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심하고 포기하는 생활이 반복된다면? | 김경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ask and learn
강연자의 강연 소개 : 하고 싶은 것이 생겨서 목표를 세웠지만, 생각만 하다 흐지부지 미루게 되고 결국 포기한 적. 다들 한번 쯤 경험하신 적 있으시죠? 몇번이나 그런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하고 싶은 것이 생겨서 목표를 세웠지만, 생각만 하다 흐지부지 미루게 되고 결국 포기한 적. 다들 한번 쯤 경험하신 적 있으시죠? 몇번이나 그런 ......
강백호우 6537
2020년 6월 26일 19:07오 이것마저 나중에듣기로 미룸ㅋㅋㅋ
@snowphiakim2965 3695
2020년 7월 03일 22:443번 듣고, 노트에 적어봤어요.
특히, 목표에 대한 명사와 동사일 때 구술의 차이점이 흥미로워요.
저는 꿈이 화가와 피아니스트 였는데
흔히 생각하는 무대위의 유명한 피아니스트를 생각하면 실패한 인생이지만
연주하는 일을 하고 싶다고 생각하면
저는 제 꿈을 이루었네요
방에서 혼자 연주하기도 하고, 가끔은 사람들앞에서 연주를 하기도 하니까요.
제 나이 마흔에 꿈을 이루었어요.
감사합니다.
@시청용-e2s 1769
2020년 12월 31일 22:05내용은 굉장히 좋은데 자막이 없어서 아쉽네요. 그래서 댓글로 한번 정리해봅니다.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는 좋은 방법>
1. 계획을 쉽게 포기하지 않도록 여러 단계로 나누어 성취감을 느끼게 해라.
(예를 들어 계획이 그냥 "책 읽기"면 그 책을 조금 읽었어도 다 못 읽었으면 그 계획이 실패가 되는거니까 첫날에는 50쪽까지, 둘쨋날에는 100쪽까지 읽는 걸로 계획을 나눠서 조금 더 일에 진전이 있는 것을 느끼게 하는 것.)
2. 계획을 세울 때 '~(언제)까지 ~(무엇을)하기'처럼 시간을 제한하지 마라.
(하려는 일에 시간을 정해놓으면 나중에 그 일을 시간 안에 못 할 것 같을 때 결과물이나 행동의 질을 떨어뜨려서라도 그 시간안에 그 일을 끝내려고 하기 때문.)
* 모든 일에 시간을 정하지 말라는 게 아니라, 어디까지나 장기적인 계획에 한해서임.
3. 확립된 생각을 하게 하는 '명사'보단, '형용사'를 더 많이 써라.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명사로 제한하지 않고 좀 더 본질적으로, 구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음.)
예) 나는 '유튜버'가 될 거야.(X)
나는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영상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이 될 거야.(O)
*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어요.
@hyewonpark7378 1300
2020년 7월 15일 15:12김경일 교수님 저 아주대 심리학과 04학번 혜원이에요!! 너무 많은 제자들이 있으시니 절 기억하시진 못하실꺼에요 ㅜ 삼학년까지 아주대 있다가 미국 대학으로 편입해서 ㅜ미국에 와서 공부하다가 직장생활한지 6년차 되었어요. 이제 한 사람의 아내이자 두아이의 엄마가 되었답니다 😀 교수님 강의는 저희만 듣기 아깝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방송으로 많은 사람들이 교수님 강의를 들을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고된 미국생활 교수님 강의들이 저에게 큰 위로가 된답니다! 한국에 재작년에 갔었는데 아주대에 오랜만에 가서 교수님 만나뵙고 싶어 사실 남편과 함께 찾아갔었어요ㅋ 교수님이 않계셔서 만나뵙지 못해서 너무 아쉬웠답니다! 교수님 보고싶어요 !! 미국에서 교수님 제자가 열렬히 응원합니다!!
@sjsj25 978
2020년 10월 07일 04:58결심하고 포기하는 생활이 반복되니 자기혐오가 심해짐 자존감도 너무 낮아지고
그냥 인생 전체가 우울해졌음
이 영상이 나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
@MMORPG9451 815
2020년 10월 11일 23:58-목표와 계획을 혼동하지 않기
-계획은 세분화(예:10등분)
-낯선것을 체험하기
-목표에 기한이 있으면 결과의 질이 낮아진다.
-동사형의 목표를 생각한다.
@brightlovemisa 812
2020년 6월 26일 19:0110분의 시간동안 어떻게 이렇게 삶의 변화를 위한 핵심적인 말씀을 해주시는지 정말 대단하십니다.
1. 계획을 세분화하기(목표를 계획이라 착각하지 말기)
2. 사소한 낯선것을 경험하기
3. 목표 달성 시간을 정하지 않기(결과물의 질이 떨어짐)
4. 목표를 명사형이 아닌 동사형으로 세우기
교수님 말씀 새겨서 꼭 목표 달성하겠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마이쿨 599
2020년 10월 13일 21:28이런 총명한 눈을 한 아저씨는 처음이야
세배 561
2020년 6월 27일 00:40타일러님이 나왔을 때 꿈이 뭐냐가 아닌 뭘 하고 싶냐를 생각하라는 거랑 같은 맥락이네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정영준-o5i 516
2020년 6월 29일 10:34"영철이가 사람을 죽였대"와 "영철이가 살인자래"라는 다름이 정말 와닿네요.
소피스트Sophist 420
2020년 6월 30일 10:57도라에몽이랑 진구랑 퓨전한 거 같이 생기셨다
Iced coffee 391
2020년 6월 26일 19:25*단기
계획-잘게쪼개기(10등분)
경험-사소한낯설음
*장기
시간과 질을 거래하지 말자(마감기한을 정하지않는다)
동사로 생각한다(열린사고)
@nuck1004 330
2021년 7월 15일 17:531. 최소한 10단계의 계획을 세워라
2. when/if/then 방법 적용 : when(아침 6시) if(오른쪽 다리를 이불에서 빼면) then(왼쪽으로 돌아누워 5분 있다가 일어난다)
3. 낯선 상황에 들어가야 기존에 있던 생각에서 벗어난다🔥 -> 값비싼 경험을 한 번 하기보다, "사소한 낯선 경험"을 자주 하는 것이 필요 ex.자주 가는 곳의 옆 동네, 자주 먹는 메뉴 말고 새로운 메뉴
4. 계획을 짤 때는 내 뇌를 꼬셔라 (살짝만 다르니까 해볼만하지?^^)
5. 시간과 명사를 피하라 (언제까지 ~하기x) 내 인생의 장기적인 계획을 세울 때는, ex. 나는 '교수'될꺼야 -> 나는 '가르칠꺼야!' 나는 가르치는게 천성이니까☺️
@smirage3071 297
2020년 8월 19일 15:12@6:03 주기적으로 가구배치를 바꾸고, 가던길을 피해 딴길로 돌아가고, 조금한 물건도 자주 바꿔서 새로운 것을 찾는 심지어 일하는 곳을 주기적으로 옮기거나 바꿔줘야하는 제가 싫증을 잘낸다는 소리른 들었는데, 전 그냥 새로운 시도를 좋아하는 사람이었군요.
뚜뚜 259
2020년 6월 27일 04:46요즘 무기력하게 지내면서 아무것도 이루지못하는것에대해 자책하는 생활을 계속 하고 있었는데 강의를 듣고 왜 그런지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토롱-b8g 256
2020년 8월 02일 11:36목표는 누구나 세울수 있지만
계획은 성실함과 의지가 있어야 하고
의지를 가지고 계획을 실행할수 있는
체력 이 기본으로 받쳐줘야 하며
돈이 없는사람은 인내
돈이 있는사람은 사람과 재력 이 있어야
원하는 목표 까지 갈수 있어요
@jeongminchoi6825 211
2020년 6월 28일 21:5120대 초반, 10년 단위로 인생 계획을 세우던 친구가 있었어요. 30살, 40살, 그리고 70살 80살 까지. 각 10년마다 자신은 어떤 사람이 되어 어떤 것을 하고 싶다며 빛나는 눈으로 이야기했고 저는 듣고 있었죠. 하지만 속으로는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될 지도 모르는데 왜 허망한 계획을 세워서 에너지를 낭비할까' 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그 친구는 일상에서 이미 김경일 교수님의 말씀을 실천하고 있었어요. 분명한 목표와 그것을 이루기 위한 세부계획이 노트에 적혀 있었고, 그 중에는 이루지 못한 것도 있었지만 이룬 것도 있었어요.
