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틀려도 되는 전망은 내놓지도 마세요 그런 관점을 보고 주택 구매여부를 결정하는 사람도 있을테니까요 그리고 김작가님 200만 채널인데 제발 출연진 수준좀 높여주세요 주식하는 의사샘 전망 2년후에 보니 모두 반토막입니다 나와서 전망을 얘기할때는 제발 책임감 있는 자세의 출연자를 모셔주세요 틀려도되는 전망은 없습니다
주구장창 나와서 하락하락 하다보면 한두번 맞겠죠...... 집 값 오르면 자기집값 올라서 먹고 떨어지면 맞혔다고 떠들면서 무주택자들 등처먹고... 저 분 말 듣지 말고 본인 상황 봐가면서 감당가능한 선의 기준을 만들어놓고 사시면 됩니다...15년간 하락만 주구장창 외치던 사람입니다...
일어나지 않은 미래에 대해 변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인한 스텐스의 변화가 당연한 것이라는 논리라면, 그놈의 다변하는 가능성으로 인해 양자택일 이분법적인 결론 도출이 애당초 불가능 한 것이고, 그렇게 따질 성질의 것 이라면, A, B전제에 따라 @A, @B의 결론이 도출된다는 논리를 펼쳤어여만 했고, 하나로 귀결되는 주장을 하시면 안되죠.
통계학이 존재하는 이유가 줏대없이 애매모호한 도망 칠 구실을 찾는 결론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니듯요. 점쟁이 비유 대시던데, 당연히 인간에게서 100%의 아웃풋은 없죠. 단, 전문가랍시고 패널에 자기 관점을 올릴 정도라면 돈이 도는 시장에서는 통계적으로 %가 높은 쪽으로 예측은 가능해야 합니다.
유독 부동산시장에서는 수많은 고려사항과 상대성이 존재한다는 특징은 충분히 파악해야 함에도 그 예측이 이유불문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빈번히 틀렸다는 것은 곧 능력부족을 뜻하는 것 입니다. 이 말인 즉슨, 반대로말해 예측치의 확률을 최대한 끌어들이는 중인 몇몇 진짜 전문가가 대접 받아야만 하는 근거가 되는 것이기도 하지요.
유효수요 없다고 저도 생각했는데 금리인하와 정책이 모든 유효수요를 만들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수님 의견 보니깐 다른 교수님은 중산층을 마래프를 기준으로 보시던데 교수님도 금리 인하시 유효수요를 자산가보시네요. 교수님들의 의견을 들어보면 서민 초점이 아니고 자산가들에게 말하는 내용이네요. 지금 서민들은 대출규제만 잠깐해도 분양잔금을 못 치를 정도로 영끌하는 분위기 상황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교수님 말씀처럼 11월 12월 전세 만기자들은 근시안적으로 3개월 보고 매매 들어갈고 그들도 영끌로 집을 옮기겠죠 그러면 자연스럽게 영끌러들의 소비위축이 일어나고 그러면 내수경기 안 좋아지니 자연스럽게 정부는 1월이후로 금리인하를 지속할거고요. 그러니 자산가들은 금리인하시 유동성을 잘 일으킬 수 있으니 그때 좋은 거 선별해서 구매하라는 말씀이시네요 그리고 현 정부의 정책기조는 부동산 부양이니 10월, 11월 만약 매도물량이 많아 집값하락을 일으킬만하게 부정적이면 12월부터 차근차근 부양책 할거고 내년도 예산도 현 정책대출 예산이 늘면 늘었지 줄지는 않을거라 판단하시네요. 12월까지도 부동산 부정적이면 정부는 대출규제가 원인으로 판단해 1월부터는 금리인하와 동시에 대출금리도 인하해서 1금융권 실적 못하거 하라는식으로 유도하겠네요 그러니 4분기 보합 혹은 상승이고 2025년부터 피벗의 시대 부동산 슈퍼사이클 시대로 판단하시네요. 