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럴려면 타인과 비교하지 않는 삶이어야 하는데 저는 주변의 사람들과 나도 모르게 비교하게 되고 상대적인 박탈감에 빠지게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물질의 절대적인 부족감보다 상대적인 부족감에서 오는게 더 큰거 같네요. 물론 이것도 여기서 언급한 결국에 욕심이겠지요.
“돈 있다고 행복한게 아니다” “욕망은 해가되는 길이다” 라고 해석하는 것은 너무 좁은 범위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넓은 범위의 충고는 “내가 갈망하는 oo만 가진다면 다 괜찮아 질꺼야” 또는 “내가 oo가 없기때문에 이런거야” 라는 막연한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메세지 라고 생각합니다. 확실한 것은 물질, 명예가 행복을 주기는 하지만 그러한 행복을 반드시 그 좁은범위 내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만은 아니죠. 좋은 관계, 즐거운 식사시간, 긍정적인 시야로 본 오늘의 일상 속에서도 충분히 삶의 의미와 즐거움으로 긍정적인 가치관을 자립시킨다면 물질, 명예의 목표에 유연함을 가지면서 즐겁고 감사하며 앞으로의 삶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진리에 대한 지혜는 불교만한 것도 없지요 부귀영화는 뜬구름 같고 아침 이슬과 같고 꿈과 같음을 알아 모든 집착을 놓아버리고 대자유를 누리는 참된나로 돌아갑시다 오늘은 부처님 오신날 마음의 번뇌로 괴로웠는데 이글을 읽고 조금 마음이 편안해 지네요 이글을 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석가탄신일이자 2020년 4월의 끝이라서 쉬는 날인데도 여간 편하지 않았는데 영상을 보고나서 잠시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너무 과한 집착은 언젠간 제 자신에게 해를 끼치기 마련이니까 지금 이 순간에 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생각하고 실천하면 그게 곧 행복일 듯 싶어요.! 이번 영상은 정말 감사합니다.
집착하지 않으려는것 역시 고요에 대한 또다른 집착 같네요.(회쟁론에서 나가르주나가 '공'한것 역시 '공'하다라 말했듯이) 매가 고기를 얻으려는 이유는 행복하기 위해서가 아닌 생존을 위해서가 아닐까요? 물론 충분히 고기를 먹었음에도 맛있다는 이유로 끊임없이 고기를 찾아다니는 매(과도한 집착)는 불행하겠지만 저는 순간순간의 배부름에 만족해하며 살아가는 매가 평온하지만 항상 배고픈 매보다 더 행복해 보일것 같아요.행복과 좋음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를테니 정답은 없겠지만 말이죠.
댓글을 보니 좀 안타깝습니다. 다들 행복을 대상에서 찾으려고 하시네요.. 돈이 없으니 지켜야할 것을 못지키는 그 상실감 절망감은 얼마나 클까요. 하지만 부처는 참된 자신을 향한 길을 가르쳐주려 하는 것입니다. 이 길이 대상을 쫒는데 있지 않다고요. 그 길이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고요. 세상의 모든 것을 뒤로하라는 것보다 대상에 대한 집착을 멀리하고 생명으로서 어쩔 수 없이 겪어야하는 고통을 받아들이면서 자신에게 집중하라는 의미입니다.
제 경험인데 인생 계좌가 마이너스 -4000 일때와 플러스 4 억이 될때 까지 10 년을 살펴 본다면 마이너스 일때는 현실은 괴로웠지만 나아갈 것이라는 희망 때문에 살았고 4 억이 지난 시점에는 안정감과 성취감으로 좋긴 합니다만.. 결혼이나 남자문제 등 돈이 있어도 더 부유한? 상태의 다른 고민이 생기는 것 같아요. 더 나아진 현실의 병풍 때문에 사람들을 더 경계하고 더 의심해야 해서 행복에 이르는 길이 더 멀어 보이기도 합니다. 행복을 자꾸 추구하기 보단 가치를 추구 해야 하는게 맞는 것 같아요. 행복은 외부의 상황을 상대적으로 받아 들이고 내 마음에 따라 그때 그때 바뀌는 무언가 인 것 같네요. 다만 현실을 직시하고 어느 정도 만족한다면 평온산 행복 추구는 지속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소유한 것을 버릴 때 새로운 것을 소유할 수 있다.. 공감되지만 실천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조금씩 실천해보겠습니다. 한국에서는 돈이 없으면 매순간이 불안하고 힘들고 지옥같은 것은 사실입니다. 물론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요. 하지만 한국에서도 분명히 소유하고 있는 것을 버릴 때 새로운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제가 부처라는 생각을 해보며 좋은 생각, 긍정적인 생각을 해봅니다. 고통 또한 행복이고 삶의 한 부분이다. / 스트레스는 나쁜 것이 아니라 좋은 것이고 나의 best friend이다.
