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이 성하면 대한민국은 좋을것이 없습니다. 설명도 필요 없음을 다 아실 겁니다. 오히려 지금 중국의 시장몫을 최대한 우리가 가져와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서방과 결속하고 시장의 몫을 우리에게 더 주도록 요구하고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 해외로 나간 고급기술 공장들을 돌아오게 하고 동남아 외주시스템을 발전시켜서 .made in Korea 제품들을 확대시켜야 합니다. 중공을 묵시적으로 적대하고 서방과 스텝을 맞춰서 중공의 축소를 같이 추진해 가야... 대한민국이 살고 부흥하게 될것 입니다.
어느순간부터 내가 중국에 오래살았으니까 내 말이 다맞아. 이렇게 생각하시는게 좀 보이긴 하는데 특히 대만 관련해선 확정적으로 얘넨 전쟁함. 이런 주장도 하시고 물론 인사이트는 감사합니다만 갈수록 확증편향이 심해지는 것도 많이 느껴짐 그리고 가급적 저런 통계는 어디에서 나왔다 출처를 좀 정확하게 해주세요. 그래야 오해가 덜할듯 합니다.
20년 전 중국을 기술적으로 교류했던 경험으로 미뤄 볼 때 과학, 기술적으로 저임금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공산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나라에 대한 열정과 헌신이 한국을 앞선다는 느낌을 받았다! 미국이 1위 자리를 위협하는 나라의 성장을 절대 두고 보지 않는다! 이미 일본이 미국의 강제 프라자 협상으로 나라 경제가 쇠퇴되었고.. 다행하게도 한국과 대만이 반도체 입국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기금은 중국의 발전을 견제하는 건 분명하다!
@tonyjarng779 11
2024년 4월 04일 17:29중공이 성하면 대한민국은 좋을것이 없습니다. 설명도 필요 없음을 다 아실 겁니다. 오히려 지금 중국의 시장몫을 최대한 우리가 가져와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서방과 결속하고 시장의 몫을 우리에게 더 주도록 요구하고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 해외로 나간 고급기술 공장들을 돌아오게 하고 동남아 외주시스템을 발전시켜서 .made in Korea 제품들을 확대시켜야 합니다. 중공을 묵시적으로 적대하고 서방과 스텝을 맞춰서 중공의 축소를 같이 추진해 가야... 대한민국이 살고 부흥하게 될것 입니다.
@user-zq1dr3fz8m 10
2024년 4월 04일 17:27어느순간부터 내가 중국에 오래살았으니까 내 말이 다맞아. 이렇게 생각하시는게 좀 보이긴 하는데
특히 대만 관련해선 확정적으로 얘넨 전쟁함. 이런 주장도 하시고
물론 인사이트는 감사합니다만 갈수록 확증편향이 심해지는 것도 많이 느껴짐
그리고 가급적 저런 통계는 어디에서 나왔다 출처를 좀 정확하게 해주세요. 그래야 오해가 덜할듯 합니다.
@jaslamour 5
2024년 4월 04일 17:17선거 잘 하자
@user-ld5yw2ts8k 4
2024년 4월 04일 17:05정보 감사합니다
@user-sf4kv7bb1f 4
2024년 4월 04일 17:27힘과 부의 이동
유럽을 시작으로 미국을 건너 잠깐 중국에 머문후 다시 미국 그리고 다음타자 ?....
한국.....코리아 (2040~2090년)
세계최강국 G2 (한국.미국)
@yoonhuyckum1643 3
2024년 4월 04일 17:011
@jhl3747 3
2024년 4월 04일 17:40중국과 미국이 싸우는데 중립이 가능하지 않죠. 나토 확장하는것만 봐도 200년 중립을 지킨 스웨덴이 왜 나토에 가입했을까요. 브릭스 이야기 하시는데 중국을 제외한 다른 브릭스 국과들과 좋은 관계를 지키는게 국익및 외교가 더 수월할것으로 보입니다.
@user-of8wf3kw1k 2
2024년 4월 04일 17:29헐 중국이 젤 싫어하는 나라가 한국? 그럼 푸바오 미워하면 어쩌라고~걱정된다~
@user-nx4tw5pl7q 2
2024년 4월 04일 17:40우물안 개구리란 말이 괜히 나오는게 아니죠ㅎㅎ
@user-sy4ue5ts9c 1
2024년 4월 04일 17:39여기 선거유세장 ㅎ
@user-zf1qd1wu3e
2024년 4월 04일 17:46중국근러케 우슴니 너녀가 이러쿵 저러쿵할나라가아니다. 그만해라 니가무얼아니
@jpa93559
2024년 4월 04일 17:49👍👍👍
@leopardofkilimanjaro
2024년 4월 04일 17:50중국의 문제는 말과 행동이 다른 것입니다. 패권을 굳이 말하지 않았지만 남중국해문제라든가 일대일로 문제를 보면 패권을 추구함이 분명합니다.
@peterkim4089
2024년 4월 04일 17:46맞습니다!
우린 중국을 너무 모릅니다. 싫어도 굳이 혐오할 필요는 없는데... 그건 지혜롭지 못한 것 같아요!
@user-qn6qm2dt9f
2024년 4월 04일 17:4420년 전 중국을 기술적으로 교류했던 경험으로 미뤄 볼 때 과학, 기술적으로 저임금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공산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나라에 대한 열정과 헌신이 한국을 앞선다는 느낌을 받았다! 미국이 1위 자리를 위협하는 나라의 성장을 절대 두고 보지 않는다! 이미 일본이 미국의 강제 프라자 협상으로 나라 경제가 쇠퇴되었고.. 다행하게도 한국과 대만이 반도체 입국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기금은 중국의 발전을 견제하는 건 분명하다!
@josephhahn3226
2024년 4월 04일 17:46말은 패권을 도전한 적은 없지만 행동은 도전한 것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