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론은 대중을 깨우침으로써 국가의 자원의 집중 우선순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 세계에서 등장할뻔한 수많은 위기들은 이렇듯 정치인들과 언론들이 대중으로 하여금 인류가 집중해야 할 문제들을 제대로 선별하고 위기의식을 고취시켜 자원의 집중을 유도했기 때문이지, 스스로 '시간'이 해결해준게 아니죠.
식량 위기 또한 과학자들의 품종 개량 및 병충해에 대비할 농약 등의 발달로 수급량이 크게 늘어 해결하게된 것이고, 석유는 실제로 매장량이 30~40년이 맞았지만 추가로 유전을 '발견'했기 때문에 고갈시기가 늦춰진 것에 불과하죠. 경제 위기는 실제로 수많은 경제학자들이 미래를 대비하고 정책방향을 바꾸도록 유도해왔기 때문에 그나마 이정도 선방하고있는겁니다. 민주주의든 사회주의든 지금 문제점들은 수만개는 산적해있고 법을 세분화시켜 이기주의자들의 갈취를 규제하여 '공유지의 비극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죠.
이 영상을 보면 마치 팩트를 볼 때, 문제들은 알아서 해결되어왔다 처럼 해석될 여지가 있어보입니다. 현실은 수많은 과학자들과 각종 업계 전문가들과 정치가들이 올바른 방향 제시와 한정된 자원의 분배 등의 똥꼬쇼들로 위기를 해쳐나간것에 가깝습니다.
당장 코로나19만 봐도, 심각한 위기가 맞고 세계 각국의 국민들이 위기상황을 인지함에 따라 백신개발에 높은 투자를 끌어내는데에 성공한것이지, 알아서 해결될 문제는 아니었죠. 국민들이 만약 백신개발 등 문제해결을 원하지 않았다면 각 국가들은 국민이 관심이 없는 분야에 막대한 세금을 쏟는것은 당연히 불가능하구요. 이렇듯 국민들에게 위기상황을 인지하게 해주는 위기론은 가까이해야할 논제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국민들을 과하게 선동하여 비생산적인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음모론은 법으로라도 규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전혀 음모론과 상관없는 책내용. 저 책은 결국 메트릭스 안에서 절대 눈을 뜨지 말고 계속 꾸던 꿈이나 꾸며 자라는 자장가로 빆에 안보이는데. 어느 부분에서 인류의 삶이 나아지고 있다는거지? 바이러스로 한순간에 자유가 없어지는 경험? 자고 났더니 은행이 나의 전 재산을 빼았아 가는 경험? 그 잘난 발전된 기술덕에 당장 없어 질지 모르는 직업에 대한 걱정? 아무일 없이 지나가는 오늘, 안도의 한숨에 다가올 미래에 아무 생각 없이 살다간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메트릭스에 의존한 목숨, 한 순간에 날아갈텐데.
아 이참에 It’s Even Worse Than It Looks, Thomas Mann 작가 책도 소개 시켜 주시죠? 이 책이 더 와닿는 내용이 많을 텐데요?
비관주의를 말하는 본인은 지나친 낙관론자인 것 같은데요? 과연 세상이 그렇게 평화롭고 좋은 곳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시길.. 위의 주장과 같은 세계관을 가지고 다음 20년을 살아보면 "아, 내가 참 평화로운 시기에 평화로운 땅에 태어난 운 좋았던 사람이구나.." 하는 걸 깨닫게 되실 겁니다. 세계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잘 한번 보세요~
1. 주기적인 위기론 -> 인류에게 혼란을 주는 원인 중 하나 (인기의 원천) 2. 팩트를 알면 두렵지 않다 '책' 3. 미국의 트럼프대통령 : 위기론 조장 예시 4. 식량위기론, 자원고갈론, 경제 위기론 5. 곡물창고는 비지 않는다 -> 농업기술의 혁신, 오히려 비만 문제 6. 자원은 고갈되지 않았다 -> 석유고갈 이슈, 오히려 유가 효율화 실현 7. 경제는 무너질 것인가 -> 상품, 서비스 수준, 삶의 질 꾸준한 상승 8. 쇠퇴론, 역동설
세상은 결국 나아지고 있다는 흐름을 이해하고, 더 나아지는 삶을 위해 더 가치있는 삶을 위해 노력하는것이 현명할것이란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책그림님 감사합니다^^
위기론이 저절로 해결된 것은 아니잖아요 세일가스도 당시 기술력으로는 불가능했던 자원이었죠 자원고갈에 대한 위기론이 나오니 자원 발견과 연구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나올 수 있는 것이죠 신재생에너지도 위기론이 있기에 그에 대한 투자가 생기는 것이고요 무조건 낙관론만 펼치면 해결책은 나오지 않고 위기가 왔을 때 진짜 무너질 겁니다
