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적으로 말안했을뿐 그저 방관하다시피 한계 포기한거랑 뭐가 다른지... 초기에서 중기로 넘어가는 감염단계까지 스웨덴 정부가 뭘했습니까? 해외매체에 스웨덴인들 광장에서 인터뷰 나온걸봤었는데 우리는 별로 개의치않는다 우리의 생활을 유지할것이다라면서 낄낄거리고 프랑스 이태리 씹창나는 상태인데 그런수준의 의식에 경악했습니다. 영국이 박살나기 시작하니 그제서야 우리는 공식적으로 집단면역을 시험하지 않았다고 부랴부랴 한국대통령한데 전화때리고 불난집에 그제서야 불끄겠다고 지랄하는거랑 뭐가다른지... 유럽선진국이라는 나라들 수준 잘봤습니다 변명도 즉다이 해야지~ 한국 언론들 쓰레기란건 아는데요 스웨덴인들 입이 열개라도 변명하면 안됩니다~ 쯧
집단면역전략이 아니다.. 라는 건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님이 이야기하는 스웨덴의 4가지 공식적인 대응은 기본적으로 집단면역전략 범주에 포함됩니다. 백신이 없는 상태에서 집단면역전략을 취할때 가장 중요한것은 확산의 속도를 줄이는 겁니다. 집단면역전략을 취해도 사회적거리두기를 할 수 밖에 없어요. 사회적거리두기를 하기 때문에 집단면역이다? 이게 무슨 헛소린가요? 집단면역전략은 ro가 1이하로 떨어지는 조건이 60프로인구의 감염을 전제로 합니다. 스웨덴이 집단면역전략을 취하는 이유는 어차피 60프로 감염될때까지는 코로나19가 해결될 수 없으니 괜히 지역봉쇄등으로 경제에 손상을 주지 말자는 겁니다. 하지만 너무 빠른 속도로 퍼지면 의료붕괴가 일어나서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생명을 잃을 수가 있으니 경제를 포기하지 않는 선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는 겁니다. 한국이 하는 사회적거리두기와는 다릅니다. 한국은 감염자를 추적 격리해서 최대한 낮은 수치만 감염시키고 코로나를 종식시키려는 전략입니다. 주전략은 추적 격리고 사회적거리두기는 감염경로추적이 불가능한 10퍼센트의 위험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조전략이에요. 스웨덴은 감염자를 최대한 추적할 의지가 없잖아요? 그럼 ro는 언제 내려갈까요? 백신이 개발되서나 감염자가 전인구의 60프로가 될때 1이하로 내려갑니다.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스웨덴은 집단감염전략에서 벗어난적이 없어요. 의료접근성을 높이거 사회적거리를 두는건 집단면역이 될때까지 최대한 사망자수를 줄이기 위함이지.. 일부만 감염시키고 코로나 종식시키겠단 전략이 아니에오. 최대한 감염자를 조사해서 추적 격리할 의사가 있냐 없냐가 집단면역전략이냐 아니냐를 판단하는 유일한 잣대에요. 사회적거리두기 지역봉쇄 입국제한 등은 모두 감염속도를 줄이는 거에 불과합니다. 결코 소수의 감염자만 발생시키고 ro를 1이하로 낮추는 수단이 아니라고요.. 스웨덴은 감염지연정책을 사용할 뿐이지. 최종적으로 감염자수를 낮추려는 전략을 현재까지도 사용하지 않고 있어요. 그런데 코로나19는 1-2주의 잠복기가 있어서 1주당 최소 2배이상 감염자가 배수로 증가하기 때문에 스웨덴는 자신들이 예상하는 것보가 확산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걸 알아야 해요..감염자를 추적하지 않는 나라에서 사회적거리두기만으로 지역봉쇄나 고강도의 활동규제도 않하고 ro를 낮춰보겠다? 저는 개소리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요약하자면 확산속도에 놀란 스웨덴이 취하고 있는 이전략은 속도를 늦추는 전략이지 집단감염전략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감염자 추적격리 계획이 없는한 사회적거리두기만으로는 60프로가 감염될때까지 ro가 1이하로 절대로 절대로 내려가지 않는다. 그리고 경제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 이런 저강도의 사회적거리두기만 하면.. 속도를 늦추는데도 결국 실패하고 의료붕괴가 일어난다.. 그러니까 스웨덴이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단 한달동안 고강도 지역봉쇄를 하고 면역검사로 단기간전수조사를 해서 확진자를 격리시켜야 합니다. 스웨덴은 지금 의료붕괴 없는 집단면역을 꿈꾸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는 의료붕괴없고 패닉이 없는 집단면역을 허용하지 않을 겁니다. 제발 스웨덴의 의료붕괴를 막으려는 시도를 집단면역전략을 취하지 않는다라고 오인하지 마세요.. 속도를 늦추는 전략이 코로나를 종식시키려는 목적인지 의료붕괴를 막겠다는 목적인지 구분 좀 합시다. Ro가 1이하로 떨어져야지 바이러스가 종식되머 그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전인구의 몇퍼센트의 감염을 의도하고 있는 정책인지 보고 이야기를 합시다
무서울 정도로 일본이 하는 방식이랑 똑같네요. 일본도 똑같은 말을 하고 있죠. 현재 일본모습 보세요. 일본정책 1.고위험군을 우선 보호 2.증상이 있어도 바로 죽어갈정도가 라니라면 검사거부 자가격리만 요청 3.의료붕괴가 일어 날거라며 최대한 다수를 검사하는 것에 부정적 4.올림픽등 경제에 영향이 가는것을 극도록 싫어함.
스웨덴의 공식 입장은 '집단면역'이 아니라고 했지만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충분히 '집단면역'으로 충분히 볼 수 있는 전략입니다. 스웨덴 의료 관계자들이 반대했음에도 관료들이 이런 전략을 취했다고 들었는데 개인적으로 책임회피식 입장이 아닌가 싶습니다. 보기에 따라서는 '말장난' 으로 들릴 수도 있죠. 이 채널분과 pd분도 북유럽국가 지도자와 시민들에 대한 환상이 있으신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사회적 거리두기가 잘 되고 있다고 하시면서 구글 자료를 보여주셨는데 다른 댓글 다신 분이 알려주셨듯이 다른 나라와 똑같이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어 비교는 권하지 않는다고 했을 뿐 아니라 전방위적인 대량검사와 방역, 신속한 격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와는 비교 자체가 성립이 될 수가 없는 거죠. 어떤 데이타를 보여주실 때는 그 데이타의 신뢰도에 대한 최소한의 체크와 비교가 성립 가능한 대상인지에 대해 확인하셔야 합니다. 스웨덴의 전략은 사실 의료자원의 부족을 인지한 상태에서 전파력 지수 R0가 최대 2.5 정도이고 치명율이 그닥 높지 않고 젊은 사람들은 괜찮다는 정확하지 않은 수치를 믿고 한 번 모험을 걸어보자는 생각에서 결정된 것이 아닌가 싶어요. 근데 실상은 R0가 미국 CDC에 의하면 5.7이라고 하죠. 전국민의 60% 정도가 감염되면 집단면역이 이루어질 걸로 봤지만 CDC 정보가 맞다면 80%의 국민이 걸려야 되는 상황으로 바뀌어 버린 상황이죠. 치명률도 실제 5%대에요. 독일,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같은 뒤늦게 대량검사를 하고 감염자 격리하고 락다운을 걸어놓은 나라들이 통계에 들어가 있는데도 5%에요. 그럼 스웨덴같이 하는 나라는 치명률이 더 올라갈 수 밖에 없죠. 스웨덴 인구가 1000만이 조금 넘는데 단순히 계산해서 1%면 10만이고 5%면 50만이에요. 어마어마한 수치가 죽는단 말이에요. 물론 이건 가정한거지만.
스웨덴의 상황에 대해서 알게될수 있어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의문점이 남는 부분이 있는것같습니다. 엄연히 초기 대응을 포기하고 의심증상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하지 않는 스웨덴 정부가 과연 최선의 일을 하고 있다고 할수 있나요?
또한 자료로 사용하신 구글 자료도 내용에서 명시하고 있습니다만 Location accuracy and the understanding of categorized places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so we don’t recommend using this data to compare changes between countries, or between regio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지역 정확도와 카테고리 분류에 대한 이해도가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구글측은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나라간의 비교,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지역간의 비교는 절대 추천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 지표를 가지고 한국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말하는것만큼 하지 않고 있고 스웨덴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잘하고 있다라고 말하는것은 분명히 잘못된 분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은 반드시 정정해주셔야 될것 같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COVID-19의 치료법이 아니라 확산범위를 줄이고 그 속도를 낮추는것에 있습니다. 강제성이 없는 스웨덴의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은 어떻게 보면 방임하는것과 별다를게 없습니다. 인용하신 OECD 인구 1000명당 병상 개수를 고려한다면 스웨덴의 이런 강제성이 없는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은 매우 잘못된 선택이라고 보여지는데 이것을 과연 스웨덴 정부의 최선의 선택이라고 말할수 있을까요?
