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가 마이너스라면 경기가 안 좋은 것을 반영하는 것이고 그러면 민간부문 특히 회사채 가격의 하락을 생각해 볼수 있지 않나요? 그리고 리츠라면 물론 수익률이 좋은 상품 대략 11% 정도인 대형투자 펀드도 있지만 그들의 언더라잉이 대충 상업용 부동산인 경우가 많던데 ( 제가 본...그리고 실제 국내 기관투자가가 투자한) 이들의 임대등이 안좋아지면 이들 역시 망한느 것은 아니라도 역성장의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위워크 같은 투자를 보면 그런 걱정이 됩니다 만, 의견 바랍니다.
와... 정말 궁금했던 내용인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자산배분하기로 했으면 그냥 지금 채권 다들어가라하지만 아무리생각해도 뭔가 손해보는것 같더라구요 제가 주식에 최저점의 반정도 되는 지점에서 들어가서 , 지금 채권샀다가 금리 다시 올라버려서 똥값되면 주식수익률 다 까먹지 않을까 걱정됬었습니다. 박사님이 추천해주신 리츠와 모기지,회사채에까지 일정부분 분산 투자를 하는것이 가장 안정적일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홍박사님,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디플레시대가 몇년간 전망되는 시점에서 포트폴리오에 채권은 필수인것 같습니다. 혹시1970년대 인플레이션시대의 금리인상때 채권 가격추이레 대해서 설명부탁드려도 될까요? 금리 인상에 채권가격이 얼마나 변동했는지 본다면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매번 좋은 책 출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pple4126 8
2020년 6월 12일 07:42박사님 우량회사채는 주식과 상관관계가 높지 않나요? 사실 그 부분때문에 투자를 미루고 있었거든요.
@장진혁-o1f 7
2020년 6월 12일 13:40자산배분 관점에서 회사채와 리츠는 절대로 미국채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회사채, 부동산은 애초에 주식과의 상관계수가 너무 높아요.
JW Ahn 6
2020년 6월 12일 07:53자산의 규모가 크지 않은 상황 (5천만원 미만)에서 MBS나 회사채, 채권에 투자할려고 하면, 혹시 어떤 상품들이 있는지 여쭤 봐도 될까요?
박정우 6
2020년 6월 12일 07:20바쁘실텐데 시간 내서 이렇게 좋은 내용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
@김남수-u3n 4
2020년 6월 12일 07:26사랑하고 존경하는 박사님. 감사합니다~~
@hope_7 4
2020년 6월 12일 19:52리츠, 회사채, 모기지 다 안전자산이라고 보긴힘들죠
주식이랑 상관관계도 높구요
과하게 표현하자면 그냥 주식+주식 갖고있는거나 마찬가지...
답은 국채밖에없어요
@_movietalk1941 4
2020년 6월 12일 11:54뉴공보고 찾아왔습니다~
좋은 컨텐츠들이 가득이네요~
@zybr90 3
2020년 6월 12일 08:12회사채나 모기지 리츠 모두 안전자산이라고 보기에는 부족한게 문제죠. 마이너스금리는 연준에서 과거 연구를 통해 미국처럼 무제한 양적완화를 할 수 있는 경우 시장만 교란하고 실익이 크지 않은걸로 결론난것 아닌가요?
@잭리쳐-v9k 3
2020년 7월 21일 07:18고민하고 있는 부분을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이해잘 되네요
@Kevin-er3lc 3
2020년 6월 16일 17:26박사님, 항상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만약에 훗날 경기가 회복되어 미국고채 금리가 상승으로 기조가 바뀐다면 국고채 인버스에 투자하는 것은 괜찮을지요?
인버스에 대한 의견이 너무 상반되어 박사님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홍당무-u7r 3
2020년 6월 13일 02:05뉴스공장 보고 왔습니다
벤자민 3
2020년 6월 12일 08:35채권 국채 회사채 투자등급 투기등급 모기지 이머징 물가연동 ... 요런것도 정리해주세요
@jform 3
2020년 6월 12일 08:01좋은 내용 고맙습니다 ^ ^
채권이 제 포트에 아직도 20%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리밸런싱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khkh-zn1fp 2
2021년 2월 04일 09:21TLT 40퍼나 비중 차지하는데 ㅅㅂ 수익률 다까먹네 ㅜ ㅠ 안전자산맞아? 주식보다 더 다이내믹해 하강속도가 ㄷㄷ
@zitnbit 2
2020년 6월 14일 15:51MBS 관련 ETF는 뭐가 있을까요?
