 거품 > 부동산시장 하락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 세계금융위기 > 경기 부양을 위한 급격한 기준금리 인하 > 부동산을 비롯한 대부분의 자산가치 폭락 > 기준금리인하가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시차(약 6~12개월)후 자산가치 반등.
2008년 부동산시장 폭락의 시발점을 단편적인 기준금리 인하가 아닌 이례적인 세계금융위기로 인한 경제적 혼란으로 봐야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쇼츠로 접했기 때문에 저분의 주장이 와전 됐을수도 있으나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완만하게 인하 할지 급격하게 인하 할지,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어떻게 작용 할지 예측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저 당시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쳤던 무수히 많은 원인들을 배제한 채, 기준금리 피벗 시점에만 초점을 맞추는건 오해의 소지가 있을거 같습니다.
글쎄요. 그때처럼 급격한 금리인하가 재현된다면 부동산 시장 하락을 야기 할 수 있는 여러 전제조건 중 하나가 성립 되는거 아닐까요?
저거 지금에 비교하지마세요. 지금 상황이랑은 다릅니다. 간단히 저때는 경기가 존나 안좋아서 금리인하를 시작한거라 그 여파가 뒤늦게 온건데...지금은 금리 인상했지만 미국경기 존나 좋습니다. 계속 이렇게 경기 좋거나 아님 연착륙해서 경기가 그다지 나쁘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인하 시작하면 오히려 반대로 주식, 부동산 날아갈수도 있어요.
남들 안살때 사고 남들막살때 팔고 그게 답이여~ 결국 시장원리는 공급과수요가 기본이고 대출이 끼면 이자가 쌀때 사는게 맞고 비싸면 돈을 모을때다. 그런데 사람들은 여기서 이상한 논리와 맹점을 들고와서 대입하는데 확률적으로 그게 통할확률이 몇프로가 될까싶다. 또 너무빨리 부자가되고 싶고 노력에 비해 더 벌고싶은 심리가 모여서 벼락부자들이 늘어났는데 그사람들은 그만큼 하이리스크를 부담하고 성공했지만 이조차도 소수라는걸 알아야한다. 결국 하이리스크는 하이리턴이라는것도 알고 있어야 하고 천천히가면 부자는 될수없어도 망하지는 않는다건 불변의 법칙이라는걸 새기고 살자.
지금은 전쟁주와 인구절벽, 냉전 시대인 지금 과거의 지표를 따라가는 건 바보같은 발상이죠 지금 누가 경제를 주도하고 있는지 그 부분을 먼저 꼬집고 들어가야합니다 3040대입니다 또한, 한번 올라간 금리는 쉽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중국과 미국이 싸우는 이상 금리 부분은 더욱 민감하게 다뤄질겁니다 일차원적인 생각은 금물입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걸 답이라 생각하지 마시길
이게 참고하는거지,무조건 이렇게 가라는게 아니죠 금리 인하를 어떤식으로 하게되는지 설명하는가에요 지금 금리가 올라가고 한동안 유지를 할텐데 과연 실물경제가 버틸수있는지가 문제임 최종 인플레이션목표치 2프로가 목표인데 금리를 올려놓은채 경제가 버텨야되는데 버틸만한 경제힘이 있냐가 포커싱이 되야됨 여기서 잘버텨서 금리가 내려오면 연착륙이 되는거고 경제가 무너져버리면 금리가 어쩔수 없이 내리게 될텐데 여기서 말하는거는 후자케이스 말하는거 같네요.
