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집은 다이아몬드로 지어지나 봅니다. 내가 사는 강남 3구 중 한 곳인데 세월은 못 피합니다. 이미 초고층화 재건축된 곳 미래는 어찌될까요. 그리고 수치로도 나타나지만 주위를 봐도 초고령화 심각해지죠. 노인들에게 현재 1년의 기간은 젊은이에게 1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난 만큼 체력이 떨어집니다. 젊을수록 사람들이 착각하는 게 인생이 영원할 줄 알아요. 인구감소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임계점에 이르면 주택이 문제가 아닐 겁니다.
와 진짜 신기해요 박사님은 역시 다르시네요 대전->세종->아산->천안 이렇게 이사다니며 살고있는데 잘모르는 사람들은 저 도시들을 충청에 거리도 비슷비슷하다보니 같은 생활권 느낌이라고 생각하더라구요 그런데 실제로는 세종은 대전하고 생활권을 공유하고 천안 아산하고는 너무 멀어서 그닥 교류가 없어요 천안아산은 오히려 경기도+수도권 생활권이더라구요
김박사가 일본과의 비교에서 간과하고 있는건 일본보다 한국은 더 많은 레버리지로 아파트를 마치 추식투자하듯이 몇채씩 보유하고 있는 빚쟁이들이 많다는 점입니다. 일본은 비록 집값이 대출금 저 아래로 떨어져도 달랑 살집이라 울며 겨자먹기로 안팔고 버텼지만 지금 평당 1억까지 올려놓은 아파트 가격이 현재상태에서 오르지않고 횡보만 하더라도 그것을 감당할 집 주인들이 얼마나 될까요? 예를 들어 압구정현대 70억아파트면 1년에 4%이자수익만 봐도 2.8억의 기회손실 + 보유세입니다. 과연 강남 초대형 아파트의 수요가 1년에 3억을 주거에 지불하고도 살아남을 부자들이 많을까요?
부자가 무한정 있는게 아니라는게 함정. 그리고 집값이 아주 조금씩 올라줘도 못견디는 투자자들 많다는게 함정.
GTX여도 A노선은 황금노선(삼성역,서울역까지 몇분까지 가느냐, 판교(분당이매)에 정차하는가 중요)이고 교통이 아예 없던 동네에 내년에 개통하니 좋은데, B나 C노선은....그냥 지하철 급행수준.. 서해선 김포공항 -> 9호선 갈아타는데 7분 걸림. 근데 엘베도 있어서 괜찮음. 김포공항에서 수화물 찾고 대곡소사선,9,5호선 스크린도어까지 10분 걸림(어디나 비슷). 서울은 너무 비싸다. 경기도 GTX-A 등 5개 노선 환승역 도보10분, 평지, 3천세대 신축 대단지 아파트가 될 빌라(재개발). 현재매우저렴. 어딘지는 비밀.
충북혁신도시 주민인데, 인구가 늘어나는건 맞는데 그 늘어난 인구가 대부분 외국인 노동자입니다. 그리고 충북도에서 유치하는 기업이 R&D연구관련 회사가 아니라 대부분 제조공장입니다. 화학, 식음료 등.............. 그리고 공기 좋다고 하셨는데.. 화학공장이 너무 많아 새벽에 역한 냄새가 많이 납니다..
@대왕광개토-n4f 131
2023년 7월 06일 22:14외국인의 60-70%는 쨔장면임. 외국인 이민을 가장한 조선족 및 중국인이 차이나타운을 형성하고 선거권까지 가지면 짜쟝면 나라가 되는거는 시간문제임........ 외국인 이민을 굉장히 안이하게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음.
@hermodKIMShiduck 71
2023년 7월 06일 20:36이번에 [김작가 TV]에 처음으로 인사를 드렸습니다.
산뜻하고 유쾌한 인터뷰를 진행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 )
@별빛-q8r 47
2023년 7월 07일 10:00강남 집은 다이아몬드로 지어지나 봅니다. 내가 사는 강남 3구 중 한 곳인데
세월은 못 피합니다. 이미 초고층화 재건축된 곳 미래는 어찌될까요.
그리고 수치로도 나타나지만 주위를 봐도 초고령화 심각해지죠.
노인들에게 현재 1년의 기간은 젊은이에게 1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난 만큼 체력이 떨어집니다.
젊을수록 사람들이 착각하는 게 인생이 영원할 줄 알아요.