VOO: SP500
VGLT: 미국장기채권
VCLT: 회사장기채권
VNQ: 미국리츠
IAU: 금
@LovePeaceHappiness90 2
2020년 6월 12일 20:44박사님 뉴스공장 보고왔습니다 박사님 말씀 너무 재밌네요 ㅎㅎ
@thomasbragard2438 2
2020년 6월 12일 09:34작가님 yes24 독서토론 참여하고있는데 궁금했던 질문에 마침 좋은 영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Curious_jy 2
2020년 6월 12일 07:30오 저도궁금하던건데~~~
@chochunghee76 2
2020년 6월 15일 00:05홍춘욱 박사님 강의는~~~사랑입니다...!!!^^
Seeking Alpha 2
2020년 6월 12일 08:25훌륭한 말씀 감사합니다^^
@KoreaMVfavorite 1
2020년 6월 13일 09:41딱 지금 상황에 제가 고민하던 부분을 언급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김철모-m6w 1
2020년 6월 12일 07:41정말 원하던 내용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Max Freed 1
2020년 6월 12일 09:30감사합니다 저도 일전 동일한 질문한적이 있습니다. 문제는 마이너스금리는 갑자기 오는게 아니니 fed에서 이에 다소의 긍정적 시그널을 보인 후에 채권배분해도 되지않을까 해서 질문을한건데요. 그때까지 채권이 자산배분의 효과가 의문시되서요. 감사합니다
@한달에한번미국주식 1
2020년 10월 03일 13:07채권을 넣지만 어떤 채권을 포함할지 고민중인데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송프로-q4k 1
2020년 6월 13일 22:06감동입니다 쏙쏙 들어오는 강의에 감사합니다
@이동희-c1l 1
2020년 8월 28일 13:51유럽 금리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기축통화로 달러의 신뢰가 가장 높은데 미국보다 유럽이 오랫동안 훨씬 낮은 금리로 유지할 수 있는(혹은 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예측을 어느방향으로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Jeremy C. 1
2020년 6월 12일 10:55김어준 쇼에서 너무 잘 들었습니다.
자주 나오시면 좋겠네요
@TheKoreanzombie 1
2020년 12월 03일 22:07채권 대신 금은 어떤가요 ㅠ_ㅠ?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1
2020년 6월 20일 13:09오히려 저금리상황에서는 채권투자가 유리한건 아닌가요??오랜만에 제목 보고 들어왔습니다.좋은영상 감사합니다.박사님!!
@코코짱가 1
2020년 6월 12일 11:38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미국국채는 몇년 만기 채권데이터를 썼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olivia8688 1
2020년 7월 04일 10:19채권과 주식을 배분해서 투자하면 안정작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건 이해가 되는데요 채권이 항상 주식과 역의 상관관계인지 아니었던 시기도 있지 않았는지...어떨때 그런지 궁금합니다
@kimsl9292 1
2020년 6월 14일 16:46요즘 계속 고민중인 부분인데 결정에 많은 참고가 될 것 같습니다 ㅎ 그리고 며칠전 뉴스공장 출연하셨을 때 방송내용 너무너무 좋았습니다^^
@정장섭-e9s 1
2020년 6월 12일 13:21안전자산몫으로 금을 일정부분 섞어주고 있어요... 종잡을수는 없지만, 위험자산하고는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거 같아요 !!!
@chibee2743
2020년 12월 03일 11:30감사합니다 박사님 :) 박사님도 올웨더 포트폴리오 하시나요?.?
@kukurikuuang
2020년 6월 28일 23:57진짜 궁금해하던 내용이었어요.
J J.
2020년 9월 13일 22:18뉴스만 보다보면 하나에 꽂혀서 중심을 잃기 쉬운데, 항상 중심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Edward
2021년 4월 25일 12:07또 궁금한게 자산 햇지하려면 꼭 미국 장기국채를 많이 얘기하잖아요??? 장기국채라는게 꼭 미국꺼만 안전자산으로 의미가 있나요? 신흥국이나 미국이외에 선진국 장기국채는 햇지기능으로 안좋다고 보시나요?
@simpsonjack2269
2020년 6월 12일 10:57감사합니다ㅎ
SOOSAN MUN
2020년 6월 27일 20:57저서인 돈 좀 굴려봅시다 에서 해당 국가 환율, 이민자 유입, 소비는 고려하지않고 인구구조만으로 투자방향이 기술되어 있던데 단편적 시각으로 논리전개가 된 이유가 있었을까요?
@60대40마켓타이머
2021년 7월 11일 03:08디플레인한 마이너스 금리(독일 국채 .)
@josch3483
2020년 7월 12일 23:16글로벌 경기가 마이너스라면 경기가 안 좋은 것을 반영하는 것이고 그러면 민간부문 특히 회사채 가격의 하락을 생각해 볼수 있지 않나요? 그리고 리츠라면 물론 수익률이 좋은 상품 대략 11% 정도인 대형투자 펀드도 있지만 그들의 언더라잉이 대충 상업용 부동산인 경우가 많던데 ( 제가 본...그리고 실제 국내 기관투자가가 투자한) 이들의 임대등이 안좋아지면 이들 역시 망한느 것은 아니라도 역성장의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위워크 같은 투자를 보면 그런 걱정이 됩니다 만, 의견 바랍니다.
