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스타그마였던 유저인데요 예전부터 알파스타에 관심이 있어서 영상 다찾아봤는데, 제가 내린 결론은 단지 컨트롤에 실수가없어서 피지컬로 사람을찍어누르는거지 상황판단능력은 정말 매우매우 떨어집니다. 실제로 닥템같은 클로킹유닛 이나 변칙적인 운영에는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취약한 모습을 보이기도했었고요. 이건 사람과 기계가 피지컬적으로 동일한 바둑과는 다른상황이라 사람을 능가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단순 기계의 이점인 것이죠
이래서 객관식 위주의 교육은 위험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객관식 위주의 교육이야말로 학생들로 하여금 전술적인 면에만 골몰하게 만들고 선택지 외의 사항은 답이 아니라고 은연중 세뇌시키기 때문입니다. 객관식 위주의 교육은 전술적인 소모품이나 부품을 대량양산하는 노예 교육에 불과합니다. 학교에서 이런 식으로 세뇌되고 길들여진 노예들은 시대가 변해감에 따라 결국 미래에 쓸모없는 도태품으로 전락하고 말 것입니다. 이제는 교육도 변해야 합니다.
대체불가능한 사람이 되라고 그게 말이 되는 소리인가? 극소수자만 있는 곳에 있으라니 일반인들에게 할 소리는 아닌듯하다. 일반인들은 이런 대체불가능한 사람들을 감시하는 민주주의적 시민단체를 만들어야겠지... 누구나 잘 살 수 있는 민주주의 체제를 만드는데 노력해야한다고 본다. 앞으로 정치에 관심없는 나라는 인공지능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가 될거 같다.
보편적 지식과 넓은 분야를 결합하고 종합하여 본인 만의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갈 수록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매번 인간과 인공지능을 대결구도로 "인공지능에게 지지말자" 는 관점으로 많이 이야기 하는데,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인간이 되자"해야 하지 않나 싶어요. '뺏길 인간'으로 무능력한 존재를 가정하는 사고에 길들여지지 않기를!!! 바라며, 공존하고 협력하는 사회를 위해 도전하고 싶습니다^^
스타2 알파스타와 프로게이머의 경기를 실제로 본 입장에서 말하자면 알파스타는 순간적 APM이 1000 가량 까지 뛰어넘는게 보였습니다. 그런점에서 실패했다고 봅니다. 무슨 마이크로 컨트롤을 인간이 절대 따라할 수 없는 플레이를 하는데 어떻게 이깁니까... 누구도 그렇게 apm이 오르면 AI가 이길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체스나 바둑보다 인공지능이 훨씬 유리한 곳이 가상 컴퓨터 세계인데.... 그런 점에서 스타2 알파스타가 그렇게 유명해지지 않은 이유가 있는 것이고.... 전략이 아무리 뛰어나도 스타2 세계에서는 체제의 상성이 극명한 게임이기 때문에 만약 AI가 프로게이머 수준의 APM 만으로 제한을 둔다면 알파스타가 프로게이머 세계를 지배하기는 힘들것입니다.
근데 막상 세랄이나 레이너(부종이었음) 경기들 보면 처참하기 그지없었죠. 생산량은 많은데, 막상 나오는 유닛은 적고, 견제는 한심한 수준이었습니다. 덕분에 막상 원탑 취급받는 프로게이머들 앞에서는 너무 무력한 모습을 많이 보여준듯 합니다. 확실히, 아직 인간이 '육감적' 이라고 부를만한 요소들은 매우 부족한 면을 가지고 있더군요. 솔직히 기계라는거 말고는 인공'지능' 다운 모습은 제대로 못본듯 합니다.
