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부동산에는 중공에도 일본에도 없는 그 무엇인 아무도 막지 못하는 변수가 있어요~ 그건 정부의 목숨건 개입 입니다. 즉 집값이 떨어질려면 정부가 목숨걸고 방어합니다. 국가가 없어지더라도 집값은 높이겠다는 마인드인게죠~ 헌데, 이게 무너지면 제2의 국가부도사태가 되는 것이죠~
지금까지 부동산 관련 유튜브에서 한국 부동산의 미래(서울)에 대해서 시청을 했는데요. 거의 95%이상의 부동산 전문가들이 집값이 하락할것이고, 그기에 대한 경고를 하더군요. 이 의견에 반대되는 견해를 처음 보는것 같네요. 서울 or 서울 중심가는 계속 오를것이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오르는 이유에 대한 근거는 많이 부족해 보입니다. 돈이 많이 풀렸고, 그에 대한 부동산 자체 가격이 올랐고, 사람들의 수요가 계속 중심가로 향한다. 이것이 충족될려면, 돈을 푼 가장 중심국 미국에 있는 중심도시들도 여기에 호응을 해야겠죠. 세계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주도적인 경제를 이끌수 없는 한국의 부동산도 세계 주요 선진국들의 영향에서 예외일수는 없다고 생각하고요. 올하반기부터~ 내년까지 한국 부동산을 일단 체크를 해보겠네요. 수많은 부동산 전문가와 반대의견을 가지고 계셔서 주목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집을 파는 사람이 다시 새로운 수요자가 될 수 있는데 그 근거는 따로 없고 주위 사람한테 물어보니 그렇다는 거네요. 왜 유투브 전문가를 안좋게 보는지 이제 알겠네요. 제발 대한민국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들이 모여 목숨걸고 만든 한국은행, 국회, 국제금융센터, 재정기획부 보고서를 믿으세요. 이 사람들은 이런 보고서에서 데이터 오류 발견되면 짤릴정도로 심혈을 기울여 보고서 만듭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아무도 모른다 21년고점찍고 22년에 갑자기 하락했을때 맞춘사람 내가 알기론 리치고 김기원님 뿐인걸로 아는데 부동산은 과거부터 계속 우상향 하다보니 하락을 인정하기 쉽지않습니다. 그래서 장기론 우상향한다고 생각하겠죠 그런데 저는 이제는 이법칙이 깨진다고 봅니다. 경기에 비례하는 직업을가진 사람인데 지금 현장 경기는 최악입니다 그리고 부동산이 대출을해주다보니 매매에있어 좀 무딘거 같은데 이게 조금씩 인식이 바뀔꺼라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입지에 기반하여 집값이 오르겠으나 실제 매매는 서서히 부담스러워 매수자가 서서히 줄어 매도자가 결국 지고 부동산은 결국 0을 수렴할것입니다.
금리가 높은 상태에서는, 경제성장율이 높아야, 집값이 올라갑니다. 그런데, 대한민국이 성장기를 이미 지났고, 인구가 줄어드는데, 소득이 급속도로 늘어날 수 있을까요? 더군다나, 금리도 높은 상태에서. 특정 지역을 제외하면, 앞으로 오르기 힘들겁니다. 대한민국 앞바다에 석유가 터지지 않는한. 아니면, 세계최초로 초전도체 개발이 성공하지 않는한.
sm p 92
2023년 10월 10일 17:27경제지표가 안좋은데 . . .세계는 전쟁중인데.. 집값이 올라갈까요??
Seongdae SON 54
2023년 10월 10일 17:19금리가 내리지 않고 멈추는 시점에서도 상승이 계속된다는 논리는 부족해보입니다. 물론 그 동안 집값이 논리에 따라 오른건 아니지만. . .다들 빚뿐인데 어찌 계속 오른다고 하는지. . .
초코비 41
2023년 10월 10일 17:23지금 상황에서 집값이 오를수 있는건 경기가 엄청 좋아지거나 아니면 정부가 또 보금자리론 같은 정부 자금을 풀어 놓는거 밖엔 없어보이는데?
