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보다 숙론 : '무엇이' 옳은가를 이야기하는 이유 |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 #소통 #교육 #토론 #최재천 #숙론 #시디즈 | 세바시 1858회
강연 내용 : 소통은 원래 일방적인 겁니다. 그리고 잘 안 되는 게 정상입니다. 이제는 '누가'가 아니라 '무엇이' 옳은가를 이야기해야 할 ......
강연 내용 : 소통은 원래 일방적인 겁니다. 그리고 잘 안 되는 게 정상입니다. 이제는 '누가'가 아니라 '무엇이' 옳은가를 이야기해야 할 ......
@stylishstylish4445 2
2024년 7월 17일 18:58💐🌿
아주 오랜만에 ‘수학’이란 ~
단순한 공식대입에 숫자풀기가
아닌 ~ 그 공식의 탄생과정 &
토대로 또 다른 theory의 탄생
에 도달하는 과정을 공부한다는
의미의 설명 ~ 감사합니다 🙏🏻
수학-학도로서 최 교수님의
‘수학의 정의’넘넘 반가웠습니다
@Redic1224 2
2024년 7월 17일 23:22🍀강연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남아공의 넬슨 만델라 대통령의 이야기입니다. 만델라 대통령은 백인과 흑인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국민들과 함께 숙명을 통해 미래를 설계했습니다. 이처럼 숙명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협력한다면, 우리 사회도 더욱 발전할 수 있다는 희망을 얻었습니다.
교수님의 강연은 숙명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동시에, 대한민국을 더욱 멋진 나라로 만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앞으로 저도 남에게 조금 여유를 주고 경청하며, 숙명을 통해 함께 나아가는 멋진 국민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stylishstylish4445 2
2024년 7월 17일 18:48💐🌿
토론이란 성공의 참 정의와
일치하네요 ~
(참)성공이란 결과가 아닌
그 과정이 중요시 되니까요 ~
결국 (참) 토론이 숙론이며
(참) 성공의 지름길이군요 ~
@gong-r-e 2
2024년 7월 17일 18:19갈등은 '너는 왜 그래? 너밖에 몰라~?'에 기반이 있을거 같고 소통은 '나는 이렇고 너는 이렇구나~! 그럼 어떻게 조율해야 할까?' 이런 마음의 만남이 아닐까 싶네요! 어려운거지만 우리사회는 차차 잘할 수 있다고 믿어야겠어요! 유머도 곁들여주셔서 집중이 절로 생기는 강연! 고맙습니다. 교슈님❤
@stylishstylish4445 1
2024년 7월 17일 18:43💐🌿
(討)論의 ‘두들길(토)’가
‘신문고’의 의미를 내포해
그 어떤 것도 받아들여져서
‘Who is right’이 아닌 ~
‘What is RIGHT 에 도달할
때 곧 ➡️ < 熟 論 >이 아닐런지요 ?
최 교수님의 강연을 감사히 ~
잘 (熟)하게 느끼며 생각하고
갑니다 ~
< 최 교수 님의 토론교실에
빤짝이는 너/나의 생각들이
서로서로 존중 받고 성장하
여 미래의 더 아름다운 한국
의 자양분이 되길 진심으로
화이팅하며 염원합니다 >
@user-ho2qv4et8m 1
2024년 7월 17일 21:12중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입니다.
토론이 아닌 숙론에 대한 의견에 큰 감화를 받았습니다.
타인의 평가와 비판에 날이 선 시대에서 ‘올바른 교육’을 고민하는 한 사람으로서 좋은 강연이었습니다.
신간 ‘숙론’도 다독하며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mb4er8sk8l 1
2024년 7월 17일 20:35우리가 소통을 못하는 이유?
우리는 소통하는 법을 배워본적이 없기 때문이다!
나도 서로 마주 앉아 토론하는 수업을 해본적이 없다. 현재 학교는 아직도 입시위주,암기위주의 주입식 교육을 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경청하고 숙론하는 교육문화로 바뀌어
대한민국이 더욱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MaLee1212 1
2024년 7월 17일 18:30하시는 말씀마다 깊이있는 통찰이 느껴져요~!
인생을 살면서 정말 많은 도움이 될것 같아요~!
좋은 영상!!!!!
@user-un1hb6vg4z 1
2024년 7월 17일 22:53읽어보고싶어요
@user-pu2zn1ms7y 1
2024년 7월 17일 18:12깊이있고 숙고가 이루어지면서 진행되는 논쟁을 통해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raincho7809 1
2024년 7월 17일 22:18초저출산으로 국가소멸 단계에 들어갔고, 탈출가능성은 0.0000000000000000001% 입니다. 미래 없음..
@user-mb4er8sk8l 1
2024년 7월 17일 20:27소통은 원래 안되는 게 정상이다라는 말씀이 인상깊네요.
배워본적이 없으니까요...
학생시절에 학교에서 배웠던 암기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아직도 크게 바뀌지 않아
답답한 현실이 안타깝지만
국가의 미래를 고민하고 경청하고 숙론하는 깨어있는 시민들이 되어 멋진 대한민국으로 성장하길 기원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lo3kp8cl5p 1
2024년 7월 17일 20:51누가 옳은가가 아닌 무엇이 옳은가를 찾아야 한다는 말이 너무나 인상깊습니다.
생각을 전환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user-se1yd9ud3v 1
2024년 7월 17일 20:00소통하는 시간만큼 월급주자는 아이디어에 찬성입니다 😂😅😊
소통은 원하는 쪽이 애쓴다는 말씀
세겨듣고
지금 가지고 있거나 앞으로 겪게 될 갈등을 숙론으로 잘 풀어가 보려고 합니다
늘 싸우는 남매에게
둘을 다 사랑하는 아버지께서
들려주시는 이야기같은
따듯하고 울림이 있는 강연
감사합니다 ❤❤❤
@user-lb1ji8ld9o
2024년 7월 18일 00:07좋은 소통 감사합니다 ~
잘보고 듣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