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뉴스보니까 농촌에서 외국인 노동자 없어서 난리라고 하네요. 예전에 제주도 시장갔을때 많은 외국인노동자들이 일하고있어서 놀라던 기억이 있네요. 외국인 노동자 유입이 줄면 임금은 조금 오를지 몰라도 나중에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시간이 지나야 알수 있겠죠 아침 강의에 늘 감사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시대는 삼국지 첫구절과 같다고 보여집니다. 세계화로 인해 글로벌최약체를 이용해서 글로벌 경제 최고점에 있는 사람들이 노동력을 이용해 각 국가별 저숙련 노동자들을 학살한 정책이다. 빌게이츠같은 사람들 하는소리 들어보면 얼마나 허무맹랑한지 통계도 안잡히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신자유주의로인해 오히려 세계적으로는 빈부격차가 더 줄어들었다고 말합니다. 그말인 즉슨 세계최하위계층에 일자리를 주는 통계를 만들어서 왜곡시키는 현상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지금의 반이민,반세계화 정서가 나왔다고 보입니다.
우리나라도 출산율이 0.xx대이니 다문화나 이민에 우호적으로해야되니 이런말하면 국민들이 일반적으로 느낄 감정은 뭘까요?? '그냥 노예가 재생산안되니 외국노예 데려오자는 거냐?'이렇게 느낄겁니다. 최소한의 국민들이살만해야지 외부인에 대한 여유도 생기는거에요. 인간을 경제 돌리는 부품정도로 치부하니깐, 정치인이나 관료들이 그런 멍청한 소리를 하는겁니다. 또한, 외국인으로 얻을 경제적 효과는 외국인으로 발생될 사회적 비용도 같이 봐야되는겁니다.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유교문화이고 내 가족 나아가서 우리 집단 우리 사회 어렇게 점진적으로 넓혀가는 사상이 깔려있는데 단순히 묵자같은 시각으로 정책을 추진하면 거부감만 들게 될겁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도 단순한 비숙련노동자를 받아들이는게 다문화라는 세뇌로 잘 돌아갈거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미국 플로이드 사건만 봐도 그렇게 이질적 문화를 세계화 마냥 좋다고 받아들여봣자 사회적 해결비용이 엄청납니다. 지금이야 한국인이 압도적 다수여서 우리나라 문화에 충돌되는 부분은 대부분 흡수가능한것이지 이 좁은 땅에서 서로 다른문화권을 형성하면서 살아갈수도없는데 부딪치는 여지를 남기는 다문화 정책이란게 얼마나 허무맹랑한지 지금이라도 바꿔야 된다고 봅니다.
세계화시대에 맞춰서 우리문화를 더욱 개방적이고 포용적으로 만드는것이 기본 틀이 되어야지 아에 다른 문화 갈래를 다 인정해주고 가자는건 미래에 어떤 책임도 못질 민폐를 부린다는 생각이 먼저드네요.
박사님 인플레가 올수있다는 이야기가 있내요. 근거로 나온 이야기가. ""유통통화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11.5% 로 빠르게 증가 중이고, M2 증가율도 전년 동기 대비 23%를 넘어서기 시작했는데요, 이는 과거 금융위기 당시 기록했던 최고점인 10.3%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입니다. 미국쪽 이야기로. 들었지만 정말 가능할까요?
@oneheart6767 5
2020년 6월 17일 07:10며칠전부터 이시간쯤 아침에 알림온 박사님경제소식 듣는 재미가 좋습니다^^ 공부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장미꽃향기 3
2020년 6월 17일 06:54더운날 하루동안 수고 많으세요
좋은 내용의 영상 감사합니다
행복한 날 웃음가득 한 날 되세요 🙏😊👍
@sooshin3569 3
2020년 6월 17일 09:01아침에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namjungsu 2
2020년 6월 17일 07:35어제 뉴스보니까 농촌에서 외국인 노동자 없어서 난리라고 하네요. 예전에 제주도 시장갔을때 많은 외국인노동자들이 일하고있어서 놀라던 기억이 있네요. 외국인 노동자 유입이 줄면 임금은 조금 오를지 몰라도 나중에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시간이 지나야 알수 있겠죠 아침 강의에 늘 감사하고 있습니다
Gandhi Mahatma 2
2020년 6월 17일 10:28지금의 시대는 삼국지 첫구절과 같다고 보여집니다. 세계화로 인해 글로벌최약체를 이용해서 글로벌 경제 최고점에 있는 사람들이 노동력을 이용해 각 국가별 저숙련 노동자들을 학살한 정책이다. 빌게이츠같은 사람들 하는소리 들어보면 얼마나 허무맹랑한지 통계도 안잡히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신자유주의로인해 오히려 세계적으로는 빈부격차가 더 줄어들었다고 말합니다. 그말인 즉슨 세계최하위계층에 일자리를 주는 통계를 만들어서 왜곡시키는 현상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지금의 반이민,반세계화 정서가 나왔다고 보입니다.