가계 대출이 여기서 더 늘어날수가 있으려나? 서울 미분양 물량도 거의 정부가 자금을 풀어서 분양이 된걸로 봐야할건데
KIM디코드 31
2023년 10월 10일 17:39대한민국 부동산에는 중공에도 일본에도 없는 그 무엇인 아무도 막지 못하는 변수가 있어요~ 그건 정부의 목숨건 개입 입니다. 즉 집값이 떨어질려면 정부가 목숨걸고 방어합니다. 국가가 없어지더라도 집값은 높이겠다는 마인드인게죠~ 헌데, 이게 무너지면 제2의 국가부도사태가 되는 것이죠~
신비한 쏘피 Sophi 23
2023년 10월 10일 17:35매물이 많이 나온다는 것은 빨리 팔고 싶어서다 내려갈걸 알기에~~
Jun Yang 20
2023년 10월 10일 17:50글쎼... 이 금리에 갈아타기 하려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을까?? 그리고 금리가 앞으로 더 오를 예정이라면,
다주택자들이 던지는 매물이 상당할 거 같은데.. 또는 못 버티는 사람들이 던지는 것도 있을거고... 과거처럼
미라클 16
2023년 10월 10일 17:34검단신도시 공공 분양가가 옵션등등하면 6억인데도 1순위마감이에요~
이제 땅값, 인건비, 자재비등 올라서 집값 떨어지지 못해요
판단은 각자의 몫입니다
폭락론자들은 계속 기다리시면 그냥 골로 가는거
⭐금개미 16
2023년 10월 10일 17:30횡보도 우리나라가 경제가 멀쩡할때나 할수있는거지 요즘 뉴스도 안보시나.. 한국 경제 상황을 아예 모르시고 말하시네요 채권금리 상승으로 시중은행 금리올라가서 기업 가계 이자 증감에 기준금리 또한 이제 안올리고 못버틸건데 횡보라구요?.. 벌써부터 기업부도나고 이자도 못내는 좀비기업만 대기업 12곳 중견기업 60곳입니다 ..거기에 엮여있는 중소기업은 엄청많겠죠
Tokener AI 15
2023년 10월 10일 17:31지금까지 부동산 관련 유튜브에서 한국 부동산의 미래(서울)에 대해서 시청을 했는데요. 거의 95%이상의 부동산 전문가들이 집값이 하락할것이고,
그기에 대한 경고를 하더군요. 이 의견에 반대되는 견해를 처음 보는것 같네요. 서울 or 서울 중심가는 계속 오를것이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오르는 이유에 대한 근거는 많이 부족해 보입니다. 돈이 많이 풀렸고, 그에 대한 부동산 자체 가격이 올랐고, 사람들의 수요가 계속 중심가로 향한다.
이것이 충족될려면, 돈을 푼 가장 중심국 미국에 있는 중심도시들도 여기에 호응을 해야겠죠. 세계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주도적인 경제를 이끌수 없는 한국의 부동산도
세계 주요 선진국들의 영향에서 예외일수는 없다고 생각하고요.
올하반기부터~ 내년까지 한국 부동산을 일단 체크를 해보겠네요. 수많은 부동산 전문가와 반대의견을 가지고 계셔서 주목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핵폭탄 14
2023년 10월 10일 18:23집값이 댖출로 받쳐주고잇다 곧폭락할것이다
부라보 11
2023년 10월 10일 18:48아주머니 집값은 하락할수밖에 없어요
헛소리 그만하고 다녀요
루쌰노 9
2023년 10월 10일 18:37썸네일하고 정 반대되는 이야기이고, 부동산전문가 맞으신가요?
객관적근거는 없고 주장만...
JASON LEE 9
2023년 10월 10일 18:14박현미 평론가님... 실망입니다.
Yang Patrick 8
2023년 10월 10일 18:52집을 파는 사람이 다시 새로운 수요자가 될 수 있는데 그 근거는 따로 없고 주위 사람한테 물어보니 그렇다는 거네요. 왜 유투브 전문가를 안좋게 보는지 이제 알겠네요. 제발 대한민국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들이 모여 목숨걸고 만든 한국은행, 국회, 국제금융센터, 재정기획부 보고서를 믿으세요. 이 사람들은 이런 보고서에서 데이터 오류 발견되면 짤릴정도로 심혈을 기울여 보고서 만듭니다.
cocoran liz 8
2023년 10월 10일 19:15현 주택가격에 버블이 낀것은 사실이다.