인구감소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임계점에 이르면 주택이 문제가 아닐 겁니다.
@younjidoh2423 46
2023년 7월 06일 21:34해박한 지식과 경험에서 나오는 현실적인 부동산이야기 너무 재미있어요 감사합니다~^^
@문과생이하는코딩 45
2023년 7월 06일 22:14이런 양질의 정보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dlghwns12 30
2023년 7월 07일 20:12이런매체들이 늘어나기때문에 집값이 빠질수가없음 아니 갭투기로 호가올리고 여러매체로 홍보하고 이런게 반복적으로 나오니 가계부채가 올라갈수밖에 없음 이러다 언젠가 한번터질듯 그땐 도미노폭락 피할수없을듯.
@가우디-e6k 23
2023년 7월 06일 20:21역시 김시덕박사님.
@shimso99 19
2023년 7월 07일 07:06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저도 GTX 완전 공감합니다! 상급지만 더 오른 다는 이야기는 다들 많이 하지만 gtx 문제를 지적하시는 분은 처음 봤네요
@gts9337 19
2023년 7월 11일 14:22서울을 동경,런던,파리,뉴욕과 비교하다니...체급이 다르다. 그리고 인구 감소도 그냥 인구감소가 아니라 0.78명이다. 그냥 소멸이다. 전제가 잘못 되었으니 답도 잘못 될 수 밖에..
@hyunjookim6521 18
2023년 7월 18일 22:25정말 똑똑한 사람들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유듀브 정말 좋아요~~❤
@ys-nx5pk 17
2023년 7월 07일 14:28이분은 이민을 넝 쉽게 생각하네
프랑스를 보셔
미국을 보시고
그들이 어떻게 도시를 만들고 있는지?
@KOREAN_HANKOOK 17
2023년 7월 08일 11:50지방 사는 사람으로써 지방 지역까지 분석 해주시고 얘기 해주시니 너무 좋네요!!!
@youngheo7438 16
2023년 7월 11일 06:16강남에 누가 사는지 보면 왜 강남 집값이 비싸게 유지 되는지 답이 있죠.. 내가 사는 동네 집값을 내리는 정책을 펼칠까요? 아니면 올리는 정책을 시행 할까요?
@ejcsdk4187 14
2023년 7월 14일 23:47와 진짜 신기해요 박사님은 역시 다르시네요
대전->세종->아산->천안
이렇게 이사다니며 살고있는데
잘모르는 사람들은 저 도시들을 충청에 거리도 비슷비슷하다보니 같은 생활권 느낌이라고 생각하더라구요
그런데 실제로는 세종은 대전하고 생활권을 공유하고 천안 아산하고는 너무 멀어서 그닥 교류가 없어요 천안아산은 오히려 경기도+수도권 생활권이더라구요
@user-lb7bl2un1e 14
2023년 7월 06일 23:25옳으신말씀 노인우대하듯이 아이들우대하면됨
@100만돌 11
2023년 7월 07일 20:26김시덕 박사님은 역사를 알게 되니 즐겁네요ㆍ 진짜 잼 씀더
@jamjamjamjam2739 11
2023년 7월 07일 18:38맞습니다. gtx 로 어디를 갈건데.. 또한 그 비용을 감안한다면.. 끝까지 박수를 받을 수 있는 교통수단일까.. /
턱없는 분양가만 올리는 빌미만 주고 있다는 생각 이 듭니다.
@부처님-g6w 10
2023년 7월 09일 10:38지식의 깊이가 느껴져서 시간이 아깝지 않았습니다
@lucky_tv 10
2023년 7월 06일 21:21🌟 『김시덕 박사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youtu.be/gbb68TK-0oo
👉 2부. https://youtu.be/By5VhAJYPq0
👉 3부. https://youtu.be/ekGGL81jKMc
📚 김시덕 박사 『우리는 어디서 살아야 하는가』 도서 구매
👉 https://url.kr/cx64o7
📌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ZidFSQPL3_I
Sarah 10
2023년 7월 06일 21:01정말 모르시는것이 없는 김시덕 박사님!! 부동산 이야기+부동산 전망이 아니라도 박사님 도시이야기,역사이야기는 정말정말 유익해요. 오랜만에 듣는 박사님 귀한말씅 감사합니다!!!😀
@AJOSSI-y1s 9
2023년 7월 10일 00:14인간은 구석기 시대부터 모여 살았음… 입지가 좋은 곳은 항상 모여드는 것이 인간의 본능
@rummate7 8
2023년 7월 12일 14:53집값 전망을 떠나서 이런 영상 너무 유익하고 재미있네요
J 8
2023년 7월 06일 21:23울산은 4년 안에 가구수마저 줄어들 예정입니다.
