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수입 의존하고 싶은데 중국은 수 틀리면 보복하잖아요.사드보복같은 일을 전세계적으로 벌이니 중국은 상대안하는 겁니다.본인들은 대국이라 말하지만 중국의의사결정은 아프리카 이름모를 나라만큼도 못한 나라입니다.중국이 정상적인 의사결정 하는 나라가 되길 빕니다. 중국이 변하지않으면서 억울해하고 상대방 탓하는 중국인이 많은걸 보니 중국은 희망이 없다는 겁니다.
직설적이지만, 간결하고, 명쾌하신 분이시네요. 리스크 테이킹.. 어쩌면 프론티어 정신과도 흡사해 보입니다. 우크라이나 문제는 매우 공감합니다. 이념과 사상에 매몰되어 국민을 사지의 구렁텅이 빠트린 우크라이나 전쟁.. 탈출구가 보이지 않네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중국 부동산 거의 끝났고.. 중국 자본시장(주식)을 키운다고요? ㅋ 중국 기업 회계장부를 믿을수 있을까.. 거의 불가능 함 그리고 외화를 맘대로 빼내 나올수 있을까.. 언제든 간첩법으로 옥 죌수도 있고 일당 독재로 법을 언제든 변경할수가 있음...이밖에도 여려가지 있어서..중국 글로벌 자본시장하기에는 역 부족...결국 다당제로 민주화와 시장경제로 가야 가능..함.
저 교수님은 맨날 다들 아는 내용만 말하네요 한국이 미국만 바라보고 살아서는 안 되는 내용도 아는 내용이고 미국과 중국의 대결 속에서 공급망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연구해야 된다 등등 다 아는 내용이예요~ 중국은 다른 건 말할 필요 없어요~ 시진핑이 물러나고 리커창이 다시 주석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중국이 삽니다.
14
2023년 8월 14일 21:16
중공의 한국 전략은 (1)중공편으로 만든다 (2)1번이 안되면 미국과 중국사이에서 중립으로 만든다. 죽어도 1번이 안되니 2번으로 꼬시는 중공인 안유화교수님 ㅎ
우크라이나랑 대한민국이랑 상황이 다른대 비교하는거 참 말갖지도 않네 미국에 좀 붙었다고 한대 처볼까 생각할만큼 한국이 군사력 경제력이 우크라만큼 좆망이냐 아님 군대가 중국이 러시아보다 압도적으로 강하냐 상황이 비슷하다고 당사자간의 역량은 싸그리무시하고 비교하는게 참 웃고간다
100년도 안 되는 짫은 시간에 우리나라를 2번이나 죽음에서 건져 준 나라가 있다 1번째는 일본 치하에서 해방 시켜 주었고, 2번째는 김일성의 6.25 전쟁에서 물리쳐 주었다 그렇지만 그 나라는 우리나라 땅 조금도 빼앗지 않았고 오히려 6.25 이후 엄청난 식량과 물자를 인도적 지원해 주었다
burn fish 57
2023년 8월 14일 20:34중국에서 수입 의존하고 싶은데 중국은 수 틀리면 보복하잖아요.사드보복같은 일을 전세계적으로 벌이니 중국은 상대안하는 겁니다.본인들은 대국이라 말하지만 중국의의사결정은 아프리카 이름모를 나라만큼도 못한 나라입니다.중국이 정상적인 의사결정 하는 나라가 되길 빕니다. 중국이 변하지않으면서 억울해하고 상대방 탓하는 중국인이 많은걸 보니 중국은 희망이 없다는 겁니다.
파워 43
2023년 8월 14일 20:48이 분은 기본적으로 중국의 입장에서. 모든 걸 바라보는 사람입니다
BLUE OCEAN 28
2023년 8월 14일 20:52안유화교수님의 첫말씀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국민이 전쟁의 희생양이 되어서는 절대 안됩니다.
ju_yoon Park 27
2023년 8월 14일 20:28직설적이지만, 간결하고, 명쾌하신 분이시네요. 리스크 테이킹.. 어쩌면 프론티어 정신과도 흡사해 보입니다. 우크라이나 문제는 매우 공감합니다. 이념과 사상에 매몰되어 국민을 사지의 구렁텅이 빠트린 우크라이나 전쟁.. 탈출구가 보이지 않네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khan terra 23
2023년 8월 14일 20:11교수님
말 들으니 우리나라꼴이 우크라이나 정치와 똑같네… 우리나라 정치인은 나만 잘먹고 잘살자..
석원 김 22
2023년 8월 14일 21:24미국도 중국도 아닌 국익중심 외교를 하자는건데.....아무생각없이 듣고있으면 좋은 이야기인데 우리가 미국과 동맹이 아니라면 중국이 우리를 그냥둘것 같은가....우리혼자 힘으로 중국을 감당할수 있냐고!!
뚜띠 19
2023년 8월 14일 21:01중국 부동산 거의 끝났고..