윤인수 7
2023년 10월 10일 18:19저도 이분하고 거의 비슷하게 생각함 집값은 크게오르지도 않겠지만 그렇다고 지금까지 최고가 대비 내려서 크게 더 내릴것 같지않음 .
쌍칼 ㅋㅋ 7
2023년 10월 10일 17:16와 2등
박연미 정말 이쁘네요
걍현금부자 6
2023년 10월 10일 18:59편협된 시각이 지금껏 쌓았던 좋은 이미지를 깎아먹네요 아무래도 부동산쪽 전문가는 아니니 감안하고 볼께요
김정훈 6
2023년 10월 10일 18:08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아무도 모른다 21년고점찍고 22년에 갑자기 하락했을때 맞춘사람 내가 알기론 리치고 김기원님 뿐인걸로 아는데 부동산은 과거부터 계속 우상향 하다보니 하락을 인정하기 쉽지않습니다. 그래서 장기론 우상향한다고 생각하겠죠 그런데 저는 이제는 이법칙이 깨진다고 봅니다. 경기에 비례하는 직업을가진 사람인데 지금 현장 경기는 최악입니다 그리고 부동산이 대출을해주다보니 매매에있어 좀 무딘거 같은데 이게 조금씩 인식이 바뀔꺼라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입지에 기반하여 집값이 오르겠으나 실제 매매는 서서히 부담스러워 매수자가 서서히 줄어 매도자가 결국 지고 부동산은 결국 0을 수렴할것입니다.
산슬 6
2023년 10월 10일 19:03ㅋㅋ 소득대비 너무 비싸다 ㅋㅋ 판단들 잘하시길 각자도생
미라클 6
2023년 10월 10일 17:44경제평론가는 진짜 보는시각이 남다르네요 놀랐네요
떡방업자들 폭락한다고 떠드는거만 보다가 이걸보니 생각이 달라지네요
매물에 관한 관점요 특히
우동동 5
2023년 10월 10일 17:03와. 1등이다.
삐약삐약 5
2023년 10월 10일 17:23로얄층이라고 하면 되지 RR ㅋㅋㅋㅋㅋㅋ
오구 덕후 4
2023년 10월 10일 18:43인플레이션, 건축비 자제값 상승으로 인해 집값은 안오를수가 없습니다. 무조건 오르게 되어있는 구조입니다.
유투브에 하락론자들 말만듣고 안사고있다가 오르고난 뒤 나중에 후회해도 그땐 소용없습니다. 현실을 직시하세요.
완동 김 4
2023년 10월 10일 20:13다양한 의견을 들을수 있어서 참고가 됬습니다.
똑같은 상황도 해석이 모두 다르니, 그만큼 예측하기 어렵다는 거겠죠..
David Ryu 4
2023년 10월 10일 19:49놀구 자빠졌다. 얘가 경제전문가임? 지금 매물 내놓는 사람들은 다주택자이거나 고금리 부담에 지금이라도 엑소더스하려는 1주택자들이 대부분이다. 상급지로 갈아 탈려고 매물 내놓는다고? 아주 모자라거나 아주 나쁜 x네..
박혜윤 4
2023년 10월 10일 19:30박연미씨 좋아했는데....
이번강의 실망스럽네
YsL Lee 3
2023년 10월 10일 17:49주식도 아니구.. 전문가들의 부동산 견해가 완전다르니 재밌네요 ㅋㅋ 결과애따라 명성도?? 아님 팽팽한 다른견해들보니 한 5년이상은 상승이나 큰하락은없을려나? 저흰 한국 미국 다주택인데.. 올여름 젤싼거 정리했슴다
hyunbin park 3
2023년 10월 10일 18:13저의 뷰와 거의 일치하시는군요
얌쓰 3
2023년 10월 10일 17:18와 2등이다.
