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작가 채널 200만 기원합니다. 불러줘서 감사하고, 제 채널과 새 책에도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로 제 안부를 묻는 분들이 좀 계셔서 근황을 업뎃하면… 저는 주택을 싸게 아니면 살 생각이 없습니다. 2011~2017에는 매우 싸보였고 그래서 그때는 열심히 샀고, 지금은 너무 비싸보여서 팔거나 안사고 있습니다.
비싸니까 사지마라?가 제 핵심 주장도 아닙니다. 비싸도 사고싶으면 사야죠. 어차피 선택은 개인 몫입니다. 그런데 비싸게 샀다면, 향후 성과가 좋을 확률이 적다… 는 걸 얘기하는 겁니다. 집을 투자자산으로 보든 실거주로 보든, 최소 40년 거주비용을 일시불로 내고 사는건데, 가격 측정은 해야겠죠. 누군간 엔비디아를 열심히 사지만, 누군간 팝니다. 집도 지금 이 시간에도 누구는 싸다고 생각해서 누구는 비싸다고 생각하며 거래합니다. 그렇다면 비싸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어떤 논리구조를 갖는지, 가치평가를 하는지 생각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반대로, 지금이 싸다고 생각한다면 싸다고 생각하는 근거를 써주는 것이 더 건강한 토론이 되겠죠?
부동산을 금융공학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가 대단합니다. 다만 이런 로직을 직접 고안하신 건지 궁금하네요. 혹은 레퍼런스가 있을까요? 덧붙여, 갭=미래가치라고 하셨지만 그건 현재 시점의 투자심리일 뿐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갭이 100% 미래가치의 반영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쉽게 설명하신거 같은데 더 복잡하네요 머리가 나빠서 그런가? 갠적으로 대한민국 부동산은 광기를 넘어 작년부터 패닉 그리고 지금은 장기 우하향으로 판단되는데요? 주택가격부담지수 활용해서 시기를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감정평가원에서 부동산 가격을 정해주는 것도 아니고 개인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가격이 급변하는데 공식처럼 적용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어보이네요
갭이란게 절대 수치가 아닌데 매매가가 치고 올라가면 갭이 벌어지고 떨어지면 갭도 줄어들게 됩니다. 전세가 역시 마찬가지죠. 장기 평균이 이랬으니 앞으로도 이래야 한다는 거 아닙니까. 그걸로 펀드멘털을 측정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그럼에도 전세를 월세로 전환해 현금흐름과 수익률을 측정하는 방식은 매우 유용합니다.
근데 1년 전만해도 금리와 부동산 가격의 상관성이 크게 없다는게 대세였어요. 그 때 증거로 제시했던 과거 데이터도 얼추 맞는것처럼 보였고.. 그에 반해 채상욱님의 공식은 금리에 치중해 있는더 이것도 현재의 상황을 다소 끼워맞추는 해석일수 있는듯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부동산 투기조장 선동질은 이제 그만...자산이란 그 자산이 만들어 내는 가치에 수렴.집이란 자산이 만들어내는 가치는 지극히 미미.부채끌어다 돈놓고 돈먹기 투기도박질..그래서 부동산 버블은 망국의 병..가치창조를 하지못하는 주거지 아파트같은 부동산은 유동성과 밀접한 관계..그러니 내가 산 가격보다 비싸게 사줄 바보 찾기게임..이런 방송들과 전문가랍시고 떠들어 대는 유투버들은 이제 사라져야.....
@chaeboosim 110
2023년 6월 17일 19:27김작가 채널 200만 기원합니다. 불러줘서 감사하고, 제 채널과 새 책에도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로 제 안부를 묻는 분들이 좀 계셔서 근황을 업뎃하면… 저는 주택을 싸게 아니면 살 생각이 없습니다. 2011~2017에는 매우 싸보였고 그래서 그때는 열심히 샀고, 지금은 너무 비싸보여서 팔거나 안사고 있습니다.
