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작은기업을 소유한건 아니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수년간의 변화를 보면 매우 급격히 구인의 어려움과 더불어 구직자의 업무 적극성이 급변하는것을 현저히 체감하고 있습니다. 수능응시지 30만명세대의 구인 첫해가 2027년부터 시작된다고 하는데 인구감소의 본격적인 한파가 멀지않았다는 느낌입니다. 당장의 집값변동보다도 향후 10년이내에 전체적인 경기체감이 현격하게 위축될거라 생각되고 당연히 주택수요는 줄어들거라 봅니다 그렇다면 핵심주택지를 제외한 대다수는 불가피하게 하락하지않을까 상각합니다 실수요층이 생각보다 적어지는거죠
인구 절벽은 아무도 생각하지 못할때 그 여파가 급격히 닥칠겁니다. 현재의 초저출산은 20년안에 분명히 타격이 옵니다. 어느 정도 단기적인 저출산이고 일시적이면 이해하겠지만 과연....? 저출산의 추세는 더욱 심해지고 이 출산율이 반등을 해도 드라마틱하게 점진적으로 과연 회복이 될까요??? 정말 서울 중심지 역세권 외에는 장기적으로 나 추세적으로나 어쩌면 영영 집값 상승을 기대하긴 쉽지 않을거라고 조심스레 예측해봅니다.
원샷런 10
2023년 9월 18일 20:26신뢰가는 믿고 보는 전문가 이광수 한문도 도봉박홍기 박감사 라이트하우스
언더아머입고런닝머신조지러!간드아! 7
2023년 9월 18일 20:13부룡 부관참시 하노 부룡 바로다음 광수형 업로드 ㅋㅋ
Patrick Yu 6
2023년 9월 18일 21:34저는 작은기업을 소유한건 아니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수년간의 변화를 보면 매우 급격히 구인의 어려움과 더불어 구직자의 업무 적극성이 급변하는것을 현저히 체감하고 있습니다.
수능응시지 30만명세대의 구인 첫해가 2027년부터 시작된다고 하는데
인구감소의 본격적인 한파가 멀지않았다는 느낌입니다.
당장의 집값변동보다도 향후 10년이내에 전체적인 경기체감이 현격하게 위축될거라 생각되고 당연히 주택수요는 줄어들거라 봅니다 그렇다면 핵심주택지를 제외한 대다수는 불가피하게 하락하지않을까 상각합니다
실수요층이 생각보다 적어지는거죠
꼬싱 3
2023년 9월 18일 20:04감사합니다
사스가2 3
2023년 9월 18일 21:03저번에는 유동성 함정 이론 도입은
좋았다고 보는데
이번 거래량 기준은 살짝 지나치게
주식쟁이 이론인데
한마디의 그랜빌 이론정도 인데
약간 거래량 기준으로 볼때
급격히 떨어지는데 거래량이
안따랐다 그건 관망했다가 됨
반대로 거래가 오르는데 거래량이
떨어지고 있다 내지는 장기 이평
거래량 이하이다
이말은 현재 상승이 속임수 양봉
즉 일정 프라이스 매이겨들의
장난질 신호고
만약에 주식쟁이들보고 하락 시장
에서 이따위 거래량 없는 그반드이
나온다
100이면 100 공포에 훱싸이는
상황임 물론 대한민국 부동산은
개나소나 전문가다 떠드는
끝물시장이라 이렇게 확실한 신호
앞에 겁대가리 상실한 사람들이
대다수라 보임
뭐 그건 어디 까지나 주식쟁이
수준의 차트 분석이고
좀 경제 전문가 답게 이야기하면
자산이란게 자본과 부채의 합임
자본이란건 자신이 번 돈인데
국가전체로 보면 인간들이 벌어들
이는 GDP와 부채의 합이 자산의
규모다라고 말할수 있음
문제는 GDP는 앞으로 연 1%내외
벌까말까의 성장을 보일것이니
일단 정체되어 있거나 상수라고
치고~
그럼 부채규모에 따라 자산의
가치가 변하게 되어있음
즉 부채가 늘면 자산이 늘고
부채가 줄면 자산이 줄고 한다
인데
생각해보세요 정부 부채?
기업 부채? 가계부채?
어느것을 늘릴수 있음?
지금 꼬라지는 딱 이 부채규모는
더이상 줄면 줄었지 늘지 않게
되어 있음
즉 부동산의 방향이 어떻게 되죠?
