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 탄소배출을 해서 온도가 내려갔는가? 전기를 사용하는 자동차는 밧데리에 들어가는 광물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는가? 폐밧데리에서는 환경피해를 주지않는가? 석유고갈 문제로 분위기 만들더니 고갈이 안되니 이젠 탄소배출로 목을 조인다. 모든 세상이 전기화해야 독재하기 쉽기때문에 ~ㅎㅎ
환경학자들의 과장은 늘 이렇게 부담을 주네요. 어느정도의 위기 의식은 있어야 하고 온도가 올라가는 상황에 대해 경계심을 가져야 하기는 하지만 그러나 과장이 심한것도 문제가 된다고 봅니다. 지구상에 과한 온도가 있었던 데이터는 찾아볼 수 있는데 왜 올해 좀 덥다고 정도가 넘게 오버하는 것 같습니다. 제나이가 57세인데요 제가 고2때 울산은 40도 까지 올라간 적이 있었고 엄청 더웠던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그때 지구멸망 할듯 이야기 한 학자는 없었습니다. 따지면 지금보다도 더 뜨거웠습니다. 그런데 그때부터 40년이 지난 지금 상황에 온도가 좀 높다고 곧 세상 망할듯 이런 말을 하는 것이 도리어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그당시에도 지구상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했고 프레온 가스가 배출이 되었지만 지금 지구온난화가 그때와 무엇이 그리 다른가요? 지금은 그당시 우리나라 공업화는 지금보다 더 화석연료를 엄청 태웠는데 지금은 그때보다 덜 사용하고 있는데 어떻게 지금 더 심각하다고 하는지? 산업화와 같이 자란 세대로 바로 옆에 수많은 공장들이 뿜어대는 공해를 늘 보면서 자란세대인데 지금은 훨씬 더 깨끗하고 공해를 더 차단하고 있는데 솔직히 학자들의 말을 들으면 과장을 하고 있는 모습이 많이 보입니다. 환경을 아끼지 말자는 이야기가 아니고 지구의 정화능력을 너무 무시하는 것 같습니다. 지금 전세계 경제의 정확한 변화가 단지 환경적 요인 때문인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으로 봅니다. 국제관계학 /전쟁/ 무역패권전쟁/ 자원전쟁/ 에너지전쟁 이런 것으로 문제가 더 많지 환경적인 문제로 경제의 어려움이 생긴다는 것은 너무 오버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100억주식 6
2023년 8월 07일 20:49문재인 탈원전 정책으로 큰일날 뻔함, 원전은 더욱 기술 개발해서 싼 값에 전기를 공급해야 됩니다.
중국,유럽,미국 등 원전 대대적으로 건설 중임
MKTV 김미경TV 6
2023년 7월 27일 14:45🚩폭우 폭염 열대야 가뭄 농산물 및 에너지 가격 폭등, 이미 우린 겪고 있습니다
환경이 우리 대한민국 경제와 생활에 직접적으로 미칠 영향들
구독자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미경언니의 경제과외』여러분이 궁금한 주제, 모시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경제과외는 각 분야의 경제전문가를 모시고 경제의 다양한 시각을 제시합니다.
📌모든 투자는 위험이 수반되며 투자자 본인이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0:00 기후와 경제, 정말 관련있을까?
6:52 환경에 전세계가 집중한다
14:54 단 10년 뿐, 대한민국 지속가능성은?
이진실이 3
2023년 8월 07일 22:39지금 자연재해가 점점 심해지는데도
에너지는 점점더 많이 쓰고
일회용도 너무 많이 쓰는
한국인들... ㅠㅠ
듀렉스 3
2023년 8월 07일 22:21전세계에서 re100가입했고 삼성도 가입했는데 문제는 RE100에 원전은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기때문에 원전보다 풍력이나 태양열이나 수력등으로 전기를 만들어서 제 품을 생산하지않으면 수출하기힘들거나 다른나라보다 비싼가격에 제품을 팔아야함
해오름달 3
2023년 8월 07일 20:59흠 탄소배출을 해서 온도가 내려갔는가?
전기를 사용하는 자동차는 밧데리에 들어가는 광물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는가?
폐밧데리에서는 환경피해를 주지않는가?
석유고갈 문제로 분위기 만들더니 고갈이 안되니 이젠 탄소배출로 목을 조인다.
모든 세상이 전기화해야 독재하기 쉽기때문에 ~ㅎㅎ
최부성 2
2023년 8월 07일 23:00환경학자들의 과장은 늘 이렇게 부담을 주네요. 어느정도의 위기 의식은 있어야 하고 온도가 올라가는 상황에 대해 경계심을 가져야 하기는 하지만 그러나 과장이 심한것도 문제가 된다고 봅니다. 지구상에 과한 온도가 있었던 데이터는 찾아볼 수 있는데 왜 올해 좀 덥다고 정도가 넘게 오버하는 것 같습니다. 제나이가 57세인데요 제가 고2때 울산은 40도 까지 올라간 적이 있었고 엄청 더웠던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그때 지구멸망 할듯 이야기 한 학자는 없었습니다. 따지면 지금보다도 더 뜨거웠습니다. 그런데 그때부터 40년이 지난 지금 상황에 온도가 좀 높다고 곧 세상 망할듯 이런 말을 하는 것이 도리어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그당시에도 지구상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했고 프레온 가스가 배출이 되었지만 지금 지구온난화가 그때와 무엇이 그리 다른가요? 지금은 그당시 우리나라 공업화는 지금보다 더 화석연료를 엄청 태웠는데 지금은 그때보다 덜 사용하고 있는데 어떻게 지금 더 심각하다고 하는지? 산업화와 같이 자란 세대로 바로 옆에 수많은 공장들이 뿜어대는 공해를 늘 보면서 자란세대인데 지금은 훨씬 더 깨끗하고 공해를 더 차단하고 있는데 솔직히 학자들의 말을 들으면 과장을 하고 있는 모습이 많이 보입니다. 환경을 아끼지 말자는 이야기가 아니고 지구의 정화능력을 너무 무시하는 것 같습니다. 지금 전세계 경제의 정확한 변화가 단지 환경적 요인 때문인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으로 봅니다. 국제관계학 /전쟁/ 무역패권전쟁/ 자원전쟁/ 에너지전쟁 이런 것으로 문제가 더 많지 환경적인 문제로 경제의 어려움이 생긴다는 것은 너무 오버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김남휘 1
2023년 8월 07일 22:30전기차, 원전이 과연 친환경인가?
뿅뿅 1
2023년 8월 07일 23:06교수님 책 <기후위기 부의 대전환> 역시 명저입니다! 미경쌤과 봬서 넘 반가워요😊
김혜지
2023년 8월 07일 20:3420분 경제과외 영상 감사해요💕
Jennifer Shyn
2023년 8월 07일 20:44👏🏻
두유한사발
2023년 8월 07일 21:50로우카본
서울림 SEOULLIM
2023년 8월 07일 20:36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