중국 자본시장(주식)을 키운다고요? ㅋ
중국 기업 회계장부를 믿을수
있을까.. 거의 불가능 함
그리고 외화를 맘대로 빼내
나올수 있을까.. 언제든 간첩법으로 옥 죌수도 있고
일당 독재로 법을 언제든
변경할수가 있음...이밖에도
여려가지 있어서..중국 글로벌 자본시장하기에는
역 부족...결국 다당제로
민주화와 시장경제로 가야
가능..함.
김동균 16
2023년 8월 14일 20:19안.교수님은
역시.똑똑하십니다
파워 16
2023년 8월 14일 20:56중국은 유동성. 위기이고 자본시장 위기입니다. 자본시장이 발전하려면 투명해야합니다. 중국의 어떤기업도 미국의 회계원칙을 준수하지 않습니다. 이런기업에 누가 투자를 할,,수,,있을까요?
신요섭 15
2023년 8월 14일 21:31저 교수님은 맨날 다들 아는 내용만 말하네요
한국이 미국만 바라보고 살아서는 안 되는 내용도 아는 내용이고 미국과 중국의 대결 속에서 공급망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연구해야 된다 등등 다 아는 내용이예요~
중국은 다른 건 말할 필요 없어요~ 시진핑이 물러나고 리커창이 다시 주석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중국이 삽니다.
14
2023년 8월 14일 21:16중공의 한국 전략은 (1)중공편으로 만든다 (2)1번이 안되면 미국과 중국사이에서 중립으로 만든다. 죽어도 1번이 안되니 2번으로 꼬시는 중공인 안유화교수님 ㅎ
귤리 14
2023년 8월 14일 20:14솔직히...중국과 일본은 일부라도 열린 지식인이 있는 반면, 한국은 너무 방어적이거나 편협하게 치우치지 않나 싶다. 그 이유가 안교수님이 지적하듯 온건히 "한국의 미래"를 주체로 삼지않고, 정권에 따라 친미-친중 눈치만 보기 때문일 것이다.
국변화 14
2023년 8월 14일 21:19중국의 반간첩법 때문에 패널로 나오는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을 비판할 것도 비판하지 못하고 중국정부를 대변하는 정도가 아닐까요
신dongxian 13
2023년 8월 14일 21:05기본적으로 중국경제는 다 필요없다... 공산주의 경제다... 사회주의의 초급단계를 넘어서는 그냥 개념이 다른 경제 추구다...
일반적 생각은 접어라...
JAEGYUN BYEON 13
2023년 8월 14일 20:21한국은 미군이 주둔해 있어 선택은 정해져있다
동동 박 13
2023년 8월 14일 21:24이분이 맞는 걸 본적이 없어.
디카초보 13
2023년 8월 14일 20:29저 교수님 말씀이 참 옳은 말씀, 뼈를 때린다. 참 슬프네요.. 한국의 공정은 없고, 부동산 불로소득이나 자랑하는, 아파트 자재빼돌려 등쳐먹고 속여야 바보소리 안 듣는, 돈이 지배하는 더러운 나라. 한국은 망했다.
Rosebud 12
2023년 8월 14일 20:31불의는 참아도 불이익은 못 참는다는 중국. 다른 말 필요없음. ❤. 중국에서도 미국에서도 중국인에게서 느낀점.
까레라이스 11
2023년 8월 14일 20:42우크라이나랑 대한민국이랑 상황이 다른대 비교하는거 참 말갖지도 않네 미국에 좀 붙었다고 한대 처볼까 생각할만큼 한국이 군사력 경제력이 우크라만큼 좆망이냐 아님 군대가 중국이 러시아보다 압도적으로 강하냐 상황이 비슷하다고 당사자간의 역량은 싸그리무시하고 비교하는게 참 웃고간다
Hongseok 11
2023년 8월 14일 20:30리스크테이킹 해라 = 어바인 대학에 학비 갖다바치고 자기가 투자해논 코인사라
교수님 리스크테이킹해서 수백억 자산가 되셨습니까?
김상훈 9
2023년 8월 14일 21:02꼭 개인의견이라고 말하세요
남자이창복 8
2023년 8월 14일 21:32100년도 안 되는 짫은 시간에 우리나라를 2번이나 죽음에서 건져 준 나라가 있다
1번째는 일본 치하에서 해방 시켜 주었고, 2번째는 김일성의 6.25 전쟁에서 물리쳐 주었다
그렇지만 그 나라는 우리나라 땅 조금도 빼앗지 않았고 오히려 6.25 이후 엄청난 식량과 물자를 인도적 지원해 주었다
소오 8
2023년 8월 14일 21:23중국이 자본시장을 활성화하기위해서는 투명성을 확보해야함.