서울도 34년부터 줄어듭니다.
인구수와 가구수가 함께 줄어들기 때문에 집값이 계속 오를 수가 없어요.
@MsRalph386 8
2023년 7월 09일 14:25김박사가 일본과의 비교에서 간과하고 있는건 일본보다 한국은 더 많은 레버리지로 아파트를 마치 추식투자하듯이 몇채씩 보유하고 있는 빚쟁이들이 많다는 점입니다. 일본은 비록 집값이 대출금 저 아래로 떨어져도 달랑 살집이라 울며 겨자먹기로 안팔고 버텼지만 지금 평당 1억까지 올려놓은 아파트 가격이 현재상태에서 오르지않고 횡보만 하더라도 그것을 감당할 집 주인들이 얼마나 될까요? 예를 들어 압구정현대 70억아파트면 1년에 4%이자수익만 봐도 2.8억의 기회손실 + 보유세입니다. 과연 강남 초대형 아파트의 수요가 1년에 3억을 주거에 지불하고도 살아남을 부자들이 많을까요?
부자가 무한정 있는게 아니라는게 함정. 그리고 집값이 아주 조금씩 올라줘도 못견디는 투자자들 많다는게 함정.
@hs.2118 7
2023년 7월 08일 05:08서울같은 콩나물시루 속에서 사는 건 나이들면 좀 힘들다. 가까운 경기도에 가서 넓은 새집에서 조용히 살것이다.
@채이리81 7
2023년 7월 06일 20:11일등❤
@까농남 7
2023년 8월 10일 19:59중국인 부동산 소유권 주는 대한민국 정부가 문제야..
@frederichj5658 7
2023년 7월 10일 14:27충분히 참고할 만한 내용입니다. 김시덕 박사님 감사해요~ 해외라 e북으로~~
@도비도비-p7g 7
2023년 7월 07일 05:25미래는 유지보수 ㅇ 관리가 문제 많을듯
@dnsrqhc 6
2023년 7월 07일 05:142부 빨리 업로드 부탁드립니다!!
@촌신-o1c 6
2023년 7월 08일 12:35GTX여도 A노선은 황금노선(삼성역,서울역까지 몇분까지 가느냐, 판교(분당이매)에 정차하는가 중요)이고 교통이 아예 없던 동네에 내년에 개통하니 좋은데, B나 C노선은....그냥 지하철 급행수준.. 서해선 김포공항 -> 9호선 갈아타는데 7분 걸림. 근데 엘베도 있어서 괜찮음. 김포공항에서 수화물 찾고 대곡소사선,9,5호선 스크린도어까지 10분 걸림(어디나 비슷). 서울은 너무 비싸다. 경기도 GTX-A 등 5개 노선 환승역 도보10분, 평지, 3천세대 신축 대단지 아파트가 될 빌라(재개발). 현재매우저렴. 어딘지는 비밀.
@maya-sj 6
2023년 7월 14일 00:32살기좋은 곳은 동부이촌동.,.공기좋고 용산공원 강이 있어 산책하기도.,.,
@미니러브-v4u 6
2023년 7월 07일 23:36유익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인사이트를 주셔서,,,,,
@김현경-f9z 5
2023년 7월 11일 11:24그냥 인구감소가 문제가 아니라 급격한 인구감소가 문제죠.....그걸 부담해야할 저출산세대에게는 재앙이 맞죠....
@link5906 3
2023년 9월 20일 14:48역시 해박하셔서 너무 유익하네요 감사합니다!!!
@ginger5717 3
2023년 7월 07일 19:01실수요는 원하는 것 + 살수 있는 돈.....원한다고 누구나 페라리를 살 수 있는 건 아니죠
나나살 3
2023년 7월 06일 20:30이명박인가요?