비싸니까 사지마라?가 제 핵심 주장도 아닙니다. 비싸도 사고싶으면 사야죠. 어차피 선택은 개인 몫입니다. 그런데 비싸게 샀다면, 향후 성과가 좋을 확률이 적다… 는 걸 얘기하는 겁니다. 집을 투자자산으로 보든 실거주로 보든, 최소 40년 거주비용을 일시불로 내고 사는건데, 가격 측정은 해야겠죠. 누군간 엔비디아를 열심히 사지만, 누군간 팝니다. 집도 지금 이 시간에도 누구는 싸다고 생각해서 누구는 비싸다고 생각하며 거래합니다. 그렇다면 비싸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어떤 논리구조를 갖는지, 가치평가를 하는지 생각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반대로, 지금이 싸다고 생각한다면 싸다고 생각하는 근거를 써주는 것이 더 건강한 토론이 되겠죠?
영상이 도움이 되길 바라고, 김작가 티비 구독자들 흥하세요.
@kmbhgyy7808 39
2023년 6월 17일 19:12출산율 0.78 나라에서 후회할일 없을듯 하네요
@lhh0117 21
2023년 6월 17일 18:30맞든 틀리든, 이런 생각을 해내는것에 놀랐습니다 ㅎㅎ
@videoidiot_kor 16
2023년 6월 17일 20:09부동산을 금융공학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가 대단합니다. 다만 이런 로직을 직접 고안하신 건지 궁금하네요. 혹은 레퍼런스가 있을까요? 덧붙여, 갭=미래가치라고 하셨지만 그건 현재 시점의 투자심리일 뿐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갭이 100% 미래가치의 반영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trppsimon 14
2023년 6월 17일 22:17경제 지표만 가지고 향후 방향을 예측하는 분석만 보다가 매우 참신해서 깜짝 놀랐습니다.
2부 기대가 몹시 되네요.
책은 인문학만 구입 독서했는데 실용서적으로 구입해봐야겠네요.
@jhuh5042 14
2023년 6월 17일 22:19전형적으로 애널리스트들이 리포트에서 금융용어 잔뜩 써가면서 어렵게 설명하는 패턴. 들어보면 별거 아닌데 왜이러는걸까. 애널리스트 때 못벗으면 일반 구독자들에게 다가가긴 어려워 보인다
@dodocoooool 14
2023년 6월 20일 14:11난 솔직히 채상욱이 좋다 그냥 저 사람 생각하는 거만 들어도 흥미롭고 항상 설득되고 있음
@클라이밍-v4q 14
2023년 6월 18일 02:26하락 하더라도 지금 집값이 어느 정도 레벨인지 짐작 할수 있으면 심리적 고통이 완화 될수 있을거라 생각 합니다 유주택자 무주택자 모두에게 유용한 툴을 제시해 주셔서 고맙네요
@러블리쩨니 14
2023년 6월 18일 23:51채상욱님은 역시 기대이상이십니다!! 진짜 천재가 아니신지 소름돋아서 바로 신간 책도 구입했습니다!!!
영상 감사드립니다😊
@김경숙-r5h5p 12
2023년 6월 17일 21:20채상욱 작가님만의 인사이트에 감동하며~~!!!
방금 교보문고에서 책 구입했어요~
@jlms5566 10
2023년 6월 22일 18:39와우~저한테는 이 설명이 제일 와 닿고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책도 꼭 읽어보고싶네요
@데미김 10
2023년 6월 17일 20:45전세가는 높은데 매매가는 싼거가 있죠 ㅠㅠ
아이들 교육이 끝나면 바로 이사가는곳
@user-gd7rf7gg5l 10
2023년 6월 17일 20:01책 사보겠습니다
영상제목을 잘못뽑은듯
비싼자리에서는 안 살 용기!
좋은 말씀감사해요
@HaHa-vm3dg 9
2023년 6월 17일 20:4931:36 흥미롭군요
@아반테드라이버 7
2023년 6월 17일 19:27보통 전세가율 높아지는 것은 매매 대신에 임대를 선호하면서 생기는 원리인데 이번에는 급격한 금리 상승으로 이상하게 변화해 온 것 아닌가요?