Sam Uncle 8
2023년 8월 14일 21:43공산국가의 금융시장을 신뢰할 수 있을까요? 미국의 금융 시장은 자유라는 근본에 기초하고 있지 않을까요? 신뢰할 수 없는 정보를 발표하는 중국공산당의 경제지표를 누가 신뢰할까요? 궁금합니다.
김HEE 7
2023년 8월 14일 20:58언제는 중국아니면 안된다더니...
jaeya 7
2023년 8월 14일 20:49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했다면
러시아가 침공했을까?
북한강에서 6
2023년 8월 14일 20:39그러게요. 안교수님 의견에 적극 공감합니다.
지도자를 잘 뽑아야 합니다.
남 이야기 아닙니다.
Thruru 6
2023년 8월 14일 20:44우크라이나를 예시로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한국의 먼 미래를 생각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마지막에 리스크를 테이킹하지 않고 내가 원하는것을 얻을 수 없다는...깊이 공감합니다~
leviticus yi 6
2023년 8월 14일 21:38안유화씨...계속 이념과 사상을 떠나서...를 강조하는데 그 따위 소리는 중공가서 시진핑한테 가서 해요..
ㆍ
우리는 미국과 무조건 같이 가야 중공도 우리를 함부로 보지 않는다.
ㆍ
중공은 농업국가로 전락시켜야만 우리나라가 평안해진다.
resurrection 6
2023년 8월 14일 21:31큰 그림과 소신 발언 감사합니다
구름나그네 5
2023년 8월 14일 21:25공산당을 믿어😂😂
김작가 TV 4
2023년 8월 14일 20:20🌟 『안유화 교수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youtu.be/gHYhxV1hy2A
👉 2부. https://youtu.be/e-5njqIuSwo
👉 3부. https://youtu.be/RCxyKxvgZXM
📌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럭키』 오픈, 놀러오세요:)
👉https://youtu.be/806QCpM78y8
이재맹 4
2023년 8월 14일 21:14안교수님의 혜안이 놀랍습니다. 우리 정치인들이 제발 교수님한테 강의 좀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돌 3
2023년 8월 14일 20:39굿~❤
김민주 3
2023년 8월 14일 21:17안유화교수님 사이다 발언 참 멋지십니다 !!
Beautiful Korea 3
2023년 8월 14일 21:54문제는 미국이 지금까지 패권에 도전했던 상대를 그냥 잘 살게 내버려뒀던 적이 단 한번도 없다는 것. 안교순님은 모두가 어울려 잘 사는 그림을 원하고 계신데 그런 세계는 X가 장기집원 하려고 칼을 빼든 순간 이미 없어졌음.
에버그린 3
2023년 8월 14일 21:29미국대학총장이 아닌 더 나은 조건으로 안유화 교수님 우리쪽으로 모셔서 좋은 얘기를 듣는 게 좋아보입니다. 분별과 판단의 능력 그리고 정치는 누구 중심으로 해야하고 경제는 어떤 기준으로 봐야하는지 기준이 상당히 좋은 분이란 느낌이 듭니다.^^
전상우 2
2023년 8월 14일 21:51노력하는 만큼 댓가를 받는건,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자유 시장경제 체제.
즉, 사회주의나 한국의 민주당과는 거리가 있군요.
정범수 2
2023년 8월 14일 21:24안유화 교수님 사랑합니다 😊😅❤😅🎉
익주 장 2
2023년 8월 14일 20:16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ㅎㅎ
편한마음 1
2023년 8월 14일 21:42많은 편견과 불신감을 어떻게 이겨내고 오셨는지 더 대단하신것 같습니다.
귄찬주권찬주 1
2023년 8월 14일 21:27안교수최고네,,역시국력이강해야돼
송석인 1
2023년 8월 14일 21:34맞습니다 교수님 …..
아무것도 않하는 사람은
안전하지만 아무것도 못이류지요 ㅋㅋ
정범수 1
2023년 8월 14일 21:26맞습니다 교수님 멎져부러 😊😊❤❤😅😅🎉🎉
바라미네
2023년 8월 14일 22:06중국을 위한
진정한 중국인!
younil kim
2023년 8월 14일 21:19안교수님 말씀에 동의 합니다
아마도 다 파산할거라 봅니다
거기다가 이번에 태풍 독수리가 아주 말뚝을 박았죠
연등불
2023년 8월 14일 22:10진짜 위기가 오긴 오는 갑다
안유화교수가 중국부동산이 파산할꺼라고 말할줄은 몰랐다
중국처럼 거대한 곳에서....부동산이 문제가 생긴다면 우리나라도 생길수밖에 없다
정용순
2023년 8월 14일 22:04안교수님 탄소 배출권에 대한 강이 듣고싶어요
앞으로 한국은 탄소 배출권이 흐름이~??
셰프인생
2023년 8월 14일 21:55감사합니다
콩새tv
2023년 8월 14일 22:00교수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저도 50즈음인데…. 리스크를 감수하고 테이킹하는게 인생이라는 말 깊이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