교수님께서는 지금 매도물량이 많다고 해도 언론과 교수님들 같은 엘리트분들이 충분히 군중심리를 활용해 해소 가능하다 판단하시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공급부족을 말씀하시는거 보면요 지금도 pf 토지가격 낮아졌다고 판단 안되고 분양가도 높다고 생각하며 오히 토지가가 파격적으로 낮아지면 지금 고가로 형성된 매도 효과 덕분에 낮게 분양가해도 완판 잘되고 팔릴거 같은데 이미 pf는 정리 되었고 현 상황에서 추가 토지 매입을 통한 공급이 필요하다고 말씀하시는 거 같네요. 그래서 일부 교수님이 그린벨트 이야기도 하시는 거 같고요 현재 한은 총재는 지역분산 수도권 과밀화 해소. 교육투자, 양극화해소, 신 성장사업 발굴 이야기를 해도 어디까지나 국민들 힐링 기자회견이네요. 교수님처럼 수요보다 공급중심 생각에는 서울의 자산은 무조건 오를거고 서울 전세들은 항상 인기 있고 사람들의 불안심리를 자극하는 건설사 마케팅은 최고이기에 수요는 항상 높으니 공급만 생각하면 된다는 느낌이 드네요. 하긴 그 의견도 맞는거 같습니다.. 올림픽포레온 전세가 끝도 없고 매물이 많아도 호가 높게 유지하고 버티면 결국에는 전세영끌로 들어가서 임대인 매매가 지지 및 상승을 위해 움직 일 사람들이 있을거라 생각이 들긴 하네요. 제가 이런 생각이 드는 것도 부동산 마케팅 방법은 다른 마케팅보다 강력하고 사람들의 심리를 가장 잘 건드린다는 생각도 드네요 그러면 결국에는 엘리트분들의 정책과 금리 결정 그리고 군중심리를 아는 언론과 기타 부동산 관련 유튜버 분들이 만드시겠네요 천천히 오르고 있는 환율, 한국의 대외 신용도, 대외 정치 및 정세 이슈는 부동산 유동성 공급에는 영향이 크지 않을 수도 있네요 많은 걸 생각하게 해준 내용들 잘 들었습니다
@위를봐-t7p 38
2024년 10월 19일 18:51이광수대표 말이 더 맞다고 봄. 대출로 끌어올린 집값 이젠 받쳐줄 사람이 부족하다. 30정도 떨어져야
@choi2401 27
2024년 10월 19일 19:36이광수대표님 말씀에한표입니다. 대출이올린집값~
@아하바아람미 20
2024년 10월 19일 18:53서울 특정 아파트만 올랐어. 이미 하락중이었고 회복도 못하고 집 팔고 싶어도 안팔리는게 현실인데 전망 따위가 뭔 소용이냐. ㅎ
@김동-p2w 20
2024년 10월 19일 18:25집값오르면 좋은 2명과 반대1명의 토론..
@디키프리오 14
2024년 10월 19일 18:36대책없는 광수 미치긋다
정답도 모르는 허풍 10년에 통화량 2배씩 증가하는게 세계적 추세인데 ㅠㅠ
@이강호-j2t 13
2024년 10월 19일 19:54이광수 ㅎㅎ홧팅
@younjidoh2423 12
2024년 10월 19일 20:00세분 웃으면서 서로 의견 존중해 주는 모습 보기 좋고 듣기도 좋습니다.감사합니다 ^^
@제리-r3n 12
2024년 10월 19일 18:51그럼 틀려도 되는 전망은 내놓지도 마세요 그런 관점을 보고 주택 구매여부를 결정하는 사람도 있을테니까요
그리고 김작가님 200만 채널인데 제발 출연진 수준좀 높여주세요 주식하는 의사샘 전망 2년후에 보니 모두 반토막입니다 나와서 전망을 얘기할때는 제발 책임감 있는 자세의 출연자를 모셔주세요 틀려도되는 전망은 없습니다
@서우-n2m 11
2024년 10월 19일 20:05김교수님 말씀에 동의 할 수가 없네요.
@절-v3x 10
2024년 10월 19일 18:35주구장창 나와서 하락하락 하다보면 한두번 맞겠죠......
집 값 오르면 자기집값 올라서 먹고
떨어지면 맞혔다고 떠들면서 무주택자들 등처먹고...
저 분 말 듣지 말고 본인 상황 봐가면서 감당가능한 선의 기준을 만들어놓고 사시면 됩니다...15년간 하락만 주구장창 외치던 사람입니다...
@juliap7612 9
2024년 10월 19일 20:53이광수대표님 옳소
@user-qm9sy2rx8plk 7
2024년 10월 19일 19:54이광수 대표님.. 원래 바람과. 도박과. 부동산에 미치면 부모도 못알아보고 답 없습니다.