부처가 말하는 무욕과 무소유를 지금 시대에 그대로 대입하기엔 현실적인 어려움이 분명 존재하는 것 같아요 다만 저 말은 본질적으로 분명히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있기에 생존을 위한 물질을 구하기 위해선 돈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런것들은 꽤나 비싼편입니다 살기 위해서 돈이 필요한데 욕망을 버리라니 죽으라는 소리인가 싶기도 합니다
그러나 부처는 결국 그런 삶의 연명의 과정을 불행이라 규정하는 것과 그렇게 규정된 불행에 대해 부정하지말라는 말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회사에 나가서 하기싫은 일을 9시간 동안 하면 월급을 받는것 그러지 않고 편하게 하고싶은 거 하면서 노는 대신 돈을 받지 못하는 것 이 둘은 무엇이 우위다, 옳바르다, 행복하다 따위의 기준이 아니라 그저 행위에 의해 자연스럽게 도출되는 결과물이라는 것이죠 물리학에서 말하는 작용과 반작용, 경제학에서 말하는 기회비용도 비슷한 매커니즘이라고 봅니다 이 둘은 서로 대립되는 것 처럼 보이지만 그것이 아니고 원래 하나였으니 받아들이고 평온을 찾는게 정신건강에 이롭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책 내용은 제게 어려울것 같습니다. 하지만 설명이 쉽고 원고를 너무도 감동적으로 쓰셔서 내 행복에 대해 생각해봅니다.난 책읽을때와 그림그릴때 행복합니다.오랫동안 규칙적으로 등교하지 못해서 생활 패턴이 무너지고 힘들때 책과 그림이 내게 행복을 알게했습니다. 지금은 책그림님의 지혜를 배워가는 시간이 행복합니다.감사합니다. 제 미래에 약으로 작용할것 같습니다💌
인간은 외로움이 적인 것 같다. 어딘가에 속해있는 거 같다가도 다른이의 속을 들여다 보려 하면 그 소속감이 진짜인지 아닌지 알 수가 없게 되네요. 그러니 물질적인 것에 계속 의존하고 살아가는게 요즘의 현대인인거 같아요. 니름의 신념과 가치관이 있더라도 이상을 실현하는데에 동조해줄 사람들이 필요한데 각기 너무나도 다른 생각을 하고 그럼에도 같은 욕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느낌.
좋은 내용 잘 보고 갑니다. 수없이 날 괴롭히는 과거/미래의 생각들도 결국 그저 지나가는 것이고 욕심을 채웟을때의 그 느낌도 스쳐지나가는 “느낌”일뿐입니다. 세상은 오로지 마음밖으로는 존재할 수 없고 마음의 뷰가 바뀌면 세상도 달라지는듯 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기를.
세상은 사람들이 욕망하는 것들 위주로 만들어져왔다. 욕망의 추구는 항상 옳지만은 않다. 인간은 욕망보다 괴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살아야 한다. 현실은 물질만능 사회에 짓눌려 욕망을 쫓다 생을 마감한다. 우리가 극복하기 위해 고통을 견디며 산다면 행복은 즐거움은 멀지 않은 곳에 있을 것이다.
