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쟁이 맞벌이 할때 경제적으론 여유가 생기지만 스트레스 지수가 훨씬 높았죠 잦은 야근에 가끔 토요일도 출근... 퇴근하면 아이는 자고있는 경우가 많으니 가족과의 소중한 시간 그리고 나에게 쓰는 시간이 줄어드니 이렇게 사는게 행복인가 라는 생각이 지배하여 무척 힘든 나날을 보냈습니다
벗어나자 작정하고 부동산 투자 및 저축에 힘을 쏟았고 결과가 좋아 지금은 맞벌이긴 하지만 한명은 근로소득을 한명은 집에서 1인기업을 운영하며 가족과의 시간 및 개인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정말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현 정부가 자유주의와 자본주의를 버리고 사회주의 공산주의정책을 펼치는걸 보면서 요즘 많은고민이 놓입니다. 부자가 되고싶어서 여러 공부도 하고 유튜브도 보고하지만 어디까지나 자본주의 전제하에 만든 내용들인데 현재 공산주의 사회주의를 따르는 현정부를 보면서 이런류의 영상을 보는게 나에게 득이 될수있을까 걱정됩니다. 사회주의 공산주의가 된 대한민국에서는 뭘해먹고 살아야할까요. 닥치고 공무원을 해야할까요.
행복과 돈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항상 있어왔습니다. 수치는 다르지만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이라면 행복도는 더 이상 올라가지 않는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죽는 날까지 연소득을 8000천만 원 이상 유지 할 수 있는지 따져봐야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노후를 걱정하고 불행합니다. 바꿔 말하면 고소득자가 아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부를 만드는 것으로 행복도를 올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식민지도 겪었고, 군사정부도 겪었고, IMF 외환위기, 금융위기 등등 이렇게 겪고 보니까 "힘이 전부다. 그 힘은 어디서 나오는 가? 자본이다"라는 사회적 가치관이 자리잡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일본은 잃어버린 30년 이다 뭐다 하지만 그 거품 경제를 견디고 아직도 한국의 3배에 달하는 경제 대국입니다. 이 기반은 거품경제 때 사들인 해외 자산에서 나오는 배당과 현금이 있겠죠. 중국도 마찬가지로 일인당 gdp는 후진국 수준이나 인구로 밀어 붙이니 대국이 탄생하게 되고 그 대국이 다시 이를 기반으로 발전하고 이런 선순환이 일어나는데 결국 그 중심에는 자본이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집중하지 않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BomiTV 26
2020년 5월 15일 18:30김작가님 좋은 책과 함께 이야기 나눌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부와 행복 모두 누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자본주의 세상에서 잘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하시면 제 유튜브에도 놀러와주세요 🥰
@jeekim597 20
2020년 5월 15일 18:12오늘 행복해지려고 얼마나 노력했는가,,오늘 하루는 되게 우울하게 보냈는데 그런 노력조차 하지 않았던 것 같네요 되돌아보니!
@jcoachj 8
2020년 5월 15일 19:29행복은 결국 욕구충족인데 알더퍼가 말한 존재욕구,관계욕구,성장욕구를 골고루 잘 추구하고 그중 자신이 추구하는 욕구는 어떤게 더 큰가 알아가는게 중요한것 같아요.
결국엔 ' 나 자신은 대체 뭘좋아하는 사람이고 어떻게 살아갈것인가' 와 같은 철학적 질문을 하는게 이 시대에 굉장히 중요하지않나 싶어요
@벅벅벅벅벅벅벅 8
2020년 5월 15일 18:35게스트분 너무 이뻐서 집중 안되네요 ㅡㅡ
@김검프 7
2020년 5월 15일 20:06등가교환 설명하신 부분 심히 공감이 됩니다
월급쟁이 맞벌이 할때 경제적으론 여유가 생기지만 스트레스 지수가 훨씬 높았죠
잦은 야근에 가끔 토요일도 출근...
