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어통역 영상] 자연은 순수를 혐오한다 |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생명다양성재단 대표 | 인류 미래 자연 다양성 | 세바시 1176회
본 영상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수어통역 버전 영상입니다. ✻ 수어가 없는 영상은 이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Y-eOebKkScA ✻ 강연......
본 영상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수어통역 버전 영상입니다. ✻ 수어가 없는 영상은 이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Y-eOebKkScA ✻ 강연......
@happychild-edu 17
2020년 6월 04일 14:53신은 인간을, 세상을 다양하게 만들었고, 상호보완적으로 만드셨지요. 자연은 상호보완적으로 아름다운데~ 인간은 자꾸 다양성을 파괴하고~바꾸고 유리하게 조작하지요. 결국 그 부메랑이 인간에게 오는것이 되 버렸네요. 많은 걸 생각하게 합니다.
@toppp124 9
2020년 6월 04일 14:35다양성에 대한 강의 감사합니다. 조금 빠르게 돌려서 들었는데도 어려움 없이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blindmonkeyartube5486 8
2020년 6월 04일 21:47"섞여야 건강하다. 섞여야 아름답다. 섞여야 순수하다. 왜냐하면 자연은 태초부터 늘 섞여 왔기 때문이다."
사랑해야 건강하다. 사랑해야 아름답다. 사랑해야 순수하다. 왜냐하면 우리는 태초부터 늘 사랑해 왔기 때문이다.
섞여야 함은 사랑하고 이해함으로부터 나오는 것 같습니다.
시골에 삽니다. 올해 유난히 벌레가 많아 난생처음 살충제 두 종류, 분무기까지 주문해 조금 뿌렸습니다.
"자연은 순수를 혐오한다." 벌레들이 죽어가는 모습 보고 조금 힘들었습니다.
그런데 며칠 후 예고도 없이 관에서 나와 산불이라도 끄듯 온 동네에 살충제를 뿌리고 갔습니다.
창문도 못 잠그고 , 널어놓은 빨래도 무방비로 살충제를 덮어썼지요.
혹시나 우리 몸에 살충제가...께름직하데요. 빨래도 다시 하고 창문 열고 환기시키고 분주했지요.
벌레는 더 이상 보이지 않습니다. 모두 죽었나 봅니다.
우리는 자연에 살면서 고마움을 느끼고 또 스스로 순순해짐을 느끼곤 합니다.
그러면서 살충제는 뿌립니다. "자연은 순수를 혐오한다."가 귀에 자꾸 맴돕니다.
강의 잘 듣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교수님.
@전선-z2j 6
2020년 6월 04일 23:11와 그냥 휙휙 내리다가 선생님을 뵙게 될 줄이야ㅋㅋㅋ 오늘은 운이 좋은 날이네요
@joycekim6837 5
2020년 6월 04일 16:57다양성에 대한 수준 높은 강의 넘 감사해요 ~~ 이 다양성을 인정하며 나아갈때 심각한 혐오사상과 인종차별에서 나오는 폭력과 비하발언들이 그쳐져서 더불어 모두가 행복하게 잘~사는 아름다운 세상이 되길바랍니다~~
@ezdoteng 3
2020년 6월 06일 11:38자연환경과 공존(아끼는!, 지키는!, 느끼는!)한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중요한, 가치 있는)것인지를 마음깊이 느끼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난황금시계 3
2020년 6월 04일 15:09우리가 키운 결과였네요. 먹이사슬의 꼭대기 인간은 작은 세균에게 먹히네요.교수님의 강의에 깊은 반성합니다. 존경합니다 ~♡
@iklim4784 3
2020년 9월 27일 22:08수어 통역을 추가해서 다시 올려주시다니, 고맙습니다!
@Jaeuniii 2
2020년 6월 06일 03:13왜인지 낯이 익다 싶더니 예전에 sns에서 돌고래 수족관 관련 인터뷰하신 걸 본 적이 있네요! 좋은 15분이었습니다:)
@차원준-o8c 1
2021년 6월 13일 19:50순수보다는 다양성, 회사에서도 유연성과 다양성이 중요한 시대가 됬고, 조류 독감도 다양성이 있는 그들은 살고 선택,강요된 우리 주변의 조류는 한마리 죽으면 다 죽는다.