만족만 하기위해 인생을 살기에는 너무 재미없지 않은가. 고통과 행복과 교차되며 굴곡이 있는 삶이 인생이 아니겠는가? 현세의 모든 욕망은 인생의 한 부분일뿐, 그 욕망을 벗어나 만족만을 느끼면서 인생을 마감하는게 진정한 인생이라 말할 수 있는가? 난 현세의 욕망과 행복을 받아들이면서 살아가고 싶다.
이 책이 말하고자하는 내용은 아마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 의식을 가지고 깨우치는 것이 목표가 아닌 살아남는 것이 목표인 사람들에게 삶을 죽지 않을 정도로 살 수 있 무언가를 택하라는 의미인 것 같다. 결국 자신이 좋아하는 일, 가치관을 통해 나에게 맞는 활동을 하고 취미이던 일이던 나만의 목표에 집중하되, 다른 사람들의 자랑거리 등에 휘둘려서 욕심을 부리지 말라는 뜻 인 것 같다.
영상의 몇분과 책의 몇 글자로 저게 옳다고 말할 수 없지만 잦은 실패를 경험한 사람들이라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Angry Villain 53
2020년 4월 30일 16:37미안합니다. 아무리봐도 없는것보단 있는게 더 행복할것같아요
@주식북 24
2020년 4월 30일 16:49돈이 많다고 행복한건 아니지만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없으면 지옥입니다.
@ha_neul._.lee_03 21
2020년 4월 30일 16:35생활에 여유가 있어야 생각을 할수있고 또한 미련 같은 것이 생기기 마련이죠 하지만 생활에 여유가없으면 저런 생각조차 할수없어요
@IIllIll 14
2020년 4월 30일 17:08행복은 욕망의 달성이 아니라 욕망의 감소이니라~
진정한 인류의 스승, 부처~~~~
천둥신 13
2020년 4월 30일 17:28돈은 무조건 많은게 좋습니다. 해볼거 다 해보고 나니 쓸데없는 헛소리 하는 것.
11 dave 12
2020년 4월 30일 16:37이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서 일단 돈이 많은 사람이 되보겠습니다..
@사이다-b6k 10
2020년 4월 30일 22:02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닌데, 살면서 돈만한게 없었음
@nosweat_nosweet 10
2020년 4월 30일 20:35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럴려면 타인과 비교하지 않는 삶이어야 하는데 저는 주변의 사람들과 나도 모르게 비교하게 되고 상대적인 박탈감에 빠지게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물질의 절대적인 부족감보다 상대적인 부족감에서 오는게 더 큰거 같네요. 물론 이것도 여기서 언급한 결국에 욕심이겠지요.
@travisan1177 10
2020년 5월 01일 11:50돈이 많다고 해서 무조건 행복해지는건 아니지만 현대인들이 느끼는 불행의 원인들을 상당수 해결 해준다. 딱 이정도가 맞을듯.
김현우 9
2020년 4월 30일 16:43지금 과제 ㅈ박아서 뒤질것 같은데 행복? 만족?
돈이 있어야 적어도 불안 없이 염병할 의무 안지고 살지.
부처는 옛사람이고... 돈이 곧 공기와 같은 자본주의에 돈 없어봐라.
돈이 권력이고 행복이다.
끝도 스스로 만족하다가 비참한 죽음까지 만족한다.
김동현 8
2020년 4월 30일 21:35돈만 좇으며 살다가는 자기자신은 사라져버리고 말것입니다.
부디 자신을 죽이지 말아주세요..
와인 7
2020년 4월 30일 16:40존나행복하지 무슨
@piamina8306 7
2020년 5월 05일 12:26다들 제대로 이해를못하고 부정적이기만하네... 이런 속세에 완전히 찌들어사는 사람들이여... 본질을 제대로 보지않으려하는 자들이 넘 불쌍하다... 이것이 바로 책을읽지않는 현대인들의 현실이지...