퇴근하면 아이는 자고있는 경우가 많으니 가족과의 소중한 시간 그리고 나에게 쓰는 시간이 줄어드니 이렇게 사는게 행복인가
라는 생각이 지배하여 무척 힘든 나날을 보냈습니다
벗어나자 작정하고
부동산 투자 및 저축에 힘을 쏟았고
결과가 좋아 지금은 맞벌이긴 하지만 한명은 근로소득을 한명은 집에서 1인기업을 운영하며 가족과의 시간 및 개인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정말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츄러스-p1v 7
2020년 5월 15일 18:23현 정부가 자유주의와 자본주의를 버리고 사회주의 공산주의정책을 펼치는걸 보면서 요즘 많은고민이 놓입니다. 부자가 되고싶어서 여러 공부도 하고 유튜브도 보고하지만 어디까지나 자본주의 전제하에 만든 내용들인데 현재 공산주의 사회주의를 따르는 현정부를 보면서 이런류의 영상을 보는게 나에게 득이 될수있을까 걱정됩니다. 사회주의 공산주의가 된 대한민국에서는 뭘해먹고 살아야할까요. 닥치고 공무원을 해야할까요.
@eunyoungvaladez8085 7
2020년 5월 15일 21:02돈으로 갈려지긴 하죠.. 자꾸 부유하지 않은 사람들이랑 어울리기도 했는데... 부유하지 않은 사람들이 돈에 대한 소중함을 모르는걸 보면..
같이 어울릴 수가 없더라구요.......
그사람들이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가치관이 달라서 어울릴수가 없습니다.....ㅠㅠ
@김현석-h6l 6
2020년 5월 15일 23:03영상을 보고 머리를 한대 맞은 기분이네요.
제가 늘상해왔던 일에 대해서 "왜?" 라는 질문을 던져보왔습니다.
생각보다 제 행복보다는 남들의 시선이나 의무감으로 하는 일들이 많더군요.
덕분에 오늘 밤은 철학적인 생각을 많이 하게 될거 같습니다.
늘 좋는 영상 감사합니다!
@hnc8554 6
2020년 5월 18일 14:11김작가님 말씀이 많어신듯..
게스트가 작가님
얘기듣기위해 오신듯..ㅠ
@TV-xx9bf 4
2020년 5월 15일 18:26사람들은 행복을 너무 거저 먹으려는것 같습니다. 오늘 나의 행복을위해 저도 오늘 조금 게을럿던것 같습니다. 앞으로 인터뷰기대됩니다
@근강이최고야 3
2020년 5월 16일 14:24인터뷰하면서 김작가님도 이야기를 많이하시는 모습을보니까 기분이좋습니다. 사실 김작가님의 영상이지만 주로 이야기하시는분들은 인터뷰어님들이잖아요. 김작가님의 의견도 들어볼수있어서 좋습니다
@bass7759 3
2020년 7월 21일 22:11이쁘다 여자분~
@goodjob4267 3
2020년 5월 15일 18:24돈이 행복의 다는 아니지만
돈 때문에 불행해지는 것은 너무 나도 순식간인 것 같습니다....돈 때문에 너무 슬프네요...내 전세금이 날아가다니
@침투맛쿠키 3
2020년 5월 16일 14:31행복과 돈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항상 있어왔습니다. 수치는 다르지만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이라면 행복도는 더 이상 올라가지 않는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죽는 날까지 연소득을 8000천만 원 이상 유지 할 수 있는지 따져봐야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노후를 걱정하고 불행합니다. 바꿔 말하면 고소득자가 아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부를 만드는 것으로 행복도를 올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책읽는호구책호구-c9d 2
2020년 5월 16일 00:33최근에 자본주의에 대해서 많이 고민하고 있는데... 자본주의에 대한 또 다른 고민들을 영상을 보며 하게 되네요.
추후에 초예측 부의 미래 꼭 읽어봐야겠습니다.
@127under 2
2020년 5월 15일 18:18행복에서 가족이 2순위라는게 너무 슬퍼요 ㅠㅠ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2
2020년 5월 15일 21:19초대하신 손님은 말씀을 김작가님보다 덜 한다는 느낌을 저만 받는걸까요??^^;그동안 제테크에 대한 이야기 잘봤는데 오늘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철학적인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LANZ. 2
2020년 5월 18일 19:19돈이 많아야 행복한지 아닌지 잘모르겠으니 우선 성공해서 돈이 많아진 후 느낀점 알려드리겠습니다..
