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내 시간이 자꾸 없어진다면 | 이것 때문에 한 달이 없어진다! | 집중력 2화, 같이 걸을까요
우리는 하루 평균 60분에서 90분 가량 뉴스를 보고 있습니다. 포털 사이트를 통해서든, 방송을 통해서든요. 우리나라 청소년도 이제 60분간 뉴스를 본다는 통계가 ......
우리는 하루 평균 60분에서 90분 가량 뉴스를 보고 있습니다. 포털 사이트를 통해서든, 방송을 통해서든요. 우리나라 청소년도 이제 60분간 뉴스를 본다는 통계가 ......
@worldhola5090 55
2020년 5월 04일 23:43뉴스가 아닌 유투브에 하루 7시간 보냅니다 ㅜ
@hkk6963 45
2020년 5월 04일 20:14요즘 뉴스를 보고 있다보면 정말 '뉴스'가 아닌거 같아요.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정보가 아닌, 사람들이 보고 싶어하고, 듣고 싶어하는 정보만 알려주더라고요. 특히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해 이런 면을 더욱 느끼는 거 같아요.
뉴스를 보고 나면 개운한 느낌보다는 찝찝한 느낌이 들곤 했는데 영상을 보고 나니 왜 그런지 조금 알 것 같습니다.
@김준형-s3k9d 33
2020년 5월 04일 22:292주전에 적으려고 했던 댓글입니다. 상반되는 내용의 댓글을 달아주신분도 계시기때문에 이 댓글이 공격적인 의도로 쓴 댓글이 아님을 밝힙니다 :)
------
오랜만에 책그림님이 직접 더빙한 동영상을 보니 무척 반갑네요.
발음이나 발성은 전문성우분들이 일반인들보다 우월하겠지만,
그래도 원고와 편집을 기획한 사람의 목소리를 통해 듣는것도 참 매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책그림앵커덕분에 오늘도 잘 배워갑니다.
감사해요~
@Dreamer-rv2jb 27
2020년 5월 04일 21:34기사도 기산데..요즘엔 유튜브에 더 많은 시간을 쏟아요. 앞으로는 집중력이 높은 사람들이 성공하게 되는 사회가 될 거라고 예견될 만큼, 요즘 사람들이 1시간 집중도 잘 못한다고 하더라고요. 저도 너무 고민입니다. 1-2주 끊고 지내다가도 한번 풀어지면 예전 습관으로 다시 돌아가요.
@hope_opportunity 14
2020년 5월 05일 04:55이런 관점이라면 뉴스는 유튜브와 다르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뉴스보단 유튜브에 좀더 시간을 소비합니다.
피상적인 뉴스만큼 유튜브 또한 피상적인 영상들이 많습니다.
'정보의 비만 시대' 인거 같습니다.
예전 영상에서 말씀하셨던 고독을 최대한 즐기려고 합니다.
` 14
2020년 5월 04일 23:40KBS '저널리즘 토크쇼'를 보면 '뉴스의 인과관계'를 풀어내는 몇 안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세상을 바로 보게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탐사저널리즘 프로그램은 '스트레이트와 PD수첩'이 레전드입니다!
@사유하다 13
2020년 5월 04일 21:19어디선가 현대인의 뉴스 구독 습관이 사람을 더 바보로 만든다는 글을 본적이 있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일에 항상 관심은 가져야겠지만 스스로 생각하는 시간 역시 중요한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h5ig1gc8n 13
2020년 5월 04일 20:50질문 듣고 당연히 다리가 무너졌다는 거지라고 생각했다가 이어지는 말 듣고 어? 내가 너무 감성이 없나ㅠㅠ하고 있었는데ㅋㅋㅋ
@kdc00 11
2020년 5월 05일 01:19그러고 보니 구글은 실시간검색어가 없네요 자기가 필요한 것만 찾아 보라는건가
스누피 11
2020년 5월 11일 22:25끊임없이 유튜브를 클릭하고
정보를 얻지만 내 삶은 달라지지 않고
내 생각의 깊이는 여전하다
수많은 잡지식이 뒤엉켜
진실을 보는 눈을 감기게 만드는것 같다
잘 만들어진 건강한 밥상보다
빠르고 자극적인 인스턴트 음식을 좋아하는 음식 섭취의 패턴이 정보의 양식을 섭취할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것같다
이런 생각이 들면서도 나는 또 다른 정보를 찾아 유튜브 스크롤을 내린다
'나중에 볼 동영상에 저장' 꾹
@아짱나-d9q 9
2020년 5월 04일 20:27🤔 맞아요. 정치, 사회, 스포츠, 연애......한번 시작하면 링크에 링크를 거쳐 왠만한 뉴스는 쓱 훑고 지나가더라구요.