디저트 읽어주는 남자 Dessert Reader 6
2020년 5월 01일 00:44“돈 있다고 행복한게 아니다” “욕망은 해가되는 길이다” 라고 해석하는 것은 너무 좁은 범위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넓은 범위의 충고는 “내가 갈망하는 oo만 가진다면 다 괜찮아 질꺼야” 또는 “내가 oo가 없기때문에 이런거야” 라는 막연한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메세지 라고 생각합니다. 확실한 것은 물질, 명예가 행복을 주기는 하지만 그러한 행복을 반드시 그 좁은범위 내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만은 아니죠. 좋은 관계, 즐거운 식사시간, 긍정적인 시야로 본 오늘의 일상 속에서도 충분히 삶의 의미와 즐거움으로 긍정적인 가치관을 자립시킨다면 물질, 명예의 목표에 유연함을 가지면서 즐겁고 감사하며 앞으로의 삶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鄭載勳-v4k 6
2020년 4월 30일 16:46진리에 대한 지혜는 불교만한 것도 없지요
부귀영화는 뜬구름 같고 아침 이슬과 같고 꿈과 같음을 알아 모든 집착을 놓아버리고 대자유를 누리는 참된나로 돌아갑시다
오늘은 부처님 오신날
마음의 번뇌로 괴로웠는데
이글을 읽고 조금 마음이 편안해 지네요
이글을 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노을-u6u 5
2020년 4월 30일 22:53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곧 생존이다. 그러나 돈을 쫓다보면 인생이 황폐해진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 두가지 사이의 딜레마는 인간이 평생 지고가야하는 굴레다.
@TINYANT2024 5
2020년 4월 30일 16:41그것을 하면서 저는 행복합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바로 제 꿈을 이루어 나가는 일이요. 한번씩 힘들때 괴로움을 느끼지만 한번씩 묘하게 있는 행복감이 오히려 괴로움을 덮어준다 해야할까요 ? 여러분도 좋은 꿈 가지길 바래요
@감사사랑-s5b 5
2020년 4월 30일 18:08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지금 이 순간에 깨어있어라
매 순간 순간 알아차리고
집중하면서 행복을 느껴라
play soulcrash 4
2020년 4월 30일 16:37위기속에서 생존했을 때,
경쟁에서 승리 했을 때 기쁨도
오래가지 못하죠... 추억으로
남겨 기념할 수는 있지만 처음과 같은 행복은 못 느낍니다.
책그림님 영상 일찍 올리셔서
^ ^화들짝! 좋군~
@user-dream-book 4
2020년 4월 30일 16:39돈이 많다고 다 행복한건 아니지만
욕심을 버린다는게 참 어렵네요ㅠ
@arton1647 3
2020년 4월 30일 16:31행복은 잠시 스쳐지나갈뿐..
SCC Sinper 3
2020년 4월 30일 17:21저 고기는 생명과 직결됩니다. 배고파서 죽긴 싫어요
@나봉쓰-l6h 3
2020년 4월 30일 17:27돈이 있어야 행복을 느끼는 자본주의 사회 에선 어쩔수 없다
@cyorwsg3135g 3
2020년 4월 30일 17:06재물이 없으면 불행/괴로움보다는 불확실한 미래 혹은 내일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크다.
그래서 인생에서는 일단 재물이 넉넉히 있고 봐야 한다.
@hwang-min-yeong 3
2020년 4월 30일 16:37오늘은 석가탄신일이자 2020년 4월의 끝이라서 쉬는 날인데도 여간 편하지 않았는데 영상을 보고나서 잠시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너무 과한 집착은 언젠간 제 자신에게 해를 끼치기 마련이니까 지금 이 순간에 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생각하고 실천하면 그게 곧 행복일 듯 싶어요.! 이번 영상은 정말 감사합니다.
@짱구는목말러-c8w 3
2020년 4월 30일 18:24집착하지 않으려는것 역시 고요에 대한 또다른 집착 같네요.(회쟁론에서 나가르주나가 '공'한것 역시 '공'하다라 말했듯이)
매가 고기를 얻으려는 이유는 행복하기 위해서가 아닌 생존을 위해서가 아닐까요?
물론 충분히 고기를 먹었음에도
맛있다는 이유로 끊임없이 고기를 찾아다니는 매(과도한 집착)는 불행하겠지만 저는
순간순간의 배부름에 만족해하며 살아가는 매가 평온하지만 항상 배고픈 매보다 더 행복해 보일것 같아요.행복과 좋음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를테니 정답은 없겠지만 말이죠.