@Ohst_seoul 3
2023년 7월 12일 14:16김시덕박사님한동안 못뵈어서 아쉬웠는뎅 ㅎㅎ 강의언제나감사드립니다
@MrFmht179 3
2023년 7월 07일 11:3355 미터 내려가는 산성역에서 지하철 많이 이용했는데 물론 불편하긴해도 지하철 무조건 이용합니다. 버스를 탄다구요?? 사람마다 많이 다를겁니다.
카리스마 3
2023년 7월 06일 21:48서울 수도권 살고 싶어서 힘들죠 지방 가도 생각보다 살기 좋아요 나이들면 아파트 팔고 지방가서 편하게 사시길 건물 대신에 자연을 접할 수 있음
@JINITEN 3
2023년 7월 10일 19:01이야기보따리 핵꿀잼
@sws9195 3
2023년 7월 14일 18:14부실공사로 아파트수요는 줄어들것같습니다.
@하늘바람-j6h 2
2023년 8월 16일 21:00충북혁신도시 주민인데, 인구가 늘어나는건 맞는데 그 늘어난 인구가 대부분 외국인 노동자입니다. 그리고 충북도에서 유치하는 기업이 R&D연구관련 회사가 아니라 대부분 제조공장입니다. 화학, 식음료 등.............. 그리고 공기 좋다고 하셨는데.. 화학공장이 너무 많아 새벽에 역한 냄새가 많이 납니다..
양ynnuendo 2
2023년 7월 06일 21:24지구의 위기는 80억을 넘어서는 인구폭발에 기인한다. 지속가능한 세계인구는 60억까지다
@배진환-p9x 2
2023년 8월 01일 08:22박사님 도시이야기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부산에서 목포 광주등 출장을 자주 갑니다 왜 아직 바로 가는 ktx노선이 없는건지요? 계획은 되고 있다고 하는데, 기타 다른 도로 철도 사업보다 더딘것 같습니다 인구등 시장수요도 충분한것 같은데...
고군 2
2023년 7월 06일 20:101등
@ginger5717 2
2023년 7월 07일 18:55돈이 많은 일인 세대가 얼마나 있을까요?
@오티움-h5s 1
2023년 11월 25일 13:31김시덕 박사님 인싸이트는 항상 새로운 관점을 주고 부동산의 본질적 특성을 생각해보게 해줍니다 👍
@kitaigkim9354 1
2024년 1월 14일 21:40마곡 강서구 폭등합니다
20년간 조용히 가장많이 올랐고
앞으로 계속 우상향 강서
임대아파트 없는 강서사거리 주상복합이 부촌에 중심
대장홍대선역 9호선역 등등
마곡지구 도보 25분 평지
@wooj8368 1
2023년 7월 16일 14:28수도권에 살면, 지방의 인프라가 얼마나 후진지 모르는거 같네요.
아마 지방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확충시키면 쓸데없는데 돈쓴다고 서울사람들이 난리칩니다.
수도가 안들어가는 시골이 많은데, 이거 서울사람들 이해합니까?
@지중해-p8k 1
2023년 7월 16일 04:32여러의견들이있지만 인구감소.문제는 베이비브머들이 사라져가는 10-15년뒤 부터는. 필연적이다. 애를낳지않는데.
@joojookim5125 1
2023년 7월 10일 01:43인구수 줄고 뭐고 다 필요없음
그 비싼 집을 빚 안 내고 살 수 있나
금리 높아서 못 사는거지
예전처럼 1프로대가 오겠냐구..
@DeepSleepCoolKitty 1
2023년 7월 09일 22:11근데 서울인구는 1990년 1,060만 명을 정점으로 점점 감소하고 있다는데요...?
@애니-s1w 1
2023년 8월 31일 04:01아동들을 돈 받아 팔아넘기니 고아(?)수출이 많아지는 겁니다~!!!
그 아이들을 국외로 보내지 않으면 좋지만
또 입양조건이 너무 까다롭게 해서, 또 여러 이유로 아이를 더 이상 출산하려고도 안 하고 입양도 안 하니 더 힘들지요~!!!
하늘
2023년 7월 06일 22:34자살인구나줄여라
Riverside
2023년 7월 06일 21:29좋은 정보감사합니다
@임재호-y7j
2023년 12월 06일 09:31올해 6월에 시정연구원 개원 했음
전국적으로 대도시중에는 최초라 함
@user-pquec998
2023년 12월 06일 17:29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앞으로 양극화는 더 벌어질것이며, 지금 수도권 중급지 막차 탑승하지 못하면 기회는 다시 없을거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