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육군은 개전 5개월 후 벌어진 용인전투 참패 이후로 전승의 연속이었습니다 웅치, 이치전투와 진주성 전투에서 대승하여 왜군의 전라도 침략을 막았고 북관 대첩으로 함경도 지방에서 왜군을 몰아내었으며 연안성 전투로 황해도 평야를 지켰습니다 경주성 전투에서 이겨서 경상도를 탈환하과 충주성 전투에서도 이겨 충청도를 탈환했고 행주산성 전투에서 승리하여 왜군을 서울에서 몰아내었습니다 사실상 조선 육군은 개전 1년만에 왜군을 남해안까지 몰아내었습니다.
용인전투 이후 이런 승리의 흐름이 알려지지 않고 개전 초기의 패주상황만 강조되어 조선 육군이 나약하다는 이미지를 갖게 되고 의병의 역할만 부각된 것입니다 이 점이 널리 알려져 조선 육군의 강함도 알려졌으면 좋겠습니다 이순신장군이 아무리 보급로를 끊어도 육군이 약했다면 곡창지대도 빼앗기고 조선 전토는 점령되었겠죠. 왜군을 이땅에서 몰아낸 공적의 50%는 조선 육군의 활약 덕분입니다
@leopardofkilimanjaro 6
2024년 8월 09일 18:16선조는 매우 이중적인 인물같습니다. 이순신을 발굴한 것은 큰 업적입니다. 이순신이 아무리 대단했더라도 결국 선발되지 않으면 아무 소용없었으니까. 한편으로는 자기이외 인물의 공적인정에는 매우 인색했습니다.
@easeafe4re581 2
2024년 8월 09일 19:10조선육군은 개전 5개월 후 벌어진 용인전투 참패 이후로 전승의 연속이었습니다
웅치, 이치전투와 진주성 전투에서 대승하여 왜군의 전라도 침략을 막았고 북관 대첩으로 함경도 지방에서 왜군을 몰아내었으며 연안성 전투로 황해도 평야를 지켰습니다
경주성 전투에서 이겨서 경상도를 탈환하과 충주성 전투에서도 이겨 충청도를 탈환했고 행주산성 전투에서 승리하여 왜군을 서울에서 몰아내었습니다
사실상 조선 육군은 개전 1년만에 왜군을 남해안까지 몰아내었습니다.
용인전투 이후 이런 승리의 흐름이 알려지지 않고 개전 초기의 패주상황만 강조되어 조선 육군이 나약하다는 이미지를 갖게 되고 의병의 역할만 부각된 것입니다
이 점이 널리 알려져 조선 육군의 강함도 알려졌으면 좋겠습니다
이순신장군이 아무리 보급로를 끊어도 육군이 약했다면 곡창지대도 빼앗기고 조선 전토는 점령되었겠죠.
왜군을 이땅에서 몰아낸 공적의 50%는 조선 육군의 활약 덕분입니다
@user-dd3jn2tb9q 1
2024년 8월 09일 18:36징비록을 보면 이유도 없이 왜 우리나라를 침략했냐고 송상현이가 따지니까 무슨 대답을 한 것 같은데요. 그들이 하는 말을 믿어야하지 않을까요?
@x신사임당
2024년 8월 09일 13:56임용한 박사의 임진왜란(상) 도서구매 링크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3683026
@young-my4zu
2024년 8월 09일 21:02왕은 곧. 나라였던 시대였습니다 왕이 잡히면 구가가 점령당하는거나 같았어요 머리 나쁜인간들은 무슨 씨족장들 총깔싸움하듯이 대적하는걸로 착각들을 해요 시대적 환경을 인식을제대로 못합니다
@easeafe4re581
2024년 8월 09일 18:54북로남왜의 변이라고 일본 해적 천여명때문에 수십년간 명나라 해안가가 초토화되었는데 명을 졸로 볼만 했지
@myungkyunseo3072
2024년 8월 09일 20:53임용한! 임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