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은 공감 못하는 유럽의 절박한 위기감 | 미래수업 Living the New Normal EP.2
tvN 월간기획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3회) '도시' 편 7.27 (월) 밤 9시 (4회) '기후' 편 7.28 (화) 밤 9시 #미래수업 #포스트코로나 #코로나특강 #포스트코로나# ......
tvN 월간기획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3회) '도시' 편 7.27 (월) 밤 9시 (4회) '기후' 편 7.28 (화) 밤 9시 #미래수업 #포스트코로나 #코로나특강 #포스트코로나# ......
gallina 308
2020년 6월 29일 12:59요즘 코로나로 마치 한국이 모든분야에서 선진국이 된것같이 생각하는사람들이 많은것같은데 아직 한국사회는 유럽에비해 교육 문화 정치에서 많이 뒤떨어져있는게 사실이다 그걸 인정하는걸 불편하게 생각하는사람들이 많은것같네
현역으로입대한조강현 247
2020년 7월 23일 17:56댓글만 봐도 진짜 존나미개하네 환경 의식을 바꾸자가 핵심이고 그 일례로 유럽을 든건데 코로나가 어쩌구 유럽도 그렇게 완벽하진 않다 한국이 낫네 외국이 낫네ㅋㅋ 댓글 싸는 꼬라지만봐도 어디가 더 나은지는 알거같은데ㅋㅋ
JUNTAE WOO 168
2020년 7월 17일 14:51현 프랑스 거주자 로써, 몇글자 적어보면, 방송이기에 의도적인 연출은 어느정도 있을 것이고, 다소 유럽이 그저 미화 될 수 있는 소지도 있어 보이긴 합니다. 이번 코로나 사태로 극명히 들어난 시민의식과 시스템은 우리가 동경하던 그 어떤 "선진국" 유럽의 이미지를 무너뜨렸죠. 거주자로써 너무 동감 되는 부분이고, 남을 배려하는 대한민국 시민의식에 깊은 자부심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본 방송에서 말하고자 하는바는 환경보호의 의식에 있어. 실제로 유럽보다 우리나라가 많이 부족하다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오랜 시간 이러한 것들을 논점으로 다루어 오며, 전반적으로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크게 잡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파리 시장은 파리내에서 전기차만 탈 수 있는 정책을 내기도 했죠(물론 이에 반대하는 서민들도 많습니다... 솔직히... 힘들어요ㅠㅜ). 결론은 우리가 이제는 환경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나아가야 한다는 것 이겠죠. 미세먼지, 지구 온난화, 코로나... 점점 가속화 되어 져가는 인간들의 지구망침에 또 뭐가 더 나올 수 있을까요.
테기썸 119
2020년 7월 13일 05:33사실상 지구가 인간에게 코로나19를 통해 주는 마지막 선택 메시지.
bird namu 99
2020년 7월 06일 21:33후진국은 저렇지 않은데 라고 생각하고 후진국 사고 방식을 따라가면 안된다. 나부터 환경보호에 앞장서야 한다.
Shimson 67
2020년 8월 20일 08:00출산율 세계 최저인 한국은 사실 세계 최고의 친환경국가가 될 예정입니다. 소비를 줄이는 것 이전에 소비할 사람을 줄이고 있습니다.
parnax parnax 49
2020년 7월 25일 22:37저는 마트에서 야채를 비닐팩으로 담아야할때 신문지가 있었으면 하고 바라고 쓰레기버릴때 죄책감 최절정...
Eli Lee 41
2020년 6월 28일 14:53근데 유럽도 알고 보면 더 하면 더 했지... 20세기에 환경오염 본인들도 그렇게 해놓고 이제와서 선비, 깨우친 사람 노릇 하려고 하고 깨끗한 척하면 다른 나라들은 좀 곤란하죠. 물론 중국처럼 극단적이게 2030년까지 대놓고 오염 실컷하겠다는 걸 옹호하는 건 아니지만 현재 선진국가들이 정말 변화를 원한다면 적어도 본인들이 환경오염 하며 발전한 기술들을 다른 나라들에게 나누는 걸 감내해야 할 겁니다. 예컨데 북유럽 국가들 수력 발전 기술 같은 친환경 기술들을 본인들이 세계 제일이라 자랑하지만 절대 공유하진 않죠...
