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나 도움이 되는 말씀.. 한번만 보긴 아까운 내용이예요. 저는 이분의 다른 인터뷰중에 쓸데없는 인간관계에 대한 것도 좋았거든요. 이번 인터뷰 내용도 제게 필요한 요소 같아요. 인터뷰를 보고나서 자신에대한 이해도를 먼저 높이는 작업을 시작하고 싶단 생각을 하게됐구요, 저도 대부분 잘 지키려고 스케쥴 세세하세 메모해놓고 하루를 보내는 편인데 제가 뭘 빼먹었나 보니.. 완벽한 하루에는 완벽한 휴식도 포함된다는 거였어요..!! ㅠㅠ 앞으로는 운동,휴식,낮잠 꼭 빼먹지 않기! 나에게 맞는 완벽한 하루는 어떤걸까? 당장 며칠 후 새로운 생활이 시작되는데요 오늘 밤에, 나에게 맞는 완벽한 하루 스케쥴 짤거예요^^v 응원해주세요!
완벽이란 상대적이기 때문에 완벽한 하루란 00:27 내가 이룰 하루 목표를 세우고 내 기준에서 온전히 달성 인생 목표가 없으니 1년, 한달, 하루목표도 없게된다
완벽한 하루를 살기 위한 세 가지 단계 1.완벽한 하루를 살려면 나만의 원칙을 구축해야한다01:37 2.나만의 원칙을 달성하기 위한 환경설정하기(핸드폰등등) ->무의식적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의식적 포기(절제) 3.나만의 원칙적인 하루를 살아보며 원칙을 잘 지키나 안 지키나 중간중간(첨엔 정각마다)관찰 끝나고 점검
장점 다섯 가지 목표를 이루려면 하루라도 내 의지대로 살아야 가능 1.무의식적 습관에 지배된 삶을 사는 날과 나를 깨달음 2.올바른 일에 온전히 에너지를 쏟는다는 건 개쩌는 일 3.이 경험은 나중에 자신이 나태해질 때 해도 정말 좋음 4.우울증을 극복하여 삶을 즐겁게 사는 수행방법중 하나 5.끊임없는 자기관찰의 습관화
주의사항 세 가지 1.쉬지 않고 24시간 한 가지 일만 하지 않기 쉰다는 건 내가 아닌 지친 내 몸과 마음이 좋아할 일을 하는 것 2.자기 이해도(메타인지)낮다면 무리한 계획으로 실패 3.습관은 누적의 결과. 절대 한 번에 바꾸려 하지 않기
스마트폰은 담배와 같습니다. 오히려 더 유해합니다. 그리고 쉴 때 절대 스마트폰 같은 자극이 큰 건 반대합니다. 공부는 자극이 없습니다. 영, 아니 마이너스입니다. 따라서 자극이 큰 휴식을 취하고 싶다면 영상처럼 나 자신을 알아야 합니다. 근데 정규분포상 대부분 자극이 강한 행동을 한 후 낮은 자극의 것들에는 반응하기 쉽지 않습니다.
저도 매 순간 완벽한 하루를 보내려고 지난 몇 년간 노력했지만 어느 순간 도달하면 우울한 감정이 많이 들더라구요 쉴 때도 쉬는게 아닌 계속 생각을 하고 고민을 하고, 적절한 밸런스를 맞춘 삶과 자신과 대화를 더욱 많이 시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신 박사님 전 당신과 당신의 데일리 리포트를 접하고 3년이 지났고 그 3년간 매일 데일리 리포트를 쓰고 있어요. 그리고 전 자신 합니다. 전 3년전에 비해 월등히 많은 성과를 달성했고 앞으로 이보다 더 많은 성과 성공 성취를 이룰 겁니다. 비록 만난적 한번 없지만 당신의 가르침에 항상 감사합니다.
