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자신이 여태껏 쌓아왔던 돌들을 우연히 내려다 보니 지나온 시간들이 너무나 멀게 느껴져 불안하고, 더 나아가자니 끝이 보이지 않는 벽에 압도되어 공포감으로 머무르게 되는 것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 수 없는 미지의 곳으로 향하고 그것에 도달해보고자 졸꾸해야 하는 이유는, 성공한 사람들은 경험했지만 아직 나는 경험해보지 못한 세상이 있기 때문이겠죠. 플라톤, ‘동굴의 비유’와 같이 말이죠.
저는 누군가에게만 듣는 성공의 이야기, 누군가가 전해주는 세상의 이야기에 지겨워져 이제는 제가 아주 평범하지만 평범한 것들이 모이면 특별해진다는 것을 알기에 그 평범한 것들을 모아가는 중입니다. 그렇게 평범함이 모여 특별함이 되면, 그것을 또 다른 평범함을 가진 이들과 나누고 그들이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싶어요.
장차 올 죽음 같은 미래는 눈에 보이지 않아 두려울지 모르지만, 사랑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아도 소중한 것들이 있는 것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향하고 믿고 살아가는 것에 두려움만 가지기보다는 믿는 대로 살아가려 오늘도 졸꾸마음 다집니다.
다들 오늘 하루도 용기 잃지 마시고, 우리의 이상, 그것이 이데아로 끝나는 것이 아닌, 분명한 현실임을 경험할 수 있는 날이 반드시 올 테니 보이지 않지만 믿고 있는 것을 향해 오늘도 꾸준히 살아갈 수 있는 저와 여러분 되기를 응원합니다!
- 잠시 쉬는 시간에 후다닥 쓰는 거라 내용이 괜찮은지 모르겠지만 ㅎㅎ 좋은 마음 느껴서 이야기 나눕니다~ 고맙습니다!
- 임계점을 뚫어야 성장할 수 있다. - 단기적인 임계점을 뚫어야 장기적인 임계점을 뚫을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된다. - 단기적인 임계점을 뚫는다는 것. 일의 성공과 실패를 떠나서 그 일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경험치를 가져가는 것. - 어떤 일이든 제대로 해내면 장기적인 임계점을 향한 길을 마련할 수 있다.
평소에 열심히 한다고 시간은 많이 소모했는데 정작 단기적인 임계점을 뚫지못하고 제자리에서 빙빙 돈 것 같습니다. 제 자신을 반성하며 작은 일이라도 확실하게 뭔가를 얻어갈 수 있도록 집중하겠습니다
저 정말.. 제가 임계점을 못 뚫어서 계속 이거 할까 저거 할까 고민만 반복됐었어요. 지금은 목표를 정하고 달려나가고 있는데 전에 올려주신 인생은 고통이다 영상이랑 이 영상 정말 저에게 도움이 됩니다ㅠㅠ 지칠 때마다 두 영상 보면서 다시 나아가야겠어요!! 감사합니다 ㅎㅎ
뭘 해도 노력은 같이하는데 난 왜 안될까? 아주 간단히, 그 부분에 대한 임계점들을 넘지 않고 갔기 때문인 거 같습니다. 즉, 앞으로 더 나가지 않고, pause해 둔 거랄까요? 마치 왜..나이는 먹어도 영어는 딱 고등학교 실력으로 산다는 그런? ㅎㅎ
임계점을 돌파하고 싶으면, 해당 임계점 디폴트 값 자체를 낮게 세팅해서 임계점 단계를 늘려 보고 있습니다. 임계점 레벨이 10이면 한번에 돌파가 안되더라구요 저는ㅜ 1부터 확 낮춰서 작은 성공을 합치니 승수효과?같은 게 나는 거 같습니다 복리처럼ㅎㅎ 지속 가능성이 되게 중요한 거 같아서요~~~
성장남 - 당신과 함께 성장하는 남자 49
2020년 6월 29일 07:44왜 우리가 임계점을 뚫어야 하는가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내용이 좋아서 정리해봤습니다!
1. 임계점에는 두가지가 있다. 단기적 임계점과 장기적 임계점이다. 단기적 임계점은 돌을 하나 만드는 과정이고 장기적 임계점은 돌을 쌓는 과정이다.
2. 온전한 성공은 아니여도 단기적 임계점은 돌파할 수 있다. 오히려 실패를 통해 큰 교훈을
얻는다면 큰 돌을 얻을 수 있다.