현실은 소수의 천재가 아니면 자기 재능을 알아내기 전에 사회적으로 도태되죠. 한국사회는 아직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가 아니기 때문에 ... 인공지능이 도입되어도 사회공동체가 유지되는 방법은 둘 중 하나입니다. 기본소득을 도입해서 일하지 않아도 생존과 생활이 가능하거나, 안락사를 복지로 도입해서 경쟁에서 밀려난 사람이 자발적으로 선택할 때 고통없이 보내주거나 ...
안녕하세요 저는 청심국제고등학교 2학년 정태준입니다. 평소에 책그림의 좋은 영상들을 보면서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이 댓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책그림의 영상들에는 자막이 한국어만 있어서 가능하면 제가 영어 번역 봉사를 하고 싶습니다. btjjung@gmail.com으로 연락을 주시거나 제 댓글에 답글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약간 딴지처럼 들릴수 있지만.. 규칙이 없는 분야라기보단, 규칙이 덜 적용되는 분야가 좀 더 맞지 않을까요? 결국은 언젠간 다 ai에게 밀리게 되겠죠... 시간의 문제일듯.. 적어도 우리 사는 시간동안엔 ai에게 밀리지 않을 분야가 뭐가 있을지를 고민해봐야 할듯.. 그리고 결국은 ai에게 밀릴 운명.. 사회적 제도 변화는 필수일듯..
기술발전을 말 할때 악영향은 금방 표면에 드러나고 이익되는 부분은 거의 느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죠. 가전재품의 발전으로 가정주부가 할 일이 없어진것은 아니며 그 재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시간을 일해야 했으며 더 많은 돈을 벌기위해 교육부터 사회생활에 이르기 까지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노력을 하고 살게 되었죠. 기술의 발전이 사람의 행복으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불평등을 가중화 시키는 경향이 더 큰것 같습니다. 그리고 AI시대에 이런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교육은 70년대 부터 이어져온 한국의 교육개념. 곧 기업을 위한 인재를 만들기 위한 기초교육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무서운거 말해줄가? 요즘 와서 대중적으로 인공지능 어쩌고 게임 어쩌고 적용되서 말이 많이 생긴거지만, 실제로 미국은 1994년을 시작으로 2004년도에 완성 한건데, 미국이 가지고 있는 모든 전쟁 물자나 무기를 넣고 전세계 실제 타국의 무기를 넣고 실제 미국이 이길수 있는 전략 구성을 이미 완성 했다는거.. 무섭지 않나?..; 어떠한 시나리오 상으로 상황을 주입하면 과정의 결과를 보여준다..
아직은 약 AI 이지만 그리고 약AI 의 한계적인 부분이지만 한5년정도 그리고 10년뒤 강AI가 나올경우 우리인간이 사람들의 경험으로 대처할수 있는 부분은 조금 한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시겠지만 AI는 24시간 쉬지도 않고 계속 발달 하니깐요 그리고 최근에 양자컴퓨터의 개발로 그 인간의 한계를 드러내는 속도는 더욱 빨라 질거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전 유토피아보단 디스토피아가 도래한거다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만드는 것보다는 파괴가 쉽잖아요 -_- 세상이 아무리 좋아졌다 한들 아직도 억울함과 잘못된 법 제도 등이 우리사람들을 아우성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AI가 이것들을 처리해주리는 믿지 않습니다. 왜냐면 이것또한 우리 기득권들 순수히 내주지 않을거니깐요 즉 AI를 오히려 반대로 역 이용하겠죠
@말랑이-q4s 38
2020년 6월 15일 00:28한때 스타그마였던 유저인데요 예전부터 알파스타에 관심이 있어서 영상 다찾아봤는데, 제가 내린 결론은 단지 컨트롤에 실수가없어서 피지컬로 사람을찍어누르는거지 상황판단능력은 정말 매우매우 떨어집니다. 실제로 닥템같은 클로킹유닛 이나 변칙적인 운영에는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취약한 모습을 보이기도했었고요. 이건 사람과 기계가 피지컬적으로 동일한 바둑과는 다른상황이라 사람을 능가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단순 기계의 이점인 것이죠
Joong Wook Choi 17
2020년 6월 14일 23:26이래서 객관식 위주의 교육은 위험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객관식 위주의 교육이야말로 학생들로 하여금 전술적인 면에만 골몰하게 만들고 선택지 외의 사항은 답이 아니라고 은연중 세뇌시키기 때문입니다. 객관식 위주의 교육은 전술적인 소모품이나 부품을 대량양산하는 노예 교육에 불과합니다. 학교에서 이런 식으로 세뇌되고 길들여진 노예들은 시대가 변해감에 따라 결국 미래에 쓸모없는 도태품으로 전락하고 말 것입니다. 이제는 교육도 변해야 합니다.