JIAE LEE 40
2020년 7월 16일 16:31독일만 다른건가... 호주는 분리수거도 잘안하고 뭐든지 일회용품 쓰고 쓰레기 정말 많이 나오는데.. 그릇 씻는 인건비보다 땅에 묻는게 더 싸서 그렇다고 어디서 들은 거 같았는데.. 첨에 항상 한국에서 분리수거하고 그릇만 썼었는데 여기서 일회용이랑 분리수거 대강하게되서 죄책감 장난아니였는데.. 그리고 외국인들 여행 더 가면더갔지 절대 환경걱정하는 사람 본적없음.. 기본 비행기타고 아님 몇시간씩 운전해서 다니는데...
Hailey Kim 32
2020년 7월 18일 15:03자연과 조화로운 삶의 방식은 식민지로부터 부를 축적한 배불러 터진 나라를 따라 갈 것이 아니라 우리 조상으로부터 배워도 충분하다는 생각입니다. 예로부터 안분지족 하면서 살았습니다.
Ian Lee 29
2020년 7월 21일 06:350:57 독일인의 82%가 소비할때 죄책감을 느끼는 이유...독일인들은 돈이 없으면 소비를 안하는 사고방식이 있습니다.그런 이유로 한국과 달리 크레딧카드를 잘 안씁니다..그래서 보통 월말에 월급을 받고 다음달 첫째주와 둘째주는 소비를 많이하고 외식도 많이 합니다...그러나 셋째주 부터는남은 돈이 별로없어서 소비도 줄어들고 넷째주부터는 외식도 잘 안하죠...그래서 82%가 소비에 죄책감을 느끼죠..다른이유는 없어요..제 독일인 아내도 그렇고 저도 그렇고..😀😀😀
Sungjoon Kang 29
2020년 7월 15일 22:34그들은 그럼 안 그랬을까??
독일에서 산성비로 숲의 대부분 잃을 위기도 있었다.
이미 그들은 그런 걸 경험하고 이미 자연을 훼손해 본 경험이 있었던 것이다.
jw a 25
2020년 8월 10일 15:25나같은 사람이 이상한게 아니구나!!! 우리나라도 미래아이들에게줄 환경 생각해야함 전세계적 숙제
이지은 17
2020년 8월 17일 04:17문화적인 수준이 우리보다 앞섰군요. 난 소비하면서 미안하다는 생각이 들지도 않았는데.
Dreamer 14
2020년 8월 15일 03:02영국은 모든 휘발유 차를 없애는 법안을 통과시켰어요. 그것도 늦은감이 있지만 문제는 영국이 가장 빠르게 전환하는 나라라는 거...
왜그래놀라 13
2020년 7월 22일 22:07거의 종말 할 듯 .. 그냥 그래 우리나라 교육 방식 보면 빨리 뭔갈 얻은 만큼 빨리 몰락할 거 같고 코로나를 보면 우리나라는 마지막 메세지라는 것을 봐도 입시가 더 중요하니 막 답답함
ch 12
2020년 8월 13일 00:29한국사람들은 분리수거 외국보다 더 잘한다고 자부심있지만 사실상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미약한수준이기때문에 이런문화를 한번더 생각해볼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짹짹 12
2020년 7월 26일 04:47국뽕에 치여 그것만보고 살지않았으면 좋겠어요 칭찬해야할부분은 해야하지만 요즘 유튭보면 국뽕영상에 거기에 치여 고쳐야할것을 인정 하지 않는모습이 참........어느나라와 비슷해지는것같아 슬프네요
chestful 10
2020년 8월 15일 12:13우와 좀 충격적이다...소비에 죄책감이라~ 배달시킬때 느끼는 죄책감은 있지만 다른 소비때에는 잘 생각해보지 않는 부분이긴한데~ 정말 마인드를 많이 바꿔야겠네요~ 전세계적으로 모두가 대책이 필요한 시기인거 같습니다.
망상 10
2020년 8월 27일 06:04당연히 유럽이 더 절박하고 의식수준이 높아야지. 백수십년을 배출하고 있는데. 당연히 논의도 더 많이 했을 것이고 연구도 더 많이 했겠지. 지들이 싸지른 똥 지들이 치우는 게 당연한 거 아냐? 자기들이 지금까지 해둔 건 생각 안 하고 '지구가 위기니까 다 같이 노력해서 절감하자' 뭔 개소리세요. 누적 배출량의 급이 다른데. 당연히 그짝들이 제일 먼저 변하고 제일 먼저 앞장서야지 이걸 가지고 우리나라는 뒤쳐졌네 어쩌네 하고 있네 ㅋㅋㅋㅋ
Sarah Kim 10
2020년 8월 07일 14:34...근데 한국이 졸부나라라. 남들한테 다른 나라한테 과시하고 싶어함.