@danielnam8298 3
2020년 4월 30일 21:15댓글을 보니 좀 안타깝습니다. 다들 행복을 대상에서 찾으려고 하시네요.. 돈이 없으니 지켜야할 것을 못지키는 그 상실감 절망감은 얼마나 클까요. 하지만 부처는 참된 자신을 향한 길을 가르쳐주려 하는 것입니다. 이 길이 대상을 쫒는데 있지 않다고요. 그 길이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고요. 세상의 모든 것을 뒤로하라는 것보다 대상에 대한 집착을 멀리하고 생명으로서 어쩔 수 없이 겪어야하는 고통을 받아들이면서 자신에게 집중하라는 의미입니다.
택블 Takble 2
2020년 4월 30일 17:58힘들때 미치면 조커가 되고,힘들때 미치지 않으려면 페이커가 되어야하고,힘들때 미치지 않고 이기면그것은 "1류"이다.
@p3j714 2
2020년 4월 30일 22:38삶을 소유물로 느끼지 말 것. 좋은 책입니다
이동용 2
2020년 4월 30일 20:32감사합니다
@사랑해-2007Love 2
2020년 4월 30일 19:08감사합니다
@단장-p7e 2
2020년 4월 30일 19:47묘하게 공감되네요
@나와그림-q4h 2
2020년 5월 01일 01:27음 이게 맞아 하루하루 행복하고 알차게 보낸 사람이 부자라고 생각해요
김우디를 닮은 사람 2
2020년 4월 30일 18:19가져보지도 못했고 가지지도 못할거면서 가진 후를 걱정하니 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카르다노 2
2020년 5월 01일 08:00무언갈 가짐으로써 불행해진다?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것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거라고 생각함
근데 그걸 편하다고 생각하는건 발전이 멈춘거고 더 나아지고 싶은 생각이 없는걸로 생각됨
최소한 나는 그렇게 살고싶은 생각이 들지 않음.
@5ve_ 2
2020년 4월 30일 23:03욕망의 기준은 내가 세우지만 그렇다고 못 가졌다고 집착하며 불안할 필요 는 없다라는걸 말하네요
@김종환-z8g 2
2020년 4월 30일 18:43부처님 생일 참 기쁜 내용 .. 감사합니다
@보이는세상은실재가아 1
2020년 6월 21일 17:02제 경험인데 인생 계좌가 마이너스 -4000 일때와 플러스 4 억이 될때 까지 10 년을 살펴 본다면 마이너스 일때는 현실은 괴로웠지만 나아갈 것이라는 희망 때문에 살았고 4 억이 지난 시점에는 안정감과 성취감으로 좋긴 합니다만.. 결혼이나 남자문제 등 돈이 있어도 더 부유한? 상태의 다른 고민이 생기는 것 같아요. 더 나아진 현실의 병풍 때문에 사람들을 더 경계하고 더 의심해야 해서 행복에 이르는 길이 더 멀어 보이기도 합니다. 행복을 자꾸 추구하기 보단 가치를 추구 해야 하는게 맞는 것 같아요. 행복은 외부의 상황을 상대적으로 받아 들이고 내 마음에 따라 그때 그때 바뀌는 무언가 인 것 같네요. 다만 현실을 직시하고 어느 정도 만족한다면 평온산 행복 추구는 지속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Karabinn 1
2020년 5월 01일 19:23댓글보기 너무 힘들다... 나도 실천은 못하고 있지만 그래고 노력하는 중인데 욕망 최고거리는 댓글들 보고 있으면 머리가 아파 와...
@hope_opportunity 1
2020년 4월 30일 17:22욕심과 욕망을 구분해야죠
@엄성훈-g9r 1
2020년 4월 30일 17:12의식주가 돈이 없어도 주어질수가 있다면 저럴수가 있지만 현재는 불가능하죠.
