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부동산 영상 댓글 보면 하락영상에는 찬양 일색이고 상승 행보영상에는 악플이 엄청 달리쥬?? 서민들이 하락을 엄청나게 원한다는 얘기인데.. 나도 하락하길 엄청원하는 무주택자이지만 세상을 살아보니 세상은 무지랭이 서민의 뜻대로는 절대 흘러가지 않더라고요.. 이번에도어떻게든 버텨내고 미국은 내년에 갑자기 금리인하 시그널을 낼꺼같음.. 그리고 요즘 전세가 올라가던데.. 집값을 방어할것임.. 그러므로 오래또록 횡보후 상승이 될것같은 느낌임.. 15 년도에도 이랬죠 이런상황에서 금리인해 시그널 나오고 또 반복되는거임
자기가 예견한 데이타가 맞고 틀리는 문제가 중요한것이 아니라 한국은 소득대비 집값이 너무 높다는것이 문제입니다. 문제는,, 어떻게 이것을 해결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열심히 일한 사람이 자기집을 가져볼 수 있는 기회가 와야 살만한 세상이고,,정치를 잘하는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옳고 그름에 너무 열내지 마시고 근본적인 대책을 위해 노력해주셔야 될듯합니다.
현재 6000원으로 짜장면을 사먹을수 있지만 10년후 자재 인건비 등등 모든것이 오르기 때문에 6000원으로 짜장면을 사먹을수 없을것입니다 그러나 주택은 야기가 다를수도 있습니나 그동안은 급격한 경제진화와 인구증가로 주택또한 짜장면과 같이 우상향 했지만 현재는 급격한 인구감소로 가는시대입니다 30년전만해도 시골 농어촌지역도 많은 인구로 빈집이 거의 없었습니다 현재는 어떻습니까? 수많은 폐가와 학교또한 폐교 당장은 시골 현실이지만 점차 작은 지방 도시 나아가는 수도권까지 공실 폐가가 급등할것은 자명한일입니다 훗날 짜장면은 먹을사람도 줄겠지만 만드는이도 줄것입니다 그렇기에 분명 짜장면은 우사향할것입니다 그렇지만 주택은 몆몆 특화된 지역 빼고는 공실이 허다하기 때문에 우상향만 할수는 없습니다. 기억하세요 짜장면
그때2020년,2021년 다른 지표에 비해서 집값만 뛰었는데요, 가정의 월급이 올랐나요 회사가 매출이 엄청 올랐나요? 그런데 왜 집값만 떨어지면 안된다는거죠??? 진짜 이상한 논리로 말씀하시네요.진짜 안타깝습니다. 무슨 이상한 사람들 논리네요, 2020년 이전에는 이정도로 급작스럽게 아파트 가격이 오르지 않았습니다.
권대수 21
2023년 10월 22일 14:34하락할게 내 눈에도 보이는데... 좀 튀고싶으신건가
이정훈 20
2023년 10월 22일 14:31엉터리 경제분석가여 그만 쉬소 하나도 안맞는 양반
산들바람 16
2023년 10월 22일 14:32김광석 실장님은 집값이 바닥이 나왔는다는 얘기인데... 다른 전문가들은 아직 멀었다 집사면 큰일난다. 이러는데.. 과연 어느쪽이 맞을까?
wondo rhee 9
2023년 10월 22일 14:54어제 부동산에 연락 왔습니다
3주전 보다 10프로 더 떨어졌다고 사실 맘 있냐고 물었습니다
지니72350365 7
2023년 10월 22일 15:01촬영 일자를 꼭 적어주시면 좋겠습니다
지해경 7
2023년 10월 22일 14:45전문가라는분인대......
이거박에 안보이나~
김작가님 제생각은 좀신중히..
GTG1118 7
2023년 10월 22일 14:37매도물량 계속 늘어나고 있고
10월달 거래량 박살났습니다.
근데 지방은 집값 왜 안 떨어지지.
부동산도 주식처럼 참 별 희안한 경우가 많은것읏 만만치 않은것 같음
구조조정 하지도 않고 손만 벌리는 좀비기업들은 없어지는게 맞습니다
마티아 5
2023년 10월 22일 14:49김실장님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정확히 짚으셨음.
인플레이션으로 거주비용이 증가하는데 굳이 소유자가 집을 팔 이유가 없음.
다만 집가격은 정체하더라도 전월세가격은 상승할겁니다.
Kim S.H 5
2023년 10월 22일 15:16자기가 착각할 수 있다는 생각은 안 해 보셨는지요?
코스토 5
2023년 10월 22일 14:50요즘 부동산 영상 댓글 보면 하락영상에는 찬양 일색이고 상승 행보영상에는 악플이 엄청 달리쥬?? 서민들이 하락을 엄청나게 원한다는 얘기인데.. 나도 하락하길 엄청원하는 무주택자이지만 세상을 살아보니 세상은 무지랭이 서민의 뜻대로는 절대 흘러가지 않더라고요.. 이번에도어떻게든 버텨내고 미국은 내년에 갑자기 금리인하 시그널을 낼꺼같음.. 그리고 요즘 전세가 올라가던데.. 집값을 방어할것임.. 그러므로 오래또록 횡보후 상승이 될것같은 느낌임.. 15 년도에도 이랬죠 이런상황에서 금리인해 시그널 나오고 또 반복되는거임
Bongjo Jun 4
2023년 10월 22일 15:01왜곡된차트. 억지로. 만들어진. 가공의. 차트라면. 어쩌시려고. 저러지?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 인위적. 왜곡을. 모르단. 말인가?