위기론은 누군가에게 불필요한 소비를하게 하기도 하고 누군가에게는 기회가 되기도 하죠. 실제로 음모론이라고 치부하고 넘겼던것이 팩트 일때도 있었고요 무엇보다 경제위기론은 팩트에 민감해야하고 정보를 얻기위한 노력을 게을리하면 안되죠. 리먼 쇼크도 인류는 극복했고 경제는 성장했지만 누군가는 집과 일자리를 잃었으니까요. 문제는 위기론에 휘둘려서 불안만 느끼는것이 아닐까 싶네요. 물론 책을 읽어보지 않았습니닿ㅎ
엔트로피가 항상 증가한다는건 우리가 살고있는 세계의 법칙입니다 자원이 아직 많이 남아있으니 괜찮다는 말은 절벽 끝으로 밀려 떨어지려 하는 사람이 절벽과의 거리가 아직 많이 떨어져있기에 괜찮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이건 괜찮은게 아닙니다 확실히 괜찮은 상태라 할 수가 없어요 눈가리고 아웅일 뿐이죠 절벽으로 떨어짐만 있고 멀어짐은 없는 상태 그 자체가 이미 파국입니다 대체에너지의 발견도 결국은 엔트로피의 증가일 뿐이죠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서는 에너지를 소비하면 그 에너지는 다시 소비할 수 없는 형태로 바뀝니다 이건 긍정론도 비관론도 아닌 그저 과학이고 팩트에요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폐쇄된 공간일뿐 그 공간이 무한히 확장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가진 에너지의 절대량은 유한해요 그리고 우린 남은 에너지의 절대량이 얼마인지도 정확히 모르고, 앞으로 얼만큼 소비량이 늘어날지도 모르고 있습니다 그런대 아무런 근거도 없이 그래도 아직 많이 남아있다 말하는건 너무나 어리석고 무책임한 사고 입니다 세상은 결국 나아진다는 흐름 따윈 없습니다 우리가 알 수 있는 확실한 흐름은 이 모든것에는 끝이 존재한다는 흐름 뿐이에요
팩트(사실)를 왜곡하니 문제가 사라지지 않죠. 사실-데이터-정보-지식-지혜. 사실을 왜곡하려 노력하는 인간들이 많아지니 지혜. 지식.정보는 모두 왜곡됩니다. 사실에 집중하고 과학을 불신하고 자연에 겸손해야 할 때 입니다. 과학은 수치일 뿐입니다. 자연은 그 자연그대로 힘이 있습니다.
상당히 자극적인 썸네일에 편향적인 내용이네요. 트럼프 예시도 적절치 못한듯. 당시 미국 일자리가 줄어들고 경제적 문제가 있던건 팩트고 트럼프도 그 부분들을 언급했었죠 개인적으로 트럼프가 위기라는것을 자극적인 심리작용으로 사용한것이라곤 생각안합니다. 다른 대선후보들이 듣기좋은 이상적인 말들을 할때 트럼프는 특정 문제들을 언급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도 제시했기에 당선된거라고 봅니다. 음.. 이 영상은 저에게 조금 실망스럽네요.
@터닝포인트-u7p 56
2020년 5월 09일 19:58음모론은 아주 맹신하거나 외면하기 보다는 하나의 가능성으로는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국가든 사업이든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야 하기때문에 여러가지 경우에 대해 생각해보고 대응할 수 있다면 좋지 않을까 해요.
@user-xw2kk5ur2v 56
2020년 5월 06일 19:45하지만 그 팩트를 알기가 어렵네요.....
뉴스는 항상 가짜고 신문도 뭐...
@경돈-w7i 51
2020년 5월 06일 23:44위기론과 음모론은 구분해야합니다.
1. 식량 위기론
2. 자원 고갈론
3. 경제 위기론
위기론은 대중을 깨우침으로써 국가의 자원의 집중 우선순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 세계에서 등장할뻔한 수많은 위기들은 이렇듯
정치인들과 언론들이 대중으로 하여금 인류가 집중해야 할 문제들을 제대로 선별하고 위기의식을 고취시켜 자원의 집중을 유도했기 때문이지, 스스로 '시간'이 해결해준게 아니죠.
식량 위기 또한 과학자들의 품종 개량 및 병충해에 대비할 농약 등의 발달로 수급량이 크게 늘어 해결하게된 것이고,
석유는 실제로 매장량이 30~40년이 맞았지만 추가로 유전을 '발견'했기 때문에 고갈시기가 늦춰진 것에 불과하죠.
경제 위기는 실제로 수많은 경제학자들이 미래를 대비하고 정책방향을 바꾸도록 유도해왔기 때문에 그나마 이정도 선방하고있는겁니다.
민주주의든 사회주의든 지금 문제점들은 수만개는 산적해있고 법을 세분화시켜 이기주의자들의 갈취를 규제하여 '공유지의 비극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죠.
이 영상을 보면 마치 팩트를 볼 때, 문제들은 알아서 해결되어왔다 처럼 해석될 여지가 있어보입니다.