@DDaDok_stureadingkorea 8
2020년 5월 05일 12:141. 수많은 뉴스의 홍보속 -> 세상을 이해하고 있다는생각을 한다면?? 오해와 진실
2. 뉴스를 보다가 낭비되는 시간 (분노, 걱정을 소화하는 시간)
3. 깨어있는 시간의 1/12 소비
4. 책 '뉴스 다이어트'
5. 사건이 발생한 근본적 원인, 이유를 아는것
6. 대중들의 성향,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뉴스 선호
7. 얕은 뉴스 대신 장문의 책과 독서 추천 (탐사 저널리즘 , 주간지 등)
정보의 홍수속에서 어떠한 정보를 받아들일지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책그림님^^
복실이 5
2020년 5월 04일 20:41신문을 보면 뉴스에 단점들이 어느 정도 보완이 됩니다.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기사나 뉴스를 본다면 아나운서가 말하는 속도에 그리고 궁금하지도 않았던 것들까지 전부 차례차례 봐야한다는 것.
하지만 신문을 읽는다면 댓글과 같이 비전문가의 의견 따위는 없기에 더욱더 그 내용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부분만 자신의 속도에 맞추서 빠르게 읽고 싶으면 빠르게 읽고 넘어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하룻 동안의 내용만 나와 있기에 한정된 내용이고 계속 또 다른 뉴스들이 눈에 띄지 않아 다른 뉴스로 빠질 일도 없어 시간도 낭비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신문을 강력히 추천드립니다만 아쉽게도 요즘에는 신문이 배달이 안되죠.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쓸모도 없고 도움도 안되는 뉴스에 많은 시간을 낭비하는 것입니다. 이런 부분은 참 아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종이 신문을 볼 수 있다면 종이 신문을 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물론 인터넷으로 자신이 원하는 기사를 볼 수 있는등 좋은 부분도 많지만 자신이 뉴스에 시간낭비를 하는 것 같다 하시는 분들은 어느정도 조절하는 습관을 들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책그림님은 도움도 안되는 뉴스 따위를 볼 시간에 책을 읽어 세상을 더 넓게 보라는 뜻 같습니다. 여러 방향으로 자신의 견해를 말할 수 있는 자가 진정한 지식인 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 이 영상을 보시고 부정도 하시고 긍정도 하시며 자신의 방식을 만드시길 바랍니다.
@user-um6bz9pz7w 5
2020년 5월 04일 20:16주식쟁이나 사업체 사장이나 고위급 공무원 아니면 굳이 뉴스 속보하나하나에 목메이며 살 필요는 없죠. 그냥 아침에 10분정도 헤드라인만 보고 심각한건 유심히 좀 보기도 하고 아니면 그저 자신의 일에 집중하는게 좋습니다.
솔직히 뉴스가 중요한게 아니고 하나의 뉴스를 보더라도 자신의 주관과 해석 능력을 가지고 봐야되는데 요즘 사람들은 그저 댓글에 편향된 파도타기와 군중심리에 동조되는것과 자극적인 사건사고에 목이 말라 뉴스를 마치 마약처럼 틈나는데로 강박적으로 찾으니 뉴스를 보면서도 머리는 멍해지는 거죠.
@user-li3sj7qu2v 5
2020년 5월 05일 01:02언론플레이, 가짜뉴스, 가십거리 ㄷㄷ
@kimingon94 4
2020년 5월 04일 20:46오랜만에 책그림님 영상 보는데, 스타일이 바뀌었네요? 이제 화이트 애니메이션 안쓰세요?
