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던 피터슨이 첫 작, '의미의 지도'에서 좌반구 우반구 뇌의 특징에 대해 얼마전에 다시 읽었어요. 우뇌가 선척적으로 특화된 사람들은 기본 불안 수준이 너무 심해요. 어느 육아 책에서는 우뇌형 인간이 스티브 잡스 같은 사람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우뇌형 사람들은 언어 능력이 좌뇌형 사람들보다 크게 발달되 있지 않아요. 그리고 우뇌형 사람들은 뇌가 좀 새로운 것들에 흥미느끼기 때문에 무모하고 멍청한 도전들도 한답니다. 운이 좋으면 거기서 잘 되는 거고, 그렇지 않으면 못 되는 겁니다. 그리고 정말 우뇌형은 불안 수준이 너무 높아서 일반 평범한 사람들, 무난하게 생활 잘 하시는 좌뇌형보다 기본적으로 평균 행복도가 낮을 수 있어요. 그 중에서 명상 등의 수련을 오래 하신 분들이 드물게 우뇌가 가진 한계?를 돌파하시는 것 같아요. 좌뇌형 분들이 슬퍼하실 필요 전혀 없다고 봅니다. 저는 우뇌형 인간인데, 좌뇌형들이 가진 무던히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능력, 언어적 능력 다 좌뇌에서 기인한 이런게 없어서 오히려 많이 슬퍼한 사람입니다. 우뇌형중에서 정말 자기 극기 훈련을 열심히 하신 분들이 뛰어난 무언가를 만들어 내시지, 평범하고 자기 극기 훈련이 안 되신 분들은 자기 집, 생활 관리 하나 못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피터슨이 방부터 치워라는 말들은 괜히 하신게 아니에요.
왼손잡이에서 오른손 사용한 지 2년 됐는데 정서상태랑 관점이 정말 많이 변했어요. 이쪽 뇌 쓸 땐 이해 안 됐던 것들이 저쪽 뇌에선 이해되고 정서상태도 몇 년 동안 너무 힘들어서 고생하면서 심리책을 뒤지고 상담도 꾸준히 했음에도 원인도 모르고 해결이 안 되었는데 반대손 하나 꾸준히 연습하고 나니 거의 해결되었어요. 정말 감정까지도 뇌가 만드는 거구나, 뇌의 프로그래밍에 따라 느끼는구나 했어요. 각각 뇌의 장단점이 분명하게 있어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서로 보완해주는 양손잡이가 좋지 않을까 생각해요. 정말로 생각,(관점, 가치관), 정서 모두 많이 달라져요. 훨씬 풍부해져요. 주변 사람들은 다들 안 믿어서 너무 답답합니다 ㅠㅠ (지속적으로 휴대폰 잡는 손, 글쓰기나 그림, 색칠, 젓가락질 등 손아귀에 힘주는 활동이 효과가 좋았습니다.)
지능과 감성지능 우뇌의 역할 이런 것이 한 때 유행의 흐름이던 시절이 있었죠. 깨달음은 유행을 초월해야 할 것입니다. 지금껏 정신적 스승들이 경험한 깨달음은 프로이드 심리학과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그리고 뇌과학 안에서 거의 보다 쉽게 해결 가능한 것들 이라고 봅니다. 감정에 관한 문제는 실은 무의식을 언급하지 않고는 본질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무의식은 뇌간ㆍ본능의 뇌의 작용과 관련된 것이며 감정은 우뇌와 뇌간의 연결에서 나온 파장으로 그것을 감정이라 하며 감정이 바로 생각입니다. 감정과 생각은 다른 것이 아닌것이죠 진짜 중요한 것은 우뇌가 아니라 뇌간입니다. 그것을 다룬 것이 프로이드 심리학이구요. 전번에 무의식을 언급하셔서 다음은 그분야로 어떻게 진행될까 궁금했습니다.
전 8살 고양이 주인님의 집사인데요. 이 영상을 보는 순간 갑자기 고양이의 털고르기를 도와주며 이 영상을 듣다가... ‘이것도 우뇌를 좋게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 않을까?’이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그 CEO분에게 볼펜 대신... 반려동물의 털을 고르는 브러시를 드려보는 상상을 해보며 오늘도 즐겁게 영상을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당신이 최고입니다.🙏💜😽
낯선 길을 네비게이션의 지시대로 찾아갈 때 음성만 듣고 길을 가는 경우 반대로 음성 없이 화면만 보고 길을 찾는 경우도 있는데, 둘 다 정보를 쉽게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100미터 앞에서 우회전이라고 음성으로 듣고 판단하는 것도 반대로 화면만 보고 어느 지점에서 우회전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판단하는 것도 쉽지 않죠. 음성과 화면의 정보를 같이 받아들일 때 우리는 정보에 대한 이해가 빠릅니다.