저 또한 미국에서 아주 힘든 시기를 겪고 있지만 현재 미국에서도 일부 주에서 강제성이 없는 Stay at home order가 시행중이고 이로 인해 주마다 apex가 오는 시기가 달라질수 있다고 매우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유럽대륙이 지금 하나되서 전염을 막고 나라간의 전파를 최소화해되야될 상황에서 스웨덴 정부만의 독단적인 정책결정은 방임 혹은 방치가 아닐까 걱정됩니다.
완화전략의 핵심이란 것이 결국 집단면역으로 귀결되기 때문입니다. 따지고 보면 한국처럼 역학조사를 꼼꼼하게 할 수없는 여건이라면, 어쩔수없이 완화전략으로 가야 됩니다. 독일마저도 같은 개념인데.. 독일의 경우는 역학조사 부분을 제외하고 방법론적으론 한국식 모델에 가깝습니다.
영국 존슨때문에 완화전략을 그냥 집단면역이라고 부를만큼 친숙한 용어가 되었지만, 의미의 범주가 완화전략 > 집단면역 정도로 해석하면 될 것 같습니다. 스웨덴의 방역대책은 본래의 완화전략을 위해 가용한 의료시스템과 스웨덴국민들의 자율성과 통제력을 믿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가 정확한 표현이겠지요. 그런데 이 속에 포함되는 것이 항체형성 결국 집단면역 개념이 됩니다. 완화전략이 순수한 의미에 가까울 수록 자율성을 강조하고 정부의 통제를 거부하게 되니.. 스웨덴의 이러한 대응이 상대적으로 국가가 강력하게 개입하는 주변국들과 비교되는 것이지요.
지금은 스웨덴도 현실적 노선으로 방향을 튼 상태이니.. 이제 이런 집단면역의 논쟁은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그렇지만 현재의 모습이 바뀌었어도 관성적으로 입에 붙는 용어가 집단면역이기는 해요. 개인적으로 스웨덴의 방역대책은 아쉬움이 남으나 그들이 선택한 것이니 그들의 선택과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있습니다. 제3자로선 어차피 그 선택의 결과가 어떤 결과와 통계로 증명되는지.. 나중에 그 점에 대하여 토론할 수는 있겠지요.
전쟁 중에서 가장 무서운 적 나와 적대시 하고 있는 상대방이 아니라 나와 가까이에 있는 동료들입니다. 대부분의 외국에 나가 있는 분들의 공통적으로 나타는 부분입니다. 그 나라에 동화되서 객관성을 잃어버립니다. 지금 유튜브에 영어로 스웨덴 코로나 치면 스웨덴의 집단면역 문제점과 폐쇄(이동금지)를 왜 안 하는지를 다른나라 언론들이 비난하고 있습니다. 그 뉴스영상들을 보면 스웨덴 국민들은 평소와 다르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마스크도 쓰지 않은채로요. 집단면역이 스웨덴 정부 공식 정책이 아니라고요? 그러면 스웨덴 정부는 무엇을하고 있고 외국언론들은 왜 스웨덴을 비난하고 있는걸까요?
연PD님이 말씀하신게 집단면역에 대응되는 전략들인데..ㅡㅡ;; 한국뿐만 아니라,미국, 영국 등 유럽의 많은 나라가 스웨덴은 집단면역 체계라고 말했어요. 트럼프 대통령까지 그렇게 말하니까 스웨덴 총리가 집단면역이 아니라고 해명은 했지만, 집단면역이든 아니든 사실 그게 중요한것도 아니고 의미도 없습니다. 그런 오해가 생길정도로 스웨덴의 대응전략은 방관에 가까울 정도로 너무나 준비가 안되어 있고, 느리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그나마 대책이란것도 참 머랄까요...흉내내는 수준, 수박겉핥기로 밖에 안보여요. 사회적 거리두기 하면 뭐합니까? 지금도 시내나가면 마스크 쓴 세끼 한명도 없을걸요? ㅋㅋㅋ . 시민인터뷰 영상도 몇개 정도 봤는데, 위기감이란게 전혀 없어요. 사망자 늘어나고 폭증하니까 최근에서야 조금 자제하는정도죠. 한국처럼 봉쇄제한이나 이동제한 없이 방역대책을 추진하려면 상당한 준비가 되어 있어야해요. 충분한 개인방역 장비가 갖춰지고 시민의식 수준,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와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정신 등 여러가지 기초기반들이 갖춰져야 합니다.
근데 스웨덴의 경우 의료기반시설도 약하고, 장비, 인력, 생산기반시설 등 모든면에서 부족한 상황에서 이런 정책을 시행한다는건 이해하기 어렵죠. 더군다나 다른나라보다 제일늦게 전파가 되서 얼마든지 다른나라에서 대응하는 정책들에 대해 배울수 있는 시간이나 물적자원을 확보하기에 충분했거든요. 근데 그 시간동안 미리 대비를 한게 아무것도 없어요. 강건너 불구경만 한건지 어쩐건지 모르겠지만,
봉쇄나 이동제한은 근본적인 대책일 수는 없습니다. 다만, 단기적으로 바이러스의 전염속도를 늦출수 있고, 그 시간동안 바이러스에 대한 이해와 개인방역, 장비, 인력, 의료인프라 등등 바이러스와 싸울 준비를 갖추는데 필요한 시간을 벌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유일한 조치입니다. 봉쇄나 이동금지 조치는 장기적인 대책은 될 수 없다는거, 국민의 자유를 침해하고, 경제적 타격을 심하게 받을 수 있으며, 사회적 부작용이 많아서 오래 유지하기 힘들기 떄문에 실시하더라도 필요한만큼 최소화 해야 되는데, 미국도 그렇고 그냥 형식적인 조치에 불과한 느낌...
그리고, 스웨덴이 모델로 삼은 나라가 그 많은 나라중 하필 일본이라는 점도 .... 악재입니다. 그래도 일본은 올림픽하려는 목적에서 의도적으로 그랬다하지만, 스웨덴은 왜 따라해서..... 한국 사람들 시민의식은 말할것도 없고, 이번 사태와 관련하여 지식수준이 굉장히 높아요. 어설프게 얘기하면 역풍맞고 떡실신합니다.
스웨덴이 조명받는것은 테스트의 숫자가 문제입니다. 주변국인 덴마크의 확진률은 8.5%정도, 핀란드 8% 정도인데 반해 스웨덴은 20%가 넘는데 계속 사람들을 내보내서 점점 장기적불황으로 이끌것이라는거에요. 한 4주는 어차피 social isolation이 필요한 질병입니다.
flattening curve를 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검사와 격리 생활방역이 준수되어야 하는데, 스웨덴은 아무것도 안하는데....스웨덴 보건청 코로나19 검사 대상자를 의료종사자 또는 증상발현자로만 국한되어 있는데, 어떻게 이 정책으로 서서히 늦출 수 있는가요?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니, 집단면역 정책을 하고 있지 않다라고 하는건, 중국정부가 우한 지역 시민을 눈을 가리면서 대처한것과, 일본이 올림픽 이전까지 방역대책이 잘되고 있다라는 거짓 정책과 무엇이 다른가요? 스웨덴이 복지국가 선진국이라서, 그곳에 살고 있는 교민이 왜 대변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이것이 무슨 인포데믹이죠? 해외 유수언론매체에서도 계속 언급되고 있는데....결정적으로 무증상자에 대한 대비도 하나도 하지 않는상태에서, 이게 무슨 방역대책인가요? 전 연pd라는 사람이 사회적 거리 두기의 개념을 잘못된 안드로이드 통계를 접목시켜 인포데믹을 퍼뜨리는것 같네요. 사회적거리가 단순히 너 와 나 거리두기가 다 인줄 아는데, 사회적거리두기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광범위한 검사를 전제로 한 상태해서나 가능한거지, 제한된 검사에서 가능하지 않아요. 한국 첫번째 확진자 임상기록을 보면 1~3일째 된 날에 제일 바이러스 검출이 많다고 합니다. 즉 마스크도 안쓰고, 무증상자에 대한 격리도 안해, 하지만 경제활동은 해. 텅넬이라는 보건청장의 처음인터뷰부터 보고있지만, 거히 한달이 되어가도 변한게 없습니다. 핀란드 보건소장이 이런말을 했습니다. '핀란드는 사람을 선택했고, 스웨덴은 경제를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인데요, 국가는 최대한 많은 사람을 살릴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비록 준비가 부족하고 시설과 장비가 없어서 힘들더라도 어떻게든 해보려고 노력해야 된다고 봅니다. 하지만 스웨덴 정부는 너무 무책임해 보입니다. 이대로 하면 너무 많은 사람이 죽을 게 뻔하잖아요. 생명보다 소중한 것은 없습니다. 단지 나이가 많다고 기저질환이 있다고 해서 어떤 관리나 치료도 제대로 못 받고 죽어야 하는 걸 받아들여야 되는 상황이라니요. 그것도 세계에서 복지제도가 가장 잘 발달되어 있다고 하는 스웨덴에서. 죽은 사람들의 가족들의 분노와 슬픔, 원망을 너무 가볍게 보는 게 아닌가요? 다른 치료법이 없어 죽는 환자와 그 가족들이 죽음을 받아들이는 마음과는 너무도 다르죠.