우선은 가족내에서 다양성을 인정하고 직장, 학교까지...건강한 사회가 되겠네요.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jungmi470 1
2020년 6월 05일 05:31강의 들을때마다 늘 많은 것을 느낍니다. 다양성을 품지 못하고 편협하게 살아온 저를 돌아보게 되네요. 앞으로는 다양한 사람들, 생각들, 의견들을 품으면서 함께 살아가고 싶네요. 자연처럼요~
@gemi8656 1
2020년 6월 21일 19:33궁금한게있는데요. 다양성이 결핍된 상태를 왜 '순수'라고 정의하였을까요?
@joeyplatformer 1
2020년 6월 06일 19:51다양성
너~~~~무 공감이 가네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_1_914 1
2020년 6월 04일 17:23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이상연-s8n 1
2020년 6월 04일 18:17최고의 강연입니다. 고맙습니다.
@바람향기-z8u 1
2020년 6월 04일 15:22맞습니다 옳으신 말씀입니다
👍👍👍
저또한 내각한신 스따일에
울컥했습니다
제발
우리나라도 ....
@Tiwodby82 1
2021년 11월 26일 11:52너무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이런강의 제발 전국민이 보면 좋겠어요... 다양성을 존중하고 다양하게 받아들이는 마치 자연처럼 살아가는 사회가되길바래봅니다
@정광-n6r 1
2020년 7월 23일 14:32순수보다는 다양성, 회사에서도 유연성과 다양성이 중요한 시대가 됬고, 조류 독감도 다양성이 있는 그들은 살고 선택,강요된 우리 주변의 조류는 한마리 죽으면 다 죽는다.
우선은 가족내에서 다양성을 인정하고 직장, 학교까지...건강한 사회가 되겠네요.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yewon394993
2022년 2월 18일 11:11명강의네요……ㅠㅠ
@ltltc77
2023년 4월 03일 23:59현영옥통역사님 보러왔어요. ^^
안정선
2022년 4월 20일 19:16자연은 순수를 혐오한다는 그럴듯한 말같다. 자연적 다양성, 인위적 다양성이 있다. 억지로 다양성을 한곳에 모아놓는것은 가치가 없을 것이고, 나라, 지역마다 특색있는 것이 좋을것 같다. 좋은 나무에서 장수하늘소 나오고, 나쁜나무에서 바퀴벌레 나온다. 세상은 사람의 필요에 의해 존경하는 것이기에 자연그대로가 아닌 바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책이라고 다 좋은것 아닌데 교수님이 추천하신책이 의외인것 같다.
@suddenly_what
2022년 1월 18일 23:49수어통역이 이렇게 속시원하게 널찍하니 보기 좋네요
@장철환-k1c
2022년 8월 02일 12:33사람은 누구나 똑같지 않은 차별된 부분이 다 있다.
그것을 다양성이라고 부른다고 생각한다.
사업 또한 성공하려면 차별화를 두어야 한다고 어딜가나 말을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사회가 정해놓은 모범같은 인간상에 자신을 맞추려 한다.
이 강의를 통해 자신의 다양성을 자세히 들어다보는 시도를 했으면 좋겠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박태종-k5b
2020년 6월 04일 15:5430년장기집권으로가려면
협상없는
강력한 러쉬해야합니다
밋밋한민주당이아닌
강렬한 투사정당투민 기대해봅니다
열심히응원해주세요
먼지
2021년 11월 30일 22:17자연도 실험을 하는거 아닐까요. 바뀌는 환경에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지 스스로 다양한 종류로 진화 해 보고 정답을 찾는거 아닐까요...
@namumina1
2020년 7월 02일 20:53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국립생태원장 시기에 아이에게 상을 주면서 무릎을 꿇고 아이 눈높이를 맞추시는 걸 보고, 정말 반했어요. 강의도 참 좋습니다 ^^
@초코-v4k
2022년 3월 21일 12:42끝으로 갈수록 눈물날뻔했오요ㅠ
@osntxe
2020년 6월 04일 14:39자막이 있는데 수화를 왜 하는거예요?
@harrye9105
2021년 9월 10일 15:53이타이이타이병이 생각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