@아빠는인생닥터 6
2023년 6월 18일 06:52너무 참신한 분석이네요^^ 감사합니다
@yoonsanggoo 5
2023년 6월 18일 13:35쉽게 설명하신거 같은데 더 복잡하네요 머리가 나빠서 그런가?
갠적으로 대한민국 부동산은 광기를 넘어 작년부터 패닉 그리고 지금은 장기 우하향으로 판단되는데요?
주택가격부담지수 활용해서 시기를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감정평가원에서 부동산 가격을 정해주는 것도 아니고 개인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가격이 급변하는데 공식처럼 적용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어보이네요
@rayj5082 5
2023년 6월 18일 12:46전세가 20년 이용하는 비용의 현재가치라고 했을 때 잘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아파트의 사용연한이 점점 줄어들어 현실적으로 20년 사용을 보장 못하게 되는 경우에도 전세가는 점점 우상향하는 이유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요?
@부동산의빅데이터 5
2023년 6월 18일 11:09웃기는 내용ㅠㅠ
전세가격이 임차인이 지불한가격으로 푸는데 전세들어갈 임차인 돈이 없는데 이게 어떻게 가능해ㅠㅠ 단순비교하지말고 전세대출을 정부에서 무작정 해줘서 매매 전세 함수관계가 있음을 알고 임차인의 능력을 왜곡한거죠 전세대출ㅠㅠ
@kurumi8039 3
2023년 6월 19일 00:31갭이란게 절대 수치가 아닌데 매매가가 치고 올라가면 갭이 벌어지고 떨어지면 갭도 줄어들게 됩니다.
전세가 역시 마찬가지죠. 장기 평균이 이랬으니 앞으로도 이래야 한다는 거 아닙니까. 그걸로 펀드멘털을 측정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그럼에도 전세를 월세로 전환해 현금흐름과 수익률을 측정하는 방식은 매우 유용합니다.
@jineeyou8303 3
2023년 6월 17일 21:28채대표님 ~반갑습니다 ^^
@JSChoi-jj1bd 2
2023년 6월 21일 09:40근데 1년 전만해도 금리와 부동산 가격의 상관성이 크게 없다는게 대세였어요. 그 때 증거로 제시했던 과거 데이터도 얼추 맞는것처럼 보였고.. 그에 반해 채상욱님의 공식은 금리에 치중해 있는더 이것도 현재의 상황을 다소 끼워맞추는 해석일수 있는듯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youngtackangles2160 2
2023년 6월 20일 11:368,90년대 지은 구축아파트들 15년후 재건축대상 수백만채입니다 이제는 헌집주고 새집받는건 강남일부빼고 불가능하고
재건축부담금 증액과 아예 포기 등등 그 여파는 어마어마할겁니다
@구름길 2
2023년 6월 20일 00:53부동산 업자, 세력, 시장(상승하기만 바라는)이 가격변화에 가장 주된 요인인데, 싹 다 무시하고 말하네요. 게다가 갭이 급격히 늘어난년도들은, 전세가가 너무 가파르게 올라서 정부에서 증가율을 막아놨을때 아닌가요... 책으로만 연애 공부한 느낌이 드는 말씀이네요
@다람겸-k7b 2
2023년 6월 17일 22:15두 번 세 번 들으세요 ❣️
@oh3352 2
2023년 6월 18일 14:56이건 좀...
@때롱롱 2
2023년 9월 15일 12:10채상욱...그만 조장질하시게...최소한 자산가격 형성원리나 화폐금융학 정도는 알고 나오면 좋으련만...
@이무장-y1o 1
2023년 6월 19일 14:58부산은 갭이 수도권 보다 큽니다.
그런데 부동산 전망은 최악이에요.
인구감소+물량 폭탄 때문에요.
보통 거품이 크면 갭이 크고,
거품은(호재가 없거나 적음) 작은데 실거주하기 좋으면 갭이 작던데요.
@blueSky-ob7ft 1
2023년 6월 18일 15:55갭이큰지역에 투자하려면 내돈이 많아야지 😅 안전하겠지용
@올빼미-i9s 1
2023년 6월 26일 08:11채린이가 대표님 응원합니다!
