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분 토론 들으면 그럴듯 합니다. 그렇지만 말장난입니다. 전문가가 아니라는게 너무 표시납니다. 국내뿐 아니라 세계 경제가 폭망중인데 지금부터 연말까지는 여유자금이나 일부차입금으로 버티지만 올 하반기부터 내년 후년 계속 폭락됩니다. 경기가 폭망인데 금리 0프로면 수입이 늘어나고 생활비, 각종지출은 안나갑니까? 공급, 수요 논리가 맞지않습니다.
부동산 투자가가 거시경제를 보면서 떨어지는 부동산 가격을 보지도 못할정도의 편협한 시야를 가지고 있으니 떨어지는것을 보지도 못할정도의 수준이고 혹 그걸 안다고 해도 ㅋㅋ 부동산 투자가가 모하는 사람이냐 한푼이라도 싸게사서 한푼이라도 비싸게 팔아서 이익을 남기는 사람이다 그런사람이 팩트를 말해줄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세가하고 매매가가 근접했을때 당연히 매매하는게 좋지...(아니 비슷한 돈 대출해서 뭐하러 전세에 삶. 취득시 세금때문에 전세금에 대한 리스크를 질까?) 근데 전세가가 매매가와 차이가 많이 날수록 더 매매가가 오르니깐 집을 사라? ㅎㅎ 말이 안되는 소리인게 그게 바로 버블의 징조임. 버블이라는 어느정도는 계속 매매가가 오르지만 언젠가 버블이 꺼지면 떨어진다는 뜻인데 그럼 버블이 꺼지기 직전에 전세가와 매매가가 근접할까? 말도 안되는 논리임. 전세가와 매매가가 차이가 많이날때가 버블 직전일 수 있다는 말임. 그거 알면 버블이 안생기지 하지만 버블의 문제는 투자자도 지금이 버블의 시작인지 끝인지를 모른다는거임. 함부로 얘기할 수 없음. 서울 집값니 이때까지 떨어진적이 없었기때문에 안떨어질거다? 떨어질수있음 물론 초역세권이나 인프라 좋은 서울 중심은 모르겠지만 그건 이웃나라만 해도 사례가 있고 떨어졌다 시간이 걸리고 다시 회복하거나 그럴수있다는거임.
YD Koo 8
2020년 5월 30일 11:10전세가율이 높은 아파트는 내려갈 활률이 높은 아파트이다. 전세가율이 높은 아파트는 저평가되어있는 아파트다......... 뭐여? 응?? 뭐냐고......
@sevity 6
2020년 5월 23일 11:50전세가율,소득,다른 지역과의 비교로 서울이 고평가인지 여부를 찾아가는 방법을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렘군님!^^ 역시!!
@dongwon0308 5
2020년 5월 22일 17:38강아지 귀여웡~ <3
@skb5127 5
2020년 5월 28일 07:16두분 토론 들으면 그럴듯 합니다. 그렇지만 말장난입니다. 전문가가 아니라는게 너무 표시납니다. 국내뿐 아니라 세계 경제가 폭망중인데 지금부터 연말까지는 여유자금이나 일부차입금으로 버티지만 올 하반기부터 내년 후년 계속 폭락됩니다. 경기가 폭망인데 금리 0프로면 수입이 늘어나고 생활비, 각종지출은 안나갑니까? 공급, 수요 논리가 맞지않습니다.
@hodu2529 4
2020년 5월 22일 22:20강아지 시선강탈😍
@psjsamjang 4
2020년 5월 24일 08:07반복해서 보고 또 봐도 도움되는 영상이에요!^^
김작가님~!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린거야 3
2020년 5월 22일 17:43오늘도 유익한영상 감사합니다.
렘군님. 김작가님 고맙습니나^^
@와구리-q9q 2
2020년 5월 22일 19:43영상 정말 잘봤습니다. 오늘 이 영상은 필기를 안 할 수 가 없네요 ㅠㅠ감사합니다.