@drmphy 4
2020년 5월 04일 22:03예전엔 뉴스 기사를 많이 읽었는데
이제는 제목만 보고 사건의 핵심만 파악한다
기사 내용에서 추가 정보를 얻기도 하지만 보조적일 뿐이다
그리고 댓글을 쓰면서 내 생각을 정리한다
그나저나 뉴스 보는 시간은 많이 줄었는데
요즘 유튜브에 할애하는 시간이 너무 많이 늘었다
보기만 하는 게 아니라 유튜브를 '듣기' 많이 한다
유튜브 프리미엄 완전 신세계였다
어느날 누적 광고 시간도 너무 많은 것 같아서 무료부터 시작했더니 한달 결제료가 전혀 아깝지 않았다
근데 유튜브 의존도가 너무 많다
유튜브를 통해 공부하는 것도 많기는 한데 자제하려고 노력만 하고 있다
H Kim 4
2020년 5월 05일 05:26불안감때문에 요즘 뉴스 많이 봐요...
그런데 김정은 사망설 건강
맨첨 김정은 위중설을 CNN에서 보도처럼
그 보도후에 유투버에서도 어마어마한 김정은 사망설 다 가짜!!
중심을 가지고 뉴스를 봐야 해요. 그리고 안봐도 세상 하나 잃는 거 없긴해요. ㅎㅎ
@loonvalentine6544 3
2020년 5월 04일 21:12항상 그런건 아니지만 , 시간이 아깝따는 생각이 들때는 영어 기사나 영어 유트브를 보려 해요,
내용이 도움 안되더라도 영어 공부가 되니 시간낭비라 생각이 안되서 좋은 방법인거 같아요
@presentgiftbox 3
2020년 5월 05일 01:24오 저도 뉴스를 요새 자주 보지 않고 궁금할 때만 찾아보는데, 주간지를 보는 방법이 정말 효과적일 것 같아요! 저도 실천해 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injaeim245 2
2020년 5월 08일 23:19저는 시사인 , 시사저널 챙겨보고 있습니다!
@Wooniverse7 2
2020년 5월 06일 02:53예시가 공감이 안가는게 아쉽습니다..!
@송수빈-s4m 2
2020년 5월 04일 23:58전환시간... 와 이런개념이 있었군요 게임도 비슷한거 같아요 쉰다고 게임하지만 겜하고 나면 기진맥진하죠
너와 함께 2
2020년 5월 27일 15:19누스..ㅋㅋㅋ
@김규민-s9y 2
2020년 5월 05일 23:17오늘도 충격적인 가르침을 주는 영상이네요.... 점점 뉴스가 바뀌고 있는거 같아요. 우리가 세상을 제대로 바라보는데 도움이 되는 기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그저 감정을 일으키는 자극적인 기사를 만드는데만 치중하는것 같아요. 사람들은 그런 기사를 좋아하구요. 마찬가지로 유튜브도 책그림님처럼 사람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좋은 채널보단 자극적이고 단순한 영상들을 선호한다는게 슬픈 현실입니다 ㅜ
@highkick5315 2
2020년 5월 05일 02:09명치 맞았다..
@Gamaninea 2
2020년 5월 18일 12:21뉴스 뿐 아니라 유튜브도 중독인데 책그림님 구독 신청해두고 한번 영상 보면 그 영상을 마지막으로 유튜브도 다시 멈추게 되는 마법...ㅋㅋ
요리하는 필라강사 지니쌤 2
2020년 5월 04일 23:05진짜맞는말이네요!
@김종환-z8g 1
2020년 5월 04일 21:03오늘 깨닫네요 왜..왜..한번만 더 왜...???
@말씀택배 1
2020년 5월 04일 20:27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올려주시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는
일에 동참하고 싶어
저도 유투브를 시작했습니다
수험생,취준생,직장인들을
위로하고 용기를 주는 동기부여
컨텐츠를 제 유투브를 통해
올리려 합니다
귀감이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올려주시길
응원합니다 파이팅!
@t_i_m_e535 1
2020년 5월 06일 20:41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뉴스를 보는 습관은 안좋다고 합니다. 뉴스의 내용은 안좋은 사건이나 사고 위주고 그런건 부정적인 감정과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에.. 하루의 기분을 좌우하는 아침이니 의도적으로 기분좋게 시작해야죠.