스웨덴 시민들이 정부에서 락다운을 하지 않아 이동권을 제한하지 않는 것에 대해 감사해하고 있다는 점이 놀랍네요. 사망률이 엄청 높은데도 그렇게 생각한다는 게..... 다른 나라 사람들이라고 집안에 갇혀 있는 게 좋아서 락다운하는 게 아닙니다. 너무 늦어서 바이러스가 퍼질대로 퍼졌는데 그거라도 하지 않으면 점점더 감염이 심해지고 사망자는 더 늘어날테니까 할수없이 락다운하는 거잖아요. 그런데 스웨덴인들은 락다운 안하고 돌아다닐수 있어서 정부에 고마워한다고요?
사회적거리두기를 하면 집단면역전략을 포기한 것인가? 집단면역전략을 공식적으로 선언한적이 없다 우리는 지연전략을 취할 뿐이다.. 그 지연전략이란게 국민의 60프로가 감염되는 속도를 줄이자는 전략인데.. 용어를 다르게 한다고 집단면역전략이 아니라고??? 똥을 눈게 아니다 대변을 보았을뿐.. 그러니 똥을 누었다는 소문은 가짜뉴스.. 이걸 이야기 하고 싶은 건가? 가장 큰 문제는 스웨덴이 단기간 확진자수 증가속도를 늦출 수 있어도 감염속도를 제어할 수 없는 정책을 사용한다는 건데 2달안에 뽀록날 정책을 두둔하는 사람들은 뭔지????스웨덴정부가 아무리 언플해도 왜 독일이 그토록 비판하고 있는지 알려고 노력하길 바랍니다. 스웨덴정부의 정책 아베의 정책과 질적인 차이가 있나요? 아베도 드라이빙스루도 도입하고 검사수도 확대한다네요. 폐렴사망자는 압도적으로 늘어났는데 사후검사도 안한 주제에 코로나치명사는 잘 관리하고 있답니다. 아베의 코로나 정책은 믿을만 합니까?
연pd님이 대한민국에 없어서 뭘 잘못 아시는거 같은데 구글 사회적 거리 조사도 우린 철저하게 동선 다 파악해서 철저하게 겹치는 사람 다 코로나 검사 소독해서 국민들이 안심해서 저렇게 안떨어진거지 스웨덴이 우리처럼 하고 있나요????그리고 집단면역 뉴스는 다 유럽뉴스 받아쓴게 우리고요 그이웃 국가들이 화가나서 저렇게 조롱하듯 기사를 쓴단 말입니다.. 왜 화가나있을까요????초반 검사수가 노르웨이는 10만건 덴마크는 5만건 스웨덴은 4만건입니다 보건안보지수가 그 이웃나라보다 더 높은데 말이죠.....역량 충분한 나라에서 사망자는 많고 검사수는 적으니 그이웃나라가 화가 엄청나 있는거지죠 우리가 일본 이해못하듯 그 이웃나라도 화가 엄청나서 조롱하듯 기사를 냈단말이죠 당연 자기나라 집단면역이라고 뉴스는 안내죠,,,,다 이웃나라 화가난 국가언론들이 조롱하듯 뉴스 낸단말입니다 우릴 이해시킬께 아니라 영어로 제작해서 그 이웃나라 기사가 안나도록 이해를 시켜야죠 우리야 받아쓰는 언론들 뿐이라 질문도 못하는 기자들인데........
재난에 준하는 위기속에서는 정부가 주는 메세지는 명확해야 합니다.. 전세계로 퍼져 나간 메세지가 중요한 게 아니고 스웨덴 국민들이 받아 들이는 메세지가 중요하죠..특히 4번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는 상당히 모순적입니다..아마도 스웨덴 국민들은 이 조항 때문에 정부의 방침에 지지를 보내겠죠.. 다른 나라가 스웨덴을 어떻게 보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스웨덴 국민들이 코로나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느냐가 중요하지 않을까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라고 봅니다..국민에게 인기가 없더라도 국민을 위해 무엇이 더 좋은 정책인지???
어짜피 초기에 잡지도 못했으며 안일한 방법으로 국민들 생체실험하다 아차 아니다 싶어 조금 선회한것뿐 또한 죽는 숫자또한 지금 검사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은 이유 사망자는 계속 증가 이걸보고도 .. 앞으로 상황은 인구도 적은 스웨덴은 국민들 생체실험하다 학살로 마무리하는 느낌이네요.. 또한 국력도 많이 내려 앉겟죠..
공식은 아니더라도 비공식적으로..좀 안타까운 부분이 있네요.. 한국처럼 무증상 환자들까지 끝까지 추적해서 검사한다든지..환자발생전 노인시설 위주로 선제적으로 검사를 한다든지 하는 공격적검사를 동반한 국민 개개인에게 내려져야할 지침들인거 같은데... 한국이 셧다운없이 경제와 방역을 동시에 성공적으로 이끌기위한 국민지침들은 국가가 최선으로 방역에 힘쓰고있을때 가능한것임!
집단면역전략은 아니더라도 방어적인 전략인건 분명합니다.우리나라와 미국 영.이.프.스페인 독일등등 공격적인 방역과는 차이가 있네요.현재 일본이 취하고 있는 방역시스템과 비슷해 보이네요.방어적으로밖에 할수없는 이유는 그 나라 병원시스템 붕괴우려가 있는것을 방지하기 위한것같아요.
자극적인 단어만 하나 나오면 앞뒤 다 잘라먹고 그게 핵심이고 전부인양 보도하는 기레기들이 전세계에 있네요. 스페인 요양원도 다 싸잡아 욕하고 상관도 없는 스페인 의료진들까지 인면수심이니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욕하는 사람들 천지였어요. 대중을 무지에 빠뜨리고 국가간 이간질을 부추기는 기레기들이 문제임
많은 분들이 오해를 하는거 같아 안타깝습니다. 제 스웨덴 친구도 외국에서의 평가를 이해 못합니다. 서로 다르다고 업신여기거나 욕하는 것은 또 다른 인종 차별이 될 수 있습니다. 모두 그것에 대한 경각심은 가져주셨으면 합니다. 그런것들이 나중에 안 좋은 평가로 우리에게 돌아 올 수 있습니다.
스웨덴 정부,,,국민 1,000만명을,,,,,,,,,,실험용 쥐로,,,,,잘사는 나라 몰~살,,,스웨덴,,,,유럽에서,,,인구대비,,,,몰~살중이다,,,,,,,한국 감염자 10,000명 보다, 스웨덴 사망자가,,,4배 가량 많고,,,,,,한국 5,100만명,,인구다,,,,,,,,,,,,,,스웨덴,,,1,000 만명 치고는 감염자도 많다,,,,실험용 쥐는 몰살이다
업데이트된 스웨덴소식을 언론이 빠르게 전해주지 않은건 문제지만.. 초기에 경제피해를 줄여보려고 소극적으로 대응했던것들이나 마스크는 불필요하다라는 테스트를 과잉으로 하는건 불필요하다식의 거짓말을 한건 팩트가 맞잖아요.. 마스크가 없으면 의료품의 제조업인프라가 부족하면 투명하게 밝혀야죠.. 테스트를 획기적으로 늘린다는데 거짓이라고 봅니다.. 일본도 그렇고 투명성을 가져가는건 상당한 용기가 필요한건데 스웨덴정부는 정직하지도 않고 능력도 없죠.. 핀란드의 발빠른 움직임이나 덴마크정부의 솔직한 대처와 분명 차이가 큽니다..
스웨덴사람들이 경각심없이 활기를 띄고 있다 물론 아니겠죠 그얘기 나오고 시간이 한참지났는데요.. 우리나라 메르스때도 그랬는데요.. 멍청한 정부가 정신차리고 똑바로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준비된정부가 아닌이상 태세가 전환된다고 변화가 오지 않습니다.. 미국이나 일본 보고 있지 않습니까? 무엇보다 스웨덴정부는 투명성이 없기 때문에 힘들다 봅니다.. 물론 스웨덴소식을 업데이트하는것은 가짜뉴스확산을 방지하기위해 꼭필요하다고는 봅니다..
스웨덴은 복지선진국이라던데 세금 걷어서 어디다 다 쓰는건가요? 정부에서 비상시 대비해서 긴급재난자금 같은거 있지 않나요? 의료장비가 부족하면 다른나라에서 빨리 조달해야지..미국봐요..얼마나 여우같은지...프랑스,영국으로 갈 의료장비 검사시트 공항에서 싣기도 전에 중간에서 자국으로 먼저 막 빼돌리잖아요...
업데이트된 스웨덴소식을 언론이 빠르게 전해주지 않은건 문제지만.. 초기에 경제피해를 줄여보려고 소극적으로 대응했던것들이나 마스크는 불필요하다라는 테스트를 과잉으로 하는건 불필요하다식의 거짓말을 한건 팩트가 맞잖아요.. 마스크가 없으면 의료품의 제조업인프라가 부족하면 투명하게 밝혀야죠.. 테스트를 획기적으로 늘린다는데 거짓이라고 봅니다.. 일본도 그렇고 투명성을 가져가는건 상당한 용기가 필요한건데 스웨덴정부는 정직하지도 않고 능력도 없죠.. 핀란드의 발빠른 움직임이나 덴마크정부의 솔직한 대처와 분명 차이가 큽니다..