3. 고작가님도 과거에 많은 실패를 경험했지만 실패를 바탕으로 큰 돌들을 모아갈 수 있었다.
4. 원하는 것을 보기 위해서는 임계점을 돌파해야 한다. 전혀 다른 세상이 보인다
5. 임계점을 돌파하는 기본은 독서와 서평이 바탕이된 졸꾸다!
지금은 힘든 시기일지라도 임계점을 뚫는 과정이라 생각하고 열심히 졸꾸하겠습니다!
매 번 동기부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40
2020년 6월 29일 07:57아무리 같은일을 하더라도 임계점을 돌파하면 전혀 다른 세계가 펼쳐진다.그것이 임계점을 돌파해야하는 이유이다.오늘도 동기부여영상 감사합니다.
@choain 27
2020년 6월 29일 08:120:48 인탐. 임계점
임계점은 두 가지의 단계가 있다
단기적 임계점=(쌓을 돌을 만드는)준비(의 단계)
장기적 임계점=(돌을 꾸준히 쌓는)과정(의 단계)
04:05 임계점 돌파를 해야 하는 시대적 배경
생존을 위해 임계점돌파를 끝까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
돌파를 하지 못했다면 다음을 위해 경험치를 쌓아야
하고 그러려면 실패를 복기하여 이해해야 한다 본질을
관통하는 임계점돌파를 해야 또 흔들리지 않는다
임계점을 돌파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
1.전쟁에서 승리하려면 전투준비(복기)단계가 필요하다
2.임계점 돌파를 위한 과정이 없다면 언젠가 무너진다
3.임계점 돌파를 하게 되면 전혀 다른 시각을 얻게 된다
@GPLUSWITHGSPAPA 10
2020년 6월 29일 07:49출근길 답답한인생길 혜안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BeeFree_BK 10
2020년 6월 29일 08:09강의를 듣고서 임계점에 대해서 훨씬 더 명확하게 이해하게됐습니다. 제대로 꾸준히 돌을 만들고 쌓아가보겠습니다!
@luv-s7z 9
2020년 6월 29일 13:46왜 계속 제자리인가 했더니
실패가 누적되서 그렇네요ㅠ
하지만 무엇때문에 내가 또 실패하는지
이유를 명확하게 알게되는 과정이었습니다.
이제는 임계점을 넘겨야죠. 좀더 해보겠습니다.
BST 바이크스토리텔러 7
2020년 6월 29일 10:48오늘 그림을 통해 생각해본 것이 있네요.
왜 보통의 사람들은 임계점을 돌파하지 못할까?
어쩌면,
자신이 여태껏 쌓아왔던 돌들을 우연히 내려다 보니 지나온 시간들이 너무나 멀게 느껴져 불안하고, 더 나아가자니 끝이 보이지 않는 벽에 압도되어 공포감으로 머무르게 되는 것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 수 없는 미지의 곳으로 향하고 그것에 도달해보고자 졸꾸해야 하는 이유는, 성공한 사람들은 경험했지만 아직 나는 경험해보지 못한 세상이 있기 때문이겠죠.
플라톤, ‘동굴의 비유’와 같이 말이죠.
저는 누군가에게만 듣는 성공의 이야기, 누군가가 전해주는 세상의 이야기에 지겨워져 이제는 제가 아주 평범하지만 평범한 것들이 모이면 특별해진다는 것을 알기에 그 평범한 것들을 모아가는 중입니다.
그렇게 평범함이 모여 특별함이 되면, 그것을 또 다른 평범함을 가진 이들과 나누고 그들이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싶어요.
장차 올 죽음 같은 미래는 눈에 보이지 않아 두려울지 모르지만, 사랑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아도 소중한 것들이 있는 것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향하고 믿고 살아가는 것에 두려움만 가지기보다는 믿는 대로 살아가려 오늘도 졸꾸마음 다집니다.
다들 오늘 하루도 용기 잃지 마시고, 우리의 이상, 그것이 이데아로 끝나는 것이 아닌, 분명한 현실임을 경험할 수 있는 날이 반드시 올 테니 보이지 않지만 믿고 있는 것을 향해 오늘도 꾸준히 살아갈 수 있는 저와 여러분 되기를 응원합니다!
- 잠시 쉬는 시간에 후다닥 쓰는 거라 내용이 괜찮은지 모르겠지만 ㅎㅎ 좋은 마음 느껴서 이야기 나눕니다~ 고맙습니다!
