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세계 1위’에서 당장 내려와야 하는 이유 | 김용 전 세계은행 총재 | #정신건강 #우울 #심리 #MindSOS | 세바시 1816회
강연 소개 : 한국은 전체 인구 중 우울 증상을 겪는 사람이 성인의 37%로, 세계 1위에 달합니다. 하지만 항우울제 사용량은 OECD 최저 ......
강연 소개 : 한국은 전체 인구 중 우울 증상을 겪는 사람이 성인의 37%로, 세계 1위에 달합니다. 하지만 항우울제 사용량은 OECD 최저 ......
@user-jd6hb1sl5g 19
2024년 4월 15일 19:34우울증과 심하게는 조현증같은 정신 질환을 가지고 10년간 싸워온 대한민국 청년으로서 최근에 세바시에서 이렇게 한국의 높은 자살율과 고독으로 인해 경보가 울린 마음 건강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셔서 더없이 감사한 마음입니다 🥲💕
저처럼 외로움에 지쳐 싸우고 있는 2030청년들 .. 그 위의 모든 분들도 스스로의 자리에서 각자를 보듬어주고 안아주면서 좋은 가족, 친구, 지인으로 서로를 살펴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아프지 않고 돈이 많거나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되었다면 저도 김용 총재님과 같은 훌륭한 일을 할수있지 않을까 아쉬운 마음도 드네요 🙏🏻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 예전 위력처럼 탄력받아 건강한 한국을 되찾을 수 있을겁니다 :)
변화는 힘을 모아 가속이 붙기 마련이니까요 🙂👍🏻
@user-uw5gk8et5v 18
2024년 4월 15일 20:10학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들이 너무 많습니다. 심지어 자해 자살시도들도 있습니다. 참 안타깝고 속상합니다.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사회와 국가가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합니다. 이 시대가 처한 이 문제를 모두 관심을 갖고 함께 해결하고 헤쳐나가기를. 그 문제를 가지고 운동을 시작해주신 세바시 감사합니다
@joycekim6837 12
2024년 4월 15일 19:51전국민이 저렴한 가격으로 상담을 받을 수 있게 의료보험 혜택 또한 시급해보입니다
@user-oj9sw3st1b 9
2024년 4월 15일 19:55태어나고 30년동안 부모한테도 국가한테도 도움은 안되고 그저 해결해야 될 문제로 살아가네요. 한정된 자원을 되도록이면 젊은 청소년들 먼저 도와주면 애초에 삶에서 문제가 덜 쌓이니 훨씬 더 큰 성과 거둘 것 같습니다.
@user-mb4er8sk8l 8
2024년 4월 15일 19:29코로나바이러스를 이겨내고 있는 것처럼 고독이란 전염병도 잘 이겨내서
자살없는 세상~
살고 싶은 따뜻한 한국이 되기를 바랍니다.
모범사례들 따라하기 어서 시작하기를!
@user-iu1sn3vz4i 7
2024년 4월 15일 19:26강연을 들으며 잊고 있었던 우리나라 국민들의 저력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너무 달려오느라 놓친 개개인의 행복, 정신건강을 붙잡지 않으면 겨우 일으켜 세운 나라가 다시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드네요.
사실 저 자신부터 어떻게 해야할까 고민이 많이 됩니다. 상담도 받고 정신과도 다니지만 근원적인 외로움과 우울감은 떨치기가 어렵습니다. 개인과 사회가 어떤 노력을 더 해야할까요
@user-pu2zn1ms7y 6
2024년 4월 15일 19:04자살 예방에 있어 국가적 시스템으로 더 많은 신경을 쓰고 운영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남의 일이 아닌 우리의 일이라 생각하고 국가에서 자살 예방에 대한 적극적인 시스템 구축을 하기를 바랍니다.
@sebasi15 4
2024년 4월 15일 18:45🎉책이벤트🎉 댓글로 강연의 소감평과 함께 자신의 이야기를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분들의 책 중 한 권을 큐레이션하여 책 선물로 드립니다. (참여기간 4/15~4/22 당첨발표 4/24)
@user-bi5lv3gw2e 4
2024년 4월 15일 19:56존경하는 김용총재님 감사합니다.