스웨덴사람들이 경각심없이 활기를 띄고 있다 물론 아니겠죠 그얘기 나오고 시간이 한참지났는데요.. 우리나라 메르스때도 그랬는데요.. 멍청한 정부가 정신차리고 똑바로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준비된정부가 아닌이상 태세가 전환된다고 변화가 오지 않습니다.. 미국이나 일본 보고 있지 않습니까? 무엇보다 스웨덴정부는 투명성이 없기 때문에 힘들다 봅니다.. 물론 스웨덴소식을 업데이트하는것은 가짜뉴스확산을 방지하기위해 꼭필요하다고는 봅니다..
스웨덴은 복지선진국이라던데 세금 걷어서 어디다 다 쓰는건가요? 정부에서 비상시 대비해서 긴급재난자금 같은거 있지 않나요? 의료장비가 부족하면 다른나라에서 빨리 조달해야지..미국봐요..얼마나 여우같은지...프랑스,영국으로 갈 의료장비 검사시트 공항에서 싣기도 전에 중간에서 자국으로 먼저 막 빼돌리잖아요...
jincloony 25
2020년 4월 10일 01:01공식적으로 말안했을뿐 그저 방관하다시피 한계 포기한거랑 뭐가 다른지... 초기에서 중기로 넘어가는 감염단계까지 스웨덴 정부가 뭘했습니까? 해외매체에 스웨덴인들 광장에서 인터뷰 나온걸봤었는데 우리는 별로 개의치않는다 우리의 생활을 유지할것이다라면서 낄낄거리고 프랑스 이태리 씹창나는 상태인데 그런수준의 의식에 경악했습니다. 영국이 박살나기 시작하니 그제서야 우리는 공식적으로 집단면역을 시험하지 않았다고 부랴부랴 한국대통령한데 전화때리고 불난집에 그제서야 불끄겠다고 지랄하는거랑 뭐가다른지... 유럽선진국이라는 나라들 수준 잘봤습니다 변명도 즉다이 해야지~ 한국 언론들 쓰레기란건 아는데요 스웨덴인들 입이 열개라도 변명하면 안됩니다~ 쯧
@방구석-u2y 22
2020년 4월 10일 22:19집단면역전략이 아니다.. 라는 건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님이 이야기하는 스웨덴의 4가지 공식적인 대응은 기본적으로 집단면역전략 범주에 포함됩니다. 백신이 없는 상태에서 집단면역전략을 취할때 가장 중요한것은 확산의 속도를 줄이는 겁니다. 집단면역전략을 취해도 사회적거리두기를 할 수 밖에 없어요. 사회적거리두기를 하기 때문에 집단면역이다? 이게 무슨 헛소린가요? 집단면역전략은 ro가 1이하로 떨어지는 조건이 60프로인구의 감염을 전제로 합니다. 스웨덴이 집단면역전략을 취하는 이유는 어차피 60프로 감염될때까지는 코로나19가 해결될 수 없으니 괜히 지역봉쇄등으로 경제에 손상을 주지 말자는 겁니다. 하지만 너무 빠른 속도로 퍼지면 의료붕괴가 일어나서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생명을 잃을 수가 있으니 경제를 포기하지 않는 선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는 겁니다. 한국이 하는 사회적거리두기와는 다릅니다. 한국은 감염자를 추적 격리해서 최대한 낮은 수치만 감염시키고 코로나를 종식시키려는 전략입니다. 주전략은 추적 격리고 사회적거리두기는 감염경로추적이 불가능한 10퍼센트의 위험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조전략이에요. 스웨덴은 감염자를 최대한 추적할 의지가 없잖아요? 그럼 ro는 언제 내려갈까요? 백신이 개발되서나 감염자가 전인구의 60프로가 될때 1이하로 내려갑니다.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스웨덴은 집단감염전략에서 벗어난적이 없어요. 의료접근성을 높이거 사회적거리를 두는건 집단면역이 될때까지 최대한 사망자수를 줄이기 위함이지.. 일부만 감염시키고 코로나 종식시키겠단 전략이 아니에오. 최대한 감염자를 조사해서 추적 격리할 의사가 있냐 없냐가 집단면역전략이냐 아니냐를 판단하는 유일한 잣대에요. 사회적거리두기 지역봉쇄 입국제한 등은 모두 감염속도를 줄이는 거에 불과합니다. 결코 소수의 감염자만 발생시키고 ro를 1이하로 낮추는 수단이 아니라고요.. 스웨덴은 감염지연정책을 사용할 뿐이지. 최종적으로 감염자수를 낮추려는 전략을 현재까지도 사용하지 않고 있어요. 그런데 코로나19는 1-2주의 잠복기가 있어서 1주당 최소 2배이상 감염자가 배수로 증가하기 때문에 스웨덴는 자신들이 예상하는 것보가 확산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걸 알아야 해요..감염자를 추적하지 않는 나라에서 사회적거리두기만으로 지역봉쇄나 고강도의 활동규제도 않하고 ro를 낮춰보겠다? 저는 개소리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요약하자면 확산속도에 놀란 스웨덴이 취하고 있는 이전략은 속도를 늦추는 전략이지 집단감염전략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감염자 추적격리 계획이 없는한 사회적거리두기만으로는 60프로가 감염될때까지 ro가 1이하로 절대로 절대로 내려가지 않는다. 그리고 경제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 이런 저강도의 사회적거리두기만 하면.. 속도를 늦추는데도 결국 실패하고 의료붕괴가 일어난다.. 그러니까 스웨덴이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단 한달동안 고강도 지역봉쇄를 하고 면역검사로 단기간전수조사를 해서 확진자를 격리시켜야 합니다. 스웨덴은 지금 의료붕괴 없는 집단면역을 꿈꾸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는 의료붕괴없고 패닉이 없는 집단면역을 허용하지 않을 겁니다. 제발 스웨덴의 의료붕괴를 막으려는 시도를 집단면역전략을 취하지 않는다라고 오인하지 마세요.. 속도를 늦추는 전략이 코로나를 종식시키려는 목적인지 의료붕괴를 막겠다는 목적인지 구분 좀 합시다. Ro가 1이하로 떨어져야지 바이러스가 종식되머 그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전인구의 몇퍼센트의 감염을 의도하고 있는 정책인지 보고 이야기를 합시다
고라니 21
2020년 4월 09일 23:06무서울 정도로 일본이 하는 방식이랑 똑같네요. 일본도 똑같은 말을 하고 있죠.
현재 일본모습 보세요.
일본정책
1.고위험군을 우선 보호
2.증상이 있어도 바로 죽어갈정도가 라니라면 검사거부 자가격리만 요청
3.의료붕괴가 일어 날거라며 최대한 다수를 검사하는 것에 부정적
4.올림픽등 경제에 영향이 가는것을 극도록 싫어함.
이러다가 몇일전 긴급조치 선언후 한국 모델 드라이브 스루 도입등으로 선회중...
@제주돌이 19
2020년 4월 11일 04:14스웨덴에사 공식적으로 채택한 전략... 일본이랑 똑같아요 ....
@studian365 18
2020년 4월 09일 17:33https://www.thestar.com.my/news/world/2020/04/08/sweden-says-trump-criticism-of-virus-strategy-039factually-wrong
☞ 4월 8일에 올라온 기사입니다. 스웨덴 외무장관이 다시 한 번 공식적으로 우리의 전략은 집단면역이 아니라고 말한 내용입니다.!
@nupttics 15
2020년 4월 11일 19:27스웨덴의 공식 입장은 '집단면역'이 아니라고 했지만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충분히 '집단면역'으로 충분히 볼 수 있는 전략입니다. 스웨덴 의료 관계자들이 반대했음에도 관료들이 이런 전략을 취했다고 들었는데 개인적으로 책임회피식 입장이 아닌가 싶습니다. 보기에 따라서는 '말장난' 으로 들릴 수도 있죠. 이 채널분과 pd분도 북유럽국가 지도자와 시민들에 대한 환상이 있으신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사회적 거리두기가 잘 되고 있다고 하시면서 구글 자료를 보여주셨는데 다른 댓글 다신 분이 알려주셨듯이 다른 나라와 똑같이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어 비교는 권하지 않는다고 했을 뿐 아니라 전방위적인 대량검사와 방역, 신속한 격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와는 비교 자체가 성립이 될 수가 없는 거죠. 어떤 데이타를 보여주실 때는 그 데이타의 신뢰도에 대한 최소한의 체크와 비교가 성립 가능한 대상인지에 대해 확인하셔야 합니다.
