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사랑하게 된다니 너무 멋지고 와닿는 말입니다. 교수님의 용기에 늘 감사합니다. 교수님 덕분에 DMZ가 어쩌면 우리나라만의 소유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경제,기술적인 발전과 환경의 발전(?)은 늘 같이 가는것은 아니라는 점이 저도 마음이 안 좋습니다. 누군가는 경제,기술을 외칠때 교수님 같이 환경과 생태계를 외치는 사람도 있어야 조화롭게 발전한다고 믿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한반도의 DMZ가 세계의 주목을 받는만큼 국민들과 언론, 정치계에서도 더욱 관심을 가진다면 DMZ의 향후 보존과 더불어 통일을 대비하는 일에도 크게 도움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강연 중에 도로건설에 관한 말씀도 해주셨는데, 2018년 판문점선언에서도 문산-개성 고속도로 건설이나 철도 연결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환경에 관한 내용은 없어서 이를 논하기에는 아직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했겠구나 생각했습니다. 남북한의 학자들간에 교류가 조금이라도 지속되었다면 북한 녹지사업이나 DMZ보존사업에 대한 논의도 있었겠죠? 코로나가 끝난 이 시점에서 남북한의 교류가 속히 시행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좋은말로 웃는얼굴로 남을 죽인다. 우리나라 산림녹화 칭찬하는척 돌려깐다. 당시 최빈국으로 나무심을 돈이 없어서 국제기구의 지원금으로 녹화사업을 했는데 마치 빨리빨리 대충대충 행정편의였던것처럼 말한다. 저나이를 먹었으면 그당시 상황을 모를리가 없는데..대부분의 사실에 작은부분의 외곡이 가해지면 이상하게 전혀 다른 느낌이 된다. 환경을 위해 노력하는 자신을 낮추는듯 치하하고 그때문에 피해를 당하는 토지주인들은 왠지 모르게 나쁜사람이 되어있다. 물론 나쁘다고 말한적없고 자신을 치하하지도 않지만.. 모두들 자기가 가치있다고 생각하는부분을 위해 노력하고 희생한다. 그런데 어떤부류는 자신의 가치를 위해 남이 희생하라고하고 그 근거로 선악의 구도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dmz에 도로를 내야 한다면 기본적으로 지하화 하는것이 맞다는 생각입니다. 지뢰에 의한 공사 안전. 비용. 생태 모든 부분을 봐서도요. 지상 라인은 상징성라인 정도로 놔두는것이 맞지 않나요? 그러한 상징성은 지금도 충분 합니다. 개성공단가는 도로와 금강산 가는 도로 정도로.
제가 53년 생 입니다. 그때 휴일에는 어른들 대신 산에 나무를 심는 소위 울력이라는 명분하에 산에 모를 심듯이 나무를 심었어요. 제가 사는 동네에 대략150호 정도가 살았엇는데,4톤 트럭5대분량을 5년간은 심엇어요. 포플러,리기다 소나무, 편백,측백,마지막엔 은사시나무 이 시절에 나무를 심느라고 고생 많이 했습니다. 모내기시기에 멈췄어요. 도시에 사시는 분들은 이 시기에 돈 버느라 고생을 하셨겠죠.
@서경훈-t3v 13
2023년 7월 19일 18:09DMZ가 갖고 있는 역사와 생태학적 가치를 되새기며 잘 보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GOGO-jc5fj 8
2023년 7월 20일 08:33최재천 교수님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이 영상이 널리 퍼져서 DMZ를 잘 지켜낼 수 있도록 힘쓰고 공부해야겠습니다.
*알면 사랑할 수 밖에 없다.
@middlehyun 7
2023년 7월 21일 14:18언젠가 통일이 되었을 때 우리나라가 진행했던 녹화랑 같은 방식이 아닌 DMZ의 생태계, 우리나라의 동물 식물을 통해 녹화를 하는건 어떨가하는 말씀이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이름이뭐예요-w7n 7
2023년 7월 19일 20:10알면 사랑하게 된다니
너무 멋지고 와닿는 말입니다.
교수님의 용기에 늘 감사합니다.
