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년초부터 아침식사를 단백질 야채 탄수화물 순서로 충분히 먹고, 센트룸과 비타민 C 메가도스 물섭취, 오후 4시에 식물성 단백질과 방울토마토와 야채 위주 간편식을 하며, 오후 6시에 수영 1시간으로 94kg에서 79kg으로 16시간 간헐적 단식으로 15kg 감량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간헐적 단식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듯 합니다.
"짜게 먹지마라" 저는 싱겁게 먹어서 해로움을 겪은 사람입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조금 짜게 먹습니다. 다만, 속이 쓰리게 하는 결정적인 원인은 짜게 먹는 것 보다는, 식사후 3시간 안에는 절대로, 사생 결단으로 잠자지 않습니다. 위장에 염증이 생기고 나서 싱겁게 먹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위장에 염증이 안 생기게 하는 것이 중요할 뿐, 위장에 염증이 생기드라도 싱겁게 먹는 것은 더욱더 해롭다는 것을 겪었습니다. 물론 위에 염증이 있을 때는 지나치게 짜게 먹지는 않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하듯이, 경험만큼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싱겁게 먹어서 소화가 심하게 안되고, 물을 마시면 한 시간 안에 마신 물이 그대로 오줌으로 배출되어버리고, 소화가 안되는 것과 마셔라는 물이 곧바로 배출되어버리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겪어본 사람으로서 절실히 느꼈습니다. 짜게 먹지마라고 한다고 해서 싱겁게 먹으면 더욱더 해롭다는 것. 과유불급이라고 했듯이, 너무 싱거워도, 너무 짜도 안좋고, 맛있는 정도의 소금 양념이 가장 좋다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한 때는 짜게 먹는 것은 건강에 최악이라는 듯이, 한국인은 절임 식품이 많아서 나트륨 섭취가 심각하다는 것으로 난리였는데, 한국의 전통적인 식단은 아주 좋다는 것을 경험으로 체득했습니다. 저는 커피에도 소금을 넣습니다.. 다만, 맹물 만은 소금을 안넣습니다. 미숫가루 먹을 때도 당연히 소금을 넣고, 그러니까, 몸의 켠디션이 좋아지더군요. 싱겁게 먹으면 자다가도 소변보러 일어나야합니다. 싱겁게 먹으면, 온 몸의 물기가 쫙 빠져버립니다. 그러면 피부도 쪼글쪼글해지지요. 소위 전문가분들의 학설은 한 번씩 바뀌더군요. 그래서 저는, 전문가들의 건강학을 귀담아 듣지만, 결국은 경험하여 비로소 확인합니다. 학설은 불완전 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습니다.
저는 14 10 간헐적 단식이 잘 맞던데 그냥 박교수님이 말씀하신 6시 이후 안먹으면 세끼 먹는거랑 똑같네요. 그리고 소금 먹어야 한다 하고 과일은 과당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고 합니다. 약간 뉘앙스는 다르지만 짠 음식과 탄 음식 암 예방을 위해 과하면 안되겠네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msdqqq 5
2024년 8월 01일 21:24저는 년초부터 아침식사를 단백질 야채 탄수화물 순서로 충분히 먹고, 센트룸과 비타민 C 메가도스 물섭취, 오후 4시에 식물성 단백질과 방울토마토와 야채 위주 간편식을 하며, 오후 6시에 수영 1시간으로 94kg에서 79kg으로 16시간 간헐적 단식으로 15kg 감량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간헐적 단식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듯 합니다.
@lucky_tv 3
2024년 8월 01일 20:46🌟 『박현아 교수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youtu.be/mhOfMJOnnfE?si=Sf5XmuVzpqGSEtkQ
👉 2부. https://youtu.be/gnbcRzed0G4?si=VcQrQpnlUgHrs7l2
👉 3부. https://youtu.be/835uIVCpUMc?si=53Qubx_T94H2JUpI
👉 4부. https://youtu.be/x3YJL-gphbE?si=PnU4J-XWebZ5wKud
📚 『정희원 교수 풀버전 영상』 보러 가기
👉 시즌 1. https://youtu.be/rL1eo4Oe8Uw?si=nGjJXbt7lCjbYQ6-
👉 시즌 2. https://youtu.be/nRz_VAb8kOQ?si=6clNYH7Wi8eNOL9C
📚 『조승우 한약사 풀버전 영상』 보러 가기
👉 https://youtu.be/TZD4Yv1HSKY?si=WmdvGCgtmyenhtbW
@yonk4260 2
2024년 8월 01일 21:066시이후 금식 ❤
@user-ph1rm3iv2m 2
2024년 8월 01일 22:58"짜게 먹지마라"
저는 싱겁게 먹어서 해로움을 겪은 사람입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조금 짜게 먹습니다.
다만, 속이 쓰리게 하는 결정적인 원인은 짜게 먹는 것 보다는, 식사후 3시간 안에는 절대로, 사생 결단으로 잠자지 않습니다.
위장에 염증이 생기고 나서 싱겁게 먹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위장에 염증이 안 생기게 하는 것이 중요할 뿐, 위장에 염증이 생기드라도 싱겁게 먹는 것은 더욱더 해롭다는 것을 겪었습니다.
물론 위에 염증이 있을 때는 지나치게 짜게 먹지는 않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하듯이, 경험만큼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싱겁게 먹어서 소화가 심하게 안되고, 물을 마시면 한 시간 안에 마신 물이 그대로 오줌으로 배출되어버리고, 소화가 안되는 것과 마셔라는 물이 곧바로 배출되어버리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겪어본 사람으로서 절실히 느꼈습니다.
짜게 먹지마라고 한다고 해서 싱겁게 먹으면 더욱더 해롭다는 것.
과유불급이라고 했듯이, 너무 싱거워도, 너무 짜도 안좋고, 맛있는 정도의 소금 양념이 가장 좋다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한 때는 짜게 먹는 것은 건강에 최악이라는 듯이, 한국인은 절임 식품이 많아서 나트륨 섭취가 심각하다는 것으로 난리였는데, 한국의 전통적인 식단은 아주 좋다는 것을 경험으로 체득했습니다.
저는 커피에도 소금을 넣습니다..
다만, 맹물 만은 소금을 안넣습니다.
미숫가루 먹을 때도 당연히 소금을 넣고, 그러니까, 몸의 켠디션이 좋아지더군요.
싱겁게 먹으면 자다가도 소변보러 일어나야합니다.
싱겁게 먹으면, 온 몸의 물기가 쫙 빠져버립니다. 그러면 피부도 쪼글쪼글해지지요.
소위 전문가분들의 학설은 한 번씩 바뀌더군요.
그래서 저는, 전문가들의 건강학을 귀담아 듣지만, 결국은 경험하여 비로소 확인합니다.
학설은 불완전 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습니다.
@user-lt3uj9du2n 1
2024년 8월 01일 20:48감사합니다
조은 정보 유익했어요^❤^
@user-ze7gh6tm9p
2024년 8월 01일 23:02왕좌의 게임 볼때 한동안 계속 악몽을 꾸었다는..
@lky0918
2024년 8월 01일 22:23저는 14 10 간헐적 단식이 잘 맞던데 그냥 박교수님이 말씀하신 6시 이후 안먹으면 세끼 먹는거랑 똑같네요. 그리고 소금 먹어야 한다 하고 과일은 과당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고 합니다. 약간 뉘앙스는 다르지만 짠 음식과 탄 음식 암 예방을 위해 과하면 안되겠네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