오랜 시간이 지나 지금은 그 친구와 연락하지 않지만, 오늘 교수님 강연 보니 왠지 그 친구는 자신의 인생 계획대로 살고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 친구의 소식이 궁금하네요.
@sebasi15 173
2020년 11월 17일 19:31⭐️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https://bit.ly/3gAQXT6
@HiHi-yn3ur 160
2020년 6월 26일 22:09목표를 명사형이 아닌 동사형으로 세워라 이게 가장 기억에 남네요. 제 주변을 봐도 직업을 명사로 정해서 한 경우 대부분이 자신이 생각했던 일과 다르다며 그만 두었습니다. 그중에 저도 포함되어 있었구요. 동사형으로 그리는 일을 할거야 라고 했던 친구가 있었는데 프리랜서로 아직도 그리는걸로 밥먹고 살더라구요 저도 동사형으로 목표를 바꿔세워보겠습니다 :)
@대주주-o7g 156
2022년 12월 07일 10:37- 계획과 목표를 혼동하지마라.
- 잘게 쪼개는 것이 계획이다. (이렇게 하며 그루핑이 되거나 우선순위가 생김)
- 목표가 만들어지면 촤소 10등분을 해야한다. (10개의 눈금을 진도, 점수의 척도로 측정 가능)
- 사고를 바꾸기 위해서는 값싼 새로운 경험을 많이 하는것이 좋다. (자주다니는 길 옆길, 옆동네, 먹던 음식과 약간 다른 것 등)
- 계획으로 세우면 안좋은 것 : 시간/명사
ex) 시간 - ~까지 ㅇㅇ하겠다 = 시간을 맞추기 위해 질을 낮추게 됨.
ex) 명사 - 의사, 교사가 꿈이다. 하는 것.
= 명사를 쓰는 것은 설명하지 않는 것. 명사는 생각을 줄임. 더 알아보려고 하지 않음.
@2sang2ruru 151
2020년 10월 08일 16:23저는 제 꿈을 스토리텔러라고 말하고 다녔는데 앞으론 "나는 나의 능력으로 세상을 바꾸는 데 일조할거야 나는 창의적이기만 한 사람이 아니야 내 제작물엔 좋은 메세지가 있어"라고 말할래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멘토스tv: 하버드형의 공부, 진로, 취업, 유학 149
2020년 6월 26일 19:13결심이 실행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큰 이유 중 하나가 저도 당장 하나부터 시작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이 없어서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실천 가능한 세분화된 계획을 이룰 수 있는 것부터 차근차근 잘 세우는 능력이 성공에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비슷한 내용의 유익한 강의를 통해서 생각을 더욱 확고하게 만들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
@Germanjazz 140
2020년 10월 08일 01:46기본 10개로 짜서 계획해라 그리고 세분화를 해라 (필요시)
시간을 정하면 질이 떨어진다
명사로 계획을 정하지 말자 동사로 정하자
(Ex 나의 꿈 교수 -> 나는 가르칠 꺼야 )
@jullyahn7774 108
2020년 9월 18일 11:34정말이지 이 분 강연은 정확하며 군더더기없고 우아하기까지하다. 더불어 기분까지 업!
귀한 말씀 나눔, 정말 감사합니다.
@LIFEIS-m9w 104
2023년 8월 06일 13:32핵심정리)
1. 목표와 계획은 반드시 잘게 쪼갠다
1. 10등분으로 세분화 ⭢ 그룹화 및 하위목표 수립
2. if when then 방법
1. 이제부터 아침 6시에 일어날거야!
2. 아침 6시에 (When)
3. 오른쪽 다리를 이불 밖으로 빼면 (1f)
4. (Then) 왼쪽으로 돌아누워 5분 있다가 베게를 뺀다
2. ‘시간’과 ‘명사’로 목표를 정의하지 않는다.
1. 결과물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2. 꿈과 목표를 명사로 지정하지 말라
- 명사란 생각을 하지 않기 위한 도구일뿐
- 나의 꿈은 “동사”로 지정해야 한다.
- 예) 나의 꿈은 교사다 (X) ⭢ 나의 꿈은 가르치는 것이다 ◎
3. 새로운 목표와 자극을 가지는 방법
1. 낯선상황에 들어가야 새로운 생각과 목표를 가질 수 있다.
2. 아주 사소한 낯선 것들이 인생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경우가 많다.
3. 값싼 낯선 경험을 최대한 많이 일상에서 경험하려 노력할 것.
4. 뇌는 살짝만 달라도 굉장히 불편해 한다 ⭢ 새롭지 않다고 뇌를 꼬드긴다.
S Why 100
2020년 6월 30일 08:42저녁시간에 테이블에 앉아서 교수님 강의를 크케 틀어놓고 보고 있었습니다, 강의내용이 흥미롭고 재미있어서 "이강의 너무 좋다 자기야" 했더니 왔다갔다 듣고만 있던 예비남편이 "그분 알아. 심리학 교수님이지?" 하더라구요. 어떻게 알았냐 물었더니 유명하시고 본인이 원래 좋아하는 분인데 도대체 자기를 뭘로 보냐며 장난으로 화를😂 둘이 사이좋게 마주앉아 <동사로 얘기하기>도 해봤는데 너무 신기하고 새로웠습니다!! '내일'부터 헬스장 가서 살 뺄거라고 호기롭게 얘기하는 예비남편에게 '지금' 당장 윗몸일으키기 20개 하고자라 하니 거부하더라구요. "이거봐~~조금 다른일에 크게 저항한다!!" 하니 바로 실행 하더라구요😂 사이좋게 각자 윗몸일으키기 하고 잠들었습니다. 두고두고 삶에 적용시킬 명강의 감사합니다 김경일교수님💛
@rohan23227 77
2020년 7월 16일 13:02대학시절 꿈과 비전을 말하는 시간에 다들 멋진 꿈이 있는데 , 나는 왜 내 꿈이 직업이 되어야하는지 모르겠다. 편하고 여유롭게 살며 종종 여행 다니는게 내 꿈이라고 말해서 부끄러웠던 기억이.. ㅋㅋ 결국은 그렇게 살고있어서 가진건없지만 행복해요
@라모-i2j 69
2021년 4월 26일 07:14이 분의 심리학 영상은 품위있는 설득ㆍ거부감이 없슴ㆍ앎을 뽑내지않음ㆍ겸손이 깔려있어 밉지않음ㆍ세세한 설명으로 쉽게 이해됨ㆍ참 휼륭한 강의 입니다ㆍ감사드립니디ㅏ
@ChoiceSC 57
2020년 10월 14일 23:48“명사”라는 품사에 대해서 새로운 의미를 배웠네요.
생각을 안하게 만드는 품사라는 말이 놀라웠어요. 언어의 품사들이 인지적 기능을 갖는다는걸 처음 알았어요!
