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녓하십니까 지난번 증세없는 복지는 허구다 란 질문을 드렸었죠. 정치적 이유로 드린 질문이 아니다. 개인적인 방법이 생각나서 질문을 드렸던겁니다. 다름이 아니라 유승민씨와 가까운 이준석군을 만날것 같습니다. 그 친구의 적극적인 토론을 원하는 친구이니 만남이 성사될거 같습니다. ,,,,,,,, 증세없는 복지 가능하리라 보십니까 뭐 풍족하진 않겠지만 지금보단 상당히 양질의 복지가 가능하리라 봅니다만,,,,, ,,,,, 뭐 완벽하지만 않지만 지난번 금융실명제에 비하면 그닥 충격도 아닐듯 합니다. 일부는 충격이겠지만,,,, 어쩌튼 선거 이후에 답변을 주신다 하여 다시 질문을 합니다. ,,,,,,, 선생님의 의견을 듣고 제가 생각해본 방법을 말씅 드리겠습니다.
저는 홍박사님처럼 똑똑하진 않지만... 기존이론이 먹히지 않는게 현상황입니다 지금의 위기는 근본적으로 2008년 위기해법이 잘못되었기때문입니다 월가의 파생상품의 탐욕문제를 없는 자들이 감당했다는게 문제고 그때와같이 돈 푸는 문제로 해결하려한다면 더 큰문제를 야기할뿐입니다... 문제가 생긴곳은 서민이고..그들의 소득문제이기 때문이죠...그래서 MMT와 기본소득제같은 얘기가 나오는것입니다.. 지금은 금융문제도 아니고 실물문제.. 락다운문제죠 과연 그걸 금융에 돈을 주입한다고 해결될까요? 많이 알고 역사학도 출신이여서 과거 통계에 집착하시는줄은 알지만 월가는 한번 정리되고 자본주의 개념도 재확립될것같네요 돈을 무제한 푼다..이런정책은 기축국가도 아닌 한국실정에 맞지도 않을뿐더러 국가빚으로 자산가 배만 불린다는 문제도 있죠 미래세대의 담보만 늘리기도 하구요 다시는 예전의 인플레시대가 오지도 않을뿐만 아니라...인플레로 부채를 낮춰오던 그 폰지사기같은 일도 생기지 않을것이에요
@shlee8057 1
2020년 4월 30일 10:44다양한 주제로 깊게 고민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많이 배워요
@papasmf1 1
2020년 5월 04일 14:21박사님 책은 항상 읽고 있습니다. 이번 디플레 전쟁도 강추입니다. 블로그에 올린 독서 후기입니다. ^^
https://blog.naver.com/papasmf1004/221944423104
@TV-pr7ts 1
2020년 5월 05일 07:35박사님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종경-r5x 1
2020년 4월 30일 21:12책 구매해서 잘봤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책 써주세요~^^
@바람의소리-r4m 1
2020년 4월 30일 16:08음질이 상당히 개선 되었네요.
예전에 음질때문에 잘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REI 1
2020년 4월 30일 11:10디프레전쟁은 교보문고에서만 e-book 구매가능하네요. 조금 헤맸지만 구매했습니다^^
@markov2k2
2020년 5월 03일 11:56원인 결과 관계와 상관 관계를 이해를 못해서 그래요.
@john-leeeee
2020년 5월 01일 10:46교보문고에 디플레전쟁이 베스트셀러 한가운데 있는거보고 반가웠습니다
@osylhz
2020년 4월 30일 19:22👋👋👋👋👋
@ffas9955
2020년 4월 30일 12:36디플레전쟁 화요일저녁에주문했는데 오늘공휴일이라서 내일와요ㅠ
봉 생산자[Candle producer]
2020년 5월 04일 04:49안녓하십니까
지난번 증세없는 복지는 허구다 란
질문을 드렸었죠.
정치적 이유로 드린 질문이 아니다.
개인적인 방법이 생각나서 질문을
드렸던겁니다.
다름이 아니라 유승민씨와 가까운
이준석군을 만날것 같습니다.
그 친구의 적극적인 토론을 원하는
친구이니 만남이 성사될거 같습니다.
,,,,,,,,
증세없는 복지 가능하리라 보십니까
뭐 풍족하진 않겠지만
지금보단 상당히 양질의 복지가
가능하리라 봅니다만,,,,,
,,,,,
뭐 완벽하지만 않지만
지난번 금융실명제에 비하면 그닥
충격도 아닐듯 합니다.
일부는 충격이겠지만,,,,
어쩌튼 선거 이후에 답변을 주신다 하여 다시 질문을 합니다.
,,,,,,,
선생님의 의견을 듣고
제가 생각해본 방법을 말씅 드리겠습니다.
@park5593
2020년 4월 30일 17:12고맙습니다. 많이 배웁니다.
@tyl3551
2020년 5월 07일 11:54ㅎㅎ 이해력이 떨어지는지라 한참을 돌려봤네요ㅜ 어쩌다 이리 된 건지.. 나름 학부거시경제를 어설프게나마 배웠다는 자가 이 모냥이네요. 현실경제는 더 얽혀있어서 그렇다는 자기위로를 해봅니다..
암튼 환율급등을 말씀하시는 분들은 국가신용등급 주장을 하시는 분들과 같은 집단이지 싶습니다. 다만 이론적으로 타당할지라도 실증적으로 그래보이지는 않네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김정순-e3g7f
2020년 5월 01일 15:26감사합니다.
@chulj2572
2020년 5월 01일 12:22저는 홍박사님처럼 똑똑하진 않지만...
기존이론이 먹히지 않는게 현상황입니다
지금의 위기는 근본적으로 2008년 위기해법이 잘못되었기때문입니다
월가의 파생상품의 탐욕문제를 없는 자들이 감당했다는게 문제고 그때와같이 돈 푸는 문제로 해결하려한다면 더 큰문제를 야기할뿐입니다...
문제가 생긴곳은 서민이고..그들의 소득문제이기 때문이죠...그래서 MMT와 기본소득제같은 얘기가 나오는것입니다..
지금은 금융문제도 아니고 실물문제..
락다운문제죠 과연 그걸 금융에 돈을 주입한다고 해결될까요?
많이 알고 역사학도 출신이여서 과거 통계에 집착하시는줄은 알지만
월가는 한번 정리되고 자본주의 개념도 재확립될것같네요
돈을 무제한 푼다..이런정책은 기축국가도 아닌 한국실정에 맞지도 않을뿐더러 국가빚으로 자산가 배만 불린다는 문제도 있죠
미래세대의 담보만 늘리기도 하구요
다시는 예전의 인플레시대가 오지도 않을뿐만 아니라...인플레로 부채를 낮춰오던 그 폰지사기같은 일도 생기지 않을것이에요
@ookim4522
2020년 5월 13일 21:18요약좀요
STAY 21
2020년 4월 30일 15:09환율강의 자주 부탁드려요!
@papasmf1
2020년 5월 04일 14:30올려주신 영상과 책을 반복해서 보니 이해가 더 잘됩니다. ^^
@leehan-p7k
2020년 4월 30일 12:50좋아요 따봉을 2번3번 이상누르고싶을정도로 퀄리티있는 영상찍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허재원
2020년 5월 02일 23:11혹시 정부소비 증가율, 채권 순매수, 주식 순매수에 관한 통계 출처를 알려주실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