@growth_mindist 1
2020년 4월 30일 20:09있는게 없는 거보다는 낫지만, 있으면 더 많이 원하게 된다. 집착해서 더 많이 원하게 된다는 건 안다. 미래에 더 많이 필요할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하지만 내가 돈을 쉽게 벌 능력을 가지면, 별로 더 갖고 싶은 마음이 안생긴다. 그게 경제적 자유를 얻는 방법같다
@pard 1
2020년 4월 30일 22:01결과에 집착하는 것 보단 과정의 중요성(행복?)을 느끼는 것 정말 어렵네요
@감영인 1
2020년 7월 27일 10:09맞아요 저도 물건에 집착하며 살았는데 지금은 그냥 만족하며 사니까 행복하네요. 일상에서의 소소한 행복을 느끼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매번 파티같은 삶을 살진 않잖아요.
Ayukawa madoka 1
2020년 5월 14일 21:08어떻게 이런 양질의 퀄리티를의 영상이 조회수가 이거밖에.. 130만을 해도 아깝지않은데..
@자녀교육최경선-m3p 1
2020년 5월 04일 15:52얼마나 더 많이 가져야 행복할까? 이 문장이 얼마전부터 마음에 참 와닿았는데 이 영상을 보게 되었네요.
집착하면 괴롭지만 버리고 난후에는 편안해 진다는 말이 참 쉽지만 어렵습니다. 영상 감사히 보았습니다.
@콥붕이-y5q 1
2020년 5월 02일 22:05선생님 말씀이 참 맞는말인데요 살아보니까 돈으로 살수없는 행복이 있는게 맞거든요 근데 그건 돈이 있는 사람이 마음을 그렇게 먹어야 그런거지 돈이없는 사람이 돈없어도 행복해 할수는 없는거더라구요 못하는거랑 안하는거에 차이 처럼요
@meta3539 1
2020년 4월 30일 17:20욕망의 종류에 따라 다른것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어떤 욕망은 인생에 있어 반드시 필요하거나, 중장기적으로 도움이 되기도 하니까 말이죠. 욕망없이 N포세대로 살아가는게 답은 아닌것 처럼요.
영상의 초반에서는 매를 언급하죠. 고기를 포기한 매는 편안하겠지만 계속 그러면 결국 굶어죽을겁니다. 어느정도의 고기는 필요하겠죠.
@2시간초집중4번싸이클7 1
2020년 5월 01일 12:52오히려 소유한 것을 버릴 때 새로운 것을 소유할 수 있다.. 공감되지만 실천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조금씩 실천해보겠습니다.
한국에서는 돈이 없으면 매순간이 불안하고 힘들고 지옥같은 것은 사실입니다. 물론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요. 하지만 한국에서도 분명히 소유하고 있는 것을 버릴 때 새로운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제가 부처라는 생각을 해보며 좋은 생각, 긍정적인 생각을 해봅니다. 고통 또한 행복이고 삶의 한 부분이다. / 스트레스는 나쁜 것이 아니라 좋은 것이고 나의 best friend이다.
@joell0526 1
2020년 4월 30일 22:22가지지 못하면 우리는 도태됩니다 경쟁은 피할수 없고 고통도 감수해야 하는거죠 아무것도 원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될 수 없어요 좋은 생각이나 그저 불교의 철학일뿐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지는 않겠습니당
@kimdonghoon79 1
2020년 5월 01일 08:51명상들으며 돈많이 모아야지~
깨달으면서 돈많이 모아야지~
욕망을버리면서 돈많이 모아야지~
배풀면서 돈많이 모을께요~~^^
@STARVEWOLF 1
2020년 5월 01일 01:31행복하지 않더라도 통증과 괴로움이나마 없기를 ...
어어러러
2020년 4월 30일 20:3110만원으로 한달생활하다가 50만원으로 생활하니까 천국이엿어요 돈은 일단 많은게 좋은거같아요
연승메이커
2020년 8월 21일 08:39있다고 행복해지진 않는다. 절대 진리다. 그런데 없는거보다는 백사십칠만배 정도 물질 정신 모든 면에서 낫다.
@sucovlog6009
2020년 6월 24일 03:29이번여행에서 친구가 제게한말과 비슷하네요. 쫓는일로 인생을 낭비하지마라. 그런일은오지않을수도있다. 지금 곁에있는 행복에 감사하고 내려놓고살자하더군요.