@이예영-z8b 57
2020년 6월 26일 22:55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평소에도 책 읽어드립니다, rmp콘텐츠 등 교수님의 온갖 강의란 강의는 다 듣고 있는 와중에 이런 강의를 접할 수 있어 기쁩니다. 격주 등교가 시작되고, 첫 중간고사가 치러졌습니다. 그 시험 후 제가 학교에서 보고 있는 것은 아이들의 우울한 얼굴들입니다. 아이들이 본인의 가치가 5등급이라고 생각하기 시작하고, 본인의 노력이 부족했다, 나는 부족한 인간이다 라는 자존감의 붕괴를 겪기 시작했습니다. 몇몇 아이들은 절망한 나머지 아예 공부를 손에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계획을 본인이 실행하지 못했고 그것으로 인해 어차피 계획을 세워도 안될거야 라는 절망과 자기의심으로 인해서 아이들은 스스로의 싹을 자르고 있습니다. 저또한 중학교 때 그 시기를 겪었습니다. 집안 상황은 절대 저의 꿈을 받쳐줄 수 없었지만, 그래도 저에겐 영어를 배워 외국으로 나가 세계를 돌아다니며 공부를 하고 싶다는 꿈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원서를 읽고 영단어를 외우고 회화 연습을 했습니다만 전부 허탕이었습니다. 그 노력은 계속 되지 못했습니다. 저를 갉아먹는 방식으로 노력하고 있었거든요 제 체력이 버텨주질 못해서 하마터면 병을 짊어질뻔 하였습니다. (지금에야 깨닫게 된 사실입니다) 목표는 영어를 마스터한다 가 전부였고 어떻게 어느정도로 언제까지? 라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 및 단계등을 정의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고1이 된 저는 그 때를 생각하며 늘 그 노력은 모두 실패야, 난 1년을 헛된 꿈에다 쓴거야.. 분수에 맞지 않는 꿈을 꾼거야.. 라며 스스로의 날개를 어떻게든 끌어내리려 애썼습니다. 다신 저에게 실망하기 싫어서 다신 날지 못하게 만들 생각이었습니다.. 그렇게, 중3 부터 2020년 초까지 나를 학대해서라도 목표에 도달해야한다는 헛된 열망을 가지고 있을 때 제 인생에 행복은 없었고, 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해 나를 실망시키는 저를 무척이나 의심하고 미워했습니다. 그리고 이젠 제 친구들에게서 그 모습이 보이기 시작해 너무나 무섭고 안타까웠습니다. 그 깎여나간 자존감이 결국 스스로에게 어떤 미래를 안겨줄지 먼저 체험한 입장으로써, 어떻게든 친구들에게 목표를 지키고 성취해갈 수 있다는 확신을 주고 싶었습니다. 제발 저처럼 되지 않기를 바랬어요. 그리고 교수님의 강연을 보고 머리에 큰 돌을 맞은 기분이었습니다. 드디어 제가 왜 모든 노력을 실패로 치부하고 더 나아가지 못했는지를 마침내 알아냈기 때문입니다. 글이 참 길었네요, 저와 친구들은 다시 의기투합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4등급, 5등급이라 말해도 우리의 가능성을 고작 5등급으로 평가하지 말자고 다시 일어선 상태입니다. 그 아래엔 희망을 걸수있는 방법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젠 희릿한 계획이 아닌 진도치가 있는 계획으로 저희의 성과를 정확히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가겠습니다. 다시한번 교수님, 감사합니다!
@sebasi15 56
2020년 6월 26일 18:52✻ 강연자의 강연 소개 : 하고 싶은 것이 생겨서 목표를 세웠지만, 생각만 하다 흐지부지 미루게 되고 결국 포기한 적. 다들 한번 쯤 경험하신 적 있으시죠? 몇번이나 그런 경험이 반복되었다고 해도 이제는 걱정마세요. '세바시 100만 조회수 강연자' 김경일 교수가 여러분께 목표를 이루는 가장 확실한 계획의 기술을 전합니다. 이제부터는 원하는 목표를 다 이루고 꽃길 걷는 내 모습을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책 이벤트] 김경일 강연자에게 질문 또는 강연 시청 소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저서를 선물해드립니다. (참여기간 6/26~7/5, 책 랜덤발송)
🔥 세바시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더 깊고 유용한 강연 콘텐츠를 만날 수 있습니다 http://bit.ly/2URQKU4
✻ 김경일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여기로 문의주세요! ☞ https://sebasi.co.kr/speaker/349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내 삶을 위한 더 깊은 공부, 세바시 클래스 https://class.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하냑-g9m 55
2020년 7월 01일 16:45앞선 조언들도 감탄이 절로 나왔지만 "명사"에 대한 설명은 정말 머리를 세게 쳐맞은거 같은 기분입니다.
Hailey 53
2020년 7월 14일 23:49뼈때리는 말 너무 잘하시네요... 순살치킨 됐어요
황지영 53
2020년 6월 30일 19:53취준만 2년째.... ㅠㅠ 저도 잘게 쪼개놓은 계획을 잘 세우는 사람이 되고 싶네요 ㅎㅎ
꽃구름 42
2020년 6월 29일 01:42운동해야지, 열심히 살아야지 등등 이런 목표만 가지고 세부적인 계획을 짜놓지 않고 그냥 무작정 목표만 세웠던거 같아요.
그래서 더욱 지키기 힘들었었는데 이번 기회에 세부적인 계획을 나눠서 실천해 봐야겠어요
요즘 일과 생활에 대한 슬럼프로 모든것에 손을 놓고 슬럼프에 푹푹 빠지고 있는데
제 뇌를 좀 꼬셔서 계획을 잘 짜봐야겠어요 !!
염성주 42
2020년 6월 28일 14:21목표와 계획을 혼돈하지마라~^^
목표가 만들어지면,,,
최소한 10등분 계획으로 만들어봐라~!!!
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뀐다~,,, 습관이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 ~!!!
김 경일 교수님♡ 의
좋은 말씀
명심하겠나이다 ~@@@
행정저널TV 40
2020년 6월 28일 15:27의지는 생각보다 힘이 약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변화에 대하여, 그 절차와 방법, 그리고 선택지를 안겨주시는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hoonj3747 38
2020년 8월 27일 17:21와 진짜 when if then 을 따르고 최대한 10개정도의 세부적인 계획을 세워야 되겠네요
+ deadline 을 세우지 말고, 명사로 말고 하고 싶은 일을 자세히 생각하기.
@김윤-q5q 36
2020년 6월 27일 13:35계획을 잘게 쪼개라고 해서 시간을 쪼갤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마지막까지 안 봤으면 큰일 날 뻔 했어요!!! 근시안적 목표를 위해 질이 떨어지는 걸 유의하라는 것 꼭 기억하고 목표 달성이 목표가 아닌 스스로 발전하는데 더 의미를 둬야 겠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큰 꿈을 품은 자 36
2020년 9월 22일 09:58맞아여... 정말 좋은 지적이시네요.. 미국에서는 직업이 뭐야 라고 물을때 동사로 물어볼때가 많아요. “What do you do for a living?” 그러면 대답은 예를 들어 “I teach math at school” 라고 동사로 대답하죠. 만약 명사로 “What is your occupation?” 이라고 묻는 경우는 대부분 경찰이 취조할때나 관공서 문서 쓸때 정도에요. 그래서 대답이 명사로 끝나고 추가 질문 없는 거죠. 동사로 묻는 것이 내가 너랑 대화하고 싶다라는 하나의 초대의 제스처이죠. ^^
SJ K 36
2020년 8월 21일 09:12선생님의 목소리 표정은 늘
밝고 긍정적여서 시청하는 입장에서
기분이 좋아집니다~
그냥 봄 기분이 듭니다.
@marie10221 29
2020년 7월 01일 09:17삶에 대한 목표를 세울 때 시간과 명사를 조심하라는 말이 너무 인상 깊었어요
주입식 교육과 부모님들의 압박 사회적 시선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몇 살 때 까지는 뭐하고 뭐가 되고 이런 것들을 세우게 되는데 그것보다 더 가치 있게 사는 것에 대해 좋은 깨달음을 주시네요
@muamua0121 29
2020년 8월 01일 11:58사람들이 낯선상황으로 들어가야 기존의 상황에서 벗어납니다.