Remind PC 1
2020년 7월 11일 22:23독재자, 썩은 권력자, 딥 스테이트, 검은 세력 등이 국민을 개돼지로 만드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하나인 정답만 외워 시험치는 썩은 공립 교육과 언론입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고전, 철학, 인문학 등의 양서를 읽고 나누는 것인데 요즘 사람은 책을 거의 읽지 않으니 단순화된 머리로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곳이 바로 티비로서 이것을 보기 시작하면 하나 밖에 모르는 머리는 이것이 진리인양 믿어버리게 됩니다.
우리 나라에도 멀지 않은 과거에 이런 일이 있었죠...29만원이던가? 미국은 대표적인 CNN이고 우리 나라는 연합뉴스에서 이들의 뉴스를 가져와 그대로 보도합니다.
국민들은 세뇌된 머리로 개돼지가 된줄도 모르고 다 믿어버립니다. 노인분들이 태양광 패널을 가지고 거품물 때 참으로 안타까웠습니다. 다양한 사고를 하지 못하고 오직 자기 생각만 옳다고 주장하니...
세상엔 정답은 없습니다. 다양성을 인정하고 통일성을 추구하되 그 어떤 것도 절대성을 부여해서는 안됩니다. 아무리 절대적인 진리라도 개개인의 성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좋은 영상 만드셔서 감사합니다......
play soulcrash 1
2020년 5월 04일 20:05책그림님 좋은 시간
보내세요~
@roastedshrimps7836 1
2020년 5월 05일 14:14저도 뉴스를 보면 세상에 대해 똑똑해지는것 같았는데
이를 보니 생각이 달라지네요... ㅎ
오늘도 감사합니다! :)
Delil 1
2020년 5월 04일 23:37진짜 뉴욕타임즈의 20년간의 타임라인만 봐도 글의 수가 확연히 적어진걸 볼 수 있으실겁니다.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저는 라디오로 뉴스를 듣고 관심있는 것들은 따로 찾아봅니다. 시간을 내서 뉴스를 읽는다는게 너무 아깝더라구요. 출퇴근시간만해도 그날의 뉴스는 웬만한건 다 챙겨볼 수 있습니다.
@사랑해-2007Love 1
2020년 5월 05일 09:39감사합니다
@IIllIll 1
2020년 5월 04일 23:37요즘 책그림은 비디오스크라이브를 쓰지 않는다!
혹시 월구독료가 비싸서 안 쓰시는건가요?
@캡스-z7c 1
2020년 5월 08일 00:36네이버가 다 망쳤지
@반시-k9n 1
2020년 5월 05일 21:37그렇게 내가 기사를안좋아하는이유가 요즘 진짜뉴스라고할만한 기사가없음
용가리 1
2020년 8월 02일 23:57요것은 제가 하루를 마무리 할 때 하는 방법입니다. 1. 신뢰할만한 언론사 1곳 구독(헤드라인만 훑어보다가 관심있는건 클릭) 2. 정책브리핑 사이트(여긴 정부기관들이 정책관련 기사들을 직접 만들어 올려요ㅎㅎ 신뢰도가 높죠) 3. 정부기관(식약처, 국토부..)블로그 이웃추가하기 해놓으면 매일마다 좋은 글들이 올라와요 / 끝으로 유익한 기사나 글은 에버노트에 제목, 주소를 저장합니다. 이렇게 스크랩해두면 나중에 필요할 때 유용하게 쓰이거든요^^
@김민준-i1p6t 1
2020년 5월 06일 05:07뉴스보다 유튜브랑 웹서핑 sns하는 시간이 젊은 사람들은 훨씬 크지 않나요
@아침햇살-k1z 1
2020년 5월 04일 22:19싫어요 누르는 사람들은 0:20 이 착각에 빠진 사람들인가..
@이관모-p8s
2020년 5월 07일 23:47그렇구나....