@user-vs5ne6nv9f 2
2024년 4월 15일 20:33정신건강을 위한 정부예산비율이높아졌음해요
15년전에 심리상담정말받고싶을정도로힘들었을때 상담받으면서 제애기를 털어놓고싶었는데요 심리상담받을곳도 주위에많이없었어요 그런데현재도 상황이 같은것같아요 그게
대한민국 현실인것같아요;
@charleschju2535 1
2024년 4월 15일 20:01어린 아이, 노인할 것 없이 많은 사람이 자기만의 마음병을 안고 살아갑니다. 우리 주위의 그들에게 따뜻한 관심과 말 한마디를 먼저 건네는 것은 어떨까요. 외로움은 누구에게나 오게될 것이니 서로 돕는 사회가 되기를 바래봅니다..
@user-vv7ot8yq4h 1
2024년 4월 15일 21:04전직 정신과 간호조무사
범불안장애와 중등도 우울장애를
갖고 살아가는 간호조무사 입니다
약잘먹고 상담도 꾸준히 받아서
몸도 마음도 건강하게 잘살고있어요
근데 아직도 정신과가는걸 너무나
어려워하고 주변사람한테 알리면
이상한 사람취급하고... 미신처럼
약부작용 얘기하고... 가지말라하고
이런것부터 뜯어고쳤음 좋겠어요
외국은 이런거없다는데ㅠㅠ
이런거볼때마다 속상해요
@s23song
2024년 4월 15일 21:36코난오브라이언의 다트머스 졸업연설덕분에 익숙한(?) 김용박사님의 한국에서 촬영하신 최근 영상을 몇 개 봤어요. 지금까지 밟아오신 걸음이 숭고하고 존경스러워 본받고 싶어요. 감동적인 메세지를 전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seul01
2024년 4월 15일 21:07한국의 자살율이 0%를 도달하는 그날까지, 김용 총재님과 노력하고 계신 많은 분들을 진심으로 응원하고 기도하겠습니다. 코로나 이후 저와 주변의 지인들은 우울증에 대한 도움을 찾지 못하고 많은 고충을 쌓아가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경제적 대국 뿐만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편견없이 우울증의 치료를 받을 수 있고 도움을 찾을 수 있는 정신 건강 선진국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clairec5265
2024년 4월 15일 21:12물질적 풍요가 가장 중요한 것이 되지 않으려면, 사회의 가치관부터가 달라져야 한다는 이야기인데.. 초등학교에서조차 초고가의 사치품이 유행하고, 그게 없으면 소외되는 기분을 느껴야하는 이 사회에서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자살의 예방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Thisisnotaname-um8rh
2024년 4월 15일 20:37언제부터 한국이 이 모양 이 꼴이 된 것인가
@haetube0
2024년 4월 15일 20:34세계 1위로 만들래도 쫄아서 중국 빨아주는 걸 어째? 😮
@user-pl9pu2ly8q
2024년 4월 15일 21:26왜 영어로 하는데?
@kaminus51
2024년 4월 15일 21:44왜 영어로 하는데 미국인이냐?
@user-zi2wh2nb1h
2024년 4월 15일 20:41김용 강연자님의 강연을 들으니 한국은 모순이 참 많은거 같아요ㆍ우울한데 우울증약의 복용율은 낮고 아이들은 밤늦은 공부에도 불구하고 성적과 행복도가 그만큼 미치지 못하고 게다가 자살률도 높구요. 경제발전도 놀랍게 이룬 우리나라. 이젠 행복한 나라로 행복하고 모두가 공존하는 나라로 바뀌었음 좋겠습니다ㆍ여러나라의 사례를 들어 강연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t3fc1nx3g
2024년 4월 15일 21:38대단한걸 할 수는 없지만 나부터 남과 비교하지 않는 삶을 실천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다른 사람에게 피해주지 않는 선에서 내가 좋아하는 것에 더 귀기울이고 살펴주는 습관이 불행을 타파하는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