ㅋㅋ 냅두세요 ㅋㅋ
@이도마뱀러버 7
2024년 10월 19일 18:37이광수대표님 말이 맞았으면 합니다. 하지만 논리가 부족한 거 같아요 ㅠ
@하나로-j8e 6
2024년 10월 19일 19:27부동산 폭망한다 ~~~
@성철유-j1y 6
2024년 10월 19일 19:14광수님은 하락에 아집이 보통 아닌듯
@hini-f7z 5
2024년 10월 19일 19:46스포츠머리는 그거네 집값 오를수있다 사라.. 온갖 복잡한 말로 포장을 했지만 저사람 어디사는지가 상당히 의심스럽네
@병기이-o2x 5
2024년 10월 19일 20:16저 김 교수는 김명신과 최은순 똥구녁 핧아 교수됐나? 전 세계의 집 매매가 누적된 돈 이동시켜서 발생된다고? 이게 무슨 개소리냐고! 전 세계의 집 수요와 매매는 대출과 탐욕에 의한다는걸 정말로 모르는건가!
@강민환-z5k 5
2024년 10월 19일 19:52김광석교수님 2025년 전망서 잘보고있어요~!!^^
@parentingfather 4
2024년 10월 19일 18:28일어나지 않은 미래에 대해 변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인한 스텐스의 변화가 당연한 것이라는 논리라면, 그놈의 다변하는 가능성으로 인해 양자택일 이분법적인 결론 도출이 애당초 불가능 한 것이고, 그렇게 따질 성질의 것 이라면, A, B전제에 따라 @A, @B의 결론이 도출된다는 논리를 펼쳤어여만 했고, 하나로 귀결되는 주장을 하시면 안되죠.
통계학이 존재하는 이유가 줏대없이 애매모호한 도망 칠 구실을 찾는 결론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니듯요. 점쟁이 비유 대시던데, 당연히 인간에게서 100%의 아웃풋은 없죠. 단, 전문가랍시고 패널에 자기 관점을 올릴 정도라면 돈이 도는 시장에서는 통계적으로 %가 높은 쪽으로 예측은 가능해야 합니다.
유독 부동산시장에서는 수많은 고려사항과 상대성이 존재한다는 특징은 충분히 파악해야 함에도 그 예측이 이유불문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빈번히 틀렸다는 것은 곧 능력부족을 뜻하는 것 입니다. 이 말인 즉슨, 반대로말해 예측치의 확률을 최대한 끌어들이는 중인 몇몇 진짜 전문가가 대접 받아야만 하는 근거가 되는 것이기도 하지요.
@긍정의힘-q7j 4
2024년 10월 19일 19:25기준금리를 인하하더라도
대출금리등 시장금리를 인상하는
이유는 늘어나는 가계부채를
잡기위한 대책입니다요.
@서우-n2m 4
2024년 10월 19일 20:10다 정부의 농간입니다,
대출을 정확히 규제하면(전세대출 포함) 어케 주택 상승이 ~~ㅎㅎㅎㅎㅎ
@soon-jujung5983 3
2024년 10월 19일 20:45대한민국은 부동산으로 썩어가고 있습니다. 모든 가치 판단 기준이 아파트가된 어처구니 없는 세상, 젊은이도 불행하고 모두가 불행합니다. 아니 희망이 없습니다. 좋은 아파트에 살아야 현자가 되는 세상, 아! 대한민국이 병들어서 시한부 인생이 되었습니다.
@성철유-j1y 2
2024년 10월 19일 19:17광수님 주식 절대 하지 마세요
@astral-j4d 2
2024년 10월 19일 21:23그냥 지나고보니 싸다고 생각될때가 싼거였고 비싸다고 생각될때가 비싼거더라.
지금은 미친 가격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집을 살 이유는 없다.
주식에서 흔히 하는 말. 더가도 내것이 아니다~ 위험은 피하는게 상책
@카멜리아하우스 2
2024년 10월 19일 22:04와 진짜.. 이광수님 논리력 너무 안타깝네요..어거지 논리
뭔 소리여... 진짜.. 저분말 믿고 집안사고 기다린 사람이 있다면.. 진짜 안타깝네요.