@JSChoi-jj1bd 1
2023년 6월 21일 10:06상식적인 사항의 뒷 배경, 이유를 잘 분석하신것 같아요.. 하지만 갭 큰 곳이 유망하다..(누가 모르나)는 결론인것 같아요.
@이름지을거없다-y4f 1
2023년 6월 18일 06:56지역별 전세가율 보여주시는 사이트
어디인가용??
@도경준이네 1
2023년 6월 19일 15:09감사합니다!
@이태자-d4b 1
2023년 6월 17일 23:35채작가님 부동산 유튜브 보면서 기초부터 차근차근 시드머니로 돈 많이 벌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항상 설득력 있는 고견 감사합니다ㅠㅠ
@때롱롱 1
2023년 9월 15일 12:10부동산 투기조장 선동질은 이제 그만...자산이란 그 자산이 만들어 내는 가치에 수렴.집이란 자산이 만들어내는 가치는 지극히 미미.부채끌어다 돈놓고 돈먹기 투기도박질..그래서 부동산 버블은 망국의 병..가치창조를 하지못하는 주거지 아파트같은 부동산은 유동성과 밀접한 관계..그러니 내가 산 가격보다 비싸게 사줄 바보 찾기게임..이런 방송들과 전문가랍시고 떠들어 대는 유투버들은 이제 사라져야.....
@부디스-p3k 1
2023년 6월 24일 03:04너무 흥미로운데요😮
@booleejun 1
2023년 6월 26일 11:28이미 회복되고있어요.
부동산 몇군데만 가봐도 알아요
@안산탑 1
2023년 6월 22일 09:29부린이로써 내용이넘 어렵습니다 ㅡ^^
한마디로 정리해주실분요
언제 사라는건지ㅡㅡ
@김끔틀 1
2023년 6월 17일 23:18이미 우리나라는 대한제국시기 남한의 출생아수보다 적다.
그런데 추가적인 재건축이 가능할까?
@카피바라-n2e
2024년 2월 02일 15:10그거야 입지 선정할 땐 맞는 말인데 시계열로 보면 갭이 줄었을 때 매수하는 게 맞지. 지금 전세가는 쪼그라들고 매매가는 아직 안붙었는데 덜컥 사면... 전세가 올라붙으면 다행이지만 매매가가 떨어져서 붙으면 망하는 거.
@박은하-d5l
2023년 6월 21일 14:53내용 다 이해 한 나 칭찬해 ㅋㅋ 감사합니다!
@이아르미-t4o
2023년 7월 03일 01:172부는 어디에?!
@신고가스윙
2023년 6월 18일 11:45태국부동산 많이 떨어졌다 던데... 동남아는 어딴가요?
@김훈-g8o
2023년 6월 28일 20:27영통 광교 지금 매입해도 돠나요?
@설_11
2023년 6월 23일 08:03갭이 크다 작다를 절대가격으로 말씀하신건지 아니면 퍼센트율 말씀하신건지 궁금합니다
@Moon_Lee2023
2023년 6월 23일 13:15말을 정말 어렵게 하시는 거 같어요😢 내용도 어렵고 계산도 어렵고,, 설명도 어렵고~ 그냥 물러갑니다❤
@고굼마-x1e
2023년 6월 18일 09:55채상욱작가님은 매물수에 대한 개념이 없으신듯 해요
같은 입지여도 급매가 더 많은 아파트가 매매 전세시세가 더 낮을수 있습니다
그런데 매물수가 많은게 투자선호도가 더 높아서였을수 있습니다
@레오노
2023년 6월 17일 18:26더 올라간다는 거요?
@WIENJSK
2023년 6월 22일 10:56전세가는 보통 새아파트가 더 비쌉니다. 어짜피 돌려받는돈 새집을 선호하니까요. 전세 논리면 반포래미안이 압구정 현대 보다 2배정도 좋네요.
@부자아빠-b9x
2023년 6월 17일 20:16그런논리면 전세 보다 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