현실은 수많은 과학자들과 각종 업계 전문가들과 정치가들이 올바른 방향 제시와 한정된 자원의 분배 등의
똥꼬쇼들로 위기를 해쳐나간것에 가깝습니다.
당장 코로나19만 봐도, 심각한 위기가 맞고 세계 각국의 국민들이 위기상황을 인지함에 따라 백신개발에 높은 투자를 끌어내는데에 성공한것이지, 알아서 해결될 문제는 아니었죠.
국민들이 만약 백신개발 등 문제해결을 원하지 않았다면 각 국가들은 국민이 관심이 없는 분야에 막대한 세금을 쏟는것은 당연히 불가능하구요.
이렇듯 국민들에게 위기상황을 인지하게 해주는 위기론은 가까이해야할 논제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국민들을 과하게 선동하여 비생산적인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음모론은 법으로라도 규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갱진쓰게임 44
2022년 2월 20일 08:21실제 음모론이 사실로밝혀진사례도 많음
@bill_blackhands 42
2020년 5월 06일 20:01팩트는 체크하는데 노력이 들지만, 거짓말을 만들어내는건 노력이 들지 않고,
현실 얘기는 평범하지만, 거짓말의 내용은 자극적이죠.
머리를 텅 비우고 자극적인 것에만 반응해버리면, 가짜뉴스와 음모론에 휘둘릴 수 밖에 없겠네요.
J 39
2020년 5월 06일 21:03위기론은 선례로 인해서 가능성을 말하는거고 위기론이 나옴으로써 대처를 준비하기도 합니다. 팩트만 알고 가자고하기엔 세상이 호락호락하진 않습니다.
@책수다-영화처럼보는 39
2020년 5월 06일 19:46위기를 선동하고 이용하는 부류들이 문제이죠, 사실 문제는 대체제나 또다른 방법으로 극복해 왔던 것이 사실입니다.
@jakobepopo 38
2020년 5월 06일 22:01음모론이 아니라 지금은 다 들 눈을 떠야할 시기에 이르렀습니다.
@바질토마토크림치-n5b 32
2022년 7월 08일 19:53음모론이 사실로 드러난 경우도 많아서 오히려 음모론은 믿는 인간들은 바보다 라고 단정짓는 사람들도 바보같아요
@김지수-k6s 24
2021년 8월 09일 04:24'음모론'= 비리를 파헤치는 사람들을 신뢰하지 못하도록 만들기 위해 고의적으로 퍼트린 단어, CIA가 만든 단어로 알려져있음.
참 음모론이라는 단어가 좋지 않아요. 오히려 '음모론'이라는 단어가 훨씬 많이 이용되고 있죠. 정치적 비리를 가리는데 엄청 많이 이용되고 있고, 그걸 보면 CIA가 참 똑똑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요즘 보면 모든 비리를 '음모론'이라고 댓글 다는 사람들이 있던데, 그걸보고 사람들이 생각할 시간조차 갖지 않고 그 글을 걸러버리죠.
덕분에 요즘 사람들은 생각도 의심도 못하고 그저 권위있거나 높은 사람이 공식적으로 떠들어대는걸 그대로 맹신하는 바보들이 되버린 것 같습니다.
오히려 조심해야 되는건 '음모론'을 만드는 사람이 아니라 '음모론'이라는 단어를 이용하는 사람들입니다.
모든 음모론을 믿지 않습니다. 개중에 몇 개는 믿고있죠. 음모론으로 취급된다고 다 믿지 않는 것은 바보나 하는 짓입니다.
Haylot. d 24
2020년 5월 16일 18:27음모론도 진실 거짓을 가려내야죠. 음모론은 말도 안되는 정보라고 믿는 사람들이 대부분 뉴스는 다 믿더라고요, 이 또한 바보들입니다. 뉴스와 음모론의 차이점을 판별 못하는것이 더 멍청합니다.
@전주연-c1b 21
2023년 2월 20일 16:47사실을 가리기 위해 음모론이라는 프레임을 씌우는 것입니다~
같이해요. 동주의 숲_레튜버 20
2020년 5월 06일 19:49팩트는 알기가 어렵고 알려고도, 안하기 때문이 한 몫하지않을까요?
@siriman59 20
2020년 6월 02일 09:06근데 이번 빌게이츠 id2020 음모론은 사실인것 같기도 함
@user-u9km 19
2020년 5월 07일 01:43고놈의 팩트 팩트 ㅎ.ㅎ 팩트를 구라로 위장하니까 음모론이 필요한거지..