미니미 28
2020년 6월 26일 22:30동사로 표현하기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목표 단계로 나누기도요. 큰 도움이 되었어요 선생님 정말 감사해요.
- 늘 새벽 3-4시에 자다가, 밤 11시에 자고 6시에 일어나는 습관을 갖고 싶어 급 바꿔서 2주 정도를 지속했는데요, 동시에 여러 습관들을 만들려고 시도했고요.. 바로 지쳐서 한 달 정도 무기력해진다음 원래 패턴으로 돌아왔습니다 .. ㅠ 너무 무리한 걸까요? 너무 급하게 모든 걸 바꾸려고 해서 지쳐버린 걸까요?
- 중독을 줄이고 싶습니다. 유투브랑 인터넷 커뮤니티에 들어가는 걸 줄이고싶은데 컴퓨터만 켜면 저도 모르게 일정 행동들을 하고 있어요 ㅠ 컴퓨터를 없애버리면 고칠 수 있을까요?.... 도와주세요 ㅠㅠ
헤헤 감사합니다
@Eunhye-r5x 27
2020년 12월 30일 20:54이분 목소리하고 말투가 너무 좋아서 듣기좋음!
@조희정-i4r 26
2020년 6월 27일 07:33목표를 세우고 실천하기 쉽지 않네요
게으름 피우다 보면 미루다 보면 못 할때도 많고
생각만 하고 실천을 하지 못하고 있네요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강의 듣고 이제부터라도
계획한 일들을 하나씩 실천해야겠어요
좋은 강연 잘 듣고 갑니다
berryberry 22
2020년 6월 28일 08:29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심리학이 인간의 삶에 주는 팁들은 정말 유용한 것 같아요!
GE EG 21
2020년 7월 01일 09:48유연성을 가진 매우 설득력 있는
김경일 선생님 강의 훌륭하세요!
멋진 강의 반복 시청하겠습니다.
@qlcsk-nr7is 20
2020년 9월 09일 13:13'목표를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을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eh8bn6in1q 19
2020년 6월 26일 22:09딱 평소에 하던 행동이라서 뜨끔했어요. 목표 세우고 빈둥거리다가 오후 되서 허둥지둥하는 모습 같은 거요, 하하. 왜 이런 상황에 이르렀는지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어서 다행이네요. 바로 실행해볼 수 있는 다양한 말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인생의 장기적 목표라는 관점에서 내가 포기하면 안되는 것이 인생의 질, 경험의 질이구나, 그리고 무언가를 하는 것(정의되지 않는 형태의)이겠구나 깨닫게 되었어요. 말하는 것에서 부터 조금씩 바꿔볼까 합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jh k 18
2020년 7월 02일 12:52계획과 목표는 다르다.
성장하려면 해 오던 것과 약간 다른 것부터 경험해 보자 6:56
성장이 목적인 계획은 시간보다 퀄리티가 중요하다
장기적인 중요한 계획은 명사로 세우지 않을 것
다담 18
2020년 6월 28일 22:29항상 계획을 세우고 안지키는 제자신이 한심해서 책을 읽고 꼭 바꿔보고 싶네유
Jeonghwan Lee 17
2020년 7월 02일 13:38계획을 세워서 성취감이 나를 감싸는 사람이 되야겠다고 생각했다
내 꿈도 글로서 남을 가르치는 사람이 되야겠다고 생각하게됐다
새로운 관점을 주신 강연자님께 감사하다
@달샘-u2n 17
2020년 7월 03일 13:46제가 지금 논문 쓰고 있어서.. 이 강의 세 번 돌려 들었어요.. 김경일 선생님 이야기 들으면 제가 머리 굴리다가 지쳐서 생각 못하는 비어있는 곳을 정확하게 집어 주는 느낌입니다. 너무 좋아요~~~
오늘부터1일차 17
2020년 6월 27일 08:10명사를 쓰면 생각을 안한다. 인지-
@박미나-j9x 16
2020년 6월 26일 21:28어제부터 유독 교수님의 강연 유튜브를 연달아 보게됐습니다. 처음은 화가 났을때 내 감정을 총량의 법칙으로 가지고 오는 것. 두번째는 온라인 강의를 더욱 잘 흡수하고 사고할 수 있는 방법. 세번째는 계획의 본질이네요. 늘 새로운 것에 관심이 많아 자주 계획이라고 생각했던 것을 짜곤 합니다. '다음 달까지 홈페이지 만들기', '매주 3회 운동 하루 30분 하기' 이런 식이죠. 저는 이런 것들이 계획이며 달성하면 보상을 주는 형태를 취했습니다. 제 경험의 결과는 어떻게 보면 당연하게도 작심삼일이 됐습니다. 그런데 저도 최근 3개월간 매일 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노트 3장을 쓰는 것입니다. 아무말이나요. 끄적이면서 자연스럽게 복잡한 제 일과와 감정이 정리가 됐습니다. 하지만 아직 정체된 느낌이 스멀스멀 올라오고 뭔가 이상함을 느꼈습니다. 교수님 강연을 듣고 내가 놓친게 이거구나 했습니다. 끌어당기는 힘은 대단한 것 같습니다. 댓글만 쓰고 바로 목표과 계획을 수립해야겠습니다. 지금 안 하면 몇 시간 후의 제가 후회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kr 15
2020년 6월 26일 20:10교수님 강연잘들었습니다!
저번에 자신에게 맞는 잠시간을 정하는것에 대한 강의를 너무 잘 봤습니다! 이번강의도 사람들이 한번쯤 고민할만한 내용을 쉽게쉽게 풀어주시고 해결방법을 알려주셔서 너무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Ellim 14
2020년 8월 11일 20:31사람은 낯선 상황에 들어가야 기존에 있던 생각으로 부터 벗어날 수 있다.
낯선 상황에 부딪혀야 도태되지 않는다.
값싸고 사소하고 잦은 낯선 경험을 일상에서 해보자!
초코찰떡파이 14
2020년 6월 26일 19:23대학원생인데 해당 강의가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 매일 계획을 세운다고 착각했는데 알고보니 목표만 정해둔거였네요 ㅠㅠ 앞으로 더 세분화해서 목표가 아닌 계획을 세우고 싶어요 !
@민은미-t4d 13
2020년 6월 26일 21:13목표만 세울뿐 10개로 나눈 계획을 세우지 않아 아무것도 이룬 것이 없이 시간만 가고 있네요. 목표 10등분하기를 위해 펜을 들겠습니다. 늘 클릭하게 하는 강의 감사합니다.
천상 가르치는 분이십니다.
@김민트-f4k 12
2021년 4월 26일 01:31어릴 때 부터 앓았던 우울증이 제 삶을 많이 뒤흔들어 놓았고, 절망과 좌절을 겪으면서 더이상 추락할 수 있을까 싶을정도로 바닥을 찍었습니다. 그래도 살고 싶어서 뭐라도 하고싶어서 유튜브에 무기력 극복이라는 단어를 검색했고 이 영상을 클릭하면서도 무슨 도움이 될까 싶었지만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아무것도 하지 않고 누워서 지난날을 되돌아 보며 앞으로의 미래도 안될거라고 좌절했는데 앞으로 살아갈 희망을 얻었습니다. 정말 좋은 영상 고마워요. 스스로를 아끼고 돌아보고 사랑하면서 작은 목표부터 하나씩 이뤄나갈게요.
김세 12
2020년 10월 27일 23:44낯선 일을 경험하라길래
'그럼 파인애플 피자 한번 먹어볼까' 이생각 함...ㅋ
@ohlalalee 11
2020년 10월 06일 00:18시간을 계획하면 질이떨어진다.
명사는 생각을. 하지않게함. 동사로 표현하자
오늘도 유익한 강 의. 감사합니다.