act calmly 9
2020년 7월 01일 18:02와~ 독일인이 나랑 같은 생각을 하고있었네~방갑다~^^ 나를 이상하게 보는 내 주변인들.....나 이상한사람 아니었음~
딸기쿠키스무디 8
2020년 8월 27일 16:17지속가능한 발전, 후손을 위한 행동 등... 초등학교 수업때 많이 들었던 이야기들인데 이젠 정말 중요한 날이 되버렸네
왕비버 7
2020년 8월 24일 22:17교수님이 독일의 좋은 점만 부각해 말씀하시는 경향은 있으시지만 굳이 유럽과 한국을 비교하지 않아도 절대적인 관점에서 한국이 생태, 환경 분야에 관심이 적은 것이 사실인 것 같아요. 이전의 미세먼지, 이번의 자연재해와 팬데믹으로 많은 분들이 심각성을 인지하기 시작했으니 이제 한국도 더 괜찮아지길 바래봅니다.
Eunjin Park 6
2020년 8월 19일 20:535~6년 전부터 다큐를 통해 환경파괴의 심각함을 본뒤 스스로 노력할수 있는것중 에어컨.자차없이 생활하고 있는데 주위 사람들에게 이런 문제들 때문에 에어컨 줄이는게 어떻냐고 할때마다 나보고 더운데 에어컨두고 왜 미친짓 하냐고..ㅋㅋ..가끔은 내가 생각해도 멀쩡한 에어컨두고 뭐하나싶고.. 근데 작년부턴 진짜 에어컨 없이 힘들긴함..그래도 북극곰을 위해서 찬물 샤워랑 얼음통으로 열심히 견디고 있음..
Alexander DeLarge 5
2020년 8월 14일 23:10한국은 '기후악당국'이다. 그린뉴딜정책이 보다 발전된 형태로써 성공하길 바란다.
Eunsang Lee 5
2020년 8월 22일 16:33저도 요즘 고민하는 부분입니다. 코로나 이후 마스크, 배달음식 등 1회용을 많이 사용하면서 걱정이 많이 됩니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생태 방식 변화를 위한 강한 사회 움직임이 일어났으면 좋겠어요.
bear &tiger 4
2020년 8월 19일 19:20독일에서 환경과 자연에 대한 의식이 진짜 높다고 생각한게. 벌 하나라도 함부로 못죽이게 되있음 ㅋㅋㅋㅋ 재활용도 엄청 심하게 하고. 거의 대부분이 에코백이나 가방 따로 가지고 장 보고. 마트가면 과일이나 채소 포장 없이 그냥 다 바구니에 넣어서 팔고. 비행기 가격이 너무 싸니까 유럽 내에서는 저가항공을 많이 타는데 그마저도 너무 싸니깐 많이들 타서 비행기는 공기오염 시킨다고 세금을 부과하자고 난리들 침... 정작 독일 사람들은 젤 목숨 거는게 휴가 인데 ㅋㅋㅋㅋ 딴덴 돈 잘 안써도 휴가에는 돈 안 아낌. 특히여름휴가. 그 뿐만이 아님. 한국에서는 원전 없애면 전기세 올라간다고 난리 치던데 여긴 탈원전이 진짜 언제부턴지 그얘기 엄청 오래전부터 나오고 실천중이고 그린 에너지에 관심둠. 디젤 차량은 법적으로 도시안에 들어오지도 못하게 하는데도 있고 자동차 매연 등급 같은거에 따라서 일정이상 충족하지 못하는 매연뿜는 차량은 도시에 아예 못들어옴. 매연차량 도시 진입 금지는 십년 이상 되었음.
김수경 4
2020년 8월 17일 05:04우리나라는 아직 한참 멀었다~~개발한다는 명목으로 자연을 무자비하게 회손하는거봐라~~
접시 4
2020년 8월 07일 11:47초자아는 교육으로 만들어진다
pastel crumbs 4
2020년 8월 18일 16:47전 환경을 훼손한다는 죄책감을 쓰레기를 버릴 때 많이 느낍니다. 식품이든 물품이든 그것을 사용한 뒤 버릴 때 어마어마한 양의 플라스틱과 종이 기타 등등 자원들이 버려지기 때문입니다. 당장 분리수거를 위해 쓰레기장을 가도 음식물이 묻은 채 버려져 재사용되지 못할 플라스틱들이 많이 보입니다.. 앞으로 이것들이 자연속에 버려질 것을 생각하면 정말 아찔합니다. 아직도 우리 주변 쓰레기통을 보아도 인식이 훤한데, 우리가 살아갈 이 환경을 바꿀 수 있을지 무척 걱정되네요.
asuna asuna 4
2020년 7월 31일 01:58환경문제는 실존한다.