교수님 덕분에 DMZ가 어쩌면 우리나라만의 소유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경제,기술적인 발전과 환경의 발전(?)은 늘 같이 가는것은 아니라는 점이 저도 마음이 안 좋습니다. 누군가는 경제,기술을 외칠때 교수님 같이 환경과 생태계를 외치는 사람도 있어야 조화롭게 발전한다고 믿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youcandoitb 7
2023년 7월 19일 18:40최재천 교수님 존경합니다. 항상 새로운 자극을 주시고 가르침을 주시는 멋진 분이십니다!!! DMZ를 꼭 지키고 싶습니다.
@Travel-Ally 6
2023년 7월 20일 12:34교수님이 하시는 일을 지지합니다. DMZ 보존하는 일에 힘들 보태겠습니다.
@miyo572 5
2023년 7월 19일 18:40❤❤❤❤❤❤❤❤❤❤❤
@Filia7-m2f 5
2023년 7월 19일 19:03DMZ에 대해 새롭게 생각해 볼 화두를 던져 주셨네요~
@1201-o8f 5
2023년 7월 22일 20:04제목을 잘못 달았네요.
DMZ는 더 이상 한국땅이 아니다?
DMZ는 더 이상 한국만의 땅이 아니다라고 달아야.
@hayeonkim7838 5
2023년 7월 19일 17:34헐 최재천 교수님! 여기서 보게 되다니 반갑네요 ㅎㅎ
@김정옥-n2f 5
2023년 7월 19일 18:51[책이벤트] 참여 댓글입니다.
한반도의 DMZ가 세계의 주목을 받는만큼 국민들과 언론, 정치계에서도 더욱 관심을 가진다면 DMZ의 향후 보존과 더불어 통일을 대비하는 일에도 크게 도움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강연 중에 도로건설에 관한 말씀도 해주셨는데, 2018년 판문점선언에서도 문산-개성 고속도로 건설이나 철도 연결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환경에 관한 내용은 없어서 이를 논하기에는 아직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했겠구나 생각했습니다.
남북한의 학자들간에 교류가 조금이라도 지속되었다면 북한 녹지사업이나 DMZ보존사업에 대한 논의도 있었겠죠?
코로나가 끝난 이 시점에서 남북한의 교류가 속히 시행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business_men73 5
2023년 7월 21일 16:27DMZ에 멸종위기종을 포함하여 4873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보존을 위해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졌으면 좋겠습니다😊
@남나비-g8y 4
2023년 7월 20일 07:32당연히 지켜나가야지요~ 응원하고 응원하고 또 응원합니다~!!!!!!!
@sebasi15 4
2023년 7월 19일 15:04👉🏻2023 DMZ 오픈 페스티벌 https://dmzopen.kr/
[책이벤트 당첨자] @Travel-Ally @GOGO-jc5fj @user-yy3og7zx7j
👏👏👏 짝짝짝! 댓글 이벤트에 당첨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3년 8월 2일까지 friends@sebasi.co.kr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유튜브 캡쳐 화면 / 당첨된 영상의 강연자 명 / 유튜브 닉네임 / 이름 / 휴대폰 연락처 / 배송주소]를 보내주세요. *책 랜덤 배송 *해외거주자일 경우 당첨자에서 제외됩니다 *당첨메일 발송 시 개인정보활용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며, 확인 후 삭제 처리합니다.
@이상화-h4j 4
2023년 7월 20일 11:02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황금황소-n6b 4
2023년 7월 20일 06:20맞습니다. 정말 소중한 DMZ의 가치를 잘 알리고 보전해야합니다 😊
@지깐-s9w 4
2023년 7월 21일 20:04존경합니다
건강하셔서 많은 분들이 공감하고 동참할수잇도록 일깨워주세요!!!
@dendes3488 3
2023년 7월 21일 15:40좋은말로 웃는얼굴로 남을 죽인다.
우리나라 산림녹화 칭찬하는척 돌려깐다.
당시 최빈국으로 나무심을 돈이 없어서 국제기구의 지원금으로 녹화사업을 했는데 마치 빨리빨리 대충대충 행정편의였던것처럼 말한다.
저나이를 먹었으면 그당시 상황을 모를리가 없는데..대부분의 사실에 작은부분의 외곡이 가해지면 이상하게 전혀 다른 느낌이 된다.