Soyeon Kang 9
2020년 7월 07일 01:32김경일 교수님 강의는 정말 중독성있어요~ 너무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TodayMood 9
2020년 6월 30일 21:08김경일 교수님 항상 좋은 말씀해주셔서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태정태세문단속 8
2020년 6월 28일 02:10진짜 좋은 거 배우고 갑니다
성기종 8
2020년 6월 28일 09:55매일매일 아침 출근길로 세바시를 통해 모닝피플을 만나고 있습니다.
작은 행동이지만 굉장히 큰 변화를 느끼고 있습니다.
항상 이렇게 멋진분들은 언제어디서나 만날 수 있게하는 세바시에게 감사합니다.
(요약)
결심하고 포기하는 생활이 반복된다면?
김경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가 교수
1. 목표와 계획을 혼동하지 말아라
우리는 흔히 목표를 삼았을때 계획을 짰다고 생각한다.
목표는 하나지만
계획은 시간별, 일별 쪼개는것이고 진도감이 생긴다.
성공과 실패 이분법적으로 답이 나온다면 계획을 세운게 아니다.
계획은 최소한 10등분은 해야한다.
습관개선 또한 마찬가지
바꾸고 싶은 습관(목표)를
거기까지 다다르는 세세한 조건과 행동을
계획으로 세우면 시나브로 바뀌게된다
(If/then. when)
2. 성장의 관점에서 무엇을 해야할까
사람들은 작은 환경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생활에서 사소한 환경들
ex) 자주가는 길에서 바로 옆 길
매일 먹던 것 말고 다른 메뉴
를 경험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낼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계획을 세울때 뇌를 꼬셔라
"살짝밖에 안달라" 라고 행동을 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결과를 쉽게 얻어낼 수 있다.
3. 계획을 세울때 시간과 명사를 주의하라
시간은 언제까지 ~~한다라고 정의내리는 것.
우리는 시간을 맞추기위해 일의 질을 떨어트리게 된다.
명사는 인간으로 하여금 생각을 안하게 만드는 독특한 품사다. 명사로 만든순간 거기서 생각은 끝.
동사로 표현해라.
ex) 명사 : 교수가 될거야
동사 : 가르칠거야오늘의 모닝피플
결심하고 포기하는 생활이 반복된다면?
김경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가 교수
1. 목표와 계획을 혼동하지 말아라
우리는 흔히 목표를 삼았을때 계획을 짰다고 생각한다.
목표는 하나지만
계획은 시간별, 일별 쪼개는것이고 진도감이 생긴다.
성공과 실패 이분법적으로 답이 나온다면 계획을 세운게 아니다.
계획은 최소한 10등분은 해야한다.
습관개선 또한 마찬가지
바꾸고 싶은 습관(목표)를
거기까지 다다르는 세세한 조건과 행동을
계획으로 세우면 시나브로 바뀌게된다
(If/then. when)
2. 성장의 관점에서 무엇을 해야할까
사람들은 작은 환경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생활에서 사소한 환경들
ex) 자주가는 길에서 바로 옆 길
매일 먹던 것 말고 다른 메뉴
를 경험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낼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계획을 세울때 뇌를 꼬셔라
"살짝밖에 안달라" 라고 행동을 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결과를 쉽게 얻어낼 수 있다.
3. 계획을 세울때 시간과 명사를 주의하라
시간은 언제까지 ~~한다라고 정의내리는 것.
우리는 시간을 맞추기위해 일의 질을 떨어트리게 된다.
명사는 인간으로 하여금 생각을 안하게 만드는 독특한 품사다. 명사로 만든순간 거기서 생각은 끝.
동사로 표현해라.
ex) 명사 : 교수가 될거야
동사 : 가르칠거야
김영진 8
2020년 7월 02일 07:40아침마다 1일 1세바시 중입니다 매일매일 제가 조금씩 변화하는 것을 느낍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최은영 8
2021년 6월 25일 19:334:38 낯선상황에 들어가야 기존의 생각으로부터 벗어난다
아이엠파서블(I'M_possible) 8
2020년 7월 01일 03:22좋은 강연 정말로 감사합니다.ㅜㅜ항상 명사로 꿈을 정의하던 저를 다시돌아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동사로서 꿈을 정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모호했던 계획에 대한 생각, 꿈에 대한 생각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해볼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좋은 강의를 정말편하게 언제어디서나 들을 수 있도록 제공해주시는 세바시관계자분들에게도 정말 감사드립니다. 언젠가 저도 청취자가아닌 강연자로서 초청받을 수 있도록 열심히 생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긴긴밤 8
2021년 5월 03일 14:20계획과 목표의 애매한 차이를 분명하게 알게되었어요! 열공해서 꼭 교수님 제자 될거예요😭☺️🙏
최인정 8
2020년 10월 23일 18:54대학생이 되면서 진로를 정하고자 할 때 직업이 아니라 직무를 찾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 교수님 말씀을 듣고 보니 나는 내가 끌리는 동사가 무엇인지를 찾고자 했단 걸 알게 되었습니다.
jackline Lyu 7
2020년 6월 28일 11:59교수님 강연 잘 들었습니다.
정체되지 않기 위한 낯선것에 대한 경험, 꿈에 대한 동사(실천) 등등 실천하는 방법을 쉽게 말씀해 주셨습니다. 이 순간부터 실천을 해 보겠습니다.
유바른생활 - 생각한 걸 하는사람 7
2020년 10월 08일 15:59와..목표 세분화는 알았지만 아침에 일찍일어나기를 나눌 수 있다고는 생각 못했네요...감사합니다!
도니성장일기 7
2020년 6월 26일 19:37교수님!! 강의 잘들었습니다!! 2가지가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첫째 목표와 계획 / 두번째 명사와 동사의 차이 입니다. 저의 목표는 항상 계획없이 기한만 놓고 명사로 설정한것 같네요^^;;; 그러다보니 성공 or 실패로 단박에 결정나고 실패감이 쌓이다보니 새로운일에 도전하기에 무기력해졌던것 같아요. if then when! 제 목표를 낯설게 설정하고 계획을 세워봐야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김지혜 7
2020년 6월 27일 23:38동사로 말하자! 저의 꿈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어요.
쿠쿠하세요쿠쿠 7
2020년 10월 03일 19:16결국 핵심은 휘황찬란한 계획보다 작고 세분화해서 차근차근 성취하는게 좋다는거구먼
삐리 6
2020년 6월 26일 18:47예전에 가수 김종국씨와 일행분들이 층수를 체크하며 100층 짜리 건물을 끝까지 오르던 장면이 생각납니다. 강의자님이 말씀하신 '진도감'이라는 말씀에 공감이 가네요. 늘 시간과 명사밖에 없었던 저의 계획 세우기에도 드디어 발전이 있을 거 같아요ㅠㅠ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베이직 6
2020년 6월 27일 05:10지금 저에게 정말 필요한 내용이었어요.
감사합니다:)
문영종 6
2020년 6월 27일 00:06책한번 꼭 받고싶다.
who are you? 6
2020년 11월 22일 10:53진짜 너무 좋은 강연이에요,, 🤭💗
울트라봉봉 5
2020년 9월 24일 18:10진짜 김경일 교수님 영상 듣다보면 느껴지는게 많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줄리윤 5
2021년 1월 13일 22:49김경일교수님의 강의는 빼먹지 않고 늘 듣습니다 .간결하면서 명확하고 편안한데 흥미까지~~ 늘 좋은 말씀 감사드리고 존경합니다👍👍
nobinobi omochi 5
2020년 7월 07일 20:05짧은 12분이라는 강연속에도 교수님이 말씀하신 법칙이 그대로 녹아들어있네요. 작은 현실적인 수정안으로 변화점을 주고, 마지막은 지금껏 굳어져있던 생각의 틀을 쥐도새도모르게 바꿔주시네요. 엥? 하는 순간 흘러흘러 그렇군! 반응이 되버리네요.ㅋㅋ 정말 대단하신분같아요..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당.