@좋아하는게없어서 10
2020년 6월 13일 14:15엌 ㅋㅋㅋㅋ내 친구는 몇 년을 해도 플레를 못 가던데ㅋㅋ
최휠선 9
2020년 6월 13일 15:18스타1 영호 이기면 인정해준다
@god-goat 7
2020년 6월 13일 14:33인공지능 불공평하거 아니오 인공지능은 로봇팔로해야지
@조종현-k3w 6
2020년 6월 13일 14:13전문화가 대세던 시절이 지나가고 있군요. 자격증, 전문가 등이 중요한게 아니라 이젠 두루두루 잘 알고 큰 그림을 그릴 줄 아는 사람이 필요한 세상이 되겠네요.
@Leo-nf4zs 5
2020년 6월 13일 14:59영상이 말하는 인공지능이 할 수 없는 패턴이없고 규칙이 없으며 데이터가 없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등을 토대로 봤을때 인간은 이불덥고 꿈나라가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저는 꿈은 항상 패턴도없고 규칙도 없으며 인공지능이 할수 없는 것들이 일어나거든요
@Ahn_KR 5
2020년 6월 13일 14:21내레이션 하는분 누구신지 설명 좀 해주시면 좋을 듯 해요! 목소리 듣기 좋으시네요~
@IIllIll 5
2020년 6월 13일 15:48좀 섬찟하네요!
미국은 이미 변호사 업무를 도와주는 사무장 업무를 인공지능이 예전에 대체했다고 합니다!
불규칙성, 비패턴화된 산업이라?
고민이 깊어집니다!
@hkkim6943 5
2020년 6월 13일 14:06알리스타로 그마간줄 알았네;;
@김태형-v8u 4
2020년 6월 13일 14:09대체불가능한 사람이 되라고 그게 말이 되는 소리인가?
극소수자만 있는 곳에 있으라니 일반인들에게 할 소리는 아닌듯하다.
일반인들은 이런 대체불가능한 사람들을 감시하는 민주주의적 시민단체를 만들어야겠지...
누구나 잘 살 수 있는 민주주의 체제를 만드는데 노력해야한다고 본다.
앞으로 정치에 관심없는 나라는 인공지능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가 될거 같다.
@seaforestN 4
2020년 6월 13일 23:24보편적 지식과 넓은 분야를 결합하고 종합하여
본인 만의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갈 수록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매번 인간과 인공지능을 대결구도로 "인공지능에게 지지말자" 는 관점으로 많이 이야기 하는데,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인간이 되자"해야 하지 않나 싶어요.
'뺏길 인간'으로 무능력한 존재를 가정하는 사고에 길들여지지 않기를!!! 바라며, 공존하고 협력하는 사회를 위해 도전하고 싶습니다^^
@startsecond1944 4
2020년 6월 13일 14:05인공지능의 제한을 풀면(컨트롤 능력 등..) 게임과 같이 규칙과 한계가 있는 분야는 모두 인간이 이기기 힘들 듯 하네요
@iloveclassicbooks 4
2020년 6월 17일 03:22데이터나 규칙이 없는 분야일수록 사람의 역할이 중요해지는군요! 인공지능과 겨루기보다 인공지능이 넘볼 구 없는 이런 영역들을 지속적으로 개척해나가는 게 필요하겠어요👍
@croon4027 4
2020년 6월 14일 13:49스타2 알파스타와 프로게이머의 경기를 실제로 본 입장에서 말하자면
알파스타는 순간적 APM이 1000 가량 까지 뛰어넘는게 보였습니다.