이루어지다 2
2023년 10월 10일 20:10우리나라가 뭐라도 집값이 오르는 곳은 계속 오른다고?? 희망사항을 너무 간절히 외치는?? 팔집이 많은가보네
김수동 2
2023년 10월 10일 18:56감사합니다
진상규 2
2023년 10월 10일 19:15부동산 거품이 어마무시한데 거품에 불감유투버 같아요 경기좋아 소득이 증대해서 집값이 올리야 정상이지 돈빌려주는 은행도 언젠가 아니 곧 돈뱅크런 걱정이죠
이강만 1
2023년 10월 10일 19:37시장가서 떡뽁이 사먹는데 1개 100원 모자란 1000원 다 오르는게 정상인데 왜집값은 내리는게 정상이라고 하는지..내릴려면 다같이 내려야지 ㅋ
로딩중 1
2023년 10월 10일 20:33매물량 증가의 원인 파악이 잘못된 듯. 1주택자가 집을 내놓아서 매물이 늘어난게 아니고 다주택자가 집을 내놓은거지. 던지고 나서 현금화하는 거지 뭘 또사. 또살거면 뭐하러 팔겠어. 별 이득도 없는데.
NE GREEN 1
2023년 10월 10일 20:17그럼 지금 집 파는 분들은 다 1주택자라는 말씀이신거 같네요
정말 그럴까요?
자루아빠 1
2023년 10월 10일 19:11상급지로 가는데 필요한 돈은
B & W 1
2023년 10월 10일 20:52경제가 나쁜데도 내집은 아무리 비싸도 사겠다는 의미 ㅋ
mj p 1
2023년 10월 10일 17:45뭐가 맨날 무서워요,, 호환마마도 아니고 ㅎ
이광영 1
2023년 10월 10일 19:17그냥 집값은 5년정도 지지부진 할듯 그 이후 올라갈듯
석미선
2023년 10월 10일 20:33전형적인 집값올리는 평론
constantino chun
2023년 10월 10일 20:33상승론은 누군가 이 가격에 사 준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하락론은 누구도 이 가격에는 사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럼 그 누군가라는 막연한 누군가에게 상승하락 기대를 걸고 있는 것이다. 어쩌다 세상이 이렇게 한심하게 되었는지....
제라늄
2023년 10월 10일 20:45집값이오른다니 믿기어렵네요 금리 전쟁 유가 경제가안좋은데 주식처럼 오르내림은 당분간있겠죠...
Insight
2023년 10월 10일 20:31지금 대부분 대중들이 생각하는게
하락입니다
전문가 말보다 전체적인 시장의 분위기를 보세요ㅎ
K
2023년 10월 10일 20:13무섭다는건 언제 오는지...
개두마리
2023년 10월 10일 20:51김자가님 오늘은 질문이 별로여
금리 소득 증가율 투자수요. 가계부채, 인구, 경제지표, 환율로인한여러가지것들 다 부정적인데 어떻게 유지가된다는거여
HS델루나
2023년 10월 10일 19:41일단 난 반댈세~
lulu
2023년 10월 10일 20:50이분은 계속 오른다하네
이창현
2023년 10월 10일 20:59금리가 높은 상태에서는, 경제성장율이 높아야, 집값이 올라갑니다. 그런데, 대한민국이 성장기를 이미 지났고, 인구가 줄어드는데, 소득이 급속도로 늘어날 수 있을까요? 더군다나, 금리도 높은 상태에서. 특정 지역을 제외하면, 앞으로 오르기 힘들겁니다. 대한민국 앞바다에 석유가 터지지 않는한. 아니면, 세계최초로 초전도체 개발이 성공하지 않는한.
벙개개
2023년 10월 10일 20:50기준금리 내려간다고 대출금리가 바로내려가는건 아닌거 아닌가요?
10년물국채가 떨어져야 시장금리가 떨어지는걸로 알고있는데~
은행이 자금조달에서 적자보면서 장사할리없고 작년 기준금리가 단기간 폭등했어도 장단기역전이 났지 10년물은 높지 않어어요 그래서 정부가 은행 대출 금리 컨트롤이 가능했던거엿고
그래서 미국10년물이 중요하단 말인데~ 기준금리가 바로 인하될거 같지도 않지만 기준금리떨지면 대출금리 바로 떨어져서 집값 상승된다는건 좀 아닌거 같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