Giefie J 4
2020년 8월 22일 19:22이거 느낌이 칼마르크스가 사회주의 이야기하던 그떄와 다를게 없는데... 사회주의도 이상이지 현실은 아니다 . 그리고 인간의 욕구를 배제한듯한 저런 이야기는 엄청 위험한 이야기이다 . 사회주의가 왜 자본주의를 이기지 못햇냐 그건 인간의 욕구를 들어주지 못했기때문! 저 교수님이 위험한 발언을 하는걸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 독일에서 배우고 독일을 따라가려고 하시는것 같은데 .. 이부분에 대해 궁금하니 댓글로 소통해바요
Solee Kim 3
2020년 9월 02일 15:13당장 우리 세대부터 위험합니다ㅠㅠㅠ
고기 줄이고(특히 소고기!) 텀블러로 테이크아웃
에어컨&난방 줄이기 / 대중교통 이용
메일함 비우기 >>기후위기 걱정되면 이것부터!!ㅠㅠ
와우와우 3
2020년 8월 10일 08:26생태주의적 관점은 생태적 감수성 없이 머리로만 안다고 되는건 아니다. 그런데 사실 한국 사회에서는 지금까지 생태적 감수성을 가진 사람이 별로 없어서 서로에게 가르쳐 주지도 못했다. 그러니까 뭔가 낯설 수 밖에..
밤빵o'-'o 2
2020년 8월 18일 17:25이거 보고 에어컨 껐습니다...흑...
TJ Kang 2
2020년 8월 19일 20:04독일은 유럽내에서도 친환경 분야 1등이야. 독일과 비교해서 그렇지 한국도 환경 신경 안쓰는 나라는 아님. 미국가봐라 분리수거 자체가 없어
최코너 2
2020년 9월 04일 18:5622세기는 오지 않는다... 강한 메시지네요.
S.K K 2
2020년 9월 13일 19:10취지는 동의하고 환경보호에 대한 중요성도 공감합니다만... 세계적 혁명의 세례를 못받았다는 표현은사대주의적 표현으로 들릴수 있습니다.... 유럽에서의 자연보호는 그들이 산업혁명후 너무많은 공해를 유발해서 나온 반발작용이며, 이미 그로인해 많은 부와 혜택을 입은 후에 나온 성찰 때문입니다... 우리는 우리나름대로의 맥락과 방법으로 자연을 보호하면 되는거죠...
Charles Jang 2
2020년 7월 07일 15:47인간은 저런면에선 다 똑같다
엘상산시리즈 2
2020년 8월 16일 17:10부동산투기. 관직투기. 학벌투기. 종교투기.
도박투기. 정보.기술투기. 자원투기. 환.금융투기. 성.sex.gender투기. 등 12대 투기행위를 잠재울 수 없다면 곧 세상은 끝이난다는 것... 즉 세상의 모든 재화를 비롯한 모든 것 중에 7%가 95%를 독점하면
이 세상은 곧 끝나버린다....
경제사범20범 2
2020년 9월 04일 21:31소비를 줄입시다. 즉흥적으로 사지말고. 진짜 필요한지 생각 한번 더 하고 구매합시다. 종이컵 대신에 텀블러 씁시다. 미세플라스틱 포함된 세안폼 대신에 비누로 세안합시다.
최인섭 2
2020년 7월 22일 08:36기상이변과 이상기후의 결과가 요새 속출하는 가운데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데
쏘쏘쏘 1
2020년 8월 16일 18:20미래 생명의 대한 책임
Donghwan Kim 1
2020년 8월 29일 07:11내가 보는 독일도 당장 스타벅스 플라스틱 컵 못바꾸는데
한국은 배달문화를 코로나 시대에 최고 합리적인 소비라고 생각하고 있으니...