우리나라도 출산율이 0.xx대이니 다문화나 이민에 우호적으로해야되니 이런말하면 국민들이 일반적으로 느낄 감정은 뭘까요??
'그냥 노예가 재생산안되니 외국노예 데려오자는 거냐?'이렇게 느낄겁니다.
최소한의 국민들이살만해야지 외부인에 대한 여유도 생기는거에요.
인간을 경제 돌리는 부품정도로 치부하니깐, 정치인이나 관료들이 그런 멍청한 소리를 하는겁니다. 또한, 외국인으로 얻을 경제적 효과는 외국인으로 발생될 사회적 비용도 같이 봐야되는겁니다.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유교문화이고 내 가족 나아가서 우리 집단 우리 사회 어렇게 점진적으로 넓혀가는 사상이 깔려있는데 단순히 묵자같은 시각으로 정책을 추진하면 거부감만 들게 될겁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도 단순한 비숙련노동자를 받아들이는게 다문화라는 세뇌로 잘 돌아갈거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미국 플로이드 사건만 봐도 그렇게 이질적 문화를 세계화 마냥 좋다고 받아들여봣자 사회적 해결비용이 엄청납니다.
지금이야 한국인이 압도적 다수여서 우리나라 문화에 충돌되는 부분은 대부분 흡수가능한것이지 이 좁은 땅에서 서로 다른문화권을 형성하면서 살아갈수도없는데 부딪치는 여지를 남기는 다문화 정책이란게 얼마나 허무맹랑한지 지금이라도 바꿔야 된다고 봅니다.
세계화시대에 맞춰서 우리문화를 더욱 개방적이고 포용적으로 만드는것이 기본 틀이 되어야지 아에 다른 문화 갈래를 다 인정해주고 가자는건 미래에 어떤 책임도 못질 민폐를 부린다는 생각이 먼저드네요.
@수키킴 1
2020년 6월 17일 07:38워홀이나 유학도 줄어들겠네요...
@dannyocean139
2020년 7월 06일 05:28국가 자본주의 측면에서 미국이 중국의 리더쉽을 닮아가는거 같아요 무역전쟁이 진짜 전쟁 으로서의 성격이 강해지는 것 같습니다
@아름-e3g
2020년 7월 12일 11:13별 내용이 없네요...
@bizme00
2020년 6월 17일 10:43PT 프로그램이 궁금합니다~~~ 너무 멋져요
@달천도사-r1z
2020년 6월 17일 13:28늘 잘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혹시 과거디플레시대에 주식 관련 영상도 올려주실수있나요? 디플레시대엔
배당주는 우량주보다 성장주가 주도할꺼 같은데 선생님의 고견 듣고싶네요~^^
@신.내리사랑
2020년 6월 20일 14:20박사님 인플레가 올수있다는 이야기가 있내요.
근거로 나온 이야기가.
""유통통화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11.5% 로 빠르게 증가 중이고, M2 증가율도 전년 동기 대비 23%를 넘어서기 시작했는데요, 이는 과거 금융위기 당시 기록했던 최고점인 10.3%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입니다. 미국쪽 이야기로. 들었지만 정말 가능할까요?
@hawaaaiiis9635
2020년 6월 21일 01:50박사님,, 오늘도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날으는표범
2020년 6월 24일 19:38안녕하세요 박사님 오늘 CCMM빌딩서 강의도 잘듣고 사진도 찍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구독하겠습니다.
@정솜결
2020년 6월 17일 06:53감사합니다ㆍ솜결
@_minwoo
2020년 6월 17일 17:42감사합니다^^
@이혜경-o8m
2020년 6월 17일 11:03영상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