@성율주 2
2024년 10월 19일 21:40상승론자들이 비겁한게 정부나 가계에 대출을 부치기는 걸 절대 얘기하질 않음
'정부가 돈을 풀거에요'를 전제로 하면서 자기 입으로는 그냥 기대수요나 기타 요인만 제시하며 고상을 떨어
상승론자는 항상 전제가 전국민의 세금과 희생임
@twoarmy76 1
2024년 10월 19일 18:24두 선생님 공방 저도 재밌게 잘 봤네요 ㅎㅎ
@barry3585 1
2024년 10월 19일 21:12지금 서울아파트는 서울에서 본인들끼리 갈아타기 수요임.
그 수요가 이제 끝나감.
다들 기다리삼.
19년도 이전 매수자들은 버티지만
그 이후 영끌자들은 힘들수있음.
전세계 금값이 계속 오르는 이유가 몰까 ?
우리나라 아파트만 버틸수있다??
@성철유-j1y 1
2024년 10월 19일 19:15광수님은 일관성 zero
@alpamike97 1
2024년 10월 19일 20:03신축 위주의 상승같은데요. 신축도 언젠가 구축되죠. 경기는 무너져 가고요
@longweekend_seoul 1
2024년 10월 19일 20:00두분 우정 너무 재밌고 좋네요 😂😂 서로 도움이 되는
@H_-xf5cf 1
2024년 10월 19일 22:06유효수요 없다고 저도 생각했는데 금리인하와 정책이 모든 유효수요를 만들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수님 의견 보니깐 다른 교수님은 중산층을 마래프를 기준으로 보시던데 교수님도 금리 인하시 유효수요를 자산가보시네요. 교수님들의 의견을 들어보면 서민 초점이 아니고 자산가들에게 말하는 내용이네요.
지금 서민들은 대출규제만 잠깐해도 분양잔금을 못 치를 정도로 영끌하는 분위기 상황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교수님 말씀처럼
11월 12월 전세 만기자들은 근시안적으로 3개월 보고 매매 들어갈고 그들도 영끌로 집을 옮기겠죠
그러면 자연스럽게 영끌러들의 소비위축이 일어나고 그러면 내수경기 안 좋아지니 자연스럽게 정부는 1월이후로 금리인하를 지속할거고요. 그러니 자산가들은 금리인하시 유동성을 잘 일으킬 수 있으니 그때 좋은 거 선별해서 구매하라는 말씀이시네요
그리고 현 정부의 정책기조는 부동산 부양이니 10월, 11월 만약 매도물량이 많아 집값하락을 일으킬만하게 부정적이면 12월부터 차근차근 부양책 할거고 내년도 예산도 현 정책대출 예산이 늘면 늘었지 줄지는 않을거라 판단하시네요. 12월까지도 부동산 부정적이면 정부는 대출규제가 원인으로 판단해 1월부터는 금리인하와 동시에 대출금리도 인하해서 1금융권 실적 못하거 하라는식으로 유도하겠네요
그러니 4분기 보합 혹은 상승이고 2025년부터 피벗의 시대 부동산 슈퍼사이클 시대로 판단하시네요.
교수님께서는 지금 매도물량이 많다고 해도 언론과 교수님들 같은 엘리트분들이 충분히 군중심리를 활용해 해소 가능하다 판단하시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공급부족을 말씀하시는거 보면요
지금도 pf 토지가격 낮아졌다고 판단 안되고 분양가도 높다고 생각하며 오히 토지가가 파격적으로 낮아지면 지금 고가로 형성된 매도 효과 덕분에 낮게 분양가해도 완판 잘되고 팔릴거 같은데 이미 pf는 정리 되었고 현 상황에서 추가 토지 매입을 통한 공급이 필요하다고 말씀하시는 거 같네요.
그래서 일부 교수님이 그린벨트 이야기도 하시는 거 같고요
현재 한은 총재는 지역분산 수도권 과밀화 해소. 교육투자, 양극화해소, 신 성장사업 발굴 이야기를 해도 어디까지나 국민들 힐링 기자회견이네요.
교수님처럼 수요보다 공급중심 생각에는 서울의 자산은 무조건 오를거고 서울 전세들은 항상 인기 있고 사람들의 불안심리를 자극하는 건설사 마케팅은 최고이기에 수요는 항상 높으니 공급만 생각하면 된다는 느낌이 드네요.