@q1w2e3r4t-k2x 16
2020년 5월 06일 20:12광우병
L Be 15
2020년 5월 06일 23:10음모론은 음모가 있는 경우는 없으므로 음모를 믿는 바보들이 되지 말자는 건가? 그게 진짜 음모인지 어떻게 알지? 진짜면 그냥 넋놓고 하하호호 웃으며 당할건가? 그것도 바보인데
@dongiovanni7655 14
2020년 5월 06일 21:55전혀 음모론과 상관없는 책내용. 저 책은 결국 메트릭스 안에서 절대 눈을 뜨지 말고 계속 꾸던 꿈이나 꾸며 자라는 자장가로 빆에 안보이는데. 어느 부분에서 인류의 삶이 나아지고 있다는거지? 바이러스로 한순간에 자유가 없어지는 경험? 자고 났더니 은행이 나의 전 재산을 빼았아 가는 경험? 그 잘난 발전된 기술덕에 당장 없어 질지 모르는 직업에 대한 걱정? 아무일 없이 지나가는 오늘, 안도의 한숨에 다가올 미래에 아무 생각 없이 살다간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메트릭스에 의존한 목숨, 한 순간에 날아갈텐데.
아 이참에 It’s Even Worse Than It Looks, Thomas Mann 작가 책도 소개 시켜 주시죠? 이 책이 더 와닿는 내용이 많을 텐데요?
@사랑-g6d 13
2022년 1월 23일 06:38의혹과 음모론은 확실히 구분을 합시다
눈앞에 나타난 의혹을 음모론으로 묻어 가지 말고요 ...
@djj99977 13
2022년 10월 05일 21:00음모에 속으면서도 눈치채지 못하는 사람들
@user-wj7em7GS7sj 12
2021년 12월 10일 11:03악한자들이 그 실체를 감추기 위해 만든 말이 음모론.
김태엽 12
2020년 5월 06일 20:01흠 식량 자원 경제라는 한정적인 분야에선 위기가 아니라 할지라도 환경문제나 미세먼지 등은 위기가 맞지 않을까요...? 더 나아지고 있는게 맞을까요..?
강 11
2020년 5월 06일 19:58그리고 저 음모론이 사실이라고 해도 내가 저 음모론을 해결도 못함 그러니 걱정은 할 필요가 없지
@이유정-z6i8x 11
2022년 6월 04일 08:292년전에 올린영상이니 ..2년후인 현재에도 음모론이라 말할수있는지 너무궁금하군요 밤새 뿌려대고도 모자라 아침출퇴근길에도 항상 뿌려대더군요 그리곤 흩어져 뿌연하늘이 형성이되죠
요즘 아침날씨 다들보고계시죠?어떤가요?아직도 중국발 미세먼지라 하시는지..
@주인공-m7t 10
2020년 5월 09일 01:24정말, 팩트를 보면 세상이 나아지고 있을까?
나아진다는건 어떠한 기준에서 나아진다는 것인가? 무엇이 나아진다는 것인가?
Da Ae Choi 10
2020년 7월 03일 10:03트럼프가 당선된건 힐러리와 오바마의 피자게이트 드러났기 때문임 트럼프가 선동해서가 아님
@칠재-q9s 10
2020년 5월 06일 22:59우린 답을 찾을것이다, 언제나 그래왔듯이 이 말이 어울리네
@Moonj1512 9
2020년 5월 07일 14:54위기론과 음모론은 엄연히 다른 의미입니다.
제목을 좀 잘못설정하신듯하네요.
바보들이 음모론에 휘둘리는 이유라고 자극적인 제목을 설정 해놨는데 정작 내용은 위기설을 믿지마라는 내용이었네요.
세상에는, 사실인데도 숨기고 사람들이 캐내면 음모론 취급하는 일들이 많이 있습니다.
@chunsikchoi8568 8
2020년 5월 08일 12:51바보? 탐욕한 인간들이 언론권력을 놓지 않는 한, 국민수준이 언론의 영향에 기속되는 한 국민은 누구나 바보가 될 수 있음. 그것은 님도 예외가 아니지.
두룽지TV-커버&VLOG 8
2020년 5월 06일 20:09위기를 감지하고 주목받게 해서 극복해 나가나 보군요 위기론도 발전이나 성장을 위해 필요하군요 🤔
이름 7
2020년 5월 14일 01:01한편으로 드는생각은 이런 위기론이 인류를 자극시키고, 그런한 자극에 의해 인류는 언제나 발전할수있었다. 라는 생각이 드네요. 답을 찾기위한 마중물 이라 해야할까?
@freekorea3765 7
2021년 1월 18일 22:06비관주의를 말하는 본인은 지나친 낙관론자인 것 같은데요? 과연 세상이 그렇게 평화롭고 좋은 곳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시길.. 위의 주장과 같은 세계관을 가지고 다음 20년을 살아보면 "아, 내가 참 평화로운 시기에 평화로운 땅에 태어난 운 좋았던 사람이구나.." 하는 걸 깨닫게 되실 겁니다. 세계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잘 한번 보세요~
@kemist4176 7
2020년 5월 07일 01:36미천한 피드백) 근데 확실히 영상 제목은 조금 자극적인듯! 책 제목도 딱히 맞는것 같지는 않지만, 읽어보진 않았으나 책내용이 역동론에 기반한 낙관적이고 근시안적 관점에서 위기를 다루는 느낌! 영상 자체는 언제나 훌륭하십니다:) 잘봤어요!