또다른 예로 숲에 들어가서 볼 때는 나무 하나하나를 자세히 관찰할 수있지만 숲 전체의 모습을 알 수 없죠. 반대로 멀리서 보면 숲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숲 안의 나무 하나하나를 자세히 관찰할 수 없습니다. 우뇌가 멀리서 숲을 보는 것과 같다면 좌뇌는 숲 안에서 나무를 보는 거라고 할까요?
우니와 좌뇌는 바로 이처럼 정보를 받아들이는 방식이 다르기에 서로 정보를 교환하면서 완전한 하나의 정보를 인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어느 하나만 과도해지면
요즘 사회는 너무 여유가 없는 경쟁 사회고, 좌뇌 위주의 사회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정보는 많이 아는데 정작 직관과 통찰력이 부족해서 그 정보를 제대로 활용 못합니다. 아는 건 많은데 그 정보를 활용 못하는 헛똑똑이라고 할까요?
우뇌를 활성화시키는 가장 쉽고 확실한 방법은 명상이죠, 현대에서 명상이 각광 받는 이유. 아침에 명상 5분을 권합니다.
일반적으로 뇌 통합을 좌우뇌의 연결로 이해하는데 , 뇌통합은 삼위일체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좌 ㅡ 우뇌 \ / 뇌간 기하학이 수학에 속하지만 깨달음과 생각하는 방식의 분야라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좌우뇌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들어오는 정보에 의해서 뇌간의 무의식은 형성되고 또 왜곡(세뇌)되지만 좌우뇌의 기능은 뇌간에 의해서 통제됩니다. 뇌간에서 무의식에 부정적 정보가 강하게 입력되있으면 좌우뇌인 피질의 작용이 부정적 정보에 의해서 제한된다. 이성이 마비되고 감정이 억압당하게 되는 것 이죠 .
책들을보면 하나의법칙을 각자의 방법으로 설명하는것같아요!! 결국 한가지에요 사랑 겸손 감사..그리고 영원히 배워가려는마음가짐 나는 평범한존재이고 내 마음을 고요히하고 텅비우고..사랑을느끼는것!!!!! 저항하지않고 그저 내버려두는것 따라가는것 그러다보면~~직관이오고ㅎㅎㅎㅎ진짜세상사는거재밌당
@naradanmi 40
2020년 4월 28일 14:00오오옷 영상을 보니,
좌뇌:에고 우뇌:사랑
에 가깝게 느껴져써요.
뭐가 더 좋고 말고가 아니라 서로 다른 역할.
우뇌는 영혼으로서의 날,
좌뇌는 인간으로서의 날,
상호작용하며 지켜주는 느낌..
좌뇌,우뇌 균형을 잘 맞추기.
두뇌가 통합되면 우리는 즉각 알아차림 : 의식의 균형
대립없이 효울&고요한 사태
조화로운 흐름.
머리중심->가슴중심
뇌마비된 뇌과학자분 강연 너무 좋았어요 ㅠㅠ그 분의 그 경이로운 표정과 엄청난 에너지..ㅠㅠ
오늘도 감사해요 따수운 써니즈님 !
@ChoiceSC 38
2020년 5월 04일 00:05조던 피터슨이 첫 작, '의미의 지도'에서 좌반구 우반구 뇌의 특징에 대해 얼마전에 다시 읽었어요. 우뇌가 선척적으로 특화된 사람들은 기본 불안 수준이 너무 심해요. 어느 육아 책에서는 우뇌형 인간이 스티브 잡스 같은 사람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우뇌형 사람들은 언어 능력이 좌뇌형 사람들보다 크게 발달되 있지 않아요. 그리고 우뇌형 사람들은 뇌가 좀 새로운 것들에 흥미느끼기 때문에 무모하고 멍청한 도전들도 한답니다. 운이 좋으면 거기서 잘 되는 거고, 그렇지 않으면 못 되는 겁니다. 그리고 정말 우뇌형은 불안 수준이 너무 높아서 일반 평범한 사람들, 무난하게 생활 잘 하시는 좌뇌형보다 기본적으로 평균 행복도가 낮을 수 있어요. 그 중에서 명상 등의 수련을 오래 하신 분들이 드물게 우뇌가 가진 한계?를 돌파하시는 것 같아요.
