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의 강연을 통해 저는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되었습니다. '나는 얼마나 행복한가?', '나는 다른 사람들과 얼마나 잘 소통하고 있는가?', '나는 나 자신을 사랑하고 있는가?' 등의 질문에 솔직하게 답하며, 앞으로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또한, 우리 사회가 더욱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러한 변화를 위해 작은 실천부터 시작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성공하려면 뭐가 필요할까요? 성실하고..착해야할거 같아요. 지속가능한 행복의원천을 알고 살아가야할거 같아요.우리의 의식과 자빌적인 실천.. 행복하려면 뭐가 필요할까요? 나를 깊이 아는거 내존재가 귀함을 알게 되는거 그속에 사람들과 연합하게 되는 능력이 행복을 가져옵니다. 무엇보다 점점 무능하고 약해지고 있는 능력과 체력을 인정하는게 참 행복합니다.타인역시 외롭고 아프고 힘들다는걸 깨닫는거 그 계기가 행복인거 같습니다.
부모의 재력의 중요성은 통계를 살펴봤을때 타국가도 마찬자기로 명백하고 지대한 지분을 차지한다는것이 사실임. 다만 한국 문화적 특성때문에 더 극단적으로 작용할뿐 제일 중요한건 정치인들의 역할인데 화합을 해도 모자를판에 갈등을 표를 얻는 수단으로써 십분 활용하니 혐오 갈등정서는 나날히 심화되고있음. 사회 통계학적으로 이미 골든 타임을 지났을뿐더 이러한 국민갈등정서로미루어보면 결론 한국인 출산률 문제는 희망이 없으며 외국인 이민만이 유일한 해답이라고 보기에 무리가 없음
@user-mh7yi7xb5i 5
2024년 8월 30일 22:09해야하는 일 말고도
하고 싶은 일 하는 시간 꼭 가지기
그래야 나에게도 남에게도
화를 덜내게 됩니다!
@craftinglifemoon 2
2024년 8월 30일 19:51정말 많은 공부와 연구를 하셨을 교수님께서 이렇게 쉽고 울림이 있는 이야기를 전달해주셨다는 게 너무 감동입니다.
그만큼 이 나라 대한민국에, 특히 청년들에 대한 마음이 간절하신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어쩌면 우리에게 필요한 건 이런 단순한 이야기, 단순한 생각의 전환, 단순한 상상이 아닐까 합니다.
애써서 명상을 하고, 힐링 숙소를 찾아가지 않더라도, '나는 소고기가 아니다'는 아주 단순 명료한 한 마디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아닐까요?
교수님의 모모(母母)님처럼 순간순간 마주치는 행복을 미루지 않고 충분히, 그리고 충실히 즐겨내는 것이 우리에게는 필요한 것 같습니다.
원형경기장의 모모, 로자 아줌마를 돌본 모모와도 마찬가지로요.
석사과정을 마무리하면서 교수님의 책을 읽으며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지금 왜 교육에 대해 생각해야 할까'
다른 주제였지만 같은 메시지였다고 생각합니다. 불행하지 않기 위해. 행복을 찾아서.
우리 한번 단순해졌으면 좋겠습니다. 단순한 용기를 내면 좋겠어요.
단순한 상상, '우리도 행복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가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함께 해보아요. 우리는 모두 모모들이니까요.
@user-pu2zn1ms7y 2
2024년 8월 30일 18:08여러모로 불안하고 힘든 상황에서 마음의 안정을 가져다주는 영상이어서 좋았습니다!