@건우-h7x
2020년 5월 09일 20:52제 개인 적인 생각이지만 뉴스를 보며 아 이런 일이 있었구나 하면서 끝내는게 아닌 이런 뉴스가 왜 뜬걸까? 이러면 경제는 어떻게 흘러갈까? 이 뉴스로 인해 나에게 돌아오는 이익은 없을까? 고민하다 보면 의미 없이 뉴스보는 시간보다 혼자 고민을 하는 시간이 길어지더군요 뉴스를 보는건 좋으나 책그림님 말씀 처럼 줄이고 할 수 있다면 지인을 통해 사건 사고를 접하면 생각 없이 뉴스에 소비하는 시간을 줄일 것이라고 봐요
그리고 책그림님 영상 잘 챙겨보고 있어요 댓글은 처음인데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해요
태호
2020년 7월 01일 01:31기레기
@Yellowpenda
2020년 5월 08일 07:51저는 뉴스보다 유튜브를 통해 세상의 소식을 접합니다. 주로 경제뉴스에 한해서요..
@meaningfulgoodday1153
2020년 10월 24일 11:40책그림님..목소리 점점 좋아지고 있는거 아시나요??
@jbhong5533
2020년 8월 31일 18:49우리가 앵커링에 걸리는 이유를 짚어주네요
@LEE-uk8gy
2020년 7월 13일 01:33파편적인 사실을 탐하기보다 깊이있는 지식을 추구하자
@kandinsky3274
2021년 1월 02일 15:59𓈃𓈃𓈃𓈃𓈃𓈃𓈃
🎁 📚 책 그 림 📚 🎁
𓈃𓈃𓈃𓈃𓈃𓈃𓈃
💘방대한 지식에 감동합니다💘
그 지식은 지혜를 넓혔고 그 통찰을
구독자에게 주시는군요.🥰🥰
정주행중에 댓글 남겨요.감사합니다.
@MJ책빵
2020년 5월 09일 19:00뉴스는 딴짓이다. 뉴스를 아무 생각없이 보고 자극적인 제목을 누르며 시간을 보냈던 것이 1년을 11달로 만들고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유일조
2020년 5월 04일 20:10좋아요
@RyouDaito
2020년 8월 23일 08:09악 갑자기 목소리가 ㅠ
@passionpassion2078
2020년 6월 06일 21:13중요한 내용을 전달하는 내용이긴한데, 비슷한 예를 들면 유튜브도 있죠. 유튜브 중독도 끊기 참 힘이듭니다.
@Lue-Berry
2020년 5월 19일 05:21저는 이동이나 운동 중에 듣는 것으로만 소비하고 시선을 아끼는 편입니다
@seikun7
2020년 5월 27일 01:29나도 경제 주간지 읽어야지
@주화주
2021년 2월 14일 20:49주간지 좋은 생각이네요! 일간지를 읽고 있는데 바꾸는 것도 고려해봐야겠어요 일간지가 은근히 내용이 얕더라고요
@postgres2981
2020년 9월 04일 22:45저는 그래서 뉴스볼 때 자극적인 사고, 타살 이런 기사는 일체 안봅니다.
솔직히 보면 자기 기분만 나쁜데 굳이 그런 기사 보면서 화 내는 사람들 정말 이해 안가요.
정치뉴스도 되도록 안보고 최대한 경제나 도움 될만한 기사거리에 대한 뉴스만 봅니다.
독서 1000권, 김코난
2020년 5월 29일 12:03팁이 될지 모르겠지만, 주식을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저는 TV나 포털사이트에서 '소비'되는 뉴스를 보지 않는대신 주식을 합니다. 소액이라도 돈을 넣어두면, 코스피 지수의 상승/하락에 따라 이유를 찾아보게 되므로 정말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만 중점적으로 찾아보게됩니다.
@꾸준히잘했다
2020년 5월 17일 13:16뉴스를 끊더라도 생산적인 활동은 안하는게 문제
하루에 한가지라도 파고, 물고 늘어져야 한다.
@장훈철-k7k
2020년 5월 10일 07:16잘 보고 있습니다 한편 화면 자막글씨가 작아보여요 폰트를 좀더 크게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은세
2020년 8월 25일 14:59좀 빨리빨리 이해되기 쉽게 해줘요ㅡㅡ 드럽게 길어
@박은혜-v1q
2020년 5월 04일 21:05원래 사투리 쓰시나요? 발음이 특이하신듯
bs oh
2020년 5월 08일 06:27저는 그래서 컴퓨터 시작프로그램을 구글로 했더니 자극적 뉴스의 유혹을 피할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