이 사람만 하는 말이 아니고 저도 따로 공부하는 사람인데 과거 사례들을 보면 금리인하가 시작되고 1년간 주식시장은 하락했다고 알고있습니다. 인하할거란 기대감에 오르는 시장이 높아진 지점에서 경제가 버티다버티다 터지고 결국 유동성이 필요해서 인하가 시작되는 시나리오... 한국은 레고랜드 사태로 PF문제까지 있어서 더 심각할 수 있음
이런 그래프가지고 얘기하면 힘듭니다 토지가격+ 건설시공비는 상승만 하고 혹은 유지 하고있는데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논리로 얘기하는 분들고 있고 정설이 있지만 , 아파트 가격이나 빌라등 급격하게 오른 주택가격이 20%정도 조정을 받았다고 보면 된다고 보면 됩니다. 어느정도 여러분들 계속 구축 아파트에서 사실겁니까? 아파트는 계속 새로 짓고 개발하고 신도시 발표하는데 저희 나라는 건설로 부흥하고 건설에서 파생되는 일자리가 많은거 이제 어느정도 일반인도 다 알지 않습니까? 그럴려면 기본 단가가 토지 + 건축비 만 해도 기본 이상해줘야하는데 예전 가격으로 1/2 가격으로 돌아야가야한다 이러는 분들많은데 .. 힘들꺼같습니다 이게 현실입니다. 인건비 + 원자재 값이 워낙 천정부지로 올라 있는 상태라 견디기 힘든상태이구요 아파트값이 1/2 반토막나시면 여러분들은 평생 구축 아파트에서 계속 사셔야 합니다 이제 부터 .. 단순한 논리입니다. 길게 보십쇼~~
@n2tstar347 678
2023년 6월 09일 04:26기준금리를 인하해서 부동산 시장이 급락했다고 보기보단, 과거 높았던 금리의 시차(기준금리가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기까지의 시간)로 인해
부동산 시장은 이미 하락세 였고
기준금리인하 후 금리동결 시점에 뒤늦은
금리인하 효과가 실물경제에 다다른것 아닐까요?
그래서 부동산 시장 바닥을 다지는 모습으로 보여지고요.
하지만 더 큰 영향을 미친건 금리등락 속도라고 봅니다.
영상 속 기준금리 등락 그래프에서
기준금리가 짧은시간에 많이 내려간걸 보실수 있는데,
그럼 왜 급격한 기준금리 인하가 발생 했냐에 초점을 맞추면
2007~2008년 당시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즉 세계금융위기로 인해
미국4대 은행중 하나인 리먼 브라더스 파산, 뱅크런, 증시폭락, 급등한 실업률, 자산가치 하락 등 엄청난 혼란 속에 있었고
미국은 망가진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급격한 금융완화가 필요했던거죠.
세계금융위기의 도화선이 과열된 부동산시장 이였으므로 부동산 폭락은 말할것도 없고요.
미국 부동산시장의 거품 > 부동산시장 하락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 세계금융위기 > 경기 부양을 위한 급격한 기준금리 인하 > 부동산을 비롯한 대부분의 자산가치 폭락 > 기준금리인하가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시차(약 6~12개월)후 자산가치 반등.
2008년 부동산시장 폭락의 시발점을
단편적인 기준금리 인하가 아닌 이례적인 세계금융위기로 인한 경제적 혼란으로 봐야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쇼츠로 접했기 때문에
저분의 주장이 와전 됐을수도 있으나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완만하게 인하 할지 급격하게 인하 할지,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어떻게 작용 할지 예측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저 당시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쳤던
무수히 많은 원인들을 배제한 채,
기준금리 피벗 시점에만 초점을 맞추는건
오해의 소지가 있을거 같습니다.
글쎄요. 그때처럼 급격한 금리인하가 재현된다면
부동산 시장 하락을 야기 할 수 있는
여러 전제조건 중 하나가 성립 되는거 아닐까요?
@유자청-t5r 456
2023년 7월 31일 23:38진짜 위험한 시기는 이걸 듣고 믿기 시작하는 순간이다
@미국전자 144
2023년 6월 09일 05:28과거 차트보고 나도 설명할수있다
@Tube-re7bt 137
2023년 6월 15일 00:50금융위기로 금리인하를 한 시점을 예시로 드는건 맞지 않아보입니다
@tionhm2719 117
2023년 6월 08일 22:00바닥이 왔을때 바닥인줄 알고 고점이 왔을때 고점인줄 알면 주식에 손해를 왜 보나요 ㅜ
@woddyjessie 107
2023년 6월 22일 10:312006년 미국 부동산 시장은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사태 때문에 박살났는데 금리를 기준지표로 잡고 설명하기엔 어려움이 있지 않나요?
@bulgidung 69
2023년 6월 11일 09:03금융위기잖아요. 그래서 경제 살릴라고 내려간거죠.. 에이 징말...ㅡ.,ㅡ
@joomin114 62
2023년 6월 08일 18:47공감이 가는 설명. 감사합니다.
@enk9330 52
2023년 7월 10일 20:47리먼사태를 지표로 가져온건 나등신이요 하는거 아닌가?
