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는 내년부터 나락으로 갈듯….. 역대 대통령들이 국가경제를 위해 자금이 기업의 시설투자와 연구개발{R&D)에 흘러가게 해야 하는데 손쉽게 국민들에게 착시 효과만 주는 부동산 광풍에 올인하게 하여 국가경쟁력이 떨어지고 인구도 줄어 폭망각이다. 금투세 시행은 그나마 있는 자금줄마져 끊으려하니 우리국민은 이제 희망이 없다.
두분다 말씀 맞는데요. 제가 정리를 하면~물가는 한번 오르면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다시말해서 집값은 안떨어지거나.약간 떨어 질수 있고~약간 상승하고는 상당기간 아주 조금씩 오른다~~ ■.그렇지만.집을 사면서 대출을 받아 구매하면.금융비용(이자)을 고러할때~ 10년후 한국이 평균 경제성장(2.5%) .고용율을 고려(시간이 갈수록 AI 로 일자리가 줄어든다고 판단됨) ■ 그렇다면.두분이 주장하는 시차만 다를뿐.옳은 말씀입니다 ■.거시경제.지정학적.인구감소를.(노인인구 자연감소로 구매수효자는 줄어듭니다) 고려해야 합니다 ■저는 서울과 수도권 2주택자 이고요.자녀 2명에게 사후 상속 예정입니다 ■.결론적으로 단기상승 할수 있고.장기적으로 오르지않고.오른다 하더라도 대출받아 구매하면,(금융이자비용.세금~재산세.건보료등 ) 장기적으로 손해다고 생각됩니다~~~시대가 바뀌고 기성세대는 부동산 MZ세대는 금융으로 돈버는것이 많이 벌수있다. 저의 소견 입니다
@아름다운인생-d7y 14
2024년 10월 27일 18:11이광수 이양반 제대로 맞춘 적 한번도 없던데... 주구장창 아파트값 하락한다고....벌써 몇년째여.
@gsig-e6c 8
2024년 10월 27일 18:34한국경제는 내년부터 나락으로 갈듯….. 역대 대통령들이 국가경제를 위해 자금이 기업의 시설투자와 연구개발{R&D)에 흘러가게 해야 하는데 손쉽게 국민들에게 착시 효과만 주는 부동산 광풍에 올인하게 하여 국가경쟁력이 떨어지고 인구도 줄어 폭망각이다. 금투세 시행은 그나마 있는 자금줄마져 끊으려하니 우리국민은 이제 희망이 없다.
@DWQ-e6b 5
2024년 10월 27일 18:41인정하기 싫지만 광석교수 말이 맞더라..광수형한문도 채상욱 이런사람들 말듣고 재작년 집안사고 전세들어왔다가 피토하면서 후회중이다.. 그냥 나같은 무주택자들이 듣고싶어하는 달콤한 말만해주는 유투버일 뿐이다. 대한민국은 부동산에 미친나라라서 내년 금리인하 본격화되면 또 미친상승장 올게 뻔하다.
@ssoonheeekim8272 4
2024년 10월 27일 18:28자산이 계속 오른다 생각하는 사람들은 많은 빚을져도 본인들의 선택일테니까 그들이 책임지게 해야 합니다. 세수부족인데 정부지원은 하지 않기를ᆢ
@weesang-x5n 4
2024년 10월 27일 18:10경제를 이렇게 모르는 사람들이 유튜버를 운영하니...
그만 치우세요.
이럴것이다~
저럴것이다~
이런 방송하지마세요.
@hotsun1594 3
2024년 10월 27일 18:46김광석교수님이 더 현실적인 통찰력을 갖으신거 같네요~~
@rickylee2545 3
2024년 10월 27일 18:05맞습니다 두 분 모두 응원합니다
@guraliusjo2224 3
2024년 10월 27일 18:13김작가 티비 선동성 저질 콘텐츠가 요즘 유난히 많음
@user-cx2gj6en9k 3
2024년 10월 27일 18:12광수씨가 원하는 거 해줘서 겨우 풀려났네ㅎㅎ (집값 떨어진다 안할거면 최소한 지금 정부까주기라도 해야 어준이한테 면이 스지.)
@fireeyes20120002 2
2024년 10월 27일 18:56일본처럼 된다니요. 일본보다 심하면 심하겠죠
국민들이 각성해야 합니다. 이미 앞날이 너무나 분명하게 보이고 있네요.
@카카-q2r 1
2024년 10월 27일 18:55이광수씨는 옛날 복덕방아저씨
김광석씨는 경제전문가
라는 생각이 강하게 느껴집니다
복덕방아저씨는 전망은커녕 아집이 너무 강해요😢
@birdsky8622 1
2024년 10월 27일 18:56다른나라들의 사례를 봐라~ 특히 일본~ㅋㅋㅋ 일본을 그대로 따라가는게 우리나라~ㅋㅋㅋ 우리나라는 일본과 다르다고 말하고있지만 늦고 빠르고 차이일뿐 지금 그대로 따라가고있어~
@백합-j1e 1
2024년 10월 27일 18:59이광수씨 말들으면 생전 집못삽니다 하락만 외치는분 우리동네 아파트 상승 많이했어요
@K-LYFE
2024년 10월 27일 19:31이광수 대표님 말씀이 맞아요. 집값이 올라서 서울에 살기 힘들어지고 있어요.... 그래서 지방에 청약을 받았습니다. ㅜ.ㅜ
@싸인펜-n4z
2024년 10월 27일 19:45금리 인하는 호재지만, 가계 부채 때문에 대출 규제를 하니 거래가 없어지고 집값이 떨어지지... 지돈으로 집 사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냐? 금리, 공급량 이딴건 의미가 없다. 상승장 이어 가려면 대출 더 풀어주면 된다. 투기꾼 들은 넘쳐나니까 ㅎ
@서울서-j3l
2024년 10월 27일 20:01두분다 말씀 맞는데요.
제가 정리를 하면~물가는 한번 오르면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다시말해서 집값은 안떨어지거나.약간 떨어 질수 있고~약간 상승하고는 상당기간 아주 조금씩 오른다~~
■.그렇지만.집을 사면서 대출을 받아 구매하면.금융비용(이자)을 고러할때~
10년후 한국이 평균 경제성장(2.5%) .고용율을
고려(시간이 갈수록 AI 로
일자리가 줄어든다고 판단됨)
■ 그렇다면.두분이 주장하는 시차만 다를뿐.옳은 말씀입니다
■.거시경제.지정학적.인구감소를.(노인인구 자연감소로 구매수효자는 줄어듭니다) 고려해야 합니다
■저는 서울과 수도권 2주택자 이고요.자녀 2명에게 사후 상속 예정입니다
■.결론적으로 단기상승 할수 있고.장기적으로 오르지않고.오른다 하더라도 대출받아 구매하면,(금융이자비용.세금~재산세.건보료등 ) 장기적으로 손해다고 생각됩니다~~~시대가 바뀌고 기성세대는 부동산 MZ세대는 금융으로 돈버는것이 많이 벌수있다.
저의 소견 입니다
@sopmom7990
2024년 10월 27일 19:40이광수씨 분석잘합니다.
@하철근-m2d
2024년 10월 27일 19:24김작가 잇 ㅋ. 는 맨날 폭락 폭락 하는 놈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