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에 이산가족이 있는 어르신들이나 그 분들의 가족도 아닌, 아무 연관도 없는, 심지어 나이 지긋한 연령도 아닌, 19살 소녀가 20살이 되어 우리에게 주는 이 작은 외침에 큰 울림을 느껴습니다. 통일은 딱딱한 것도 아닌, 어려운 것도 아닌, 이 자리에 앉아서 한번 생각해 보고 자주 이야기 하는 것만으로 성큼 더 통일과 가까워질 수 있다는 아주 기특한 깨달음 또한 얻었습니다.^^ 막연하게 "당신은 통일을 원합니까?" 라는 질문 대신 " 통일된 한국의 모습은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요? 어떤 가치관과 이념을 가지고 나아가야 할까요? "라고 질문한다면 우리는 조금 더 통일에 대해 거부감 없이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요??
통일은 하자고 하는데 어떻게가 아니고 북한을 도와줘야한다고만 하지 사실 왜 도와 주는지도 모르겠다. 북한주민을 위해 도와준다고 난리를 피우면서 도와줬는데 돌아오는건 미사일 뿐그래도 도와줘야 하고 했다 누구의 잘못인가? 통일을 못한건 한때 이나라의 정치인들은 통일을 바라지 않는것인가도 생각이 들었다. 아에 각자도생하며 사는게 더 났지 않겠냐는 생각을 한적도 있었다. 그런다고 이루어 지는건없다 국가를 운직이는건 국회에서 하니깐? 강연자도 알고 있다 교육이 그랬어 그렇다고 답은 있다 지금이라도 처음부터 통일에 대한 교육시스템 정비를 해야한다는것을... 그래야 정치인의 인식도 바뀐다는것을 지금 정치인은 그때는 없을거란걸 ...
통일? 그냥 독일만 봐도 답 나온다 당시 동독은 동구권에서 가장 소득수준이 높은 국가였고, 서독 또한 유럽에서 가장 번영한 국가였다. 거기에 양국간의 문화/사회적 교류도 남북한과는 비교 불가할 정도로 많이 진행된 상황이었음에도 독일 시민들은 통일로 인한 크나큰 경제적/사회적 고통을 겪어야만 했음 서독보다 인구도, 경제규모도 훨씬 작은 대한민국이 세계 최빈국이자 가장 후진적이고 폐쇄적인 시스템과 이념을 가진 국가와의 통일 비용을 감당 가능할리가 있나? 통일비용 충당을 위한 막중한 조세부담이야 둘째로 치고서라도, 같은 한국인들끼리도 지역/세대/성별로 나뉘어 대립하는 마당에 문명이라고 부르기에도 부끄러운 수준일 북한인 2000만을 교화하고 포용한다? 절대 불가능하다 미국이 지금 겪고있는 인종갈등보다100배는 심각한 사회갈등을 겪을게 불보듯 뻔하다 지하자원이니 어쩌니 하는건 제대로 확인되지도 않은 헛소문에 불과하고, 노동력 수급을 이야기하는데 우리보다 앞서 저출산으로 고생하던 서구권에 유입된 무슬림 난민들이 조용히 할일하며 사회발전에 이바지 하던가? 쾰른 한복판에서 떼로 몰려다니며 부녀자 강간하고 강도상해 저지른게 전부 그들이었다 이민을 통한 노동력 충원도 기본적인 시민의식과 지적 소양을 전제로 했을 때나 통용될 수 있는 이야기지....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사유재산과 자본주의가 무엇인지 알지도 못한 채로 생존만을 위해 살아온 극빈층 2000만을 우리는 절대로 감당할 수 없음
@skyofboree 6
2023년 7월 21일 19:28북에 이산가족이 있는 어르신들이나 그 분들의 가족도 아닌, 아무 연관도 없는, 심지어 나이 지긋한 연령도 아닌, 19살 소녀가 20살이 되어 우리에게 주는 이 작은 외침에 큰 울림을 느껴습니다. 통일은 딱딱한 것도 아닌, 어려운 것도 아닌, 이 자리에 앉아서 한번 생각해 보고 자주 이야기 하는 것만으로 성큼 더 통일과 가까워질 수 있다는 아주 기특한 깨달음 또한 얻었습니다.^^ 막연하게 "당신은 통일을 원합니까?" 라는 질문 대신 " 통일된 한국의 모습은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요? 어떤 가치관과 이념을 가지고 나아가야 할까요? "라고 질문한다면 우리는 조금 더 통일에 대해 거부감 없이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요??
@hanpyulkong3676 4
2023년 7월 21일 18:09DMZ 통과 고속도로와 열차는 지하로 다니게 해야 합니다.