@거G-dragon 49
2023년 6월 13일 08:33이딴사람 조심하세요 지난 거시경제 차트 참고하는거 중요합니다. 근데 맹신하고 확신하는 돌팔이들 조심하셔야 합니다. 저딴 차트보고 100퍼 똑같이 움직인다면 돈 못버는 사람있을까요
@fortitude2214 47
2023년 7월 14일 19:08우와 진짜 하수네ㅋㅋㅋ
@양순송-m5u 47
2023년 6월 08일 19:07맞아요. 공감 100%
@김장태도 44
2023년 7월 06일 15:04지금은 큰손들 패턴 바뀌어서 아무도 몰라요.과거자료로 그냥 생각하면 한강갑니다.
@Milki1sss 38
2023년 7월 04일 02:27전문가들 말 절대믿지마라 지들도모름
@차문학당가원 38
2023년 6월 13일 01:50지금은 조금 다르게봐야되는게
물가상승상태가 쭈욱계속된다는 것
자재값ㆍ인건비가 과연 내려갈까
@나른한오후-d5k 30
2023년 7월 01일 03:22저거 지금에 비교하지마세요. 지금 상황이랑은 다릅니다. 간단히 저때는 경기가 존나 안좋아서 금리인하를 시작한거라 그 여파가 뒤늦게 온건데...지금은 금리 인상했지만 미국경기 존나 좋습니다. 계속 이렇게 경기 좋거나 아님 연착륙해서 경기가 그다지 나쁘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인하 시작하면 오히려 반대로 주식, 부동산 날아갈수도 있어요.
@wjdtlsckfifk 28
2023년 7월 12일 08:09부동산 가격이 폭락해서, 기준금리를 내린 겁니다~ 앞뒤가 달라요~
그리고 하락세에서는 찐부자가 아니면 부동산 매수 쉽지 않습니다.(대출 끌어서 떨어지는 칼날을 잡을 수 있을까?)
@이-w2m 27
2023년 6월 13일 20:05말도 안되는 소리 같은데 그럼 금리 올렸을때 집값 폭등했어야지
@woohan2658 23
2023년 6월 15일 01:21한국은 반대입니다.
금리인하 되면 내집마련 영끌이 시작될듯
@당근밭에고구마있다 19
2023년 6월 08일 22:43금리인하 인상이 왜 하는건지 부터 알어야지 단순히 인하하면 박살이다 라고 알면 안됩니다 대표님 설명 잘 들으세요 그만큼 경기가 안좋아서 인하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seolchanfather 17
2023년 6월 14일 09:18저때랑 지금이랑 다르다
@lucky_tv 15
2023년 6월 08일 18:45📌 김기원 대표 풀버전, 영상 링크 클릭
@fxukdamdoit 14
2023년 7월 05일 02:07남들 안살때 사고 남들막살때 팔고 그게 답이여~ 결국 시장원리는 공급과수요가 기본이고 대출이 끼면 이자가 쌀때 사는게 맞고 비싸면 돈을 모을때다. 그런데 사람들은 여기서 이상한 논리와 맹점을 들고와서 대입하는데 확률적으로 그게 통할확률이 몇프로가 될까싶다. 또 너무빨리 부자가되고 싶고 노력에 비해 더 벌고싶은 심리가 모여서 벼락부자들이 늘어났는데 그사람들은 그만큼 하이리스크를 부담하고 성공했지만 이조차도 소수라는걸 알아야한다. 결국 하이리스크는 하이리턴이라는것도 알고 있어야 하고 천천히가면 부자는 될수없어도 망하지는 않는다건 불변의 법칙이라는걸 새기고 살자.
@johnb8319 11
2023년 6월 27일 01:16금리가 떨어져서 집값이 떨어진게 아니고 안내리곤 못버틸정도로 이미 경제가 아작난 상황이다 메모
@lonelypanetlovely7537 10
2023년 7월 31일 03:02지나간 차트로 미래를 예측한다는 사람들이 가장 위험하지..
@abca9019 10
2023년 6월 11일 03:12금리차트만 보고 말하는건 누구나 다 하겠다
@DW75EJ85 9
2023년 7월 05일 13:29여론 몰이에 휘말리지 마세요
그래서 상위 5퍼만 돈을 법니다
이전 데이타대로라면 모두 부자되게요.
유튜버들은 반대로 말합니다
고점에 사고 저점에 매도하게됩니다.