좌뇌형 분들이 슬퍼하실 필요 전혀 없다고 봅니다. 저는 우뇌형 인간인데, 좌뇌형들이 가진 무던히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능력, 언어적 능력 다 좌뇌에서 기인한 이런게 없어서 오히려 많이 슬퍼한 사람입니다. 우뇌형중에서 정말 자기 극기 훈련을 열심히 하신 분들이 뛰어난 무언가를 만들어 내시지, 평범하고 자기 극기 훈련이 안 되신 분들은 자기 집, 생활 관리 하나 못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피터슨이 방부터 치워라는 말들은 괜히 하신게 아니에요.
@ss-oz6dg 21
2021년 8월 31일 14:19왼손잡이에서 오른손 사용한 지 2년 됐는데 정서상태랑 관점이 정말 많이 변했어요.
이쪽 뇌 쓸 땐 이해 안 됐던 것들이 저쪽 뇌에선 이해되고
정서상태도 몇 년 동안 너무 힘들어서 고생하면서 심리책을 뒤지고 상담도 꾸준히 했음에도 원인도 모르고 해결이 안 되었는데 반대손 하나 꾸준히 연습하고 나니 거의 해결되었어요.
정말 감정까지도 뇌가 만드는 거구나, 뇌의 프로그래밍에 따라 느끼는구나 했어요.
각각 뇌의 장단점이 분명하게 있어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서로 보완해주는 양손잡이가 좋지 않을까 생각해요.
정말로 생각,(관점, 가치관), 정서 모두 많이 달라져요. 훨씬 풍부해져요.
주변 사람들은 다들 안 믿어서 너무 답답합니다 ㅠㅠ
(지속적으로 휴대폰 잡는 손, 글쓰기나 그림, 색칠, 젓가락질 등 손아귀에 힘주는 활동이 효과가 좋았습니다.)
@jhh6636 17
2020년 4월 29일 10:33머리로 생각하기를 멈추고 가슴으로 느껴라..
각계 사람들마다 화법은 다르지만 결국 나 자신에게든 세상에게든 한계를 두지 않고 열린 가슴으로 받아들이라는 뜻인 것 같아요.
늘 좋은 메시지와 영상 감사합니다!!
나는 15
2020년 4월 29일 01:35저는 우뇌에 아주 어릴적에 사고로 출혈이 났었고 어린시절부터 어쩔 때는 과하다 싶은 감수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만 아마 그 사고에 영향을 받은 듯하네요. 어린시절부터 오랫동안 이 사건을 불행으로 알았지만 오히려 이 사고가 남다른 나를 만든 것 같다 생각되네요.
@jennypark8491 11
2020년 5월 01일 17:03좌뇌가 하는 멘트 그대로 딱 제가 제가 저를 힘들게 하는 말이었어요~그예기를 들으니 제자신에게 너무 미안하네요 . 영혼의 소리로 나는 나를 사랑하고 있음을 .감사합니다
@Tygahoshikan 10
2020년 5월 13일 07:35써니즈님이 이 채널을 운영하시는 이유.
그게 바로 사랑과 연민 그 자체가 된 인류애를 경험하고 계신 써니즈님의 의식 상태를 보여주는것 같아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irongmanable 9
2020년 4월 28일 17:21지능과 감성지능 우뇌의 역할
이런 것이 한 때 유행의 흐름이던 시절이 있었죠.
깨달음은 유행을 초월해야 할 것입니다.
지금껏 정신적 스승들이 경험한 깨달음은 프로이드 심리학과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그리고 뇌과학 안에서 거의 보다 쉽게 해결 가능한 것들 이라고 봅니다.
감정에 관한 문제는 실은 무의식을 언급하지 않고는 본질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무의식은 뇌간ㆍ본능의 뇌의 작용과 관련된 것이며 감정은 우뇌와 뇌간의 연결에서 나온 파장으로 그것을 감정이라 하며 감정이 바로 생각입니다.
감정과 생각은 다른 것이 아닌것이죠
진짜 중요한 것은 우뇌가 아니라 뇌간입니다.
그것을 다룬 것이 프로이드 심리학이구요.
전번에 무의식을 언급하셔서 다음은 그분야로 어떻게 진행될까 궁금했습니다.