@mangood2962 2
2020년 5월 29일 04:00부동산 투자가가 거시경제를 보면서 떨어지는 부동산 가격을 보지도 못할정도의 편협한 시야를 가지고 있으니 떨어지는것을 보지도 못할정도의 수준이고 혹 그걸 안다고 해도 ㅋㅋ 부동산 투자가가 모하는 사람이냐 한푼이라도 싸게사서 한푼이라도 비싸게 팔아서 이익을 남기는 사람이다 그런사람이 팩트를 말해줄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
@rnasterpiece4284 2
2020년 5월 22일 19:18부모님 존경합니다;;;
@no-body6794 2
2020년 5월 22일 17:37* Mr. Socrates & Mr. Delphi!
@cosmos7626 2
2020년 5월 31일 12:59전세가하고 매매가가 근접했을때 당연히 매매하는게 좋지...(아니 비슷한 돈 대출해서 뭐하러 전세에 삶. 취득시 세금때문에 전세금에 대한 리스크를 질까?) 근데 전세가가 매매가와 차이가 많이 날수록 더 매매가가 오르니깐 집을 사라? ㅎㅎ 말이 안되는 소리인게 그게 바로 버블의 징조임. 버블이라는 어느정도는 계속 매매가가 오르지만 언젠가 버블이 꺼지면 떨어진다는 뜻인데 그럼 버블이 꺼지기 직전에 전세가와 매매가가 근접할까? 말도 안되는 논리임. 전세가와 매매가가 차이가 많이날때가 버블 직전일 수 있다는 말임. 그거 알면 버블이 안생기지 하지만 버블의 문제는 투자자도 지금이 버블의 시작인지 끝인지를 모른다는거임. 함부로 얘기할 수 없음. 서울 집값니 이때까지 떨어진적이 없었기때문에 안떨어질거다? 떨어질수있음 물론 초역세권이나 인프라 좋은 서울 중심은 모르겠지만 그건 이웃나라만 해도 사례가 있고 떨어졌다 시간이 걸리고 다시 회복하거나 그럴수있다는거임.
@itsible 1
2020년 5월 24일 14:16주말에는 짜장면을 먹어야... 인플레가 지속되는 한 부동산은 내려가지 않는다. 2012년 기준 마포 100 기준 / 상대가격과 비율을 보면 서울이 높지도 않다.
@spiritualcapitalist2836 1
2020년 5월 22일 17:161등
@재테크욜로핸담 1
2020년 7월 01일 12:44전세가율이 높은 아파트를 사라는 말이 많은데 렘군님은 아파트 하나를 놓고 전세가율로 평가하는 기준을 가르쳐주시네요 아파트 전세가율에 따라 고평가, 저평가여부가 달라서 항상 애매했던 부분인데 디테일한 설명 너무 감사드립니다~~
@이상규-f7e 1
2020년 5월 24일 18:19부동산 공부가 처음이고 27이 어린나이는 아니지만 뭐가뭔지 몰라서 이해하려고 노트에 적어가면서 다 여섯번은 봤는데도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요 ㅠㅠ
전세가율이 높을때는 무조건 집값이 떨어질때라 사면안돼 라는 시기라고 하셨는데
나중에는 전세가율이 높으면 저평가 된거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전세가율이 높으면 = 매매 수요가 적다 (무조건 떨어질거니까) = 저평가됬다 인데
매매수요가 적다는건 그만큼 저평가 된것보다는 그만큼 교통이든 편의시설이든 입지가 좋지않다고 봐야하는것 아닌가요??
이부분이 너무 이해가안되서 질문드립니다😭😭
@햇살단비 1
2020년 5월 22일 18:18워우~
@jungmanpang 1
2020년 5월 22일 17:19아....2등
@songscampus 1
2020년 5월 22일 17:26아앗..... 3등 ㅠㅠ
댑킬라
2020년 5월 31일 20:14ㅁㅊ 투기꾼ㅅㄲ
@곧시대가변한다
2020년 6월 02일 18:46분모(매매가)가 일정해야 전세가율로 판단이 되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