하긴 그 의견도 맞는거 같습니다..
올림픽포레온 전세가 끝도 없고 매물이 많아도 호가 높게 유지하고 버티면 결국에는 전세영끌로 들어가서 임대인 매매가 지지 및 상승을 위해 움직 일 사람들이 있을거라 생각이 들긴 하네요.
제가 이런 생각이 드는 것도 부동산 마케팅 방법은 다른 마케팅보다 강력하고 사람들의 심리를 가장 잘 건드린다는 생각도 드네요
그러면 결국에는 엘리트분들의 정책과 금리 결정 그리고 군중심리를 아는 언론과 기타 부동산 관련 유튜버 분들이 만드시겠네요
천천히 오르고 있는 환율, 한국의 대외 신용도, 대외 정치 및 정세 이슈는 부동산 유동성 공급에는 영향이 크지 않을 수도 있네요
많은 걸 생각하게 해준 내용들 잘 들었습니다
@망구-q3m 1
2024년 10월 19일 19:47다필요없구 전세계돈이풀리는데
갈때가없어서 자산시장으로만가는게정답
왜 월급타서 먹고살기힘들어 그래서 먼가 투자를해야해
그래서금융으로더가는거다
자산 광물등 금포함
@야호-u3n 1
2024년 10월 19일 20:394대강 19조 1년간 정책저리대출 79조 ~~~~
정부가 은행에게 2.5% 이자 대신 내주고 있음 지금도 계속
끝😂😂😂😂😂😂😂😂
@김영우-g6w 1
2024년 10월 19일 18:07두분공방.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shinhyunjune2204 1
2024년 10월 19일 22:01이광수는 진짜 복덕방에서 정부 욕하는 할아버지 그 이상도 아님 그 이하일 수는 있음
@향아공 1
2024년 10월 19일 20:01설득력이 부족 광수님
나도 다 기억하는데 광수님
@성수동-c8q
2024년 10월 19일 21:57돈을 벌어본 자와 그렇지 못한 자 논쟁
@하늘나무-f9k
2024년 10월 19일 22:50인구는 늘었을지모르지만 경제활동인구가주는상화인데 집을살수있는 사람이준다는건데 그리고 집을갖는있는 노인분들은돌아가시고..
이것만봐도 집값은올라갈수없죠
@럭키모자
2024년 10월 19일 22:47유효수요…저사람 부동산 모르는거같은데…
@노영희-l6r
2024년 10월 19일 18:44😊
@강성민-q2d
2024년 10월 19일 22:43맨날 틀리는 광수씨는 안나왔으면 ..
@nolisz
2024년 10월 19일 18:32저는거시경제적관점,기술적인관점,선행시장관점,수급분석관점 을보고 전망하는방법이 합리적인판단하는데 도움이되는것같습니다!^^
@corea.
2024년 10월 19일 21:25진짜 아파트값 계속 오르면 유동성 인정 부동산 불패 맞아요 놔주는 것도 정신건강에 좋을 거 같아요
@yong2762
2024년 10월 19일 20:11게스트보다 김작가의 질문으로 난 이채널 본다..
@fpdlsk
2024년 10월 19일 22:36사람들이 챙피한줄은 몰라~ 겁나 뻔뻔해~ 그래서 집값은 왜 계속 우상향인데ㅋㅋㅋ
@슈슈-h1h
2024년 10월 19일 21:55살 수 있는 사람 많아요
@kimkunwoo3446
2024년 10월 19일 22:12문재인 정권 내내 집값 떨어진다고 말한 사람 말을 믿냐? 누구게? 참고로 난 2020년 1월에 하도 내 전세값 올라가기에 서울집삼~ 문재인도 그렇고 이분도 그렇도 맨날 떨어진데 ㅋㅋㅋ 어떻게 오른다고 말을 수년동안 한번도 안하냐? 난 그게 더 신기 ㅋㅋㅋㅋ
@가을-e4u9f
2024년 10월 19일 21:12폭등 안하면 다행이지
무섭다 집값
@naome82
2024년 10월 19일 22:45강남 수십억 오른가격이 멈추면 노도강 오르고 지방올라요
그사이에 임대료 치솟아서 내집마련 발동동하면 정부에서 대출풀어서 도와주고 결국 키맞추기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