오르면 더오른다 집사라 조장하고 고점 ㅎ
불장이후 고점일때는 왜 팔아라 안했을까
@crlee6401 6
2023년 6월 19일 14:172007년엔 금융위기땜에 부동산, 주식이 박살난 이후에 금리를 인하한거 아닌가
@novip5159 6
2023년 6월 12일 07:292008년에 힌번 그랬다고 미래에도 과연 그럴까…
@dylanyoo8110 5
2023년 6월 24일 00:26됐고 필요할때 주제에맞는 지역 가격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달타냥이2 5
2023년 6월 28일 22:16결국 마지막 말은 정해져 있다
참고만 하시고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마초마초-t9g 3
2023년 9월 05일 23:35진짜 편협하다.
수많은 상황은 배제하고 금융위기 시절에 그래프만보고 설명하다니...
그때는 금융위기 시절이고 지금 부동산 폭락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급격한 금리인상이 원인인데...
무슨 그때 그래프를 보고 상황을 대입시키다니..
지금은 금리인하시작하면 바로 반등옵니다
늦어도 내년하반기면 금리 인하 시작할겁니다
@kihyun8602 3
2023년 7월 12일 23:08그래프보고 저리 해석하면 나도 하겠다.
@영준박-c9d 3
2023년 6월 19일 03:13이런사람들 땜에 피해자가 생김
그때랑 지금이랑 비교 ㅋ
1.금리
2.역전세
3.공급
등등 여러가지의 문제임
@seoun95 2
2023년 6월 27일 12:14문제는 금리인하 멈췄을때 돈 있는 사람들이 없다는거 시장경제 개박살 나는동안 서민들 다 같이 뒤져있음..
@크이-w1v 2
2023년 7월 01일 00:02물가인상이 계속 됨에도 금리를 멈추고 있음 정말 간당간당하게...삐끗하는순간 무너질지도 모를만큼...이상태에서 지방은행들 잘버티고 있고 빅테크들이 주가를 끌고가고 있음-중소업치들 주가는 빅테크대비 상승이 낮음...이와중에 실업률 올라가게되고 물가가 계속 올라가는데 각종 지표들이 빨간색되면 금리인하하는거임...그때 주식빨리 팔고 현금화해야함
@대한위너 2
2023년 7월 10일 19:27과거의 경제지표를 보고 미래를 예측할 순없음
@gujpa9987 2
2023년 7월 13일 00:27서브프라임 사태는 어디다가 팔아먹고 금리로만 주택지수를 보나요.. 이걸 전문가라고
@topflame5631 2
2023년 6월 18일 23:29과거지표는 참고사항. 현재상황은 신도
보름. 전문가는 과거의 결과를 보고 전달함. 틀릴수가 없다. ^^
@유가리-c3w 1
2024년 9월 05일 07:07딱 한기간만 보고 결론 내리는 비전문가
믿지마세요
@될놈-y2f 1
2023년 6월 29일 14:55지금은 전쟁주와 인구절벽, 냉전 시대인 지금 과거의 지표를 따라가는 건 바보같은 발상이죠
지금 누가 경제를 주도하고 있는지 그 부분을 먼저 꼬집고 들어가야합니다
3040대입니다
또한, 한번 올라간 금리는 쉽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중국과 미국이 싸우는 이상 금리 부분은 더욱 민감하게 다뤄질겁니다
일차원적인 생각은 금물입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걸 답이라 생각하지 마시길
@gamesquid2381 1
2023년 6월 16일 02:01이게 참고하는거지,무조건 이렇게 가라는게 아니죠
금리 인하를 어떤식으로 하게되는지 설명하는가에요
지금 금리가 올라가고 한동안 유지를 할텐데
과연 실물경제가 버틸수있는지가 문제임
최종 인플레이션목표치 2프로가 목표인데
금리를 올려놓은채 경제가 버텨야되는데
버틸만한 경제힘이 있냐가 포커싱이 되야됨
여기서 잘버텨서 금리가 내려오면 연착륙이 되는거고
경제가 무너져버리면 금리가 어쩔수 없이 내리게 될텐데 여기서 말하는거는 후자케이스 말하는거 같네요.