질문자체에 대답은 부채를 늘릴수
있나요? 반문해야 하는 문제임
뭐 맛이 가서 특례 대출이니
전세대환대출이니 신혼부부 특공
이니 부채를 늘릴수 있음
하지만 부채를 늘린다면 결국
현재 소비의 격감을 일으키게 되고
거기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필연적
금리 인상을 부름 금리가 인상되면
역시 가처분소득의 급감을
경험하게 될것임
그렇다고 금리 안올리면?
금리는 명목이자+ inf임
즉 모로 가나 도로 가나 금리는
오를 것이고 금리 상승은 필연적
가처분수요를 억누르고 필연적
침체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킴
애초에 부채를 더 늘릴수 없다
이 한마디로 더이상 부동산은
끝났음을 이야기 하고 거품이
꺼질때는 비이성적 패닉이 시장을
지배하는 법
그리고 언제 부동산을 사시면
되나? 더이상 한문도 이광수 같은
전문가들이 유튜부 패널 인기가
없어서 조회수 1000나올때
부동산 사시면 바닥임 ㅋㅋ
그리고 바닥에 투자하면 아느
정도 수익니냐? 년 은행이자률
수준의 임대수익과 판매차익이
0인 정도 ㅋㅋ 그게 결론이 됨
이게 10년이 걸린다 10년가
개고생이고 30년이 걸린다 30년
개고생이고
사실 50년대출 풀었으니 50년
뒤의 소득도 끌어쓰고 거품꺼지는
마당에 부채는 줄지않으니 아마
50년 잃어버려도 할말 없는 상황임
기분좋게 막걸리 마시면서~
블라블라 이광수 다이스키 ㅋㅋ
외치면 그래도 떨어진다
말해서 많은 피해자 줄였으니
이시대의 양심이고 나중에
복받으실꺼 빠잉~❤
YOUNG SAM SONG 3
2023년 9월 18일 21:30금리는 외부환경에 의해서 갑자기 따블로 폭등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지금 한국이 타켓이 될 가능성....
maru 3
2023년 9월 18일 21:45인구 절벽은 아무도 생각하지 못할때 그 여파가 급격히 닥칠겁니다.
현재의 초저출산은 20년안에 분명히 타격이 옵니다.
어느 정도 단기적인 저출산이고 일시적이면 이해하겠지만 과연....?
저출산의 추세는 더욱 심해지고 이 출산율이 반등을 해도 드라마틱하게 점진적으로 과연 회복이 될까요???
정말 서울 중심지 역세권 외에는 장기적으로 나 추세적으로나
어쩌면 영영 집값 상승을 기대하긴 쉽지 않을거라고 조심스레 예측해봅니다.
길수 김 2
2023년 9월 18일 20:13미분양아파트를 임대로 전환된 것 도 있어요.
정주호 2
2023년 9월 18일 20:031빠
킹핀마스트 2
2023년 9월 18일 20:24매번 전망이 딴나라이던데
hsmg jk 1
2023년 9월 18일 22:02평생 폭락론을 외치는자
이광수 한문도 ㅋㅋ
동암 1
2023년 9월 18일 21:51이 방송의 획일점은 출연자들이 제시하는 통계가 정확 또는 맞다는 인식하에서 펼쳐지는 경제논리가 아닌가 싶네요.
특히 중국의 경제 통계는 글씨요..ㅈ.문외한인 내가 보기에 신뢰가 가질 않는데...
김영덕 1
2023년 9월 18일 20:49김종갑
김작가 TV 1
2023년 9월 18일 21:00📚 김작가 『머니 트렌드 2024』 도서 구매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9070288
🌟 『이광수 위원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youtu.be/YGnKnaowmns?si=lBBEu4v9DE1e0YGa
👉 2부. https://youtu.be/rxZNeIf29BU?si=_0uefv-yE_rAqEjV
김인건
2023년 9월 18일 22:14꾸준함은 인정입니다..그릿..
박종희
2023년 9월 18일 22:16이사람 말듣다 벼락거지됩니다
Yoonseok
2023년 9월 18일 21:15부동산 대담 보고 싶습니다. !!
신용삼
2023년 9월 18일 21:53한국부동산이 일본처럼 안되는 이유는 일단 국토가 일본의 25%정도로 작고 지진등 자연재해가 일본에 비해 훨씬 적어 가치가 크기 때문임.
ai art creator
2023년 9월 18일 21:56인구 문제가 있어서
임헌귀
2023년 9월 18일 22:24금리가아니라 장기 불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