@bookchoicer 2
2020년 5월 15일 20:33자본주의의 미래! 석학들이 본 미래네요. 읽어봐야겠네요.
@sukjhg 2
2020년 5월 15일 18:21호손 실험 생각나네요 ㅎㅎ
우유유 2
2020년 5월 17일 14:00주식시작하게 되고 경제유튜버님들 구독하며 김작가님도 구독하고 보아왔는데요 ~~ 오늘영상이 젤 좋았던거 같아요 경주마처럼 정보에 목말라 여기저기 날뛰다 오늘영상을보고 아차 싶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moneyfriend 1
2020년 5월 17일 10:23영상보고나면 너무 열심히 안사나?
이런 강박감 때문에 스트레스받는데
어떤 마인드를 가지고 해야할까
욕심을 너무내나?
@즐라탄즐라탄 1
2020년 5월 17일 02:01김작가님 영상을 보면서 느낀건데 mc진짜 잘보시는거 같아요.목소리톤이나 경청자세나 시청자 수준 눈높ㅇㅣ 질문이나.
주식으로치면 아직 저평가된 배민같네요.
구독자 더 늘거같네요
@aroy-aroy 1
2020년 5월 15일 18:37일에서 행복을 느끼면 돈이 자연스럽게 따라오죠 그러나 돈을 번다고 행복한건 아니죠
좋은 말씀 많이듣고갑니다
@주창영-q1b 1
2020년 5월 16일 21:43중간에 글들 읽어주는데 뉴욕 배경이 더 눈에 들어온다 ㅋㅋㅋㅋㅋㅋ
@지영표-e8x 1
2020년 5월 15일 20:49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제테크에 관한 것도 유익하고 좋은 영상들을 많이 올려주시는데 개인적으로는 이런 철학이나 부자가 되기 위한 좋은 소양을 갖게 해주는 긍정적인 영상이 더 좋고 올라오면 보는동안 새로운 시각도 얻게 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상훈-f5j9u 1
2020년 5월 19일 08:44오늘 컨텐츠 너무 좋았습니다 김작가님 ~
@TV-yg5qg 1
2020년 5월 15일 20:01개인마다 행복기대치는 다르고 행복의 기준도 다르니 본인이 만족할만한 행복이면 좋치않을까싶네요
@푸딩요요요 1
2020년 5월 17일 10:54오늘도 하나 배워갑니다~
@김덕-s3e 1
2020년 5월 15일 19:38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프로님-w4r 1
2020년 5월 16일 15:41제 생각을 다시 한번 정리할 수 있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잘봤어요:)
@changhyunchoi640
2020년 5월 16일 08:18소득과 행복 점수 레퍼런스 여러개 체크해봤는데 oecd급 선진국에서는 general하게 월급 1000만원 언저리까지는 일차함수던데요... 그리고 연봉 1억이 말이 쉽지 달성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ㅎ
캐러멜칼라만시
2020년 5월 15일 22:06식민지도 겪었고, 군사정부도 겪었고, IMF 외환위기, 금융위기 등등 이렇게 겪고 보니까 "힘이 전부다. 그 힘은 어디서 나오는 가? 자본이다"라는 사회적 가치관이 자리잡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일본은 잃어버린 30년 이다 뭐다 하지만 그 거품 경제를 견디고 아직도 한국의 3배에 달하는 경제 대국입니다. 이 기반은 거품경제 때 사들인 해외 자산에서 나오는 배당과 현금이 있겠죠. 중국도 마찬가지로 일인당 gdp는 후진국 수준이나 인구로 밀어 붙이니 대국이 탄생하게 되고 그 대국이 다시 이를 기반으로 발전하고 이런 선순환이 일어나는데 결국 그 중심에는 자본이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집중하지 않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Ludwig Wittgenstein
2021년 2월 01일 21:38부자? 이재용에 비하면 넌 거지. 이재용은 빌 게이츠, 워렌버핏에 비하면 거지. 부와 가난은 상대적인 것. 이런 헛소리를 하는 놈과 열심히 듣는 바보들.
@bbom8
2020년 6월 09일 02:53김작가님은 돈 많아서 행복해요?
Paul Shin
2020년 5월 16일 0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