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도 중요하지만 팀장의 자질부터 한번 살펴봐야 할듯 합니다. 저는 2번 유형이에 가까운데 전체적인 비전 설명은 커녕 그냥 더 할 수 있는데 왜 안하냐는 리더가 대부분이었네요. 저의 경험이 일부이긴 하지만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그래도 탁월한 리더에게는 책에 나온 각 직원의 유형을 살펴보고 적절한 대처를 하면 좋을 듯 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저는 조금 생각이 다릅니다. 이 8가지 유형을 분류하기 이전에, 그 사원들이 왜 그런 특성을 갖게 됐는지, 그 사람을 이해하는게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사람을 유형화하고 문제를 풀듯이 접근하는데 그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8가지 유형을 다 외우고있기도 힘들 뿐더러 체화는 더욱 힘들기 때문입니다. 8가지 유형을 단 한가지 문장으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그사람을 이해하기." 직원의 입장에서 그사람이 왜 일을 하기 싫어하고, 그런 특성을 가졌는지 '이유'를 찾아서 그것을 해결해준다면 그 직원은 일을 잘하게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위의 8가지 유형 직원들 모두를 관통하는 핵심 이유는 아마 이것일 겁니다. "열심히 일해서 성과가 올라도 내가 받는 돈, 퇴근시간은 그대로잖아."
직원 입장에서 이것만 해결되면, 즉 열심히 잘 일해서 성과가 올랐을때 돈을 더 받을수 있거나/ 더일찍 퇴근할 수 있다면 열심히 일하지 않을까요?
제 채널에 이처럼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는 영상을 올리고 있는데, 그 연장선상으로 이번 영상을 분석해봤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choain 14
2020년 6월 05일 17:38워라벨의 등장속 유형별 일 맡기는 8가지 방법(필터x)
1. 무모하거나 소심한 돌+i형 사원 01:47
->혼자서 끝까지 해결 가능한 일을 시킨다
2. 자기 일만 하는 치졸한 사원 02:08
->전체적 흐름과 역할에 대한 설명을 해준다
3. 툭하면 그만둔다는 징징이 사원 02:33
->사소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일을 시킨다
4. 실수가 잦은 깜박이 사원 02:58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설명과 개선을 요청한다
5. 만사 귀찮은 신선형 사원 03:28
->자율성이 높아지는 질문으로 일을 시킨다
6. 의욕과 생각 없는 현타온 사원 03:57
->결과가 성과와 연관이 적은 단순 업무를 시킨다
7. 일을 가려서 하는 얌체형 사원 04:28
->능력에 맞는 할당량을 정해줘 일을 시킨다
8. 말과 행동이 다른 개같은 사원 04:47
->나도 개같이 마감일을 다르게 말하고 겁나재촉
@pavi-library 5
2020년 6월 05일 17:28직원도 중요하지만 팀장의 자질부터 한번 살펴봐야 할듯 합니다.
저는 2번 유형이에 가까운데 전체적인 비전 설명은 커녕 그냥 더 할 수 있는데 왜 안하냐는 리더가 대부분이었네요.
저의 경험이 일부이긴 하지만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그래도 탁월한 리더에게는 책에 나온 각 직원의 유형을 살펴보고 적절한 대처를 하면 좋을 듯 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studian365 4
2020년 6월 05일 17:00회사에서 붙잡는 인재의 특징▶https://bit.ly/2ZFWrFF
Aura light 1
2020년 6월 06일 13:29좋은 팁들이 있네요
@TV-pr7ts 1
2020년 6월 18일 06:20진짜 공감이 엄청되요~~~♡
감사합니다!
@darakbangartist 1
2020년 6월 05일 19:54말은 쉬운데...
@정용-i6j
2020년 6월 07일 17:15이론적으로는 그럴 듯한데, 실제로는 너무 어려운 이야기입니다. 사람을 몇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는 게 가능할런지,,,
@Isabell-cd1gh
2023년 1월 17일 16:05리더...👍
독서 1000권, 김코난
2020년 6월 07일 19:49저는 조금 생각이 다릅니다. 이 8가지 유형을 분류하기 이전에, 그 사원들이 왜 그런 특성을 갖게 됐는지, 그 사람을 이해하는게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사람을 유형화하고 문제를 풀듯이 접근하는데 그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8가지 유형을 다 외우고있기도 힘들 뿐더러 체화는 더욱 힘들기 때문입니다.
8가지 유형을 단 한가지 문장으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그사람을 이해하기."
직원의 입장에서 그사람이 왜 일을 하기 싫어하고, 그런 특성을 가졌는지 '이유'를 찾아서 그것을 해결해준다면 그 직원은 일을 잘하게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위의 8가지 유형 직원들 모두를 관통하는 핵심 이유는 아마 이것일 겁니다.
"열심히 일해서 성과가 올라도 내가 받는 돈, 퇴근시간은 그대로잖아."
직원 입장에서 이것만 해결되면, 즉 열심히 잘 일해서 성과가 올랐을때 돈을 더 받을수 있거나/ 더일찍 퇴근할 수 있다면 열심히 일하지 않을까요?
제 채널에 이처럼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는 영상을 올리고 있는데, 그 연장선상으로 이번 영상을 분석해봤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