스웨덴의 전략은 사실 의료자원의 부족을 인지한 상태에서 전파력 지수 R0가 최대 2.5 정도이고 치명율이 그닥 높지 않고 젊은 사람들은 괜찮다는 정확하지 않은 수치를 믿고 한 번 모험을 걸어보자는 생각에서 결정된 것이 아닌가 싶어요. 근데 실상은 R0가 미국 CDC에 의하면 5.7이라고 하죠. 전국민의 60% 정도가 감염되면 집단면역이 이루어질 걸로 봤지만 CDC 정보가 맞다면 80%의 국민이 걸려야 되는 상황으로 바뀌어 버린 상황이죠. 치명률도 실제 5%대에요. 독일,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같은 뒤늦게 대량검사를 하고 감염자 격리하고 락다운을 걸어놓은 나라들이 통계에 들어가 있는데도 5%에요. 그럼 스웨덴같이 하는 나라는 치명률이 더 올라갈 수 밖에 없죠. 스웨덴 인구가 1000만이 조금 넘는데 단순히 계산해서 1%면 10만이고 5%면 50만이에요. 어마어마한 수치가 죽는단 말이에요. 물론 이건 가정한거지만.
@프미곰 15
2020년 4월 10일 17:21스웨덴의 상황에 대해서 알게될수 있어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의문점이 남는 부분이 있는것같습니다.
엄연히 초기 대응을 포기하고 의심증상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하지 않는 스웨덴 정부가 과연 최선의 일을 하고 있다고 할수 있나요?
또한 자료로 사용하신 구글 자료도 내용에서 명시하고 있습니다만
Location accuracy and the understanding of categorized places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so we don’t recommend using this data to compare changes between countries, or between regio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지역 정확도와 카테고리 분류에 대한 이해도가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구글측은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나라간의 비교,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지역간의 비교는 절대 추천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 지표를 가지고 한국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말하는것만큼 하지 않고 있고
스웨덴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잘하고 있다라고 말하는것은 분명히 잘못된 분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은 반드시 정정해주셔야 될것 같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COVID-19의 치료법이 아니라 확산범위를 줄이고 그 속도를 낮추는것에 있습니다.
강제성이 없는 스웨덴의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은 어떻게 보면 방임하는것과 별다를게 없습니다.
인용하신 OECD 인구 1000명당 병상 개수를 고려한다면 스웨덴의 이런 강제성이 없는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은 매우 잘못된 선택이라고 보여지는데 이것을 과연
스웨덴 정부의 최선의 선택이라고 말할수 있을까요?
저 또한 미국에서 아주 힘든 시기를 겪고 있지만 현재 미국에서도 일부 주에서
강제성이 없는 Stay at home order가 시행중이고 이로 인해 주마다 apex가
오는 시기가 달라질수 있다고 매우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유럽대륙이 지금 하나되서 전염을 막고 나라간의 전파를 최소화해되야될 상황에서
스웨덴 정부만의 독단적인 정책결정은 방임 혹은 방치가 아닐까 걱정됩니다.
@kevinbaek9726 15
2020년 4월 10일 12:51스웨덴 = 일본 -> 검사받기 힘듬, 셧다운 안함, 격리자에 대한 관리가 없음, 국제적으로 통계의 신뢰를 받지 못함(폐렴 환자 코로나19 검사 안함)
@greenwood7605 15
2020년 4월 09일 20:23완화전략의 핵심이란 것이 결국 집단면역으로 귀결되기 때문입니다.
따지고 보면 한국처럼 역학조사를 꼼꼼하게 할 수없는 여건이라면, 어쩔수없이 완화전략으로 가야 됩니다.
독일마저도 같은 개념인데.. 독일의 경우는 역학조사 부분을 제외하고 방법론적으론 한국식 모델에 가깝습니다.
영국 존슨때문에 완화전략을 그냥 집단면역이라고 부를만큼 친숙한 용어가 되었지만,
의미의 범주가 완화전략 > 집단면역 정도로 해석하면 될 것 같습니다.
스웨덴의 방역대책은 본래의 완화전략을 위해 가용한 의료시스템과 스웨덴국민들의 자율성과 통제력을 믿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가 정확한 표현이겠지요.
그런데 이 속에 포함되는 것이 항체형성 결국 집단면역 개념이 됩니다.
완화전략이 순수한 의미에 가까울 수록 자율성을 강조하고 정부의 통제를 거부하게 되니..
스웨덴의 이러한 대응이 상대적으로 국가가 강력하게 개입하는 주변국들과 비교되는 것이지요.
지금은 스웨덴도 현실적 노선으로 방향을 튼 상태이니.. 이제 이런 집단면역의 논쟁은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그렇지만 현재의 모습이 바뀌었어도 관성적으로 입에 붙는 용어가 집단면역이기는 해요.
개인적으로 스웨덴의 방역대책은 아쉬움이 남으나 그들이 선택한 것이니 그들의 선택과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있습니다.
제3자로선 어차피 그 선택의 결과가 어떤 결과와 통계로 증명되는지.. 나중에 그 점에 대하여 토론할 수는 있겠지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시나브로-x9s 14
2020년 4월 09일 19:52영상 잘봤습니다 제생각엔 스웨덴이 비교 해야될 나라는한국이 아닌 핀란드 입니다
스웨덴에 게신분들은 다들그리 말씀 하시는데 핑계로 보이네요 자유가 아닌 방종인듯 그러는 사이 나로인해 다른 사람이 피해 볼수있을듯 합니다 어쩐지 일본 보는 느낌이드네요
허영자 14
2020년 4월 11일 02:51전쟁 중에서 가장 무서운 적 나와 적대시 하고 있는 상대방이 아니라 나와 가까이에 있는 동료들입니다. 대부분의 외국에 나가 있는 분들의 공통적으로 나타는 부분입니다. 그 나라에 동화되서 객관성을 잃어버립니다. 지금 유튜브에 영어로 스웨덴 코로나 치면 스웨덴의 집단면역 문제점과 폐쇄(이동금지)를 왜 안 하는지를 다른나라 언론들이 비난하고 있습니다. 그 뉴스영상들을 보면 스웨덴 국민들은 평소와 다르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마스크도 쓰지 않은채로요. 집단면역이 스웨덴 정부 공식 정책이 아니라고요? 그러면 스웨덴 정부는 무엇을하고 있고 외국언론들은 왜 스웨덴을 비난하고 있는걸까요?
짜장곱배기 13
2020년 4월 12일 22:48연PD님이 말씀하신게 집단면역에 대응되는 전략들인데..ㅡㅡ;; 한국뿐만 아니라,미국, 영국 등 유럽의 많은 나라가 스웨덴은 집단면역 체계라고 말했어요. 트럼프 대통령까지 그렇게 말하니까 스웨덴 총리가 집단면역이 아니라고 해명은 했지만, 집단면역이든 아니든 사실 그게 중요한것도 아니고 의미도 없습니다. 그런 오해가 생길정도로 스웨덴의 대응전략은 방관에 가까울 정도로 너무나 준비가 안되어 있고, 느리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그나마 대책이란것도 참 머랄까요...흉내내는 수준, 수박겉핥기로 밖에 안보여요. 사회적 거리두기 하면 뭐합니까? 지금도 시내나가면 마스크 쓴 세끼 한명도 없을걸요? ㅋㅋㅋ
.
시민인터뷰 영상도 몇개 정도 봤는데, 위기감이란게 전혀 없어요. 사망자 늘어나고 폭증하니까 최근에서야 조금 자제하는정도죠.
한국처럼 봉쇄제한이나 이동제한 없이 방역대책을 추진하려면 상당한 준비가 되어 있어야해요. 충분한 개인방역 장비가 갖춰지고 시민의식 수준,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와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정신 등 여러가지 기초기반들이 갖춰져야 합니다.
근데 스웨덴의 경우 의료기반시설도 약하고, 장비, 인력, 생산기반시설 등 모든면에서 부족한 상황에서 이런 정책을 시행한다는건 이해하기 어렵죠. 더군다나 다른나라보다 제일늦게 전파가 되서 얼마든지 다른나라에서 대응하는 정책들에 대해 배울수 있는 시간이나 물적자원을 확보하기에 충분했거든요. 근데 그 시간동안 미리 대비를 한게 아무것도 없어요. 강건너 불구경만 한건지 어쩐건지 모르겠지만,
봉쇄나 이동제한은 근본적인 대책일 수는 없습니다. 다만, 단기적으로 바이러스의 전염속도를 늦출수 있고, 그 시간동안 바이러스에 대한 이해와 개인방역, 장비, 인력, 의료인프라 등등 바이러스와 싸울 준비를 갖추는데 필요한 시간을 벌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유일한 조치입니다. 봉쇄나 이동금지 조치는 장기적인 대책은 될 수 없다는거, 국민의 자유를 침해하고, 경제적 타격을 심하게 받을 수 있으며, 사회적 부작용이 많아서 오래 유지하기 힘들기 떄문에 실시하더라도 필요한만큼 최소화 해야 되는데, 미국도 그렇고 그냥 형식적인 조치에 불과한 느낌...
그리고, 스웨덴이 모델로 삼은 나라가 그 많은 나라중 하필 일본이라는 점도 .... 악재입니다.
그래도 일본은 올림픽하려는 목적에서 의도적으로 그랬다하지만, 스웨덴은 왜 따라해서.....
한국 사람들 시민의식은 말할것도 없고, 이번 사태와 관련하여 지식수준이 굉장히 높아요. 어설프게 얘기하면 역풍맞고 떡실신합니다.
