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 쓰신 글을 보고 정말 놀랐습니다. 저도 초등학교와 중학교때 아침마다 우주와 죽음을 생각하다가 자주 울곤했습니다. 저도 종교인의 길에 대해 생각을 했지만 철학과로 가는 선택을 하게 됐습니다. 현재는 창업에 대한 꿈도 꾸고 있습니다. 써니즈님이 걸어가신 길을 읽다가 처음으로 댓글을 쓰게 됐습니다. 올려주시는 영상 너무 잘 보고있습니다. 이번 영상도 많은 걸 생각해주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적으로 게으르지 않도록 자주 자신을 되돌아보겠습니다 :) 매번 감사합니다!)
정말 탁!..ㅎㅎ 기존의 가치관은 신념이라는 미명하에 내 삶을 옥죄일 때가 많습니다. 한마디로 개방적이여야되며 경계에 서 있어야 됩니다. 그래서 좌도 우도 아닌 자유로운 목소리를 내야만 거짓들속에서 통찰이 생기고 내 삶에 자신감이 생깁니다. 그래서 오늘의 실패가 실은 진정한 실패가 아님도 알게 됩니다.^^
갈릴레이, 컬럼부스, 스티브잡스, 테슬라. 이사람들의 공통점은 현재 구속하고 있는 그것을 깬 사람들 입니다. 니체는 지금 구속하고 있는 것을 깰 것을 설파한 철학자이며 현인입니다 그래서 니체의 사상은 현대 과학의 비약적 발전으로 이어진 것 입니다. 사유를 방해하는 구속을 깰 것을 주문하며 먼 과거를 언급하는 것은 목적에 맞지 않는 일인 것 같습니다. 지금 우리를 구속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구속하는 것을 깨는 것은 정치적일 수도 있습니다. 현재는 정치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언급하기 어려운 것은 이해가 갑니다. 그러나 그것을 깨지 못하면 새로운 사유는 불가능할 것 입니다. 제가 행동과학에 관한 한국인의 책을 보지 않는 이유는 지금 구속하는 것을 알수 있는 지혜를 주지 않으며 머릿속에서만 현재를 사는 방법만 일깨우기 때문입니다.
사랑에 대해 잘아시네요 ^^ 지혜 , 창의성에 대해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그렇게 사랑하는맘 그저 기뻐하고 마냥행복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나를 바라보고 세상을 바라보면 같은것이래도 아님 단순반복적인 일속에서도 좀더 주체적이고 창의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드네요 잘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pleia777 7
2020년 4월 16일 17:26혜자는 운이 좋군요
박을 깨고 노자같은 성인의 조언을 들었으니...
스티브 잡스나 테슬라, 엘런 머스크 등은 역발상자로 유명하죠
이들은 이 박을 가지고 분명 노자와는 또 다른 걸 해냈을 거란 확신이 듭니다 ^^
기존 관념을 깨기 위해선, 내 관념이나 생각은 무한하게 뻗을 수있으며, 보는 각도를 틀면 여러가지 결론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야겠지요
박을 깨기 전에 "모든 문제에는 해결책이있다" 라는 열린 마음을 갖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끊임없이 "왜?" 와 " 내가 생각하고 있는 게 맞나?" 라는 물음을 자신에게 보내는 것도요
@이규형-j6v 6
2020년 4월 16일 18:17앞에 쓰신 글을 보고 정말 놀랐습니다. 저도 초등학교와 중학교때 아침마다 우주와 죽음을 생각하다가 자주 울곤했습니다. 저도 종교인의 길에 대해 생각을 했지만 철학과로 가는 선택을 하게 됐습니다. 현재는 창업에 대한 꿈도 꾸고 있습니다. 써니즈님이 걸어가신 길을 읽다가 처음으로 댓글을 쓰게 됐습니다. 올려주시는 영상 너무 잘 보고있습니다. 이번 영상도 많은 걸 생각해주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적으로 게으르지 않도록 자주 자신을 되돌아보겠습니다 :) 매번 감사합니다!)
@김로레니 5
2020년 4월 16일 16:56최진석 교수님 말씀을 듣고, 우리나라에 이런 철학자가 있었구나...! 라고 생각했어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엘레나-l2v 5
2020년 4월 16일 23:45이 넓은 세상에 내가 무얼해야 하는지 몰라 밤마다 울곤 했는데,
이제는 해야 할일을 추려내서, 야금야금
취해가고 있습니다.
40년이 흐르니, 길도 보이고, 답도 보일락 말락 하는 기점입니다.
CD에 적혔을 내용이 궁금하다는 생각이 문득 떠오릅니다.
' 사랑 ' 은 거리낌없이 설레게 하는 묘한 녀석입니다.
오늘도 맑은 목소리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philous_official 3
2020년 4월 18일 04:08가장 불편한 것들을 마주하게 되는 순간부터 고정되어 있던 나의 세상에 새로운 자극이 물밀듯이 들어오겠죠! 이런 과정들을 계속 반복하다보면 분명 인생이 발전하고 달라질 것이라고 믿어요 :)
@cham-salam 3
2020년 4월 16일 15:32영상 늘 좋습니다. 음악...목소리...주제
@mindylee7731 2
2020년 4월 16일 16:56우와 따끈한 영상 감사합니다!!