@baekya5680
2020년 4월 30일 16:53저는 무신론자인데 불교는 종교보단 철학과 배움의 성격이 더 강하게 느껴져서 좋아합니다
부처가 말하는 무욕과 무소유를 지금 시대에 그대로 대입하기엔 현실적인 어려움이 분명 존재하는 것 같아요
다만 저 말은 본질적으로 분명히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있기에 생존을 위한 물질을 구하기 위해선 돈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런것들은 꽤나 비싼편입니다
살기 위해서 돈이 필요한데 욕망을 버리라니 죽으라는 소리인가 싶기도 합니다
그러나 부처는 결국 그런 삶의 연명의 과정을 불행이라 규정하는 것과
그렇게 규정된 불행에 대해 부정하지말라는 말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회사에 나가서 하기싫은 일을 9시간 동안 하면 월급을 받는것
그러지 않고 편하게 하고싶은 거 하면서 노는 대신 돈을 받지 못하는 것
이 둘은 무엇이 우위다, 옳바르다, 행복하다 따위의 기준이 아니라
그저 행위에 의해 자연스럽게 도출되는 결과물이라는 것이죠
물리학에서 말하는 작용과 반작용, 경제학에서 말하는 기회비용도 비슷한 매커니즘이라고 봅니다
이 둘은 서로 대립되는 것 처럼 보이지만 그것이 아니고 원래 하나였으니 받아들이고 평온을 찾는게
정신건강에 이롭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홍보
체널을 개설했습니다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계속 업로드 할 예정입니다
구경하러오세용 :)
진짜몰라
2020년 5월 02일 14:34개소리입니다
가지세요 가지고 난 다음에 비워도 늦지 않습니다
@독서-t3b
2020년 5월 01일 12:13행복이라는 환상을 ~
과잉 욕망
행복은 어디에?
대상 통한 만족보다 순수한 만족감이 행복이다.
무엇을 달성하기보다 여기에서 행복을 느껴야 한다.
감사합니다~*
Blue Bird
2020년 6월 11일 15:51여기 있는 사람들은 밥 하루 세끼 못먹나봐ㅋㅋ 무슨 여유가 없다고하네
철리학
2020년 5월 20일 07:47돈은 본질적으로 아무것에도 쓸모없는 종이쪼가리에 불과하지만 인간은 돈에 많은 부분들을 넣어주었다
그 많은 부분들때문에 인간이 비교적 최근에 만든 그 규칙 때문에 우리는 돈을 싫어할 수 없게된 운명의 인생을 살아가게되는데....
coming soon"좋아요" 많으면 2부 이어서 작성
@bookdory
2020년 5월 01일 20:43인생교과서 잘보구갑니다 쥐고있는걸 놓아야 사는데 그게 쉽진읺아서 매번 쥐고있지만 탁 놓아버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링키
2020년 5월 06일 10:13아니 솔직히 왜 실천을 못하겠다는거지 참 머리가 아프다.....
волимте milkyway
2021년 1월 02일 16:18💌책 내용은 제게 어려울것 같습니다.
하지만 설명이 쉽고 원고를 너무도 감동적으로 쓰셔서 내 행복에 대해 생각해봅니다.난 책읽을때와 그림그릴때 행복합니다.오랫동안 규칙적으로 등교하지 못해서 생활 패턴이 무너지고 힘들때 책과 그림이 내게 행복을 알게했습니다.
지금은 책그림님의 지혜를 배워가는 시간이 행복합니다.감사합니다.
제 미래에 약으로 작용할것 같습니다💌
ᄋᄋ
2020년 7월 24일 01:35이런 영상은 인생의 핵심에 가깝다고 생각하는데 확실히 한국 사람들은 받아들이지 못하는것 같다 이래서 자살률 1위 아닐까 ..댓글 볼때마다 답답함
@wakwakwickwick
2020년 5월 03일 22:22인간은 외로움이 적인 것 같다. 어딘가에 속해있는 거 같다가도 다른이의 속을 들여다 보려 하면 그 소속감이 진짜인지 아닌지 알 수가 없게 되네요. 그러니 물질적인 것에 계속 의존하고 살아가는게 요즘의 현대인인거 같아요. 니름의 신념과 가치관이 있더라도 이상을 실현하는데에 동조해줄 사람들이 필요한데 각기 너무나도 다른 생각을 하고 그럼에도 같은 욕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느낌.