@breadncup 7
2020년 5월 07일 13:15걱정을 안하고 손놓고 있었으면, 아마 위기 극복도 어려웠을것입니다. 지나친 비관론은 안되겠지만, 어느정도 대비할 자세는 있는것은 중요할거예요. 거기서 또 인류는 나아질 무언가를 발견하게 될테니까요. 그렇지 않을까요? ^^
@사랑-g6d 6
2022년 2월 15일 22:06마냥 음모론 이라고 치부하는 사람들 대부분 자세한 내용도 모르고 그냥 음모론 음모론 ! 무새가 대부분임 ...
눈앞에 빤히 문제가 제기 된 것인데 주류 언론에서 안다룬다는 이유 하나로 ...
K olor 6
2020년 5월 06일 23:09데이터가 없는데 무슨 팩트를 논하는건지..
(제작자 욕한거 아니에요.. 오해 ㄴㄴ,
책비평)
@Mory-p8k 6
2024년 1월 19일 12:15무조건 음모론이라고 치부하고 눈 앞에 현상조차 스스로 바라보지 못하는 사고력을 가진 인간들이 진ㅉ 바보지 ㅋㅋㅋㅋ
@DDaDok_stureadingkorea 6
2020년 5월 06일 22:311. 주기적인 위기론 -> 인류에게 혼란을 주는 원인 중 하나 (인기의 원천)
2. 팩트를 알면 두렵지 않다 '책'
3. 미국의 트럼프대통령 : 위기론 조장 예시
4. 식량위기론, 자원고갈론, 경제 위기론
5. 곡물창고는 비지 않는다 -> 농업기술의 혁신, 오히려 비만 문제
6. 자원은 고갈되지 않았다 -> 석유고갈 이슈, 오히려 유가 효율화 실현
7. 경제는 무너질 것인가 -> 상품, 서비스 수준, 삶의 질 꾸준한 상승
8. 쇠퇴론, 역동설
세상은 결국 나아지고 있다는 흐름을 이해하고, 더 나아지는 삶을 위해
더 가치있는 삶을 위해 노력하는것이 현명할것이란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책그림님 감사합니다^^
@shk3803 6
2021년 12월 28일 17:34당신은펙트를모른다
@신라면-f5c 6
2022년 1월 14일 00:25에휴 알아보고 동영상 만들길
@maketimkim 6
2020년 5월 10일 00:25바보 라는 단어는 책그림과 안어울려요
왠지 자청식같네요
책그림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싶어하는 잔잔한 형같은데 바보들은 이라뇨 ㅠㅠ
레이디 6
2022년 3월 03일 23:33진짜를 음모론이라그 가짜 프레임을 씌우는 밤식 이유는 간단해 사람들이 진실에 눈 뜨는게 두렵고 거슬리니까
세상은 세계돈줄을 쥐고있는 자들의 놀이터
ᄋᄋ 6
2020년 5월 06일 23:19경제가 지금은 잘 작동하긴 하지만 곧 디플레이션으로 빠질 것임.
@Moon.Disaster 5
2022년 1월 25일 20:45다 틀렸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개웃기네
@lgrshlgrsh3574 3
2023년 5월 22일 16:01그래그래 백신 잘 맞고~
애몽빵 작업실 3
2020년 5월 06일 20:01제 주변에도 평평지구 유튜브영상 매일 보내는
친구가 있는데 너무 힘들어요.... ㅠㅠ
@발바닥-s5r 3
2022년 6월 16일 23:452년전영상이네요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나요 세상통제할려는걸 깨려는사람들이 팩트로 음모론을 만드는걸까요?
@jukyunglee8505 3
2020년 5월 12일 22:03목소리가바뀌었네요 너무좋아요!
@VictoriafromKorea 3
2023년 7월 30일 13:44근데 왜 의심 조금이라도 가진 사람들을 바보로 몰아가고 비웃어요? discredit 하고 ?
@페페-z7c 3
2022년 6월 17일 14:37통제가 목적
@김승준-g8e 3
2020년 5월 21일 00:32위기론이 정확하게 미래를 예측하지는 못하지만, 항상 더 나은 미래가 펼쳐지도록 경각심을 통한 영향력을 미치는거 같아요!
@ezrealove 3
2021년 12월 21일 21:32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1. 사람들이 줄기차게 위기를 말하는 이유
1:02 위기를 말해야 주목받기 때문이다
2. 세상을 보는 관점
① 쇠퇴론
세계과 쇠락하고 있고, 쇠락할 수 밖에 없다는 관점
잠깐 위로는 되겠지만, 힘이 빠질 뿐이다
② 역동설
우리가 우여곡절은 겪겠지만 전체적으로 삶의 여견이 향상된다는 관점
인류는 상황에 맞게 기술을 발전시켜 왔으며, 항상 답을 찾아왔다.