@Anewera-v7l 2
2020년 4월 16일 21:45정말 탁!..ㅎㅎ 기존의 가치관은 신념이라는 미명하에 내 삶을 옥죄일 때가 많습니다. 한마디로 개방적이여야되며 경계에 서 있어야 됩니다. 그래서 좌도 우도 아닌 자유로운 목소리를 내야만 거짓들속에서 통찰이 생기고 내 삶에 자신감이 생깁니다. 그래서 오늘의 실패가 실은 진정한 실패가 아님도 알게 됩니다.^^
@나로살아가는중입니다 2
2020년 4월 16일 20:13넘 좋네요
@TV-gg2xl 2
2020년 4월 16일 17:19감사합니다 ㅎㅎ 광고도 끝까지 다보고 갑니다~~
irongmanable 2
2020년 4월 17일 04:49갈릴레이, 컬럼부스, 스티브잡스, 테슬라.
이사람들의 공통점은 현재 구속하고 있는 그것을 깬 사람들 입니다.
니체는 지금 구속하고 있는 것을 깰 것을 설파한 철학자이며 현인입니다
그래서 니체의 사상은 현대 과학의 비약적 발전으로 이어진 것 입니다.
사유를 방해하는 구속을 깰 것을 주문하며 먼 과거를 언급하는 것은 목적에 맞지 않는 일인 것 같습니다.
지금 우리를 구속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구속하는 것을 깨는 것은 정치적일 수도 있습니다.
현재는 정치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언급하기 어려운 것은 이해가 갑니다.
그러나 그것을 깨지 못하면 새로운 사유는 불가능할 것 입니다.
제가 행동과학에 관한 한국인의 책을 보지 않는 이유는 지금 구속하는 것을 알수 있는 지혜를 주지 않으며 머릿속에서만 현재를 사는 방법만 일깨우기 때문입니다.
@꽹과리-p5b 2
2020년 4월 16일 16:40좋아요 감사합니다
@Flora-ss5bv 2
2020년 4월 16일 23:08사랑에 대해 잘아시네요 ^^ 지혜 , 창의성에 대해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그렇게 사랑하는맘 그저 기뻐하고 마냥행복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나를 바라보고 세상을 바라보면 같은것이래도 아님 단순반복적인 일속에서도 좀더 주체적이고 창의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드네요 잘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BbaBbang 2
2020년 4월 17일 07:31‘오늘도 새롭게 주어진 신세계’ 로 깨어납니다 😊😍😘🤩 함께하는 행복세사앙 희망가득 기쁜세사앙 긍정가득 소통세사앙 지구가득 평화세사앙 🌍🍀🌈 마음가득 감사한세상 💝🤞🙏 청소시작 💨
@soyoung8914 2
2020년 4월 17일 14:52관념의 울타리를 쳐 놓는순간 거기에 묶여 우리삶을 자유롭지 못하게 만듭니다
관념은 배움의 습관, 시대에따라 나이에따라 바뀔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진다면
생각의 유연성이 우리를 더욱 자유롭게 만들어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리라는 생각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책부자같이성장동기부 2
2020년 4월 16일 18:16통찰력 영상 잘 봤습니다.
써니즈님 응원합니다.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정솜결 2
2020년 4월 16일 16:01감사합니다ㆍ 솜결
@김선우-n9h 1
2020년 4월 17일 17:15잘 들었어요 감사합니다 😊
@김한섭-p8g 1
2020년 9월 14일 17:21이시대 정신적 방향타를 가진 최진석 교수님 화이팅 지적인 게으름을 탈피하자 새로운 생각이 자유롭게 살게 해준다 확립된 가치나 이념을 넘어 서도록 하자 세게의 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자 새롭고 제3의 길로 건너가자
김도균 1
2020년 4월 17일 06:37오늘도 고맙고요
나름 직장 친구사이에서 좀 깨어있다 정도 소리는 듣는데 뭐 의도한건 아니고요
일단 기존의 습에서 기계적으로 비롯되는 사고와 행동을 지금 철저히 바꾸고 있는 중이고요
1년 고생하면서 고민하며 뭉그적거리느니 30일만 고생하자는 각오로 나가고 있내요
억누름이 아니고 싸움이죠
법륜스님이 그러시더군요
왜 누군가 돌아가시고 슬픔에 몇년을 사용하냐?
그런다고 돌아오나? 이 정도 말하면 한 번에 알아듣고 딱 1달만 아님 7일만 애도하고 본인은 힘차게 나아가라고
많은 일에 적용할 수 있을겁니다
좋은 하루입니다!
@신나-d8o 1
2020년 4월 18일 09:16오늘도 감사합니다. 틀에 박힌 사고, 편견,선입견 다 청소하고 멋진 통찰력을
얻도록 힘써야겠네요^^
@kaisebecha 1
2020년 4월 17일 00:36아는게 없으면 출발이 새로운데 아는게 많으면 장애가 많다는 사실을 현실에서도 체험합니다
'관념'이라는 상은 흘러가는 강물을 막고 세우려 들지요
제 삶 자체가 관념덩어리 였습니다 그래서 자유하지 못했습니다
영상 감사드립니다
@바다사랑-o9p
2020년 5월 14일 14:19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