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자신이면서도 자신이 알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라는 것은 참 신비로운 일이죠. 그 관점에서 프로이드는 그 알지 못하는 부분을 연 ~ 대표주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이런 심리학자들은 대부분 스스로 매우 복잡한 가정사를 가지고 있다거나 스스로 불행한 삶을 산 사람도 많죠. 그러고 보면 ~ 심리와 삶의 gap이 늘 존재한다는 생각도 합니다. 알지만, 안되는 삶의 부분이 있음을 또 이들의 삶의 스토리에서 읽게도 됩니다. 전에 프로이드 공부한 생각이 나네요~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
우리가 철학을 배워야하는 이유는 철학의 궁극적 목표가 자기 자신의 메타인지를 올리는데 있기 때문이다 08:40
우리의 실수, 꿈, 신경증, 성생활의 공통점은 모두 의식과 무의식의 상호관계를 통하여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때까지는 자기 마음을 의식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자기 마음을 아무리 생각해도 알 수 없는 마음(무의식) 이 존재한다고 프로이트가 처음으로 주장함으로써 우리는 결정적인 사고의 혁신를 일으키게 됐다 06:05 하지만 대부분의 무의식은 반도덕적, 반사회적 사고라 인정하기가 너무 힘들었고 그래서 받아들여지지 않아 프로이트의 주장은 그가 죽고 나서야 인정받았다
무의식을 알고 탐구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 정신분석
메타인지를 올리는데 자신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지 모르는 무의식에 대해 인지하게 됐다는 것만으로도09:43 프로이트는 철학사의 혁신을 일으켰다고 할 수 있다
서울대 아빠, 소통전문가 엄마 7
2020년 6월 19일 17:27'자기 자신이면서도 자신이 알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라는 것은 참 신비로운 일이죠. 그 관점에서 프로이드는 그 알지 못하는 부분을 연 ~ 대표주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이런 심리학자들은 대부분 스스로 매우 복잡한 가정사를 가지고 있다거나 스스로 불행한 삶을 산 사람도 많죠. 그러고 보면 ~ 심리와 삶의 gap이 늘 존재한다는 생각도 합니다. 알지만, 안되는 삶의 부분이 있음을 또 이들의 삶의 스토리에서 읽게도 됩니다. 전에 프로이드 공부한 생각이 나네요~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
코칭샘 JOAINFP 6
2020년 6월 19일 18:04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입문강의 읽기 1부.
우리가 철학을 배워야하는 이유는 철학의 궁극적 목표가
자기 자신의 메타인지를 올리는데 있기 때문이다 08:40
우리의 실수, 꿈, 신경증, 성생활의 공통점은 모두
의식과 무의식의 상호관계를 통하여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때까지는 자기 마음을 의식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자기 마음을 아무리 생각해도 알 수 없는 마음(무의식)
이 존재한다고 프로이트가 처음으로 주장함으로써
우리는 결정적인 사고의 혁신를 일으키게 됐다 06:05
하지만 대부분의 무의식은 반도덕적, 반사회적 사고라
인정하기가 너무 힘들었고 그래서 받아들여지지 않아
프로이트의 주장은 그가 죽고 나서야 인정받았다
무의식을 알고 탐구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 정신분석
메타인지를 올리는데 자신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지
모르는 무의식에 대해 인지하게 됐다는 것만으로도09:43
프로이트는 철학사의 혁신을 일으켰다고 할 수 있다
Summer 3
2020년 6월 19일 17:45재밌네요! 감사합니다 😊
러별
2020년 6월 23일 17:16프로이트는 처음에는 재밌어서 입문하게 되다가 점차 너무 병리적으로 바라보는 관점때문에 기피하게됐네요.
Ivwhjs Usvw
2021년 9월 18일 08:1797년에서 99년사이 군복무할때 열심히 읽었던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