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부터 느꼈는데 이분 내용의 기준이 항상 자산 10억이상쯤은 되는 사람들 기준으로 얘기하시는듯.. 쥐뿔도 없는 서민들 기준으론 금 투자 솔직히 별로에요.. 안전자산도 결국 많이 가진 사람들이 자산 지키려고 하는 방식이고 굴릴돈 2~3억도 없는 사람들은 금투자 같은거 하는거 아니죠.. 죽어도 경제독립 못합니다.. 달러투자 환차익 수익 내는것도 자본금이 커야 가능하지 서민들은 답 없어요.. 자산이 수십억있다면 부동산, 채권, 주식, 원자재 등등 분산투자하는거고 서민들은 걍 주식 몰빵하세요..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홍춘욱입니다. 중동 위기, 유가 불안, 글로벌 경제의 긴장감에 대한 기사들을 많이 접하는 시기입니다. 미 달러 강세, 지정학 리스크, 한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국내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도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불안한 시장에서 지금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주는 투자 전략이란 무엇일까요? 궁금한 점은 댓글에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user-xp4or6yq9v 2
2024년 5월 12일 18:19예전부터 느꼈는데 이분 내용의 기준이 항상 자산 10억이상쯤은 되는 사람들 기준으로 얘기하시는듯.. 쥐뿔도 없는 서민들 기준으론 금 투자 솔직히 별로에요.. 안전자산도 결국 많이 가진 사람들이 자산 지키려고 하는 방식이고 굴릴돈 2~3억도 없는 사람들은 금투자 같은거 하는거 아니죠.. 죽어도 경제독립 못합니다.. 달러투자 환차익 수익 내는것도 자본금이 커야 가능하지 서민들은 답 없어요.. 자산이 수십억있다면 부동산, 채권, 주식, 원자재 등등 분산투자하는거고 서민들은 걍 주식 몰빵하세요..
@chunukhong 1
2024년 5월 12일 17:52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홍춘욱입니다. 중동 위기, 유가 불안, 글로벌 경제의 긴장감에 대한 기사들을 많이 접하는 시기입니다. 미 달러 강세, 지정학 리스크, 한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국내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도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불안한 시장에서 지금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주는 투자 전략이란 무엇일까요? 궁금한 점은 댓글에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user-lp3zb3xf4z
2024년 5월 12일 18:18감사합니다😊
@user-bw3ip3xr7l
2024년 5월 12일 18:16홍박사님을 아세요~?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qf3iu9qw7n
2024년 5월 12일 18:02살아가기에 너무 복잡해진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