김유빈 12
2020년 4월 10일 21:11우리가 본 기사들이 자극적이다고? 사망한사람들 보면 지금시각800명인데? 사망한사람만봐도 스웨덴 집단면역 망한건데 어떻게든 옹호하려 애쓰는거 불쌍하다 스웨덴 마스크는 쓰나 사망한사람만봐도 망했다 아줌마야 집단면역은 최후의 수단이 좋을거 같은데 검사수 늘리면 알겠지 ㅋ
SuperWildland 12
2020년 4월 10일 07:24스웨덴이 조명받는것은 테스트의 숫자가 문제입니다. 주변국인 덴마크의 확진률은 8.5%정도, 핀란드 8% 정도인데 반해 스웨덴은 20%가 넘는데 계속 사람들을 내보내서 점점 장기적불황으로 이끌것이라는거에요. 한 4주는 어차피 social isolation이 필요한 질병입니다.
@붕어마름 12
2020년 4월 12일 19:52영국이 그렇게 하다가 포기한건데. 정확한 용어를 직시하지 않았다고 인포데믹이라고만 할 수만은 없지 않을까...기사낸 것도 영국 언론이 처음 아니었나요???
smile Lee 12
2020년 4월 10일 19:42전문가 집단의 말에는 귀닫으면서 했던 초동실패로 코로나사태를 키웠는데 정부의 대응이 훌륭하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동의하기 힘드네요
@aflyingwhale 11
2020년 4월 14일 17:23flattening curve를 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검사와 격리 생활방역이 준수되어야 하는데, 스웨덴은 아무것도 안하는데....스웨덴 보건청 코로나19 검사 대상자를 의료종사자 또는 증상발현자로만 국한되어 있는데, 어떻게 이 정책으로 서서히 늦출 수 있는가요?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니, 집단면역 정책을 하고 있지 않다라고 하는건, 중국정부가 우한 지역 시민을 눈을 가리면서 대처한것과, 일본이 올림픽 이전까지 방역대책이 잘되고 있다라는 거짓 정책과 무엇이 다른가요? 스웨덴이 복지국가 선진국이라서, 그곳에 살고 있는 교민이 왜 대변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이것이 무슨 인포데믹이죠? 해외 유수언론매체에서도 계속 언급되고 있는데....결정적으로 무증상자에 대한 대비도 하나도 하지 않는상태에서, 이게 무슨 방역대책인가요? 전 연pd라는 사람이 사회적 거리 두기의 개념을 잘못된 안드로이드 통계를 접목시켜 인포데믹을 퍼뜨리는것 같네요. 사회적거리가 단순히 너 와 나 거리두기가 다 인줄 아는데, 사회적거리두기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광범위한 검사를 전제로 한 상태해서나 가능한거지, 제한된 검사에서 가능하지 않아요. 한국 첫번째 확진자 임상기록을 보면 1~3일째 된 날에 제일 바이러스 검출이 많다고 합니다. 즉 마스크도 안쓰고, 무증상자에 대한 격리도 안해, 하지만 경제활동은 해. 텅넬이라는 보건청장의 처음인터뷰부터 보고있지만, 거히 한달이 되어가도 변한게 없습니다. 핀란드 보건소장이 이런말을 했습니다. '핀란드는 사람을 선택했고, 스웨덴은 경제를 선택했다.'
@TV-mh5rn 11
2020년 4월 09일 20:05복지선진국이라는 스웨덴 그동안세금걷어 의료쪽신경은 안썼나보네요 죽을거같이아퍼야 부를수있다니
@nupttics 11
2020년 4월 11일 20:09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인데요,
국가는 최대한 많은 사람을 살릴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비록 준비가 부족하고 시설과 장비가 없어서 힘들더라도 어떻게든 해보려고 노력해야 된다고 봅니다. 하지만 스웨덴 정부는 너무 무책임해 보입니다. 이대로 하면 너무 많은 사람이 죽을 게 뻔하잖아요.
생명보다 소중한 것은 없습니다.
단지 나이가 많다고 기저질환이 있다고 해서 어떤 관리나 치료도 제대로 못 받고 죽어야 하는 걸 받아들여야 되는 상황이라니요. 그것도 세계에서 복지제도가 가장 잘 발달되어 있다고 하는 스웨덴에서. 죽은 사람들의 가족들의 분노와 슬픔, 원망을 너무 가볍게 보는 게 아닌가요? 다른 치료법이 없어 죽는 환자와 그 가족들이 죽음을 받아들이는 마음과는 너무도 다르죠.
ᄋᄋ 11
2020년 4월 09일 17:21그냥 아무것도 안하는건 아니었구나...
@llolololol 11
2020년 4월 13일 12:21말장난임. 결국 일본과 동일함.
이민 10
2020년 4월 13일 12:00스웨덴이 왜 욕을쳐먹는지 근본적으로
이해를못한다 자기가 사는곳이라서 옹호하는것은 이해가 돼지만 초기스웨덴
당국의발표를 몰라서 이런옹호 영상을 올리는것인가? 그리고 스웨덴 자체가
친일인것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알고있다
@늘푸른말리꽃 10
2020년 4월 14일 20:52스웨덴에서 우리는 면역을 키울것이다 라고한게 집단면역을 인정한거 . 말은 집단면역아니라고하면 그게 다는아님 ㅎㅎ 대놓고 말을 안할뿐이지 나중에 책임을 못지니깐 그래서 그런거지 일본하고 거의 흡사한 방식 검사를안하고 버티는게 그게 집단면역임 핑계일뿐이죠
woo choule ho 10
2020년 4월 10일 16:13스웨덴 사망자 687명 사망률 8.2% top 6 급임.....이정도면 타 국가에 비해서 헬....이라고 봐도 무방방
@rosematin7171 9
2020년 4월 10일 15:16스웨덴 시민들이 정부에서 락다운을 하지 않아 이동권을 제한하지 않는 것에 대해 감사해하고 있다는 점이 놀랍네요. 사망률이 엄청 높은데도 그렇게 생각한다는 게..... 다른 나라 사람들이라고 집안에 갇혀 있는 게 좋아서 락다운하는 게 아닙니다. 너무 늦어서 바이러스가 퍼질대로 퍼졌는데 그거라도 하지 않으면 점점더 감염이 심해지고 사망자는 더 늘어날테니까 할수없이 락다운하는 거잖아요. 그런데 스웨덴인들은 락다운 안하고 돌아다닐수 있어서 정부에 고마워한다고요?
방구석 9
2020년 4월 11일 01:31사회적거리두기를 하면 집단면역전략을 포기한 것인가? 집단면역전략을 공식적으로 선언한적이 없다 우리는 지연전략을 취할 뿐이다.. 그 지연전략이란게 국민의 60프로가 감염되는 속도를 줄이자는 전략인데.. 용어를 다르게 한다고 집단면역전략이 아니라고??? 똥을 눈게 아니다 대변을 보았을뿐.. 그러니 똥을 누었다는 소문은 가짜뉴스.. 이걸 이야기 하고 싶은 건가? 가장 큰 문제는 스웨덴이 단기간 확진자수 증가속도를 늦출 수 있어도 감염속도를 제어할 수 없는 정책을 사용한다는 건데 2달안에 뽀록날 정책을 두둔하는 사람들은 뭔지????스웨덴정부가 아무리 언플해도 왜 독일이 그토록 비판하고 있는지 알려고 노력하길 바랍니다. 스웨덴정부의 정책 아베의 정책과 질적인 차이가 있나요? 아베도 드라이빙스루도 도입하고 검사수도 확대한다네요. 폐렴사망자는 압도적으로 늘어났는데 사후검사도 안한 주제에 코로나치명사는 잘 관리하고 있답니다. 아베의 코로나 정책은 믿을만 합니까?
@이꾸에꾸-c6l 9
2020년 4월 16일 15:25그렇다고 하기에는 스웨덴 치명률이 너무 높아요.
4/16 기준 스웨덴의 확진자는 11,927명으로 한국의 10,613명이랑 비슷합니다.
그런데 스웨덴의 사망자는 1,203명으로 한국의 5배가 넘습니다. 스웨덴 치명률이 10%가 넘는거죠.
케케TV 9
2020년 4월 09일 17:23정보의 불균형이 참 안타깝습니다
누가 그렇게 보도 한건지
hang dok 9
2020년 4월 11일 20:53지금 스웨덴 조치가 "집단면역"이라 언론에서 집단면역이라 부르는 거예요..
스웨덴 에서 거주하시는 분들에겐 당연히 귀에 거슬릴꺼라 생각하고요..;;
사실 스웨덴에서 거주하시는 분글이 걱정스러운거예요..
한국의 경우 "31번 확진자"가 들어난게 정부의 방침인 "폐럼 환자 전수 조사" 때문에 들어 난거예요..
당시에 그런 방침이 없었다면 아마 전국에 전염병 창궐 후에 들어났을 겁니다..
제가 보기엔 스웨덴도 폐럼환자 전수 조사 해야 해요...요즘 사망자가 너무 많아 걱정스럽거든요...