환경을 위해 노력하는 자신을 낮추는듯 치하하고 그때문에 피해를 당하는 토지주인들은 왠지 모르게 나쁜사람이 되어있다.
물론 나쁘다고 말한적없고 자신을 치하하지도 않지만..
모두들 자기가 가치있다고 생각하는부분을 위해 노력하고 희생한다.
그런데 어떤부류는 자신의 가치를 위해 남이 희생하라고하고 그 근거로 선악의 구도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두뫼촌 3
2023년 7월 19일 20:54dmz에 도로를 내야 한다면 기본적으로 지하화 하는것이 맞다는 생각입니다. 지뢰에 의한 공사 안전. 비용. 생태 모든 부분을 봐서도요. 지상 라인은 상징성라인 정도로 놔두는것이 맞지 않나요? 그러한 상징성은 지금도 충분 합니다. 개성공단가는 도로와 금강산 가는 도로 정도로.
@seanhello2 2
2023년 7월 22일 22:57당연한 이야기 아닌가요?
@이재철-f8t 2
2023년 7월 31일 14:07교수님 존경하고 응원합니다
@조희정-i4r 2
2023년 7월 20일 16:48평화와 생태의 상징 DMZ
잘 지켜 보존해야할 가치 있는 일이네요
멋진 강연 잘 듣고 갑니다
@sorayaahn1462 2
2023년 10월 17일 02:39최재천 박사님의 강연에 깊이 감동하고 공감합니다! 최박사님은 이 지구촌의 보물같은 분이십니다🙏
@TV-po4mg 2
2023년 7월 23일 23:01Dmz가 잘 보존 되기를 희망합니다.^^,책 이벤트 댓글입니다.^^ 좋은 이벤트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문성훈-v8b 2
2023년 7월 19일 18:43지구를 보전하는 방법은 하나 인간 개입이 없을 것
@내가진짜한번너사랑 2
2023년 7월 21일 23:56우리가 지금 dmz보존을 위해 가장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는건 dmz를 생각하고 아껴주면서 향유해주는것이겠구나 싶어요! dmz에는 어떤 동물과 식물들이 사는지 한번 찾아봐야겠어요!! 오늘도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개미박사님🐜🐜
@tv-mz4qr 1
2023년 7월 23일 03:43뭐 언제는 한국 땅이었나요? 뭔 소릴 하시는지....
@이은미-v5n 1
2023년 7월 26일 08:40응원합니다
@영찬김-i9w 1
2023년 8월 01일 08:05제가 53년 생 입니다.
그때 휴일에는 어른들 대신 산에 나무를 심는 소위 울력이라는 명분하에 산에 모를 심듯이 나무를 심었어요.
제가 사는 동네에 대략150호 정도가 살았엇는데,4톤 트럭5대분량을 5년간은 심엇어요.
포플러,리기다 소나무, 편백,측백,마지막엔 은사시나무 이 시절에 나무를 심느라고 고생 많이 했습니다.
모내기시기에 멈췄어요.
도시에 사시는 분들은 이 시기에 돈 버느라 고생을 하셨겠죠.
@genchicken 1
2023년 8월 17일 00:22하긴 DMZ는 좆간의 더러운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이니, 진짜 소중하네요.
GO GO
2023년 7월 19일 19:17최재천 교수님은
코로나 기간 "자연보호를 통한 생태백신" 말씀을 듣고 교수님 영상을 찾아 다녔어요.😊
그리고 '원금을 까먹지 말고 자연이 주는 이자로 살아라' 너무도 와닿는 말씀에 자연에게 더 미안하고 감사하고 감사했어요.
오늘 말씀도 생각이 많아지네요.
교수님 말씀이 널리 퍼지고 지켜낼 수 있도록
힘쓰고 공부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알면 사랑할 수 밖에 없다.
다들
2023년 7월 19일 19:27아 내 이름이 왜 영어로 나오지?
@긴들매
2023년 7월 22일 21:11경기도 쪽 DMZ는 보전할 가망이 별로 없다고 생각합니다. 강원도 쪽도 아주 어렵다는 생각이 들지만 그나마 가능성이 있겠지요.
다들
2023년 7월 19일 19:21교수님 존경해요 강의 잘하세요^^
@jennifer_sunghyunryu
2023년 7월 23일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