@jinhwan0827 5
2020년 6월 29일 12:290.1이 부족하냐 0.1이 넘느냐의 차이가 0과 1의 차이를 만들어내냐는 이야기에서 순간적으로 천재와 바보는 종이 한 장 차이이다라는 속담이 생각 나네요
@군불군불 4
2020년 6월 29일 09:36신박사님 영상은 늘 예시를 들어 주셔서 쉽게 받아드리게 됩니다.
고수가 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 임계점을 돌파하는 것, 먼저 주위에 작은 돌들을 하나하나씩 쌓는 작은 일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TV-vn7vk 3
2020년 6월 30일 09:54돌을 쌓자...
몇개 쌓다가, 벽이 높다고
포기하지 말고
계속 쌓자!
오늘도 박사님 덕분에 마음 다잡습니다!!!
@송승헌-v1u 3
2020년 7월 13일 13:49- 임계점을 뚫어야 성장할 수 있다.
- 단기적인 임계점을 뚫어야 장기적인 임계점을 뚫을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된다.
- 단기적인 임계점을 뚫는다는 것. 일의 성공과 실패를 떠나서 그 일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경험치를 가져가는 것.
- 어떤 일이든 제대로 해내면 장기적인 임계점을 향한 길을 마련할 수 있다.
평소에 열심히 한다고 시간은 많이 소모했는데 정작 단기적인 임계점을 뚫지못하고 제자리에서 빙빙 돈 것 같습니다. 제 자신을 반성하며 작은 일이라도 확실하게 뭔가를 얻어갈 수 있도록 집중하겠습니다
@오기-n9i 3
2021년 2월 09일 21:43뜬금없지만 말씀중에 '졸구'가 뭐죠?? 여러번 사용하시던데....
@happy-day-s2 2
2020년 6월 29일 11:00회사에서 일하다가
너무 집중도 안되고 업무적으로 여러가지
답답한 부분이 많아서
이어폰 들고 신박사님 이야기 들으러 왔어요.
임계점을 돌파하라..!
마음에 새기고 업무에 적용시켜서
작은 돌멩이 하나라도 쌓아두는
하루가 될수있게 노력해야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핑크공주-d7p 2
2020년 7월 13일 21:150.69=0
0.71=1
0.02의 차이가 50%차이를 만든다.
이말에 너무 와닫습니다.
@장미꽃향기 2
2020년 6월 29일 08:35인생탐구 좋아요
임계점 잘 들었습니다
행복한 한주 되세요 🙏😊🙋♀️👍❤❤❤
@엔비디아-c7o 2
2020년 7월 14일 15:20인생 제반분야에 통찰력이 뛰어나신듯
@junyoungyoo3588 1
2020년 6월 29일 08:44영상 정말 감사합니다,박사님 !!!
@김독고커피왕 1
2020년 6월 30일 05:31이투스.들어온줄 ㅋㅋㅋㅋㅋㅋㅋ
@greenshim6672 1
2020년 6월 29일 08:57임계점을싑게 설명해주셨습니다
실수해도좋다 시도하고 주도적으로
계획하고,실행하고 평가해보는 과정안에
성장이있다고봅니다
그래야 저 너머를 볼 수있다.
@온달-p9f 1
2020년 6월 29일 08:50영상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백곰-d6c 1
2020년 6월 29일 09:53오 좋은비유 감사합니다
@요약-n1c 1
2020년 6월 29일 22:32임계점 돌파는 바둑을 모르지만 바둑두는것과 비슷한거 같습니다.
한수씩 두다 보면은 어느새 집이 생기고 안보이던 큰그림이 어느순간 보이듯이요
포스트코로나는 끝난건가요?? 더보고 싶습니다!
G4391 1
2020년 6월 29일 09:17좋음!
@문은정-n8b 1
2022년 5월 12일 15:10임계점ㅡ구력ㅡ제가 좋아하는 말입니다.
제가 138킬로에서 60킬로의
초고도비만인에서 헬스2번하는 웨이트하는여자로 살아가는것은
10년의 구력을 갖은 이유일것입니다.
그것이 임계점이라는것을 오늘 알았습니다
@헬피명옥 1
2020년 6월 29일 10:52와 ~벽넘어 뭔가 보인다^^
@임은혁-o6z 1
2020년 6월 30일 17:58감사합니다
라이프헌터 레온 1
2021년 3월 10일 13:46단기적 임계점을 달성하는 것부터 시작해야되네요. 점점 쌓아가는 인생을 살아가야겠습니다
@해별달님 1
2020년 6월 30일 05:28임계점 안티프래질이라는 단어가
이제는 제게도 친숙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말씀도 감사합니다.