@sebasi15 3
2023년 7월 21일 18:03[책이벤트] 우리도 통일에 무심했던 건 아니었을까요? 김태희 학생의 강연 시청 소감 또는 응원의 한마디를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을 선물해드립니다 (참여기간 7/21~7/31 당첨발표 8/1 *책 랜덤배송)
@서경훈-t3v 3
2023년 7월 21일 18:07최근 남북관계가 경색되어 있는데 이 상황에서도 통일에 대한 노력을 이어가는 힌트를 강연을 통해 얻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이상화-h4j 2
2023년 7월 21일 18:27우리의 소원은 통일~
노래를 불렀던 때가 생각나네요
쉽진 않은~~
@조희정-i4r 1
2023년 7월 24일 06:14통일이라는 단어를 생각해 보면 그냥 막연한 미래에
이뤄질수 있을까 통일이 되면 그에 따른 많은 일들이
현실적으로 맞게 될지 의문도 드는 문제네요
모든 일들에는 장 단점이 있는데 현실에 맞게 좋게
될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empirekorea 1
2023년 7월 21일 19:26통일은 하자고 하는데 어떻게가 아니고 북한을 도와줘야한다고만 하지 사실 왜 도와 주는지도 모르겠다. 북한주민을 위해 도와준다고 난리를 피우면서 도와줬는데 돌아오는건 미사일 뿐그래도 도와줘야 하고 했다 누구의 잘못인가? 통일을 못한건 한때 이나라의 정치인들은 통일을 바라지 않는것인가도 생각이 들었다. 아에 각자도생하며 사는게 더 났지 않겠냐는 생각을 한적도 있었다. 그런다고 이루어 지는건없다 국가를 운직이는건 국회에서 하니깐? 강연자도 알고 있다 교육이 그랬어 그렇다고 답은 있다 지금이라도 처음부터 통일에 대한 교육시스템 정비를 해야한다는것을... 그래야 정치인의 인식도 바뀐다는것을 지금 정치인은 그때는 없을거란걸 ...
@poppoe- 1
2023년 7월 29일 00:06통일에 대한 이해과 교육에 대한 문제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강연자님도 너무 재미있고 좋은책인것 같습니다 😊
@nicehan777
2023년 7월 23일 21:14통일? 그냥 독일만 봐도 답 나온다 당시 동독은 동구권에서 가장 소득수준이 높은 국가였고, 서독 또한 유럽에서 가장 번영한 국가였다. 거기에 양국간의 문화/사회적 교류도 남북한과는 비교 불가할 정도로 많이 진행된 상황이었음에도 독일 시민들은 통일로 인한 크나큰 경제적/사회적 고통을 겪어야만 했음 서독보다 인구도, 경제규모도 훨씬 작은 대한민국이 세계 최빈국이자 가장 후진적이고 폐쇄적인 시스템과 이념을 가진 국가와의 통일 비용을 감당 가능할리가 있나? 통일비용 충당을 위한 막중한 조세부담이야 둘째로 치고서라도, 같은 한국인들끼리도 지역/세대/성별로 나뉘어 대립하는 마당에 문명이라고 부르기에도 부끄러운 수준일 북한인 2000만을 교화하고 포용한다? 절대 불가능하다 미국이 지금 겪고있는 인종갈등보다100배는 심각한 사회갈등을 겪을게 불보듯 뻔하다 지하자원이니 어쩌니 하는건 제대로 확인되지도 않은 헛소문에 불과하고, 노동력 수급을 이야기하는데 우리보다 앞서 저출산으로 고생하던 서구권에 유입된 무슬림 난민들이 조용히 할일하며 사회발전에 이바지 하던가? 쾰른 한복판에서 떼로 몰려다니며 부녀자 강간하고 강도상해 저지른게 전부 그들이었다 이민을 통한 노동력 충원도 기본적인 시민의식과 지적 소양을 전제로 했을 때나 통용될 수 있는 이야기지....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사유재산과 자본주의가 무엇인지 알지도 못한 채로 생존만을 위해 살아온 극빈층 2000만을 우리는 절대로 감당할 수 없음
@sebasi15
2023년 8월 01일 14:29[책이벤트 당첨자] @user-yo5cq7bx8t @user-se1yd9ud3v @user-ri9fb7xc7v @user-xm6cv1jq5i @user-bn8kg6pz5d
짝짝짝! 댓글 이벤트에 당첨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3년 8월 18일까지 friends@sebasi.co.kr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유튜브 캡쳐 화면 / 당첨된 영상의 강연자 명 / 유튜브 닉네임 / 이름 / 휴대폰 연락처 / 배송주소]를 보내주세요.
*해외거주자일 경우 당첨자에서 제외됩니다
*당첨메일 발송 시 개인정보활용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며, 확인 후 삭제 처리합니다.
@이은미-v5n
2023년 7월 26일 08:39응원합니다
@business_men73
2023년 8월 04일 20:14또래에 비해 성숙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친구가 있다니 다행입니다
@bang-t7c
2023년 7월 22일 16:01같은 민족이라는 유대감이
지속되고 또 통일후 생각과문화 생활 방식의 다름을 어떻게 풀어갈수 있을까 ᆢ
넘어야 할 산이 많네요
큰 혼란이 있을수도ᆢ
통일이 되든 다른 나라로 거리두고 살든 평화와 희망의 나라가 되기를 우리는 기원해요
@jennifer_sunghyunryu
2023년 7월 23일 20:07😊😊😊😊😊
@민정-s7g
2023년 7월 22일 13:37반공수업을 받고 자란 기성세대인 저는 많이 부끄러워지네요ㅠ
반면에 우리나라의 미래가 희망적이라는 생각이 드는 강연이었습니다
생각할 수 있는 세대라니 정말 멋져요
많은 성찰을 주는 강연 감사합니다~^^
@sangikhan
2023년 7월 22일 11:19우리세대는 통일을 원치 않는 세대가 많다 지금 이 상태로 지내길 원한다 북에 있는 사람은 한민족이라고 하는데 다른 나라 사람같이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