@BEGIN-l5n
2020년 7월 20일 19:17박사님의 저서 "환율의 미래"를 읽고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합니다. 자산배분 전략에서 한국주식과 달러 자산(또는 채권) 조합이 점진적 우상향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고 한 부분인데요.
만약 미국 주식과 미국 채권의 조합은 자산 배분의 효과가 떨어질까요?
@이혜경-o8m
2020년 6월 17일 11:14영상 잘 봤습니다^^ㅎㅎ
@hhs951010
2020년 6월 22일 00:03와... 정말 궁금했던 내용인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자산배분하기로 했으면 그냥 지금 채권 다들어가라하지만
아무리생각해도 뭔가 손해보는것 같더라구요
제가 주식에 최저점의 반정도 되는 지점에서 들어가서 , 지금 채권샀다가 금리 다시 올라버려서 똥값되면 주식수익률 다 까먹지 않을까 걱정됬었습니다.
박사님이 추천해주신 리츠와 모기지,회사채에까지 일정부분 분산 투자를 하는것이 가장 안정적일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모노-z3o
2021년 2월 06일 22:27저는 채권 , 물가연동제 etf, 금 , 배당주로 햇지 차원으로 자산의 40% 넣고, 성장주 40% , 20%정도는 예금넣어두고 하락장이올때 쓰려고 대비중이네요.
@bexcoex
2022년 4월 21일 08:28지금같은 인플레 고금리에서는 채권이 유리할까요
@D.octopus
2021년 1월 30일 14:57감사합니다
@TheHanjun0202
2020년 6월 17일 18:36홍박사님,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디플레시대가 몇년간 전망되는 시점에서 포트폴리오에 채권은 필수인것 같습니다.
혹시1970년대 인플레이션시대의 금리인상때 채권 가격추이레 대해서 설명부탁드려도 될까요? 금리 인상에 채권가격이 얼마나 변동했는지 본다면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매번 좋은 책 출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heAsura321
2020년 6월 17일 12:19박사님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 강의에서 말씀 하시는 ‘채권’은 ‘미국 채권’ 을 말씀 하시는 거죠?
@TV-pv3qe
2020년 9월 11일 01:09박사님 안녕하세요!?̊̈ 저희는 신혼부부로 앞으로 자산운영에 고민을 하던차에 박사님의 디플레전쟁 읽고 댓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책에 마지막 한국연기금 자산배분 포트폴리오에 보면 나와있는 종목들이 해외직구를 하지 않고 모두 국내 상장된 ETF더라구요 ◡̈
혹시 국내상장 주식 및 채권 ETF가 세금면에서나 여러면에서나 유리해서 그러셨는지, 아니면 환전해서 해외 상장된 ETF(QQQ, SPY와 같은)를 매수하는 것이 더 좋은지 궁금합니다 ᴗ͈ˬᴗ͈ (별 차이가 없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당, 좋은 하루 되세요 !̆̈
@임법사-j7z
2021년 4월 28일 15:48박사님 미국채를 할려면 종합과세대상자가 아니면 TLT보다. 국내상장 미국채10년선물을 하는게 나은가요? 미래에셋물어보니 미국채선물상품은 쿠폰이자나 분배금이 전혀없다고 하던데..TLT보다 국내상장미국채를 하는게 추후 세금이유리해서 추천하시는건가요?
@집남-m6s
2021년 11월 21일 15:5821년 11월에서 왔습니다.
@valentinakwon5255
2020년 6월 12일 20:04감사합니다!!
@heesungjo8352
2021년 2월 05일 16:24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새코리아
2020년 6월 13일 10:51박사님 벤자민 그레이엄이 얘기한 것 처럼 25-75, 75-25 로 가되 각 발생하는 수익을 채권 혹은 주식 매수 비용으로 반복하는게 지금도 통하는 방법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hera2379
2020년 6월 14일 18:53박사님!
지금이라도 늦었지만,
원화를 달러로 바꿔야 하나요??
꼭 답변부탁드려요!~~~제발
Ibragim Aliev
2022년 3월 05일 02:20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olivia8688
2020년 6월 12일 16:01저도 요새 고민하던 문제였는데...좋은 의견 주셔서 잘 들었습니다~
@heeseokwoo2298
2020년 6월 13일 23:03채권의 차선책으로 회사채가 있다면 CLO나 PE성격의 투자를 하고 배당율이 높은 BDC 회사들은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주로 FSK, BKCC 등의 회사를 보고 있습니다.)
@sooshin3569
2020년 6월 12일 09:29감사합니다.
SELCUK KILIC
2022년 3월 05일 02:20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ABSI FM
2022년 3월 05일 02:20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UZMANLAR FEDERASYONU
2022년 3월 05일 02:20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burak bne
2022년 3월 05일 02:20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ŞANLI AZƏRBAYCAN
2022년 3월 05일 02:20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Kenan Gaming
2022년 3월 05일 02:20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