수은 피디님 진심 걱정어린 눈빛.. 신박사님 건강해지셔서 너무 다행이네요. 완벽한 하루는 정말 에너지가 많이 쓰이지만 그만큼 성취감도 크지요. 몇년 전 데일리리포트를 알게 되서 빡센시간관리가 필요할 때 마다 활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다음엔 휴식을 더 잘 취할 수 있는 방법을 어떻게 찾아야할지도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이번주가 34시간 남았네요! 즐겁고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정말 그런거 같습니다.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하루를 자신이 주인이 되어 주도할 수 있는 거 같습니다.그리고 신박사님의 데일리리포트나 유근용작가님의 독기행을 본따서 수첩에 하루계획과 느낀점과 생각나는 명언들을 간단하게 적었던것이 생각이 나네요 그런데 박사님말씀대로 그저 의지만 불타올라 정작 저의 형편을 돌아보지않고 밀어부치기만 하다가 결국 제풀에 지치고 몸도 아파와서 계획적인거 보다 조금 느슨하게 본업외 독서와 운동 그리고 새로운일에 대한 준비를 조금씩 루틴으로 넣고 습관화시키는것이 현명하다고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적어도 전보다 15분일찍일어나 10분간 명상과 하루1시간이상 독서와 운동 그리고 투자관련 유투브시청과 관련자료검색과 독서를 루틴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신박사님 이야기를 들으니 전에 저를 잘 모르고 시작했던 계획들이 생각이 나서 느끼는 바가 큽니다.자기 자신을 알아야 내가 해나갈 수 있는 그릇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mindgardening4928 13
2020년 6월 20일 13:50너무나 도움이 되는 말씀.. 한번만 보긴 아까운 내용이예요. 저는 이분의 다른 인터뷰중에 쓸데없는 인간관계에 대한 것도 좋았거든요. 이번 인터뷰 내용도 제게 필요한 요소 같아요. 인터뷰를 보고나서 자신에대한 이해도를 먼저 높이는 작업을 시작하고 싶단 생각을 하게됐구요, 저도 대부분 잘 지키려고 스케쥴 세세하세 메모해놓고 하루를 보내는 편인데 제가 뭘 빼먹었나 보니.. 완벽한 하루에는 완벽한 휴식도 포함된다는 거였어요..!! ㅠㅠ
앞으로는 운동,휴식,낮잠 꼭 빼먹지 않기!
나에게 맞는 완벽한 하루는 어떤걸까? 당장 며칠 후 새로운 생활이 시작되는데요
오늘 밤에, 나에게 맞는 완벽한 하루 스케쥴 짤거예요^^v 응원해주세요!
조아인프피의 1분요약 13
2020년 6월 20일 22:23뼈아대 5부. 완벽한 하루
완벽이란 상대적이기 때문에 완벽한 하루란 00:27
내가 이룰 하루 목표를 세우고 내 기준에서 온전히 달성
인생 목표가 없으니 1년, 한달, 하루목표도 없게된다
완벽한 하루를 살기 위한 세 가지 단계
1.완벽한 하루를 살려면 나만의 원칙을 구축해야한다01:37
2.나만의 원칙을 달성하기 위한 환경설정하기(핸드폰등등)
->무의식적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의식적 포기(절제)
3.나만의 원칙적인 하루를 살아보며 원칙을 잘 지키나
안 지키나 중간중간(첨엔 정각마다)관찰 끝나고 점검
장점 다섯 가지
목표를 이루려면 하루라도 내 의지대로 살아야 가능
1.무의식적 습관에 지배된 삶을 사는 날과 나를 깨달음
2.올바른 일에 온전히 에너지를 쏟는다는 건 개쩌는 일
3.이 경험은 나중에 자신이 나태해질 때 해도 정말 좋음
4.우울증을 극복하여 삶을 즐겁게 사는 수행방법중 하나
5.끊임없는 자기관찰의 습관화
주의사항 세 가지
1.쉬지 않고 24시간 한 가지 일만 하지 않기 쉰다는 건
내가 아닌 지친 내 몸과 마음이 좋아할 일을 하는 것
2.자기 이해도(메타인지)낮다면 무리한 계획으로 실패
3.습관은 누적의 결과. 절대 한 번에 바꾸려 하지 않기
결론
자기주도적 삶을 살기 위해 완벽한 하루를 먼저 살아봐라
https://youtu.be/nhSsBot8b54
캐러멜칼라만시 12
2020년 6월 20일 14:24스마트폰은 담배와 같습니다. 오히려 더 유해합니다. 그리고 쉴 때 절대 스마트폰 같은 자극이 큰 건 반대합니다. 공부는 자극이 없습니다. 영, 아니 마이너스입니다. 따라서 자극이 큰 휴식을 취하고 싶다면 영상처럼 나 자신을 알아야 합니다. 근데 정규분포상 대부분 자극이 강한 행동을 한 후 낮은 자극의 것들에는 반응하기 쉽지 않습니다.
@hisummerrr 8
2020년 6월 20일 14:02정말 본받을 점이 많은 분이네요! 진심어린 조언 감사합니다♡ 신영준박사님 항상 건강하셔야 해용😭 본인의 귀한 경험 다른 사람을 위해 공유해주셔서 감사해요~♡
@jichan1123 7
2020년 6월 20일 13:39저도 매 순간 완벽한 하루를 보내려고 지난 몇 년간 노력했지만 어느 순간 도달하면 우울한 감정이 많이 들더라구요 쉴 때도 쉬는게 아닌 계속 생각을 하고 고민을 하고, 적절한 밸런스를 맞춘 삶과 자신과 대화를 더욱 많이 시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studian365 6
2020년 6월 20일 15:06🎤신영준 박사의 지난 책터뷰 영상 더 보기
📕책 제목: <뼈 있는 아무 말 대잔치>
1부:내가 39살에도 자기계발을 하는 이유
▶https://youtu.be/DFuSm9Jiic0
2부:2년 만에 목표를 이루는 방법!