Andy C 5
2021년 1월 25일 23:10요즘 해야할 것들이 많은데 못하고 방황하고 있었는데.. 목표와 계획에 대한 차이를 들어보니 해야될 일이 좀 정리가 되는 느낌이에요!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먁먁 5
2021년 2월 14일 19:29명사의 인지적 위험성에 대해 설명해 주신 부분이 참 와닿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동규 5
2020년 6월 26일 22:56멋진 강연 감사합니다. 스스로 다짐하는데에도 그 형태에 따라 마음가짐들이 달라지는군요.
김지율 4
2021년 1월 27일 00:53교수님 강연은 인생에 중심을 잡아주시는것 같아요.
김정수 4
2020년 12월 31일 22:19너무나도 새로운 내용이네요
너무 잘 들었습니다
GO GI 4
2020년 8월 26일 22:26이 영상 주기적으로 보면서 마음을 다잡아야겠습니다
각지기 김씨 4
2020년 7월 07일 15:34갑자기 교수님 강의 듣고 싶어서 검색했는데 새로운 강의가 올라왔네요 ㅎㅎㅎ "영철이가 사람을 죽였대"와 "영철이가 살인자래" 차이가 너무 와닿네요! 같이 보던 언니는 동생 이름이랑 똑같아서 빵터졌다는 ㅋㅋㅋ항상 좋은 강의 들려주시는 교수님과 늘 좋은 강의 섭외하고 올려주시는 세바시팀 감사합니다!!
끌려오세희 Sehee 3
2020년 6월 26일 18:55달라지기위해서 보자!
찐부자 Rich Jin 3
2020년 8월 05일 11:02교수님 다른 영상에서는 꿈과 목표의 차이를 말씀하셨는데 이번영상에서는 목표와 계획의 차이를 알려주시네요. 도움됐습니다 감사합니다
PiSquaredOverSix 3
2020년 12월 19일 11:34계획과 목표가 다르다는 말이 정말 와닿네요. '무엇무엇을 해야겠다'라는 생각만 하고, 그것을 세분화시키지는 않은 적이 매우 많았던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허둥지둥했던 적도 꽤 있었던 것 같고요. 오늘부터라도 세분화를 많이 연습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seamjune5795 3
2020년 9월 07일 00:58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절차가 필요하죠.
그중에 계획을 세우는 것은 가장 첫번째이며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 중에서도
계획을 한번 세웠다고 그게 끝이 아닙니다.
계획을 실행해나가면서 문제점이 발견된다면 수정하고, 수정하고... ...
끝없이 갱신해야할 항시변수입니다. 최종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자잘하게 계속 수정해 줘야하죠.
공부계획 => 국어계획, / 국사계획, / 수학계획 => 문법, 문학, / 고대, 중세, / 미적분, 방정식 계획
=> 동사, 관형사, 시조, 수필 / 고구려, 신라, 고려, 조선 / 미분, 적분, 2차, 3차 방정식
이런식으로 목표를 하위분류하면서 자기가 한번에 흡수할 수 있는(몇시간~하루정도 걸리는)
적당한 양으로 나누는데까지가 정확한 계획입니다.
이 과정에서 하나라도 누락되는 것이 없어야하죠. 최상위 분류부터 최하위 분류까지 누락이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세워진 계획을 항상 한눈에 볼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벽 한면을 할애해서라도 이걸 반드시 한눈에 볼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야 합니다.
나중에 시도해보신다면 제가 왜 이 부분을 이렇게 강조하는지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만약 이런 세밀한 수준의 계획을 세우는데 성공하셨다면 이미 목표를 달성한 것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자기가 매일마다 해야할 일이 정해진 상태가 됩니다.
이것 하나만으로도 노력중 발생가능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귀찮음, 불안함, 혼란함(집중할 수 없는 상태, 뭘 해야하고 이게 맞나 싶은 의구심이 드는 상태)을 예방해주며
영상에서처럼 자기가 잘 하고 있는지를 계량화시킬 수 있으며 성취감을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고
노력에 더 박차를 가할 수가 있습니다.
빨리 끝내고 쉬자라는 마음이 생길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때 자기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은 기정 사실이 되며
그 시점이 언제가 되느냐의 문제만 남게 됩니다.
시간이 걸릴 뿐이죠. 더 빨리 성취하고 싶다면 여러가지 방법들을 시도해보면서
점차 자신에게 최적화된 방법을 찾아나가면 됩니다.
특히 뭔가를 학습할 때는 사이클을 잘 유지해야 합니다.
오늘 계획 세우기 - 실행하기(공부하기, 연습하기) - 끝내기(결과 평가하기, 복습계획)
계획이나 실행까지는 잘 하시겠지만 끝내기가 잘 안되기 때문에 성과가 잘 안나오는 것입니다.
끝내기 위한 계획(절차)를 잘 세워야 합니다.
heeyoung choi 3
2020년 10월 01일 10:42주옥같은 강의 무료로 들을 수 있어서 너무나 행복합니다. 김경일교수님 덕분에 저는 조금씩 바뀌어 갑니다. ^^
전현정 3
2020년 7월 02일 14:55교수님, 유튜브로 늘 교수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게 강의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강의를 듣고 나니 교수님은 어떤 계획을 세우고 살아가고 계신지 궁금한데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냐아아아 3
2020년 7월 05일 02:39오늘도 하루를 흘러보내버렸는데, 알고리즘이 좋은 강연을 추천해줘서 보고 갑니다.
계획의 세분화. 계획을 쪼개는 습관을 들여야겠어요. 하기전에 겁먹지 않는것도요.
항상 고민해왔는데 실천해볼게요!
시선강탈 3
2020년 10월 08일 01:23저는 이렇게 설명 잘해주고 올바르게 나아갈 수 있게 잡아주는 선생님,교수님들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다 겪어보고 들어보고 생각해보고 연구해보고
고민해보는 과정을 거쳐서 얻은걸 남한테 생각보다 별거 아닌듯 이해시켜주고 알려줍니다 자신의 이득 그 전에 세상을 더 좋게 바꾸기 위해서 오늘도 열심히시니까요
후라보노 3
2020년 8월 25일 14:01와 진짜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저도 꿈이란 명사라고만 생각했는데 그것도 확정짓지못해서 되게 스트레스받고있었거든요 제 꿈을 동사로 생각해보면 폭이 넓어져서 더 좋은것 같아요. 단기는 세부적으로 10단계로 나누고 장기는 기간을 안정해서 질을 떨어뜨리지않도록 해야된다는 말 너무좋아요! 좋은 강연감사합니다:)
yu1mui 2
2020년 6월 30일 22:23잘들었습니다:) 7월부터 실행해볼게요! 덕분에 2020 하반기를 좀 더 잘 보낼 수 있을것같아요
캥거루 2
2021년 1월 31일 23:27자신이 이루고 싶은 것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계획 세우는 것이 중요하군요. 저도 항상 공부를 하기전에 스터디플래너를 써서 꼭 성공하겠습니다! 감사하고 존경합니다!
얘들아밥먹자 2
2020년 7월 04일 00:40정말로 요즘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생각이라고 생각합니다 동사로 설명할 수 있는 장래희망을 품는 아이들이 많아지길!! ^^ 좋은 말씀 재밌게 들었습니다. 더불어 요즘 같은 때에 값싼 낯설음을 좀 찾아봐서 생활에 활력을 좀 불어넣어야겠습니당^^
이주연 2
2021년 12월 12일 01:05항상 해야할 일은 계획만 하고 포기했는데 이번 강연을 듣고 배운것을 실천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계획을 세분화하고 지금까지 저의 모습을 반성하게 된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3124송현수 2
2020년 12월 16일 23:05제 결심하고 나서 작심삼일로 포기하는 생활이 이 영상을 기점으로 달라질 것 같아요. 목표와 계획의 차이를 확실하게 구분하고 계획을 꾸준하게 세워 노력하겠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김경일 교수님!