3. 낙관적으로 세상을 보라는 건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게 아님
세상은 결국 나아진다는 흐름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기회를 찾고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기론, 음모론에 휘둘리지 않고 단단하게 나아가자
@chanheo4950 3
2020년 5월 07일 02:46환경오염, 인구감소는 잠재적인 위협이죠. 환경에너지, 인공지능 자동화를 발전시켜 극복해야 한다고 봅니다.
L 3
2021년 11월 14일 14:54세상을 너무 낙관적으로만 생각하는 건 아니라고 봐요. 온실가스는 꾸준히 배출량이 늘고 있잖아요? 위기 속에서도 정말 위기인 것이 뭔지, 그 위기에 대한 대처 방법은 뭔지 고민해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gyunk7335 3
2020년 5월 16일 10:28위기론이 저절로 해결된 것은 아니잖아요 세일가스도 당시 기술력으로는 불가능했던 자원이었죠 자원고갈에 대한 위기론이 나오니 자원 발견과 연구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나올 수 있는 것이죠 신재생에너지도 위기론이 있기에 그에 대한 투자가 생기는 것이고요 무조건 낙관론만 펼치면 해결책은 나오지 않고 위기가 왔을 때 진짜 무너질 겁니다
T D 2
2020년 5월 06일 20:58김정은 수술하다가 식물인간이 됐다면서 티비 뉴스 뭐냐 --
Choon Choi 2
2020년 10월 02일 05:44제목을 보니 욕을 하고싶어지네요
양반김 2
2020년 5월 06일 23:23위기론은 누군가에게 불필요한 소비를하게 하기도 하고 누군가에게는 기회가 되기도 하죠. 실제로 음모론이라고 치부하고 넘겼던것이 팩트 일때도 있었고요 무엇보다 경제위기론은 팩트에 민감해야하고 정보를 얻기위한 노력을 게을리하면 안되죠. 리먼 쇼크도 인류는 극복했고 경제는 성장했지만 누군가는 집과 일자리를 잃었으니까요.
문제는 위기론에 휘둘려서 불안만 느끼는것이 아닐까 싶네요.
물론 책을 읽어보지 않았습니닿ㅎ
@생존한국 2
2020년 5월 08일 00:22언론을 이용해서 석유고갈이라 그러더니 .. 지금은 석유가 남아도는 아이러니 .......
lid ecunax 2
2020년 5월 10일 00:34음모론은 뒤에서 누가 작당하고 안좋은 일을 일으키는건데 정작 영상에선 어떤 상태가 안정되지 않거나 부정적인 상태가 되는 위기론을 말하고있네 주위에 음모론자들이 많아서 뭐라하나 기대했는데...뭐야
@kyodeokkim2527 2
2021년 11월 21일 19:46딥스 월급밭는가 ?
시온의정서
가이스톤 읽어보신건가?
인구한명당 가축이 10마리
이상 필요한거 모르는가
아니땐 굴뚝에 연기 나는가 ?
이정훈 2
2020년 5월 27일 01:22언론, 정치인, SNS를 멀리하고 팩트를 알아내는 방법? 같은걸 알 수 있으면 좋을텐데 책에는 그게 없나보네..
@뱅-e1q 2
2024년 4월 23일 12:38음모론을 바보라고 하는 사람이 바보 아닌가 ㅎ
ᄋᄋ 2
2020년 5월 06일 19:55팩트를 알면 두렵지 않다 레버리지 풀매수 가즈아ㅏㅏ
killerwhale 2
2020년 5월 11일 11:31지금은 마냥 낙관적으로 바라볼 때가 아닌데요. 코로나만 봐도 낙관적인 사람들 때문에 더 퍼지고 있는데. 2차 터질 거라는 예측들 음모론 취급하고 끝났다, 이제 괜찮다며 긍정 회로 돌리면서 일상으로 돌아간 사람들 때문에 어떻게 되고 있는지 보세요.
블루스카이 1
2020년 6월 09일 11:21위기를 말해야 인기얻는다 ?
두려움활용?