▶https://youtu.be/AP7_x8f-uwE
@김연신-j2x 5
2020년 6월 20일 19:46신 박사님 전 당신과 당신의 데일리 리포트를 접하고 3년이 지났고 그 3년간 매일 데일리 리포트를 쓰고 있어요. 그리고 전 자신 합니다. 전 3년전에 비해 월등히 많은 성과를 달성했고 앞으로 이보다 더 많은 성과 성공 성취를 이룰 겁니다. 비록 만난적 한번 없지만 당신의 가르침에 항상 감사합니다.
김지은 5
2020년 6월 20일 14:07수은 피디님 진심 걱정어린 눈빛.. 신박사님 건강해지셔서 너무 다행이네요. 완벽한 하루는 정말 에너지가 많이 쓰이지만 그만큼 성취감도 크지요. 몇년 전 데일리리포트를 알게 되서 빡센시간관리가 필요할 때 마다 활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다음엔 휴식을 더 잘 취할 수 있는 방법을 어떻게 찾아야할지도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이번주가 34시간 남았네요! 즐겁고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smail1276 4
2020년 6월 20일 16:59전 하루가 30시간이었으면 좋겠어요. 24시간 너무 짧아요 ㅡ.ㅡ;;
@가는이_GaNunI 3
2020년 6월 20일 14:44저는 여태 한번도 성공을 못했습니다. ㅠㅠ
반성합니다. ㅠㅠ
@VictoryWorld1129 3
2020년 6월 20일 14:03따봉 백만개♡♡
@김현숙-o2l9z 3
2020년 6월 20일 21:20박사님의, 몸소 체험 하신 실화를 잘 풀어서,
들려주시는 단계단계 마다, 참으로 대단하다!
감탄하며, 지금처럼 쭉~~타인에게 많은 좋은영향을 주실수 있는, 더 훌륭한 박사님이!
되시기를 감히, 부탁드립니다! 그러기 위해선
소중한 자신관리를 더 철저히 잘해주세요~~
오늘도, 감동을 전달해 주시는, 수은PD님 수고 많았습니다 감사합니다~~🍀💕
@TV-yx4ly 3
2020년 6월 20일 15:32구수합니다~
@김정호-x2o 3
2020년 6월 20일 13:402등이다!
@user-by6bw7oj1z 2
2020년 6월 20일 13:40ㅎㅇ
@십자맨-e2o 2
2020년 6월 20일 13:55굿
@부안러닝센터 2
2020년 6월 20일 14:30중요한 사회적 이슈때
한끼 굶기도
진짜 어렵던데 ^^
@grace-ex8bh 2
2021년 2월 05일 23:34핸드폰 하...진짜 안하는게 너무 어려움..
@날자독수리-o4o 2
2020년 6월 20일 16:23처음 봤는데 신선합니다
멘토링 프로젝트를 운영하시는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소개 부탁해요
참여하고 싶어요
@all-to 2
2020년 6월 21일 15:39논리는 하수
공감은 중수
신뢰는 고수
한수 배워갑니다.ㅎ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2
2020년 6월 21일 08:43정말 그런거 같습니다.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하루를 자신이 주인이 되어 주도할 수 있는 거 같습니다.그리고 신박사님의 데일리리포트나 유근용작가님의 독기행을 본따서 수첩에 하루계획과 느낀점과 생각나는 명언들을 간단하게 적었던것이 생각이 나네요 그런데 박사님말씀대로 그저 의지만 불타올라 정작 저의 형편을 돌아보지않고 밀어부치기만 하다가 결국 제풀에 지치고 몸도 아파와서 계획적인거 보다 조금 느슨하게 본업외 독서와 운동 그리고 새로운일에 대한 준비를 조금씩 루틴으로 넣고 습관화시키는것이 현명하다고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적어도 전보다 15분일찍일어나 10분간 명상과 하루1시간이상 독서와 운동 그리고 투자관련 유투브시청과 관련자료검색과 독서를 루틴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신박사님 이야기를 들으니 전에 저를 잘 모르고 시작했던 계획들이 생각이 나서 느끼는 바가 큽니다.자기 자신을 알아야 내가 해나갈 수 있는 그릇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janechoi124 1
2020년 6월 21일 08:36귀하고 유익한 말씀 감사합니다! 박사님 건강해주세요~~~
@minsookim2255 1
2020년 9월 21일 17:19수행 맞아요 100%공감하고 영적 영역이라고 생각해요 제가 요즘 가장 많이 하는 생각이예요
지금 이 순간도 노력합니다
늘 일깨워 주셔서 감사합니다
@sue2968 1
2020년 6월 23일 08:23본받을점도 있지만...좀 강박증이 있으신것 같네요...
@하늘을달리다-z6t 1
2021년 11월 23일 00:44맞아요 ㅠㅠ
@ysjn2642 1
2020년 6월 23일 07:33감사합니다.
@minsookim2255 1
2020년 9월 21일 17:10정말 쉬운 일 아니예요. 늘 뼈때려 주셔서 아프지만 감사합니다. 나이 50 을 바라보지만 철 들려면 멀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