Perla Perla 2
2021년 1월 06일 17:06이직할 때가 다가오면서 저도 모르게 편하고 안정적인 회사를 바라보던 중에 강의를 들었습니다. 예전에 꿈 꿨었지만 감히 엄두가 나질 않아 10년간 마음 한켠에 치워놨던 꿈이 생각났네요. 조금씩 노력하면 2년 후쯤엔 계획의 50%정도는 달성했다고 표현은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며 이번엔 구체적이고 단계적인 계획이 있는 목표를 다시 세워보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tmt3102 2
2021년 6월 26일 17:43명분을 만듭니다. 걸림돌을 부십니다. 천천히 조금씩이라도 모든 정보를 동원합니다. 목표를 위해 계획한 것들을 조합하고 정리 합니다. 나를 되돌아 보고 목표와 나를 판단 합니다.
김sun 2
2020년 6월 27일 13:15매일 작지만 목표를 세우고 우선인것 부터 실천하고 있어요 하지만 교수님 말씀대로 어느새 로딩이 걸린듯 뭘해야할지 모르고 시간만 허비하는 저의 모습을 마주하게 되네요 ㅜ 결국 제대로 된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는 말씀과 생각이 뒤섞여 띵~~😱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 들었습니다. 앞으로는 목표에 따른 세세한 기록을 통해 하루를 값지게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늘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Roseboom 2
2020년 9월 24일 07:43와. 정말 좋은 내용이에요 느낀게많습니다. 보고듣길잘했네요.
GOODMoni 2
2020년 6월 26일 20:26안 그래도 오늘 다이어리에 적어 놓았던 목표 중 하나를 이루지 못해 ‘왜 이 목표는 수월하게 달성했을까?’ ‘그에 반해 이 목표는 왜 미루고 미루다 결국 못 이룬 거지?’ ‘왜 어느 날은 목표를 다 달성할 수 있었던 거고 오늘은 그러지 못한 거지?’ 라는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이 영상이 답을 주었네요. 영상을 보며 생각해보니 제가 쉽게 달성할 수 있던 목표는 이미 ‘이렇게 이렇게 해야겠다’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스텝이 머릿속에 잡혀 있었고 그렇지 않은 목표는 단순히 ‘오늘 이거 해야지’라는 생각에만 머물러있던 것이었습니다. 명쾌하고 후련하네요. 그리고 앞으로 이런 단기적인 목표뿐 아니라 어떻게 인생의 장기적인 목표까지 설정해서 이뤄내고 더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힌트를 얻은 것 같습니다. 유익한 강연과 영상 감사합니다!
엔시월 2
2020년 8월 19일 22:11- 목표에 세부화된 계획을 만들자
- 인생의 목표를 데드라인을 만들어서 과정의 퀄리티를 타협하지 말자
- 꿈은 동사로
Arabella Jin 2
2020년 7월 18일 19:03순돌이님 강연 하시네요.
장리프 2
2020년 7월 05일 23:28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joonheejeong 2
2020년 6월 26일 23:33목표와 계획을 구분하라. 목표가 있을 때, 이를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인 행동으로 표현이 가능한 작은 단위까지 쪼개서 명확성을 확보하면 결심을 미루지 않고 실천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적인 생각으로, 목표를 계획과 구분하고 실천가능한 계획을 세우는 행위조차 누군가에게는 큰 결심이고 목표일 수 있다. 먼저 자기 자신을 객관화해서 바라보고 목표가 자기 자신에게 맞는 수준인지 찬찬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김경일 교수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이선 2
2020년 7월 01일 16:42나중에 볼 동영상 목록에 추가하시겠습니까? 네.....
쿤캅 2
2020년 10월 21일 18:17와 최근 봤던 영상중 젤 와닿고 도움된다.
Scarlet Park 1
2021년 1월 03일 01:366:03 와중에 젓가락질 맘이 불편 ㅋㅋㅋ
@k일반국민 1
2022년 7월 05일 08:38머리속에 계획이 있는걸 못참습니다.....조사하고 계획을 세우는데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하겠다고 결론나면....
실천하고 실행 합니다.....그리고 머리를 비워둡니다....새로운 정보나 새로운 생각이 들어갈수 있게....
내 성공? 비결 입니다....아직 성공이라고 말할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함지수G-holic 1
2021년 2월 15일 04:25뇌를 꼬신뎈ㅋㅋㅋㅋㅋ❤️❤️❤️❤️
@쪼이-t6u 1
2022년 3월 17일 13:307:43 어떤것의 계획을 세워야하는가.
-시간(기한)과 명사를 조심하라.
-목표의 기한을 정하지 말라(결과물의 질이 떨어진다)
이지향 1
2020년 7월 25일 10:29처음 으로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bell_9 1
2022년 6월 24일 14:58목표를 최소 10등분은 하자.
값싼 낯선 경험을 하자. (다른 길로 걸어보기. 다른 음식을 먹어보기.)
나의 꿈 : 젊을 때 최대한 많이 실패하면서 많은 것을 경험하는 것.
@dwc5691 1
2024년 10월 06일 17:151. 10분할 / 그룹핑 / 분류 (사고 방식)
2. when / if / then (행동 요령)
3. 낯섦과 행복의 유사성
-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 큰 변화를 할 에너지를 준다.
- 그만큼 오히려 저항감이 크고, 그래서 살살 달래줘야한다.
4. 인생 계획에서 시간 / 명사 빼기 (주의점)
- 시간은 과정의 즐거움와 몰입을 뺏어간다.
- 스스로 달성과 성과를 거래하게 된다.
- 명사는 나의 선택지를 좁힌다.
@꾸준히잘했다 1
2022년 4월 18일 17:522:23 목표가 만들어지면 습관적으로 10등분을 해라.
10개의 눈금이 진도, 점수가 된다. 3개의 눈금은 불안하다.
3:18
아침 6시 일어 날거야
1) 아침 6시에 when
2) 오른쪽 다리를 이불 밖으로 빼면 if
3) 왼쪽으로 돌아누워 5분 있다가 베게를 뺀다. then
4:37 낯선 상황으로 들어가야 기존에 있던 생각으로부터 벗어 난다.
브라보나이스 1
2021년 5월 14일 08:35교수님 강의는 언제나 들어도 즐겁고 실천하게 됩니다
shin _de 1
2020년 6월 28일 02:52저에게 지금 너무 필요한 강의 였어요\ㅠ,^ 너무 감사합니다.
@breezy3093 1
2020년 6월 27일 16:32김경일 교수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저는 지난날을 돌이켜보니 남들이 듣기좋은 거창한 목표는 많았습니다. 가끔 생각해보면 정말 나는 내가 원해서 목표를 세웠는지 남들에게 멋있어보이는 목표를 세웠는지 혼란스럽기도 했습니다. 목표를 세우고 잘게쪼개진 계획이 없다보니 저의 목표실현 마지노선은 1~2달이었네요. 그럴때마다 왜이렇게 끈기가없는지 자책하고, 또다른 목표를세우고 하는 반복적인 습관을 가지게되었으며, 무기력함까지 가지게되었습니다. 많은 자기계발서에서서 목표를 세우고 잘개 쪼개라는 이야기를 사실 많이 봐왔지만 구체적이지 않아 무늬만 따라하게되고 실패를 반복했습니다. 오늘에서야 이렇게 구체적인 방법들을 알게되었고 저는 다시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길에 많은 실패를 해왔고 무기력했지만 고치고자하는 마음은 항상 있었나봅니다. 이렇게 소중한 영상을 지나치지않고 보게되었으니까요. 제자신에게도 칭찬하고 좋은 말씀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신 김경일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정확한 수치로 제 목표달성을 말하며 제 꿈을 동사로 표현하며, 스스로 할 수 있는 것들에 한계를 두지않는.. 변화된 제모습이 기대됩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theory 1
2022년 2월 08일 23:03오랜만에 듣는 유익한 강연이었어요! 감사합니다! 바로 실천해 볼게요!