@user-et8yk7tg1d 2
2024년 8월 30일 18:42불안한만 가득한 청춘인생 도움이 되는 강연 감사합니다.. 책도 읽고 좀 더 알아가고 싶어지네요 ㅠ
@hayeonkim7838 2
2024년 8월 30일 18:02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영상 많이 감사합니다 ㅎㅎ
@sebasi15 1
2024년 8월 30일 18:03[책이벤트] 댓글로 강연의 소감과 함께 여러분의 이야기를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 중 한 권을 큐레이션해서 책 선물 드립니다. (참여기간 8/30~9/6 당첨발표 9/9)
@Redic1224 1
2024년 8월 30일 21:36🌺교수님의 강연을 통해 저는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게 되었습니다. '나는 얼마나 행복한가?', '나는 다른 사람들과 얼마나 잘 소통하고 있는가?', '나는 나 자신을 사랑하고 있는가?' 등의 질문에 솔직하게 답하며, 앞으로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또한, 우리 사회가 더욱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러한 변화를 위해 작은 실천부터 시작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user-vl7fv5xy1r 1
2024년 8월 30일 19:24세상의 한줄기 빛같은 강의영상 감사합니다 요즘 슬럼프가 왔는데 좋은영상보고 힘내볼께요!
@graceoh2434 1
2024년 8월 30일 22:30성공하려면 뭐가 필요할까요? 성실하고..착해야할거 같아요.
지속가능한 행복의원천을 알고 살아가야할거 같아요.우리의 의식과 자빌적인 실천..
행복하려면 뭐가 필요할까요?
나를 깊이 아는거 내존재가 귀함을 알게 되는거 그속에 사람들과 연합하게 되는 능력이 행복을 가져옵니다.
무엇보다 점점 무능하고 약해지고 있는 능력과 체력을 인정하는게 참 행복합니다.타인역시 외롭고 아프고 힘들다는걸 깨닫는거 그 계기가 행복인거 같습니다.
모든순간이 은혜임을 고백하는게 행복입니다.
내삶을 사랑합니다.
타인의 삶도 소중히 여깁니다.
@skyhd15 1
2024년 8월 30일 20:08감사합니다
제목도 내용도 다 감사합니다
@gaeojo6301 1
2024년 8월 30일 22:33청년들이 철을 몰랐다면 오히려 불안하지 않을 거에요.... 그 시기를 잘 알기에..불안하죠.
@candymint9914 1
2024년 8월 30일 18:20부모의 재력의 중요성은 통계를 살펴봤을때 타국가도 마찬자기로 명백하고 지대한 지분을 차지한다는것이 사실임. 다만 한국 문화적 특성때문에 더 극단적으로 작용할뿐
제일 중요한건 정치인들의 역할인데 화합을 해도 모자를판에 갈등을 표를 얻는 수단으로써 십분 활용하니 혐오 갈등정서는 나날히 심화되고있음. 사회 통계학적으로 이미 골든 타임을 지났을뿐더 이러한 국민갈등정서로미루어보면 결론 한국인 출산률 문제는 희망이 없으며 외국인 이민만이 유일한 해답이라고 보기에 무리가 없음
@user-er6sr1dq2g
2024년 8월 30일 21:07잘 보고 듣고 있어요.저는 성공과 행복 둘 다 이요.다 중요 해요.저를 사랑 하지 않어요.
@user-bk2oe3vy5q
2024년 8월 31일 01:51경쟁읗 강요해서 철부지가 됐다? 또 사회탓인가?
@Christmas_93
2024년 8월 30일 21:35복_행복이 아닌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
@user-ut9hn3on8x
2024년 8월 31일 01:47삶에 대한 철학부재,학교교육의 문제라고 봄
그 다음이 기성세대의 잘못된 자식 사랑 임
@user-lb1ji8ld9o
2024년 8월 30일 18:24좋은 영상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jhyuni8867
2024년 8월 31일 04:11"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필요하고 중요하다는 건 늘 알지만
자꾸 상처 받으니 피하고 싶어집니다.
그러면 또 고립되고 우울하고.
@user-un1hb6vg4z
2024년 8월 30일 22:20읽어보고싶어요
@user-zp5fk3hh4o
2024년 8월 30일 22:50부모의 재력 고른 이유가 한국애선 부모 말 잘들어야하는데 돈이 많은 부모면 말 잘들으면 책임은 져줌
근데 그냥 말만 들어라 하고 금전 보상이 하나도없으면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지
@dnftmdal
2024년 8월 30일 18:35좋은 강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