@skdjbvggk 1
2020년 10월 25일 01:41엔트로피가 항상 증가한다는건 우리가 살고있는 세계의 법칙입니다
자원이 아직 많이 남아있으니 괜찮다는 말은 절벽 끝으로 밀려 떨어지려 하는 사람이 절벽과의 거리가 아직 많이 떨어져있기에 괜찮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이건 괜찮은게 아닙니다 확실히 괜찮은 상태라 할 수가 없어요 눈가리고 아웅일 뿐이죠 절벽으로 떨어짐만 있고 멀어짐은 없는 상태 그 자체가 이미 파국입니다 대체에너지의 발견도 결국은 엔트로피의 증가일 뿐이죠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서는 에너지를 소비하면 그 에너지는 다시 소비할 수 없는 형태로 바뀝니다 이건 긍정론도 비관론도 아닌 그저 과학이고 팩트에요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폐쇄된 공간일뿐 그 공간이 무한히 확장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가진 에너지의 절대량은 유한해요 그리고 우린 남은 에너지의 절대량이 얼마인지도 정확히 모르고, 앞으로 얼만큼 소비량이 늘어날지도 모르고 있습니다 그런대 아무런 근거도 없이 그래도 아직 많이 남아있다 말하는건 너무나 어리석고 무책임한 사고 입니다 세상은 결국 나아진다는 흐름 따윈 없습니다 우리가 알 수 있는 확실한 흐름은 이 모든것에는 끝이 존재한다는 흐름 뿐이에요
@투자자를위한인문학 1
2020년 5월 07일 13:20어떤 관점으로 세상을 해석할 것인가는 온전히 본인의 선택이지만 책임도 같이 오는거죠...
@더퍼시픽 1
2024년 6월 20일 21:16음모론이란 것도 그 음모를 만든 집단이 만든 프레임. 음모론 아니고 전부 팩트입니다. 모르니까 없다?라고 치부하면 안돼요
성이름 1
2022년 1월 14일 00:25단순한 심리학 설명 말고 진짜 팩트부터 봐야할 듯
Dan Kang 1
2021년 1월 11일 11:36심신이 연약하고 피해의식 자존감이 없는사람들이 잘 빠지는것 같음..
J00nFe 1
2020년 5월 07일 12:02항상 궁금했는데 동영상의 그림들은 직접 그리신 건가요?
엄헌섭 1
2022년 3월 30일 20:24음모론을 아주 맹신하면 안되지만 모든 음모론의 정점에 있는 연방준비제도위원회 FRB ( 글로벌 금융세력의 정점 )
FRB 는 JP모건 , 록펠러 가문 , 로스차일드 50% 정도의 지분을 가지고 있음.
미국은 자국의 화폐인 달러를 만들어 낼수 없습니다. 달러를 만들수 있는곳은 FRB 연방준비제도위원회 이곳에서 달러를 만들어서 미국에게 빌려줍니다.
미국의 최대 수출품은 인플레이션 입니다. 무제한의 양적완화로 생긴 인플레이션을 세계로 수출을 합니다.
그리고 미국은 FRB 연방준비제도위원회를 감사 할수 없고 감히 건드릴수 없고 연방준비제도위원회 FRB 가 미국에 달러를 많이 풀면 경제호황 안풀면 경제공황 인것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도 에너지 패권 전쟁과 주변 나에게 무기 팔아 먹을려고 하는 글로벌 금융세력의 농간 입니다.
바보들이 음모론에 휘둘린다는 개소리 하지 말고 어느분이 말씀 하셨습니다. 돈의 흐름을 보면 알수 있다고.
Dlw Wid 1
2020년 5월 06일 23:17바보들만 음모론에 빠진다뇨
왕엘리 1
2021년 3월 15일 19:12한번이라도 하늘 살펴라
Vuja Vlog 1
2020년 11월 18일 20:48지구가 이대로 소모된다면 인류는 500년안에 멸종된다는 전문가들의 예측은 그렇게 될것이다 가 아니라 그렇게 되지 않기위해 노력하자 이겠죠 요즘 다시 미세먼지가 심해져서 우리가 함께 힘써야겠다 다시 느끼게 되어요
좋은영상감사합니다
Jin Seo Park 1
2020년 5월 09일 13:56개개인은 위기인게 팩트임
봄곰 1
2020년 5월 14일 18:31너무 잘 들린다. 프로시군요.
김해 오스트랄로 1
2020년 5월 14일 00:53ㅋㅋㅋ근데 이런 음모론 믿는사람들 특징이 자기주장이 너무 쎄서 못 이기겠음.ㅋㅋ 그렇다고 팩트로 말하면 공부해라 라는 소리를 역으로 받음
@kemist4176 1
2020년 5월 07일 01:24언제나 잘 보고 있습니다 제작자님 ^오^
@roastedshrimps7836 1
2020년 5월 07일 02:09오늘도 감사합니다!!
언제나 고마워요!! ㅎㅎ
빛의천사 1
2021년 3월 26일 17:52음모론에 미친 애들보면 죄다보면 방구석 찐따들 ㅋㅋㅋ
자신들이 인싸면 음모론에 미칠일도 없음
자신들이 상위20 프로만 되도 세계3차대전 일어나서 같이 죽자 라는 또라이 소리 않함
Rocream 1
2020년 5월 07일 00:28최근에 제러미 리프킨의 엔트로피를 읽어서 그런지 굉장히 흥미롭네요.
@-injafarm3384 1
2022년 11월 23일 18:20팩트(사실)를 왜곡하니 문제가 사라지지 않죠. 사실-데이터-정보-지식-지혜. 사실을 왜곡하려 노력하는 인간들이 많아지니 지혜. 지식.정보는 모두 왜곡됩니다. 사실에 집중하고 과학을 불신하고 자연에 겸손해야 할 때 입니다. 과학은 수치일 뿐입니다. 자연은 그 자연그대로 힘이 있습니다.