Youngseo Kim 3
2023년 10월 22일 14:51지금은 가격오르기전에 천천히 ㄷ갈아타려는 수요가 움직이려는 시장으로 보고있습니다.
빵쟌 3
2023년 10월 22일 15:17소득대비 실물 자산가격이 더 빠르게 상승하는것은 영원히 지속될 수 없죠.
몇십년에 한번씩 대 폭락을 맞이하여 맞춰가긴합니다.
그게 지금이냐.. 아니냐의 문제라고 봐야죠.
LGS NJ 3
2023년 10월 22일 15:20자기가 예견한 데이타가 맞고 틀리는 문제가 중요한것이 아니라
한국은 소득대비 집값이 너무 높다는것이 문제입니다.
문제는,, 어떻게 이것을 해결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열심히 일한 사람이 자기집을 가져볼 수 있는 기회가 와야
살만한 세상이고,,정치를 잘하는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옳고 그름에 너무 열내지 마시고 근본적인 대책을 위해 노력해주셔야 될듯합니다.
몬스테라알보 성장기 3
2023년 10월 22일 14:47현재 6000원으로 짜장면을 사먹을수 있지만 10년후 자재 인건비 등등 모든것이 오르기 때문에 6000원으로 짜장면을 사먹을수 없을것입니다 그러나 주택은 야기가 다를수도 있습니나 그동안은 급격한 경제진화와 인구증가로 주택또한 짜장면과 같이 우상향 했지만 현재는 급격한 인구감소로 가는시대입니다 30년전만해도 시골 농어촌지역도 많은 인구로 빈집이 거의 없었습니다 현재는 어떻습니까? 수많은 폐가와 학교또한 폐교 당장은 시골 현실이지만 점차 작은 지방 도시 나아가는 수도권까지 공실 폐가가 급등할것은 자명한일입니다 훗날 짜장면은 먹을사람도 줄겠지만 만드는이도 줄것입니다 그렇기에 분명 짜장면은 우사향할것입니다 그렇지만 주택은 몆몆 특화된 지역 빼고는 공실이 허다하기 때문에 우상향만 할수는 없습니다. 기억하세요 짜장면
누구보다빠르게 3
2023년 10월 22일 15:35김광석 실장님은 지금 빨리 대출풀로 땡기셔서 빨리 새집마련하시고 집이 있으시면 빨리 다주택자 되십시요 금리 경제 상관없이 앞으로 집값이 고공행진 할건데 이렇게 방송하실 시간이 어디 있으신가요??
Jay Park 2
2023년 10월 22일 15:11적어도 내년 총선은 두고 봐야 할 문제인데 결론이 너무 성급해... 수요 견인하는 중심축인 정부의 욕망을 잘 읽어내는 게 중요한데 쟤네들 지금 엄청 다급한거 안보이나 지금 부동산쪽 안건드리고 다른 쪽에서 표 땡길 궁리한다
Chealsea 1
2023년 10월 22일 14:33과연.. 내년이면 알겟네요
김남숙 2112 1
2023년 10월 22일 16:05지금 상황에서 공감하기 어렵네요
h kim 1
2023년 10월 22일 15:565천년 살 인생도 아닌데…. 집에 수억,,수입억을….
차익남겨 먹을 생각하니.. 공멸하는 것이야..
집은 추억을 담는 상자이면 좋겠다는 말이 ….
민정희 1
2023년 10월 22일 16:54미국채 10년물 금리 4.914%
배진아 1
2023년 10월 22일 15:36이분 대단한 착각하고 있네요
박기호
2023년 10월 22일 14:221타
정회민
2023년 10월 22일 15:47이정도로 합리화하실꺼면 뷰를 바꾸시는게;;
자유 만들기
2023년 10월 22일 16:42우리나라 주택시가총액은 GDP대비 3배 이상~대부분의 선진국은1.5배~2배입니다.
아무리 부동산공화국이라도 너무 고평가죠~
whale
2023년 10월 22일 15:58김작가님 중간에 얘기한 "집값떨어지면 주식.직장.모두 안좋아진다"고 협박한 전문가 사칭한자가 누군가요?
김철의
2023년 10월 22일 16:52그때2020년,2021년 다른 지표에 비해서 집값만 뛰었는데요, 가정의 월급이 올랐나요
회사가 매출이 엄청 올랐나요?
그런데 왜 집값만 떨어지면 안된다는거죠??? 진짜 이상한 논리로 말씀하시네요.진짜 안타깝습니다.
무슨 이상한 사람들 논리네요,
2020년 이전에는 이정도로 급작스럽게 아파트 가격이 오르지 않았습니다.
무지개
2023년 10월 22일 16:38시간낭비 전문가 납시오... 현장을 좀 보고 말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