그런점에서 실패했다고 봅니다. 무슨 마이크로 컨트롤을 인간이 절대 따라할 수 없는 플레이를 하는데 어떻게 이깁니까...
누구도 그렇게 apm이 오르면 AI가 이길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체스나 바둑보다 인공지능이 훨씬 유리한 곳이 가상 컴퓨터 세계인데....
그런 점에서 스타2 알파스타가 그렇게 유명해지지 않은 이유가 있는 것이고.... 전략이 아무리 뛰어나도 스타2 세계에서는 체제의 상성이 극명한 게임이기 때문에
만약 AI가 프로게이머 수준의 APM 만으로 제한을 둔다면 알파스타가 프로게이머 세계를 지배하기는 힘들것입니다.
@조예준-g6t 3
2021년 1월 12일 12:54근데 막상 세랄이나 레이너(부종이었음) 경기들 보면 처참하기 그지없었죠.
생산량은 많은데, 막상 나오는 유닛은 적고, 견제는 한심한 수준이었습니다. 덕분에 막상 원탑 취급받는 프로게이머들 앞에서는 너무 무력한 모습을 많이 보여준듯 합니다. 확실히, 아직 인간이 '육감적' 이라고 부를만한 요소들은 매우 부족한 면을 가지고 있더군요.
솔직히 기계라는거 말고는 인공'지능' 다운 모습은 제대로 못본듯 합니다.
@seikun7 3
2020년 6월 13일 15:13요약 : 인공지능에 의해 스페셜리스트는 도태되고 제너럴리스트만 살아남는다.
@책읽는쑥갓 3
2020년 6월 13일 14:52마이크 뭐 쓰세요? ㅎㅎ
sun flower 2
2020년 6월 14일 20:10이런 영상에 반대나 쳐박는 인간은 정신병 있는거 같애.
@천안유기견관련 2
2020년 6월 13일 17:14책그림영상을 올리신 볼때마다 성찰하는 것 같아서 기분이 좋습니다.
@아웃클라쓰스튜디오 2
2020년 6월 13일 16:33알파스타랑 스타 한게임 해보고 싶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 )
Charly 2
2020년 6월 14일 18:52다음 대화 주제는 이거닷!
@표범재 2
2020년 6월 13일 14:13전략을 인공지능이 정복해서 알파고가 이긴 거 아니었나? 결국 전술이 모여서 전략이 되는 건데...
그리고 스타에서 전략성 있는 플레이는 기본적으로 도박성 플레이라서...
@Min-eo7lk 2
2020년 6월 13일 14:09지난번 일자리 양극화 영상이랑 이어지는군요! 여러 분야를 경험해봐야겠어요
Starve Wolf 2
2020년 6월 14일 02:36현실은 소수의 천재가 아니면 자기 재능을 알아내기 전에 사회적으로 도태되죠.
한국사회는 아직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가 아니기 때문에 ...
인공지능이 도입되어도 사회공동체가 유지되는 방법은 둘 중 하나입니다.
기본소득을 도입해서 일하지 않아도 생존과 생활이 가능하거나,
안락사를 복지로 도입해서 경쟁에서 밀려난 사람이 자발적으로 선택할 때 고통없이 보내주거나 ...
@psybrother 2
2020년 6월 13일 14:39앞으로 세상이 얼마나 발전할까 기대도 되고 걱정도 됩니다. 저희 심리학 분야도 인공지능에 대해서 다양한 생각을 하고 있거든요!