@뭐미뭐니고고
2020년 6월 24일 16:36가지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놓을 때는 놓을 줄도 알아야 한다는 것에 가깝습니다 거기에 딱 달라붙어 있는 것이 고통이라는 것이지요 얼마든지 가지세요 다만 그걸 가지겠다고 다른 존재에게 해를 끼치지 마세요 자기를 고통에 몰아넣는 길이니까요
@hoon7812
2020년 5월 01일 17:19좋은 내용 잘 보고 갑니다.
수없이 날 괴롭히는 과거/미래의 생각들도
결국 그저 지나가는 것이고
욕심을 채웟을때의 그 느낌도 스쳐지나가는 “느낌”일뿐입니다.
세상은 오로지 마음밖으로는 존재할 수 없고
마음의 뷰가 바뀌면 세상도 달라지는듯 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기를.
@성이름-m7p7j
2020년 5월 01일 00:28맞아요! 매트릭스 속 인간 건전지로 사는 것도 나쁜 삶은 아니죵!
Zion Park
2020년 8월 21일 12:57그래도 과잉 행복에 빠져 불행해서 사람들끼리 경쟁하고 끊임없는 노력을 해서 지금의 시대가 도래한것임
사람들이 다들 행복했었다면 아직 우리는 유튜브는 고사하고 아직 불도 못썼을것
리카르도W.
2020년 4월 30일 17:03응 그래도 집게사장은 말했지 돈이 최고얏!!
sk j
2020년 6월 13일 21:23세상은 사람들이 욕망하는 것들 위주로 만들어져왔다. 욕망의 추구는 항상 옳지만은 않다.
인간은 욕망보다 괴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살아야 한다.
현실은 물질만능 사회에 짓눌려 욕망을 쫓다 생을 마감한다.
우리가 극복하기 위해 고통을 견디며 산다면 행복은 즐거움은 멀지 않은 곳에 있을 것이다.
@MasterKiten
2020년 5월 17일 23:26어머!새가 고기를 정육점에서 샀나봐요.역시 고기는 소고기죠.
@핑퐁-x7r
2020년 5월 01일 05:24궁금한게있어서..
책내용에대한 느낀점을 유튭으로만드려하는데 저작권에 문제가 혹시생길까요..?
수호성
2020년 5월 01일 12:28일단 돈이 많고 나서 고민할 문제같음
SCC Sniper
2020년 7월 12일 00:46만족만 하기위해 인생을 살기에는 너무 재미없지 않은가.
고통과 행복과 교차되며 굴곡이 있는 삶이 인생이 아니겠는가?
현세의 모든 욕망은 인생의 한 부분일뿐, 그 욕망을 벗어나 만족만을 느끼면서 인생을 마감하는게
진정한 인생이라 말할 수 있는가?
난 현세의 욕망과 행복을 받아들이면서 살아가고 싶다.
@빵-m3r
2020년 11월 26일 21:45물리적으론 풍족해도 정신적으론 풍족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정신적으로 풍족해지려면 사람이 필요합니다. 물론 이게 제일 어렵지만
WB L
2020년 5월 04일 06:38이 책이 말하고자하는 내용은 아마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 의식을 가지고
깨우치는 것이 목표가 아닌 살아남는 것이 목표인 사람들에게 삶을 죽지 않을 정도로 살 수 있 무언가를 택하라는 의미인 것 같다. 결국 자신이 좋아하는 일, 가치관을 통해
나에게 맞는 활동을 하고 취미이던 일이던 나만의 목표에 집중하되, 다른 사람들의 자랑거리 등에 휘둘려서 욕심을 부리지 말라는 뜻 인 것 같다.
영상의 몇분과
책의 몇 글자로 저게 옳다고 말할 수 없지만 잦은 실패를 경험한 사람들이라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