YURI YU 6
2020년 4월 28일 20:07정말 필요했어요 이 영상, 일하면서 좌뇌위주로 사용하면서 죽고싶다는 충동에 종종 시달렸거든요. 감사합니다:)
@마스터-g8d 6
2020년 4월 28일 16:03전 8살 고양이 주인님의 집사인데요.
이 영상을 보는 순간 갑자기 고양이의 털고르기를 도와주며 이 영상을 듣다가...
‘이것도 우뇌를 좋게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 않을까?’이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그 CEO분에게 볼펜 대신...
반려동물의 털을 고르는 브러시를 드려보는 상상을 해보며 오늘도 즐겁게 영상을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당신이 최고입니다.🙏💜😽
@bigdaddy7468 6
2020년 5월 13일 19:26좌뇌와 우뇌의 역할 분담은 네비게이션으로 설명 가능한데,
낯선 길을 네비게이션의 지시대로 찾아갈 때
음성만 듣고 길을 가는 경우 반대로 음성 없이 화면만 보고 길을 찾는 경우도 있는데,
둘 다 정보를 쉽게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100미터 앞에서 우회전이라고 음성으로 듣고 판단하는 것도 반대로 화면만 보고 어느 지점에서 우회전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판단하는 것도 쉽지 않죠.
음성과 화면의 정보를 같이 받아들일 때 우리는 정보에 대한 이해가 빠릅니다.
또다른 예로 숲에 들어가서 볼 때는 나무 하나하나를 자세히 관찰할 수있지만 숲 전체의 모습을 알 수 없죠.
반대로 멀리서 보면 숲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숲 안의 나무 하나하나를 자세히 관찰할 수 없습니다.
우뇌가 멀리서 숲을 보는 것과 같다면 좌뇌는 숲 안에서 나무를 보는 거라고 할까요?
우니와 좌뇌는 바로 이처럼 정보를 받아들이는 방식이 다르기에 서로 정보를 교환하면서 완전한 하나의 정보를 인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어느 하나만 과도해지면
요즘 사회는 너무 여유가 없는 경쟁 사회고, 좌뇌 위주의 사회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정보는 많이 아는데 정작 직관과 통찰력이 부족해서 그 정보를 제대로 활용 못합니다. 아는 건 많은데 그 정보를 활용 못하는 헛똑똑이라고 할까요?
우뇌를 활성화시키는 가장 쉽고 확실한 방법은 명상이죠, 현대에서 명상이 각광 받는 이유.
아침에 명상 5분을 권합니다.
@Gabriel-gm7lv 5
2020년 4월 29일 08:37유기농 과일 채소 많이드세요~책 "환자혁명" "산 음식 죽은 음식" 꼭 읽어보세요💪🏼🌍🏋🏻♂️👍🏻🧚🏻♀️오늘도 평화롭고 행복한 날 되세요🙏🏻🌷🍀🕊🌸
@정은지-l5u 4
2020년 7월 28일 12:28좌뇌가 살쪄! 라고 하지만
욕구를 따라~ 과자 사먹으러 가야겠어요. ㅋㅋ
말랑말랑한 뇌!
오늘도 감사합니다!
@no-body6794 4
2020년 4월 28일 20:29* Sounds Balancing!
@irongmanable 4
2020년 4월 28일 21:30일반적으로 뇌 통합을 좌우뇌의 연결로 이해하는데 ,
뇌통합은 삼위일체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좌 ㅡ 우뇌
\ /
뇌간
기하학이 수학에 속하지만 깨달음과 생각하는 방식의 분야라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좌우뇌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들어오는 정보에 의해서 뇌간의 무의식은 형성되고 또 왜곡(세뇌)되지만
좌우뇌의 기능은 뇌간에 의해서 통제됩니다.
뇌간에서 무의식에 부정적 정보가 강하게 입력되있으면 좌우뇌인 피질의 작용이 부정적 정보에 의해서 제한된다.
이성이 마비되고 감정이 억압당하게 되는 것 이죠 .
@영국권-d3w 4
2020년 4월 30일 01:48다 필요없어요 명상.단전호흡이 👍
@우주비행사-y8g 3
2020년 5월 29일 22:09저는 이 영상 보기 전부터 좌뇌 사용자에서 우뇌 사용법을 깨달은 사람인데요 우뇌를 사용하려면 몸의 왼쪽에 집중하는 습관을 가지면 됩니다
미친다냥 3
2020년 4월 28일 19:32원하는 바를
상상으로 끊임없이 마음과 감각으로 그려내
마음, 감각을 풍부하게 만들고
우뇌에서부터 시작해 마음까지 도달해서
좌뇌가 아닌 우뇌가 주인이 상태로 바뀌
더 넓고 더 깊고 더 풍부한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이런 의미 일까욧?