@zaigo999 2
2020년 8월 12일 04:06퀄리티가 공영방송 수준이네요. 짝짝짝
@댕센Dengsen 2
2020년 6월 13일 19:232019년 9월에 일어난 일이면 왜 지금 업로드하실까 ㅎㅎ
@cogucogu 2
2020년 6월 13일 14:06와우👍👍
@와-u4t 2
2020년 6월 21일 13:45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워커샤이 2
2020년 6월 13일 14:41전술 보다 전략이라... 투자분야에서도 결국 전략에 집중하는게 인공지능을 넘어설 수 있을듯...
@황성재-s2r 1
2020년 6월 19일 03:31근데 영상의 논리대로라면 결국 전략도 전술보다 데이터가 방대할뿐이니 언젠간 인공지능이 유리하겠지
@Chosima 1
2020년 6월 16일 19:23too abstract..
주노 1
2020년 6월 13일 14:03합법 헬퍼 ㄹㄱㄴ
이성민 1
2020년 6월 13일 19:424:00
@행복하자구요 1
2020년 6월 19일 00:45이젠 책그림형 내래이션은 안나오는건가..
그 목소리가 나와야 책그림 채널같다구...
@blod815 1
2020년 9월 27일 18:33범용인공지능과 기술의 발진으로 인간의 모든강점이사라질것 같습니다.
박태우 1
2020년 6월 13일 14:03안녕하세요
@허름한서재 1
2020년 6월 13일 22:48진로 고민을 하고 있는 저에게 아주 유익한 영상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food1945 1
2020년 6월 14일 20:45대단
@hyeockyeolchoi5279 1
2020년 6월 14일 09:45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스타크래프트까지 인공지능이 진출한 것을 보니, 다시 생각해볼 점들이 많아지게 되었네요.
@김토리-h2s 1
2020년 6월 13일 14:12인공지능 시대,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의 시대,
대체 불가능한 인재.
Brian Jung 1
2020년 9월 19일 15:17안녕하세요 저는 청심국제고등학교 2학년 정태준입니다. 평소에 책그림의 좋은 영상들을 보면서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이 댓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책그림의 영상들에는 자막이 한국어만 있어서 가능하면 제가 영어 번역 봉사를 하고 싶습니다.
btjjung@gmail.com으로 연락을 주시거나 제 댓글에 답글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선영-l4p9d 1
2020년 6월 13일 20:38공부슬럼프는 어떻게 극복하나요?ㅠㅠ
@lovepway
2020년 7월 12일 08:22스카이넷 충성충성
JoY_Yu
2020년 6월 19일 14:23스타2 10년했던 유저입니다.ㅎㅎ 전 최대 마스터3까지 찍었네요ㅠㅠ 그런데 제너럴리스트가 되라는 말 제가 요즘 진짜 실천하려고하고있습니다ㅎㅎ
주학수
2020년 6월 21일 11:58책그림 TV 운영자님. 사업제안 드리고 싶어요. 제 이메일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꼭 연락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davidcho2100@naver.com
@user-kx6gz7rn6b
2020년 6월 18일 22:05약간 딴지처럼 들릴수 있지만.. 규칙이 없는 분야라기보단, 규칙이 덜 적용되는 분야가 좀 더 맞지 않을까요?
결국은 언젠간 다 ai에게 밀리게 되겠죠... 시간의 문제일듯..
적어도 우리 사는 시간동안엔 ai에게 밀리지 않을 분야가 뭐가 있을지를 고민해봐야 할듯..
그리고 결국은 ai에게 밀릴 운명.. 사회적 제도 변화는 필수일듯..
@jwp7638
2020년 6월 15일 04:36옛날에도 영상 떳지만 탱크가 저글링때릴때 스플래시 데미지 안받으려고 맞은놈주위애 있는 저글링을 순간 분산 시키는 방법으로 살리더라
유닛 한기한기, 동시에 인구수 200을 컨트롤 가능한 Ai를 사람은 못이기지ㅋㅋ
키라
2020년 11월 30일 18:33예시가 없네요 ㅜ 규칙 있는 분야는 알겠는데 규칙없는 분야는 대표적으로 어떤게 있죠?