혜경강
2020년 5월 14일 09:11뭐지?ㅋㅋㅋㅋㅋ
가구야
2020년 5월 06일 19:59Fact는 Evidence로써..
Dong-Gyun Ryu
2021년 2월 03일 16:47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자유를찾자
2020년 5월 17일 00:52책 '엔트로피' 대항마인가. 같은 문제를 정확히 반대로 보네요.
냠블리
2020년 5월 14일 22:580:36마치게임과도 똑같음
밸런스적으로 세나를 예로들면 공덱이 날뛰지만 방덱은 항상 답을 찾을것이다 라면서
게속 부활한다 하는데 애당초 서로 둘다 공존해야 밸런스가맞음을 알수있음.
뭐가 죽느니 뭐가망하느니는 다 그냥하는소리지.
다른게임도마찬가지임
누가 새로나와서 누가망하네
오버워치의 에코도 마찬가지
뭐가나와서 망할거면 왜출시함? 간단하게만 생각하지말고 넓게봤으면 좋겠네요.
정주원 tv
2020년 5월 10일 10:58감사
도라지무사파
2022년 1월 05일 11:08상당히 자극적인 썸네일에 편향적인 내용이네요. 트럼프 예시도 적절치 못한듯. 당시 미국 일자리가 줄어들고 경제적 문제가 있던건 팩트고 트럼프도 그 부분들을 언급했었죠 개인적으로 트럼프가 위기라는것을 자극적인 심리작용으로 사용한것이라곤 생각안합니다. 다른 대선후보들이 듣기좋은 이상적인 말들을 할때 트럼프는 특정 문제들을 언급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도 제시했기에 당선된거라고 봅니다. 음.. 이 영상은 저에게 조금 실망스럽네요.
김영준
2020년 12월 09일 16:04ㅗㅗ
MNZI
2020년 5월 08일 08:58음모론과 위기론이 나오는 것도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이러한 일이 일어날지도 모르니 대비하자! 이런 개념으로 이해를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세상에는 비관론자, 현실주의자, 낙관론자 모두가 존재하기에 인류가 생존해 나가는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비관론자와 음모론자들의 주장을 아예 무시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선 안된다고 생각이 드네요.
고갱님
2021년 11월 24일 13:22아니라고 할수도 없는일..
와!
2020년 5월 16일 21:46음모론에 대한 음모론이라는 책이 나오 재미있겠네요^^
ㅋㅋㄹㅃㅃ
2020년 5월 10일 12:54ㅋㅋㅋㅋㅋㅋㅋ
김대철
2021년 12월 25일 08:42팩트는 당시에는 진짜위기였고 그것때문에 투자해서 극복한것이 지금이지ㅋ
2016 GoldenTree
2021년 4월 13일 23:54멍청하긴 트럼프 당선은 피자게이트 때문에 힐러리가 하차 한거다. 왜 우리 언론은 피자게이트를 다루지 않았나?ㅎㅎ 거기에 답이 있다.
호박엿기름
2021년 12월 11일 15:51음모론이 거짓이라 하면 모든 걸 낙관적으로 생각하는건가 아니면 비판적 사고의 부재인가?
쭈니_K
2020년 5월 08일 21:09TK 어른신들이 미답당에서 하는 음모론을 너무 잘 들으셔서..ㅋ 미답당 애들이 TK에만 나올려하지
AAMR
2020년 11월 26일 21:42그래서 뉴스를 안봅니다
갠적으로 댓글을 자주보는데 댓글이란 댓글들은 선동성이 너무 강함
리오넬배C
2021년 4월 04일 06:12사람은 정부나 잘사는사람을 비판하며 자기 스스로를위로하는 보호심리가있음...그래서 자극적인 뉴스나 음로론이 인기가 많음..
사실이있을수도있으나 밝혀진음모론은 달착륙음모론말고는없음
까뮈
2020년 5월 06일 23:18그 위기론 음모론 조차 이용하는 세대인데...
피카새TV
2020년 7월 05일 02:46시장은 항상 이깁니다
금융시장의 붕괴는없습니다
북토크 BOOK TALK
2020년 5월 07일 12:50팩트풀니스라는 책이 생각나네요. 초반부 퀴즈를 풀고 놀랐었는데..
sea
2020년 5월 11일 01:10쇠퇴론vs역동설
생각이 많아지는 부분...
쇠퇴론에 가깝지만 거기엔 미래가 안보이고
역동설로 돌아서야 뭐라도 변하겠지
이플
2021년 12월 22일 15:58위기론, 음모론으로 누군가 금전적 이득을 보는 사람이 존재하겠죠.
Bora Choe
2020년 5월 16일 14:02비관주의와 낙관주의 이야기였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