인구가 그렇지 많지 않으니 우선 진단키트로 병원환자나 외래환자들 중 폐럼환자 전수 검사 후 핀란드처럼 우리나라로 보내 결과를 확인 하는게 스웨덴 내의 의료진 부담을 줄이며 검사하는 방법 중 하나예요..
그래서 환자가 나오면 병증 차등해서 고위험군만 병원에서 관리하면 되는 것이고요..
지금처럼 정부가 수동적으로 움직이면 앞으로 더 많은 사망자가 나올 수 있으니 걱정스럽습니다...
스웨덴에 계시니 한국에 있는 가족분들 계시면 kf94마스크 보내달라고 하셔서 외출시 마스크 꼭 쓰세요...
마스크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가능한거거든요.. 요즘 스웨덴에선 마스크 쓰고 다니는지 개인적으로 궁금하기도 합니다..
어쨋든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user-xe6zy6sr8d 8
2020년 4월 09일 23:00언론은 좀더 중립적이어야 하는데 한국의 보도가 아쉽네요. 좋은 정보를 봐서 좀더 스웨덴을 이해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요즘 너무 자극적으로 방송한는 유튜버가 많아지는데 바로 잡아주는 이런 방송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정성우-d3k 8
2020년 4월 13일 17:344:10 저게 통제를 안하고 방치하는 거다. 더 적극적으로 통제해야지. 저러는 건 그냥 포기했다고 하는게 맞음.
사도 8
2020년 4월 11일 07:10연pd님이 대한민국에 없어서 뭘 잘못 아시는거 같은데 구글 사회적 거리 조사도 우린 철저하게 동선 다 파악해서
철저하게 겹치는 사람 다 코로나 검사 소독해서 국민들이 안심해서 저렇게 안떨어진거지 스웨덴이 우리처럼 하고 있나요????그리고 집단면역 뉴스는 다 유럽뉴스 받아쓴게
우리고요 그이웃 국가들이 화가나서 저렇게 조롱하듯 기사를 쓴단 말입니다.. 왜 화가나있을까요????초반 검사수가 노르웨이는 10만건 덴마크는 5만건 스웨덴은 4만건입니다
보건안보지수가 그 이웃나라보다 더 높은데 말이죠.....역량 충분한 나라에서 사망자는 많고 검사수는 적으니 그이웃나라가 화가 엄청나 있는거지죠 우리가 일본 이해못하듯
그 이웃나라도 화가 엄청나서 조롱하듯 기사를 냈단말이죠 당연 자기나라 집단면역이라고 뉴스는 안내죠,,,,다 이웃나라 화가난 국가언론들이 조롱하듯 뉴스 낸단말입니다
우릴 이해시킬께 아니라 영어로 제작해서 그 이웃나라 기사가 안나도록 이해를 시켜야죠 우리야 받아쓰는 언론들 뿐이라 질문도 못하는 기자들인데........
유리베 8
2020년 4월 15일 03:43답답해 하는 사람 많네요 ㅎ
이해 합니다.
스웨덴 정부가 손놓고 있는건
그나라 수준입니다.
열내지 마세요
아짱나 8
2020년 4월 09일 18:04아! 연피디님이 스웨덴에 계시니 상황을 잘아시겠네요. 이렇게라도 얼굴뵈니까 반갑네요. ㅎㅎ
@mkj5650 7
2020년 4월 09일 22:08재난에 준하는 위기속에서는 정부가 주는 메세지는 명확해야 합니다.. 전세계로 퍼져 나간 메세지가 중요한 게 아니고 스웨덴 국민들이 받아 들이는 메세지가 중요하죠..특히 4번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는 상당히 모순적입니다..아마도 스웨덴 국민들은 이 조항 때문에 정부의 방침에 지지를 보내겠죠.. 다른 나라가 스웨덴을 어떻게 보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스웨덴 국민들이 코로나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느냐가 중요하지 않을까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라고 봅니다..국민에게 인기가 없더라도 국민을 위해 무엇이 더 좋은 정책인지???
@seoyoungyang123 7
2020년 4월 14일 20:52BBC에서 스웨덴 집단면역이라던데 BBC가 님들보다 잘알지 않을까요? 한국뉴스도 정확하게 분석해서 잘 보도하던데
영국에서도 원래 집단면역하려고 했었고요
Bs Kim 7
2020년 4월 10일 06:50쉴드쩐다. 뭔말인들 못할까
일본도 그쪽하는 이상으로 잘대처 한다고 난리야
4/9현재
확진자 9139
사망자 793 (8.68%)
이건 어찌설명 할래 ? 개판이라는 얘기야.
무튼 당신 말마따나 최선으로 잘하고 았는 스웨덴에서 있어
세금도 건보료도 한푼 안내면서 한국 겨들어 올라고 하지 말고.
@jichan1123 7
2020년 4월 09일 17:21오옷 이방인일기에서 보던 유튜버님이시네요☺👍👍 초기단계에서 좀 더 신속히 대처했더라면... 안타깝네요.
@황문연-k5o 7
2020년 4월 12일 01:20무슨 말장난인가? 아픈면 자가격리하라는건 아프기전에 접촉한 사람들에게 전파하고 또 전파하고 이것 자체가 방조인데 참내 어이없네
그래 집단면역대신 집단방조라고 하면 되나?
@hillahillaa 7
2020년 4월 11일 14:42정부가 국민을 현재 방치는 안하지만 초기대응을 아예 안했다는거네요.... 그에대한 스웨덴 정부의 무능함은 비난을 피할순없을듯
@lagnala6389 6
2020년 4월 15일 01:19딱 일본인데....일본 곡소리 안들리나요?
@방구석-u2y 6
2020년 4월 10일 22:47조삼모사에 대해 불만이 나오니까 스웨덴 정부가 조사모삼라 하니 만족하는 스웨덴 국민들.. 그리고 거봐 7개 주는 정책이 아니잖아.. 거짓정보에 속지말자 라고 말하는 자칭 팩트첵커.. 어처구니가 없다
@chihuahua70 6
2020년 4월 11일 14:10아무것도 안하긴 했네 대응전략 4가지라도 있는거 보니 ㅋㅋ 근데 현재 4월 11일 기준 실질 확진자 8400명, 하루 증가량 700명, 사망률 8.7% 인거보니 그정도 전략으론 안될거같은데.. 스웨덴은 정부뿐 아니라 시민의식도 문제라서 쉽지않겠다
zeyamusik제야뮤직 5
2020년 4월 11일 17:29안녕하세요! 스웨덴 교민 제야입니다. 연PD님 고마워요! 여러분 우리가 싸워야할 것은 바이러스지 다른나라들이 아닙니다. 모두 힘내시고 건강하세요!
@hunjiklee2588 5
2020년 4월 13일 00:36글쎄요 다르나라는 역학조사 하는데 스웨덴 안하죠 그게 집단면역이예요
@pokjunam2163 4
2020년 4월 16일 20:51어짜피 초기에 잡지도 못했으며 안일한 방법으로 국민들 생체실험하다 아차 아니다 싶어 조금 선회한것뿐 또한 죽는 숫자또한 지금 검사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은 이유 사망자는 계속 증가 이걸보고도 .. 앞으로 상황은 인구도 적은 스웨덴은 국민들 생체실험하다 학살로 마무리하는 느낌이네요.. 또한 국력도 많이 내려 앉겟죠..
@goldpig4286 4
2020년 4월 09일 17:31연피디님이다!ㅎㅎ건강한모습뵈니 안심이네요.뉴스에서 스웨덴얘기나와서 걱정했는데...건강 유의하세요!!
김상영 3
2020년 4월 09일 17:39좋은정보 감사합니다.
@dreliotk 3
2020년 4월 16일 22:35영상 만들면서 알아보니까 스웨덴 학자들이 결국 한국처럼 해야한다고 백기를 들었네요 역시 한국 대단합니다
@kimjonghwan76 3
2020년 4월 12일 21:43주변국 대비 스웨덴이 사망률 가장 높아지며 실제로 검증된 지금...그 이유는 스웨덴 국민들도 며칠전까지도 이런 바보스런 생각을 하고 있었던것이 사태를 더 가중시켰을지도요
@세티스파잉 3
2020년 4월 10일 18:50경제보단 사람 목숨이 우선 입니다.
대중교통.공공장소 이용시 마스크 착용, 자가격리 위반자 엄벌 등은 가능 할텐데 아쉽군요.
@사사오입-n1l 3
2020년 4월 16일 16:14겨우 인구가 1000만면 밖에 안 되는 나라에서 사망자가 1000명 이상 나왔으면 그건 코로나 대책이 완전히 잘못된 겁니다..
일런 결과가 아프리카도 아니고 복지국가란 스웨덴에서 나온 결과라면 누가 믿을까요?
왕엘리 3
2020년 4월 13일 17:30베리칩 받은 민족
@장레이-v7i 3
2020년 4월 10일 20:03공식은 아니더라도 비공식적으로..좀 안타까운 부분이 있네요..