어렵다... 어려워요 (ㅡㅅㅡ
@holisticlullabies8146 3
2020년 4월 28일 13:59오늘도 소중한 내용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1:44 절묘한 편집에 감탄했어요!^^)
@bookdory 3
2020년 4월 28일 14:08영상 잘뵜습니다
@김예숙-y9v 3
2020년 4월 28일 14:53고맙습니다!^^
@vero9118 3
2020년 4월 29일 17:24어릴때 감각이 형형한 우뇌형 아이였는데 ㅋㅋ 우울증을 앓고 나서 완전한 좌뇌형 인간이 되었어요.. 우뇌가 퓨즈를 내린거 같이요. 내가 겪은 비극들을 이해하려고 하다보면 좌뇌를 쓰게되는거 같아요
—지나간다 2
2020년 5월 13일 15:28좌뇌야 미안한데
니 욕구가 무조건 맞어
하지만 내가 필요할 때 다시 불러도되지?
Lia Love 2
2020년 5월 16일 20:31써니즈님
안녕하세요.
항상
너무나 생각하고
음미할수있는
삶의지혜를
배우게 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고엘리-g2z 2
2020년 4월 28일 16:42늘~땡큐입니다.써니즈님^^
@요가사랑요가사랑 2
2022년 2월 28일 23:03요가를 한지 3년쯤에 느낀감정이였어요. 자연스럽게 말씀하신것처럼 됐었지요. 그래서 요가가 동작보다는 호흡에 더 집중을 하게됐지요. 그 호흡속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며 정말로 말씀하신것처럼 됐어요. 그뒤로 이해심,관심등등 이런게 다 가슴으로 받아들이게 되면 저의 행복함이 배가되었지요. 그게 요가의 장점인듯 합니다. 절대동작의 화려함, 강인함은 중요하지 않아요. 호흡에 집중해 보세요~
@bokin7 2
2020년 4월 28일 18:39정말 좋은 자료입니다
연습하도록 하겠습니다
써니즈 짱!
목소리도 쏙쏙
내용도 짱
사랑합니다~
퍼 날라요
@초능력어머니아들 2
2020년 4월 28일 17:07그럼직하게 들리지만. 원래 좌우뇌 구별이 없으니. 감정을 읽어 내는 습관을 가지자 라고 들으면 되겠죠.. 잘 들었습니다
@xuepian9288 2
2020년 4월 29일 20:25필요했던 기다리고 있었던 핵소름 컨텐츠
감사합니다
@holihour 2
2020년 4월 30일 08:48늘 감사합니다.
@김근해-s5l 2
2020년 4월 28일 22:45고등학교 시절 왼손으로 글씨연습을 하던 적도 있었습니다.언어 잊어버리고
나름 글자교본 등으로 오른손ㆍ왼손 등 손 하나를 다쳤을 때를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왼손 글씨연습을 하고 그림도 그려봤죠
@Uni-young369 2
2020년 4월 28일 15:00아~써니즈님 짱 멋져요!
가장 애용하는 채널에요^^
@stellakjm 2
2020년 4월 28일 15:13감사합니다!~🙏🇰🇷🇺🇸
@이블루시앤 2
2020년 4월 29일 17:40맞아요 우뇌를 잘 활용하면 치유력이 생깁니다
@비숑곰이 1
2020년 12월 08일 13:32책들을보면 하나의법칙을 각자의 방법으로 설명하는것같아요!!
결국 한가지에요
사랑 겸손 감사..그리고 영원히 배워가려는마음가짐
나는 평범한존재이고 내 마음을 고요히하고 텅비우고..사랑을느끼는것!!!!!
저항하지않고 그저 내버려두는것 따라가는것
그러다보면~~직관이오고ㅎㅎㅎㅎ진짜세상사는거재밌당
@책부자같이성장동기부 1
2020년 4월 28일 16:34영상 잘 봤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_^
@dosa533888 1
2020년 4월 30일 20:21구독필수+♥^^
@simbada8 1
2020년 4월 28일 16:06🙏
허몰라 1
2020년 4월 28일 22:53뭔말인지 모르겠네 ㅋ
야두야 1
2020년 4월 28일 18:26금연과관련된 내용을 어느 영상에서 들었는데 제목이 생각안나요..
