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건강 식단은 없다
건강 #식단 #영양의비밀 우리는 모두 다른데 왜 똑같이 먹어야 해? 참고 : [영양의 비밀], 프레드 프로벤자 Sponsored by 로크미디어 -------------------------------- [독서 ......
건강 #식단 #영양의비밀 우리는 모두 다른데 왜 똑같이 먹어야 해? 참고 : [영양의 비밀], 프레드 프로벤자 Sponsored by 로크미디어 -------------------------------- [독서 ......
@choain 7
2020년 6월 15일 20:424부. 평균의 종말 01:16
식습관과 교육은 더 이상 똑같이 해서는 안된다.
-> 식습관(영양의 비밀) 교육(평균의 종말) 참고
이유 세 가지
1. 개체는 저마다의 형태와 기능과 행동을 가진다 03:24
-> 똑같이 생긴 사람이 없듯 장기 또한 다 다르게 생겼다
-> 수십만개 의 사소한 차이는 엄청난 차이로 이어진다
2. 사람마다 필요한 것이 다 다르다 07:08
-> 과연 똑같은 정량을 매일매일 먹는 게 옳은 것인가?
3. 똑같은 음료(커피, 술, 약물 등등)조차 다르게 작용된다
-> 규격화된 방식(다이어트)은 별 효과가 없다 09:20
-> 나랑 맞지 않는 방식으로 열심히 한들 효과가 작다
결론: 나만의 최적화된 식단을 찾고 만들어야 한다 14:22
@_-Dominik-_ 3
2020년 6월 15일 12:512등!ㅋㅋ 좋은영상감사드려요~😆👍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3
2020년 6월 15일 13:26저는 요즘 더글라스 그라함의 산음식, 죽은음식이라는 책을 보고 있는데 인간은 태초에 초식동물의 습성과 비슷하고 옛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유인원과 흡사했기 때문에 이의 구조가 고기를 찢을 수 없으며 손은 가볍게 잡는구조로 발달해 도구를 이용해 자연의 과일을 쉽게 채집하도록 진화했다고 합니다.인간이 불을 이용하게 된 계기는 열대과일이 있는 곳에서 이주하기 시작하며 과일을 풍족하게 먹을 수가 없어 고기를 먹게 됐는데 인간 특성상 피가 떨어지는 생고기는 먹지못해 불을 발견해 구워먹었다고 전해지는데요 그러면서 인간의 이로는 벗기기 힘든 씨앗도 익혀먹고 벼농사를 시작하며 자연상태로 먹기 힘든 곡식류도 불을 이용해 부드럽게 만들어 먹다보니 자연상태의 영양소가 불의 온도로 인해 파괴되어 실제로 아무영양가 없고 칼로리만 있는 시체음식이나 다름없는 음식을 지금도 계속 먹고있다고 주장하더라구요 불에 익혀먹은 음식은 아무리먹어도 그때는 배부르지만 돌아서면 금새 또 음식을 찾는경우가 많다고 하더군요 자연식 즉 과일은 2~3개만 먹어도 배부르며 또 찾는일은 없다고도 하더라구요 그러면서 불에 익히지 않은 자연본래의 음식 즉 과일과 채소위주의 식단을 짜서 실천하면 뚱뚱한 사람은 몸의 독소가 자연스럽게 빠져 날씬해질것이고 질병이 있던 사람은 자연음식위주의 식단을 하기 때문에 머리도 맑아지고 질병도 많이 없어진다는 주장을 연구를 통해 밝히고 있더라구요 이분도 나름 그 분야에서 유명하신분 같던데 일단 저는 작가님이 소개해주시는 책도 동의하고 지금 읽는 책도 동의하는게 인체는 복잡계이기 때문에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봐서 내몸에 맞으면 그게 맞는 식단이라는걸 확실히 깨달을거 같습니다.오늘부터 하나씩 조금씩 식단을 바꿔보는 생체실험에 돌입해보겠습니다.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레몬향기-q4o 3
2020년 6월 15일 12:341등이닷 ! 요거 오늘 사러 갈껀데 서점에 있었으면 좋겠어요 ㅎ
@천사표-d3h 2
2020년 6월 19일 15:23좋은 내용이나 정보 소개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거의 대부분이 서양 학자의 저서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 영상의 정보만 해도
이미 우리 선조들의 100년도 전에 이미 사상체질이라 하여
체계화 하였고 지금은 8상 16상 64상까지도 체질을 분류하기도 합니다.
또한 디지털세상의 근본인 2진법의 경우도
우리의 주역을 참고하여 서양학자들이 만들어진것이고
현대 물리학인 양자역학의 경우
세계 최고의 물리학자들도 이해하지 못하고 있지만
이미 불교에서 말하고 있는 색즉시공 공즉시색 같은 내용을 보면
수천년전에 이미 현대과학을 뛰어넘는 정신세계를 말씀하였씀에도
여전히 서양 과학에 매물되어 우리 조상들의 훌륭한 사상을
배척하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기도 하고 우매해 보이기도 합니다.
@GLORY519106 2
2020년 6월 17일 23:37지금 공부하면서 관련된 일을하고 있는데 꼭 필요한 책과 내용을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abbachi1000 2
2020년 6월 15일 19:27작가님 덕분에 책 또 샀습니다 ㅋ👍🏾
@송나무-b7w 2
2020년 6월 15일 17:19그 동안에는 좋다는 건 다 찾아먹어서 멸종시키고 다른 걸로 갈아타고
먹을 것 말고도 유행, 분위기 이런 걸로
몰려다니는 게 좀 많았던 것 같아요
모두가 다르다는 걸 인정하고
자기에게 맞는 식습관과 삶의 방식을 찾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고 봅니다ㅎㅎ
@iru_iru 1
2020년 6월 15일 21:26영상 중간에 '평균의종말' 나와서 반가웠어요♡
@방명숙-p6c 1
2020년 6월 27일 14:56정말 그런것같습니다.
나에게 잘 맞는 식단도 다른 사람에겐
해가 될수도있는 것 같습니다
nowhere man
2020년 6월 15일 13:33오.젊.건.죽 읽고 건강식으로 챙겨먹고 있었는데, 여러 시행착오가 있었습니다. 시행착오의 원인을 몰랐는데 이제야 실마리가 잡히는군요! 이 책도 읽고 나만의 식단만들기에 더욱 집중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