@bca-pu4tk
2020년 6월 20일 11:55영상에서 제시한 조건을 충족하는 직업을 찾아야지 라는 생각보다 정글로 들어가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드는건 왜일까
@가나다-z2v
2020년 11월 15일 22:08규칙이 없는 분야 열심히 뛰어들어봐야 알파고님이 없던 그분야의 규칙을 만드는데의 도구로 쓰여질 뿐임
@withjake8142
2020년 6월 14일 12:04맵핵 쓴거 아닐까염?
@초성-r3q
2020년 6월 20일 07:51다필요없고 인공지능이 인간을지배했으면 좋겠다 인간이 너무싫다 혼자 인공지능로봇과 살고싶다
@정보가필요해
2020년 6월 24일 11:57기술발전을 말 할때 악영향은 금방 표면에 드러나고 이익되는 부분은 거의 느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죠. 가전재품의 발전으로 가정주부가 할 일이 없어진것은 아니며 그 재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시간을 일해야 했으며 더 많은 돈을 벌기위해 교육부터 사회생활에 이르기 까지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노력을 하고 살게 되었죠. 기술의 발전이 사람의 행복으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불평등을 가중화 시키는 경향이 더 큰것 같습니다. 그리고 AI시대에 이런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교육은 70년대 부터 이어져온 한국의 교육개념. 곧 기업을 위한 인재를 만들기 위한 기초교육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이성민
2020년 6월 13일 19:41신선한정보감사용
@행동하는독서
2020년 7월 05일 18:36제가 바둑을 두기 때문에 인공지능하고 이세돌과의 대국을 잘 알고 있어요.
인공지능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겠습니다.
시청 잘했습니다~^^
@김치막걸리
2020년 6월 26일 04:26목소리가 바뀌셨어요?
@carrot1st192
2020년 7월 18일 00:26사람이 할 수 있으면 인공지능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걸리는 차이는 있겠지만요.
@정진이-s3m
2021년 4월 14일 01:27무서운거 말해줄가?
요즘 와서 대중적으로 인공지능 어쩌고 게임 어쩌고 적용되서 말이 많이 생긴거지만, 실제로
미국은 1994년을 시작으로 2004년도에 완성 한건데, 미국이 가지고 있는 모든 전쟁 물자나 무기를 넣고 전세계 실제 타국의 무기를 넣고 실제 미국이 이길수 있는 전략 구성을 이미 완성 했다는거..
무섭지 않나?..;
어떠한 시나리오 상으로 상황을 주입하면 과정의 결과를 보여준다..
@HJ-lz4hi
2020년 6월 16일 14:43동생 처음에 알리스타로 읽음 ㅋㅋ
@임승미-q2z
2020년 9월 14일 17:32감사합니다
@허어걱
2020년 6월 24일 12:56아직은 약 AI 이지만 그리고 약AI 의 한계적인 부분이지만 한5년정도 그리고 10년뒤 강AI가 나올경우
우리인간이 사람들의 경험으로 대처할수 있는 부분은 조금 한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시겠지만 AI는 24시간 쉬지도 않고 계속 발달 하니깐요 그리고 최근에 양자컴퓨터의 개발로 그 인간의 한계를 드러내는 속도는 더욱 빨라 질거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전 유토피아보단 디스토피아가 도래한거다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만드는 것보다는 파괴가 쉽잖아요 -_-
세상이 아무리 좋아졌다 한들 아직도 억울함과 잘못된 법 제도 등이 우리사람들을 아우성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AI가 이것들을 처리해주리는 믿지 않습니다. 왜냐면 이것또한 우리 기득권들 순수히 내주지 않을거니깐요 즉 AI를 오히려 반대로 역 이용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