@jisunkim5820 1
2020년 6월 30일 21:54🔥🔥🔥
@categorization5026 1
2020년 6월 30일 07:27항상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신박사님의 통찰을 들을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
@정인-l5e 1
2020년 6월 29일 13:01저 정말.. 제가 임계점을 못 뚫어서 계속 이거 할까 저거 할까 고민만 반복됐었어요. 지금은 목표를 정하고 달려나가고 있는데 전에 올려주신 인생은 고통이다 영상이랑 이 영상 정말 저에게 도움이 됩니다ㅠㅠ 지칠 때마다 두 영상 보면서 다시 나아가야겠어요!! 감사합니다 ㅎㅎ
@seunghoonkim1823 1
2020년 6월 29일 09:01왜 임계점을 뚫어야 하는가 - 같은 일을 하더라도 완전히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본질을 볼 수 있기때문에 타인이나 상황에 휘둘리지 않게 된다.
임계점은 두 종류 - 단기적임계점, 장기적임계점
단기적임계점 - 돌을 만들거나 가져오는 과정
장기적임계점 - 돌을 쌓는 과정
매일의 졸꾸정신이 단기적임계점을 달성하게 만든다
단기적임계점 없이 장기적임계점 달성할 수 없다
한 분야에서 실패하더라도 그때 돌파한 단기적임계점을 통해 가져온 돌은 다른 분야의 장기적임계점을 돌파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작가님 사례)
월요일 아침부터 명강의 감사합니다
@최영광-c2n 1
2020년 6월 29일 12:08강의 쉽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sung-jinchoi3948 1
2021년 3월 31일 07:11와우 이것이 갑작스럽게 툭! 굿모닝입니다
저는 이렇게 제 사례를 생각해봤습니다.
뭘 해도 노력은 같이하는데 난 왜 안될까?
아주 간단히, 그 부분에 대한 임계점들을 넘지 않고 갔기 때문인 거 같습니다.
즉, 앞으로 더 나가지 않고, pause해 둔 거랄까요? 마치 왜..나이는 먹어도 영어는 딱 고등학교 실력으로 산다는 그런? ㅎㅎ
임계점을 돌파하고 싶으면, 해당 임계점 디폴트 값 자체를 낮게 세팅해서 임계점 단계를 늘려 보고 있습니다.
임계점 레벨이 10이면 한번에 돌파가 안되더라구요 저는ㅜ 1부터 확 낮춰서 작은 성공을 합치니 승수효과?같은 게 나는 거 같습니다 복리처럼ㅎㅎ
지속 가능성이 되게 중요한 거 같아서요~~~
오늘도 역시 졸꾸!! 그러고보니 오늘 영상은 아니군요🤣🤣😂😂😂 담에 또 만나유우~~~
@suejinjung
2022년 11월 18일 08:47“체인점까지 있었습니다-결국 둘다 망했지만!” 이라고 말해도 더이상 아프지 않을만큼에 임계점 돌파실력! 인정인정 ㅋㅋㅋ
@임은혁-o6z
2020년 6월 30일 18:00결국 성공하든 실패하든 반추하는 자세가 작은 임계점 돌맹이를 만드는 자세겠네요
@paul-ek9zg
2021년 7월 30일 05:09고맙습니다^^
@tv-ny4if
2022년 3월 21일 14:53취준시기에 임계점이라는 모호한 개념을 돌파하기까지 수많은 고난과 시련 두려움이 있었죠
다이어드의 Threshold voltage 0.7V를 예로 들어서 설명해주실줄은 몰랐어요
좋은 예시덕에 말씀이 더 와닿았습니다.
오늘도 가르침 감사합니다.
nowhere man
2020년 6월 29일 09:17와 이번 개념 진짜중요하네요
@조재임-l9f
2023년 5월 24일 14:21대박! 유연함의 힘에서 설명하는 에자일 개발법을 신박사님께서 설명하고계시네요
수잔 애쉬포드 박사님이 신박사님 속에 들어왔다 가셨네요~신박사님 대단해요,
제가 애정하는 인탐일타
영상 이라 다시 정주행중이예요~
신박사님 역시 넘사벽~~
@MS-td8mt
2021년 7월 02일 18:55천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