@방재형-v6x 1
2023년 8월 19일 22:41미국의 바람대로 인플레잡히고 연착륙되면 금리 인하가 호재일테고 반면 인플레도 안잡히고 경기침체로 금리인하해야되는 상황이면 악재일거에요 그냥 금리인하는 수단일뿐 왜 그래야하는가를 봐야됨
@hyoloui9364 1
2023년 6월 29일 00:52단편적인 지표만 가지고 경제흐름을 논하기 어려움.. 그것도 기준금리 지표 가지고는 택도 없음
금리를 바라보는 시선은 수도꼭지와 같음 물이 넘칠 때 잠그고 물이 부족할 때 틀어놓는 것 처럼 시장이 과열됐다면 식혀주거나 지펴주는 역할임
이 사람 말대로라면 코로나 때 금리가 0에 가까이 있다시피 했는데 왜 집값이 올랐을까
여기 기본적인 개념도 안잡힌 분들이 경제를 바라보는 시선을 남한테 맡기고선 아는 척 공감하는 분들이 많다. 이로써 자산가들이 시장을 주무르기가 굉장히 쉽다는 것을 증명함..
@토피흔 1
2023년 7월 14일 20:18과거차트를 보면 저 시기만 그렇고 다른 시기는 또 저렇지 않음
@다시돌려줄거야용서못 1
2023년 7월 08일 23:42이 사람만 하는 말이 아니고 저도 따로 공부하는 사람인데 과거 사례들을 보면 금리인하가 시작되고 1년간 주식시장은 하락했다고 알고있습니다. 인하할거란 기대감에 오르는 시장이 높아진 지점에서 경제가 버티다버티다 터지고 결국 유동성이 필요해서 인하가 시작되는 시나리오... 한국은 레고랜드 사태로 PF문제까지 있어서 더 심각할 수 있음
@김츄팝츄스 1
2023년 7월 05일 16:45이런 그래프가지고 얘기하면 힘듭니다
토지가격+ 건설시공비는 상승만 하고 혹은 유지 하고있는데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논리로 얘기하는 분들고 있고 정설이 있지만 , 아파트 가격이나 빌라등 급격하게 오른 주택가격이 20%정도 조정을 받았다고 보면 된다고 보면 됩니다. 어느정도
여러분들 계속 구축 아파트에서 사실겁니까? 아파트는 계속 새로 짓고 개발하고 신도시 발표하는데 저희 나라는 건설로 부흥하고 건설에서 파생되는 일자리가 많은거 이제 어느정도 일반인도 다 알지 않습니까? 그럴려면 기본 단가가 토지 + 건축비
만 해도 기본 이상해줘야하는데 예전 가격으로 1/2 가격으로 돌아야가야한다 이러는 분들많은데 .. 힘들꺼같습니다 이게 현실입니다. 인건비 + 원자재 값이 워낙 천정부지로 올라 있는 상태라 견디기 힘든상태이구요 아파트값이 1/2 반토막나시면 여러분들은 평생 구축 아파트에서 계속 사셔야 합니다 이제 부터 .. 단순한 논리입니다.
길게 보십쇼~~
@samanthatate1409 1
2023년 10월 05일 23:34금리인하를 해서 집값이 떨어진게 아니고 경제가 박살날꺼같으니까 금리를 인하하는거고 경제가 박살나니까 집값이거 뭐고 자산시장이 다 작살나는가임
@tpgsgolf
2023년 7월 20일 08:01금리인하 때 집값이 떨어지는 건 경기둔화 때문인데 이번에도 같을리나 모르겠네요.
김마린
2023년 6월 08일 19:34기준금리도 급락하면 문제인거고 이번에는 천천히 내려갈지도 모르는데 금리 기본 메카니즘은 좀 알고 얘기하시는게 좋겠음
@katharinaw6430
2024년 8월 20일 04:51그건 리세션으로 인해 급하게 금리인하를 할 경우입니다.
미국경기. 불황이 아니예요.
대선있는 해는 침체가 못옵 니다.
또 통계는 한 달 후 나오는 자료인데 현재성이 있을까요?
임바다
2023년 6월 08일 20:40금리가 올라가서
집값 폭락
그러다가
잠시 금리동결
이제 금리가 내려갈 조짐이
보이는데 또 폭락?
금리는 올라도 내려도
집값은 폭락인가요?
대체 기준을 뭘로잡을지
모르겠어요
이뭐 맨날 전무가랍시고 나와서
너무 상반된 주장들을 내놓으니..
너무 혼란스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