한국처럼 무증상 환자들까지 끝까지 추적해서 검사한다든지..환자발생전 노인시설 위주로 선제적으로 검사를 한다든지 하는 공격적검사를 동반한 국민 개개인에게 내려져야할 지침들인거 같은데... 한국이 셧다운없이 경제와 방역을 동시에 성공적으로 이끌기위한 국민지침들은 국가가 최선으로 방역에 힘쓰고있을때 가능한것임!
@까망-c2t 3
2020년 4월 12일 10:06집단면역전략은 아니더라도 방어적인 전략인건 분명합니다.우리나라와 미국 영.이.프.스페인 독일등등 공격적인 방역과는 차이가 있네요.현재 일본이 취하고 있는 방역시스템과 비슷해 보이네요.방어적으로밖에 할수없는 이유는 그 나라 병원시스템 붕괴우려가 있는것을 방지하기 위한것같아요.
@aa-rp8ol 3
2020년 4월 09일 20:41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Max 2
2020년 4월 10일 09:08자극적인 단어만 하나 나오면 앞뒤 다 잘라먹고 그게 핵심이고 전부인양 보도하는 기레기들이 전세계에 있네요. 스페인 요양원도 다 싸잡아 욕하고 상관도 없는 스페인 의료진들까지 인면수심이니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욕하는 사람들 천지였어요. 대중을 무지에 빠뜨리고 국가간 이간질을 부추기는 기레기들이 문제임
@zoo3358 2
2020년 4월 19일 05:31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Jinsoo Park 2
2020년 4월 13일 02:48많은 분들이 오해를 하는거 같아 안타깝습니다. 제 스웨덴 친구도 외국에서의 평가를 이해 못합니다. 서로 다르다고 업신여기거나 욕하는 것은 또 다른 인종 차별이 될 수 있습니다. 모두 그것에 대한 경각심은 가져주셨으면 합니다. 그런것들이 나중에 안 좋은 평가로 우리에게 돌아 올 수 있습니다.
Sally W 2
2020년 4월 11일 19:57국뽕에 취한 정보들이 자극적으로 나돌고 있어요...
국뽕도 정도껏 해야하는데, 다른 나라를 비하하면서 조롱하는 듯한 자극적인 영상들이 마음을 불편하게 하더군요..
건전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
스웨덴의 코로나 정보에 관해 외곡된것을 잘 알려주셨네요~
건강하세요!
In Song 2
2020년 4월 09일 17:50와우 연피디님. 완전 말 잘하시네요. 완전 멋져요.
삥삥얍 1
2020년 4월 12일 06:10스웨덴 정부,,,국민 1,000만명을,,,,,,,,,,실험용 쥐로,,,,,잘사는 나라 몰~살,,,스웨덴,,,,유럽에서,,,인구대비,,,,몰~살중이다,,,,,,,한국 감염자 10,000명 보다,
스웨덴 사망자가,,,4배 가량 많고,,,,,,한국 5,100만명,,인구다,,,,,,,,,,,,,,스웨덴,,,1,000 만명 치고는 감염자도 많다,,,,실험용 쥐는 몰살이다
테라TL 1
2020년 4월 15일 18:59잘 이야기 하는 군요. 이게 당연한 결과죠. 하지만 한국에 지원을 요청한다든지, 적극적으로 다른 방법을 찾는 노력은 했어야 된다고 봅니다. 그러면 병상이 적어도 사망자를 최소화 할 수 있겠죠.
@블레이드마스터-y3v 1
2020년 4월 15일 13:32일본이랑 비슷하네 죽을만큼 아파야 검사 근데 그쪽 세금도 미친듯이 걷는데 대응이 참 거시기하네요
문진성 1
2020년 4월 10일 16:43연pd님 멎져~♥
@꾹꾹토끼 1
2020년 4월 13일 00:30한국은 지금 잡혀가고있고 스웨덴은 이제 시작인데 시기적으로 지금을 비교하는건 좀 억지스럽지만 스웨덴이 그나마 거리두기를 하고있어 다행입니다 그런데 제발 면마스크라도 썼으면 좋겠어요ㅜㅜ치료를 포기했다면 예방이라도 철저히 해주세요 힘내시구요...화이팅
@hojoongkim1435 1
2020년 4월 24일 16:20인구가 천만명 쪼금 넘는데 벌써 거의 2000명이 죽엇음... 땅 넓어서 인구밀도고 낮고 사람도 없는데 어찌 이럴수 있는지...
@럽애플민트 1
2020년 4월 28일 13:40지들끼리 잘 알아하겠죠.
뭐가 답인지...
테라TL 1
2020년 4월 15일 18:59잘 이야기 하는 군요. 이게 당연한 결과죠. 하지만 한국에 지원을 요청한다든지, 적극적으로 다른 방법을 찾는 노력은 했어야 된다고 봅니다. 그러면 병상이 적어도 사망자를 최소화 할 수 있겠죠.
뮤게
2020년 5월 06일 14:01전국민이 약자 노약자 죽는 것에
암묵적으로 동의한 살인자국가.
Anthony Lee
2020년 4월 11일 12:41업데이트된 스웨덴소식을 언론이 빠르게 전해주지 않은건 문제지만.. 초기에 경제피해를 줄여보려고 소극적으로 대응했던것들이나 마스크는 불필요하다라는 테스트를 과잉으로 하는건 불필요하다식의 거짓말을 한건 팩트가 맞잖아요.. 마스크가 없으면 의료품의 제조업인프라가 부족하면 투명하게 밝혀야죠.. 테스트를 획기적으로 늘린다는데 거짓이라고 봅니다.. 일본도 그렇고 투명성을 가져가는건 상당한 용기가 필요한건데 스웨덴정부는 정직하지도 않고 능력도 없죠.. 핀란드의 발빠른 움직임이나 덴마크정부의 솔직한 대처와 분명 차이가 큽니다..
스웨덴사람들이 경각심없이 활기를 띄고 있다 물론 아니겠죠 그얘기 나오고 시간이 한참지났는데요.. 우리나라 메르스때도 그랬는데요.. 멍청한 정부가 정신차리고 똑바로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준비된정부가 아닌이상 태세가 전환된다고 변화가 오지 않습니다.. 미국이나 일본 보고 있지 않습니까?
무엇보다 스웨덴정부는 투명성이 없기 때문에 힘들다 봅니다.. 물론 스웨덴소식을 업데이트하는것은 가짜뉴스확산을 방지하기위해 꼭필요하다고는 봅니다..
JUNjjang
2020년 5월 21일 18:52스웨덴은 복지선진국이라던데 세금 걷어서 어디다 다 쓰는건가요? 정부에서 비상시 대비해서 긴급재난자금 같은거 있지 않나요? 의료장비가 부족하면 다른나라에서 빨리 조달해야지..미국봐요..얼마나 여우같은지...프랑스,영국으로 갈 의료장비 검사시트 공항에서 싣기도 전에 중간에서 자국으로 먼저 막 빼돌리잖아요...
Anthony Lee
2020년 4월 11일 12:41업데이트된 스웨덴소식을 언론이 빠르게 전해주지 않은건 문제지만.. 초기에 경제피해를 줄여보려고 소극적으로 대응했던것들이나 마스크는 불필요하다라는 테스트를 과잉으로 하는건 불필요하다식의 거짓말을 한건 팩트가 맞잖아요.. 마스크가 없으면 의료품의 제조업인프라가 부족하면 투명하게 밝혀야죠.. 테스트를 획기적으로 늘린다는데 거짓이라고 봅니다.. 일본도 그렇고 투명성을 가져가는건 상당한 용기가 필요한건데 스웨덴정부는 정직하지도 않고 능력도 없죠.. 핀란드의 발빠른 움직임이나 덴마크정부의 솔직한 대처와 분명 차이가 큽니다..
스웨덴사람들이 경각심없이 활기를 띄고 있다 물론 아니겠죠 그얘기 나오고 시간이 한참지났는데요.. 우리나라 메르스때도 그랬는데요.. 멍청한 정부가 정신차리고 똑바로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준비된정부가 아닌이상 태세가 전환된다고 변화가 오지 않습니다.. 미국이나 일본 보고 있지 않습니까?
무엇보다 스웨덴정부는 투명성이 없기 때문에 힘들다 봅니다.. 물론 스웨덴소식을 업데이트하는것은 가짜뉴스확산을 방지하기위해 꼭필요하다고는 봅니다..
@HennryK-c5s
2020년 4월 28일 07:23연pd님 발음 또박또박 멋있어요. 좀더 빠르게 말하시면 더 좋을것 같아요
ho ki kim
2020년 4월 09일 20:50감사합니다
hyon chung destin
2020년 9월 20일 04:27한국보단 낫네요 지금 질본이 하고있는건 아마츄어로만 보이네요
JUNjjang
2020년 5월 21일 18:52스웨덴은 복지선진국이라던데 세금 걷어서 어디다 다 쓰는건가요? 정부에서 비상시 대비해서 긴급재난자금 같은거 있지 않나요? 의료장비가 부족하면 다른나라에서 빨리 조달해야지..미국봐요..얼마나 여우같은지...프랑스,영국으로 갈 의료장비 검사시트 공항에서 싣기도 전에 중간에서 자국으로 먼저 막 빼돌리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