좀 알려주세요..흡련 욕구 이면의
... 이런 내용이 잠깐 지나가는 영상이었는데요..
@9mae_jeulgida 1
2020년 4월 29일 22:12우뇌에 관한 영상..감사합니다
아름다운나 1
2020년 4월 28일 18:45감사합니다 좋은영상 덕분에 힘 받습니다
윤유영 1
2020년 8월 09일 12:18자뇌는 에고 우뇌는 참나
전 이렇게 이해돠어요^^
@해바라기-t6k 1
2021년 5월 02일 19:54감사합니다 ❤
Synergist 1
2020년 5월 01일 20:51일반적인 경우와는 반대라서 걱정이네요 ㅎㅎ
우뇌의 통찰력도 중요하지만 심부름꾼 좌뇌도 든든하게 잘 발달시킬 필요는 있는 것 같습니다 ^^
좋은 컨텐츠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goka1547 1
2020년 4월 28일 17:18감사합니다^^
@starsuper5956 1
2021년 5월 08일 16:57감사합니다. 틀에 박혀있지않고 새로운 것을 시도해보고, 직관과 느낌을 사용하여 사물을 바라보는 연습을 해야겠어요
@섹터발견 1
2020년 4월 28일 20:06설명을 쉽게 잘하시네요
@장명옥-j2y 1
2020년 5월 01일 20:18당신도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
사랑합니다 ~♡
7 greentree 1
2020년 4월 29일 11:14이번 영상은 듣는데 에고와 참나라는 느낌이 드네요. 머리가 아니 가슴에서 울리는 일을 즐길수 있는 정말 내가 좋아하고 즐거워 할수 있는 일들을 따가가다 보면 모두 결국엔 어차피 다 평온하고 풍요로운 길을 경험한다.
adagio 1
2020년 4월 29일 01:37그렇다고 해서 애고의 결핍을 무시하면 안 돼요 애고는 결핍 만들어주면 알아서 조용해집니다
@miziyim8387 1
2020년 4월 28일 16:04써니즈님 너무 좋아요! 이 내용은 지금 제게 너무 너무 필요한 말이었어요! 감사합니다♡♡♡
@김윤정-h7s8u 1
2021년 2월 28일 12:08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mkkim6575 1
2020년 5월 01일 11:59영상 정말 좋네요. 감사합니다
@나로살아가는중입니다 1
2020년 4월 28일 16:34호호 좀 어려운것같은데
반복해서 들을게요
날씨가 아주 좋아요
구독자모든분들 봄햇살에 쉬어가세요~
@myungahkang4491 1
2021년 2월 24일 06:30이거 저도 동감, 언어로 표현화, 논리화, 비교, 은유도 찾지 말고 그대로 느껴보라고....
이걸 남에게 말로 전달을 못했는데...(언어라는 심부름꾼을 잘 부릴지 몰라서)
이걸 요약해서 말로 이렇게 설명하면 벌써 논리로 이해해서, 사실은 먼저 설명말고, 다양한 체험으로 느낀 후에, 이걸 봤다면 역으로 아 그렇구나 하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아마 우리가 책으로 배운 모든 주옥같은 지식, 지혜라고 불리는 것들이
사실은...살아있는 지혜, 경험들을 있는 그대로 느낄 수 있는 기회를 가로막는 장애가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Serotonin_lover 1
2021년 2월 02일 16:33정말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Heeeaaaler
2020년 5월 13일 03:2103:24 좌뇌의 세계로부터 단계적으로 빠져나와야겠습니다.🙏🏻❤️
@真与自由
2020년 6월 13일 19:54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오늘도 당신은 최고입니다
예전엔 구독자에게 하는말인줄
알았는데 지금은 써니즈님자기자신한테도 하는
말처럼 들립니다
@millimer6465
2020년 5월 08일 18:40좌ㆍ우뇌의 통합으로 조화로운 생활을ㆍ머리에서 가슴으로 이동 하여 공감해야되고ㆍ우뇌가주인 ㆍ좌뇌를 심부름꾼으로 잘활용해서ㆍㆍ
고품격방송이네요
감사한 마음은 여기저기 꾸욱꾹 심어놓고 갑니다
@김혜진-f8n2n
2020년 5월 09일 18:03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Right_now.sun-y
2020년 5월 12일 15:38써니즈님의 목소리는 정말.. 명품입니다.
안정감과 신뢰감을 주시는 목소리^^
오늘도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로또당첨자
2020년 5월 07일 03:27자고나서 꼭 시청 시청해야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