YS 1
2021년 3월 06일 15:46제가 옛날에 이 강의 듣고 10등분 하려고 해서 안되서 포기 했는데 2~3등분 하는걸 먼저 해봐야겠네요.
Woojin Lee 1
2021년 3월 17일 21:32This lecture teaches me a lot of lessons. I was sort of looking forward to achieving my "Noun future" or "Noun plan", and "Time." So "Verb" really stimulates my inspiration. And I confused between plan and goal.
Humiliating myself, I used to follow my plan doing not care about the quality. I just focused on doing it.
And that's the reason I always do not feel satisfaction after doing something.
I am going to set the Verb goal and make details to succeed it.
Then I will be able to feel confident and check out how good I am.
이현준
2020년 7월 02일 15:13안녕하세요 ! 저는 세바시를 즐겨보는 고등학생입니다. 우연히 세바시를 보다 유독 재미나게 설명해주셔서 기억에 남았던 교수님인데 이렇게 세바시에 여러번 나오셔서 정말 기분이 좋네요 ㅎㅎㅎㅎㅎ 꼭 책도 받아서 읽어보고 싶슴다 !
Heewon Jung
2020년 9월 01일 14:54피디님 목소리 제거 해줘여 ㅋㅎㅋㅎ
bebe ee
2020년 9월 13일 13:20저런 처죽일 놈ㅋㅋㅋㅋ
DY 5414
2020년 11월 15일 12:06인생 계획에서 시간을 정하지 말라는 부분은 의문이 드네요. 저는 시간 계획을 세워야 자기가 하려는 일들을 잘 지키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고 정해진 기간 내에 끝내기 위해 좀 더 노력하게 되거든요.
지수 박
2022년 7월 31일 16:42안녕하세요~ 오늘도 좋은 강연영상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하루에 한 번씩 이런 강연을 듣고나면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계획은 세우지만, 실천하기는 정말 어렵죠.. 목표를 이루는 확실한 계획을 짜는 기술에 대해서 알게되어 앞으로는 이렇게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ieun Bae
2022년 5월 25일 19:34교수님 강의를 항상 보면서 발전할 수 있는 제 가능성을 느낄 수 있어 감사합니다 :)
@영어문장씹어먹기
2020년 6월 27일 11:55어제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하루의 삶을 돌아보면서 너무나 쓰린 마음에 잠을 설쳤습니다. 하루를 그냥 이것저것하며 생산적인 일을 하지 못하고, 쓸데없이 지냈다는 평가와 함께 한숨이 절로 나왔기 때문입니다. 나이가 중년임에도 불구하고, 아이 앞에서도 부끄럽고, 아내에게도 미안한 하루의 삶이었습니다. 그럼 내일은 어떻게 살까? 그 내일이 오늘이 되었는데 문득 이 강의를 듣게 되었네요. 그렇구나. 계획을 하지 않고 막연하게 살았구나. 감사합니다. 다시 한 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런냥
2020년 10월 18일 18:13목표만 있고 계획이 없다는 말이 정말 저 같아서 와닿았습니다..! 평소에 속으로만 해야지 하고 안 하는 경우가 많고 미루고 미루다 보니 까먹게 되는 경우도 있었는데 앞으로는 계획을 세분화해서 세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blainechoi3040
2023년 1월 16일 06:00* 목표량 계획은 다르다
* 자기 일에 성공과 실패의 이분법적으로 나누면 그것은 계획이 아니다
* 최소한 목표는 10등분을 하라. 이것이 진도가 되고 점수가 된다
* 낯선 상황에 들어가야 기존의 생각으로 부터 벗어난다 —> 정체되지 않음
* 계획을 세울 때 뇌를 속여라
* 계획을 세울 때 시간과 명사를 빼고 하라
제가 좋아하는 김경일 교수님의 새로운 인사이트를 또 한 번 배워 갑니다. 감사합니다!!
HARI
2022년 3월 08일 08:35교수님 강의 좋아해요☺️ 우연히 들었다가 여러말씀들 너무 공감하고 갑니다! 제가 꿈꾸고 계획했던것을 서술하는 제가 너무 추상적인가 고민했는데 좋은 답변이 된것 같아 감사해요. 꿈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게 되었네요!
김서영
2021년 12월 10일 00:43항상 결심만 하고 포기했는데 강의를 통해 배운것을 실천에 옮겨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계획을 세분화하고 나를 억압하는 시간을 정하지 않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볼께요!
이번에는 꼭 목표한 바를 이룰꺼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감사합니다.
윙가르디움헤르미온느 그레인저
2020년 12월 17일 20:45광고 나오는 순간 영상 시청도 포기ㅋㅋㅋ
댓글 쓰는 동안 광고 끝나서 보고 있는데 목소리 디게 좋으시당
일리베토
2021년 7월 13일 20:2303:46 최고로 좋은 상태인 이유와 '최고로 좋은 상태' 를 정의하시오
동이
2022년 2월 28일 10:01아주 흥미롭고 명쾌한 생각을 이끌어 내는 강의네요 .교수님 감사합니다
Y.S Lee
2020년 7월 13일 02:36정말 인상적인 말씀들을 해주셔서, 생각치도 못한 것들을 일깨워주셔서 감사해요! 습관적으로 10등분하기, 시간을 정한다는 건 일의 질을 거래하고 있다는 것, 명사는 사람의 생각을 멈추게한다는 것. 모두 생각치도 혹은 직감적으로 느끼고 있었지만 명확하게 깨우치지 못한 것이었는데, 오늘 영상을 보고 여러가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HJ. H.
2021년 8월 18일 01:52계획한 것을 쉽게 포기하지 않도록 여러 단계로 나누어 보는 것. 정말 공감이 많이 되는 말이었습니다. 지금까지 생각해보면 어쩌면 계획을 세우기 보다는 목표를 가지고 단순히 생각만 하고 있던 적이 더 많았던 것 같아요. 작은 계획부터 차근차근이 세워 조금씩 성공해나가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 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김정희
2020년 8월 13일 15:50교수님 너무 감사합니다
승미를 찾아서
2021년 12월 31일 14:43요즘 김경일 교수님 강의 여러 채널에서 영상올린거 다 보고 있는데요 전 교수님께 배운것도 아닌데 전부 모두 모조리 이미 다 하고 있고 습관이 이미 다 되어있네요 ㅎㅎㅎ 제 인생에 확신을 가지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특별한_바퀴벌레
2021년 2월 18일 01:23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세상을 더 열심히 살 수 있게 되었네요😁
simzo u
2021년 6월 20일 10:5903:25 “if/then - when” 전략 기법으로 계획 실행!!! PDCA
S Lee
2021년 2월 17일 03:37여러번 들어도 참 좋은 듯. 벌써 세번은 들은 거 같아요.
hyo ahnjang
2020년 6월 30일 22:03일단 목표와 계획이 다른 거라는걸 알았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큰힘이 됩니다
와닿지는 않지만 계획 세우는데 참고하겠습니다~
추가로 교수님이 쓰신 책도 읽어볼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brillianttarotreader
2021년 4월 18일 13:08목표와 계획을 구분하자
진도감이 파악이 된다
목표가 생기면 우선 계획을 10개 세우기
If then when 쓰기
성공과 실패의 이분법적인 말로는 목표를 파악할 수 없다
낯선 상황에 들어가야 기존 생각 정체된 생각에서 벗어난다
값싼 낮선 것들을 자주 접하자
계획 - 시간과 명사를 넣지 말기
이성근
2020년 9월 06일 22:42인상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