일본 중국 욕할 처지가 아니지
Dai Park 1
2020년 9월 03일 21:41독일에서 오래 산 사람으로써.. 저도 소비할 때마다 특히 플라스틱 들어간 물건 사면 너무 죄책감 들어요 ㅋㅋㅋㅋㅋ;
진짜 한국 친구가 분리수거 안한다길래 싸운 적도 있어요.. ㅋㅋ 저는 장보러 갈때 항상 야채 담는 그물망 들고 가고 장바구니도 들고가용ㅋ
우리 나라 사람들의 과소비가 심한 건 맞아요 ㅋ 많이 소비하고 가질 수록 자신감 생기는게.. 그냥 자존감 낮아 보임
새우로얄뉴로얄 1
2020년 8월 19일 18:34난 한국인이 아닌가? 나도 저런 생각 오랫동안 가져왔는데.. 근데 한가지, 덜가질수록 행복하다는 아직 나도 잘 못하는것 같음. 그렇다고 많이 가져본적도 없지만..
미래세대에게 가장 먼저 물려줘야 할 첫번째는 깨끗한 자연임. 깨끗한 자연 없이는 생존도 없음. 자연이 생물을 살게하고 생물은 자연을 살게함.
이 힘의 균형이 잘 지켜져야 공존 할 수 있는건데 이걸 인간이 깨고 있음. 근데 자연은 더 강하니 그 강한 인간을 누르려고 함.
여러군데에서도 말했지만 우리나라는 아마 자연보호에 반발이 심할테니 법을 제정해서 강제적으로 자연보호 및 관리를 할당해야함.
이걸 주택과 엮어 값싼 임대와 자연보호를 엮어 1인당 가꾸어야 할 자연을 관리해서 미래세대를 위한 마중물이 되도록 해야함.
마침 토요일이 남으니 매주 토요일을 자연관리의 날로 정하고 전국민이 가족끼리 푸른 자연을 위해 힘쓴다면 낮은 확률이지만 예전의 지구로 되돌아 올수도 있음.
헤이즈아서 1
2020년 9월 19일 16:07무슨소리야 우리 한국인은 미래세대에게 짐을 넘겨주지 않기 위해 인구소멸을 결정했는데. 우리는 우리가 마지막이다.
changgue her 1
2020년 7월 21일 14:34난 솔직히 기술 발전이 얼마나 더 되어야 될까 생각하는데 그리고 얼마나 소비하고 있는 것들이 소비이후로 생각하고 있나 이건 세계적인 이슈이니 끝없이 논의하고 방향성을 정하고 꾸준히 해봐야죠.
지금 당장 그만하자 하면 그것도 힘들긴 하니
MK S 1
2020년 9월 06일 21:10한국인들의 98퍼센트가 관심없음. 아직 선진국되려면 300년 더 있어야됨.
GH L 1
2020년 9월 04일 07:33소비에서 죄책감을 느낀다는 말에 매우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왜그래
2020년 8월 12일 19:27코로나는 인간에 대한 마지막 경고다
로고스
2020년 8월 10일 02:271:10 자기도 말이 안된다 생각하는지 머뭇거린다 ㅋㅋ
SS J
2021년 1월 12일 02:20어차피나죽을때까지만살면되서 상관없는데?
스피키오
2020년 9월 02일 17:44내 욕심으로 인해서 미래 세데에게 피해를 주는것 아닌가 하고 걱정하면 다주택자들은 반성해야겠다
부동산 털어먹고 가는 부동산쟁이들은 지금 청년세데와 미래자식세데에게 큰 죄를 짓는 것이다
Leonardo DiCaprio
2020년 9월 05일 11:27오바다 정말 정말 비행기 내가 타면 환경오염 걱정하고 있고ㅋㅋㅋㅋㅋ 그냥 이상주의 좌파 PC로 물들어서 뭐가 옳고 그른지도 모르네ㅋㅋ
홍삼맛있어
2020년 7월 24일 00:38미래 생명이랑 나랑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설명해주는 영상이 있으면 좋겠어요. 자식을 낳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요.
JB Ahn
2020년 8월 24일 04:03사실 한국인들이 가장 공감해야될텐데
Martine Kim
2020년 8월 29일 18:50개인주의를 기반으로 한 서구 사회가 코로나에 약한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공동체 위주의 사회가 코로나 대응에 강한 것입니다. 미래는 개인주의가 많이 퇴색하고 공통체 위주로 갈 것이라고 봅니다.
Hose Pe
2020년 12월 10일 05:44헌데 독일에 유입된 많은 이민자들은 위에 언급된 내용과 다르게 각기 자신들의 의지와 문화대로 살아갑니다. 즉, 소비를 줄일수 있다가 아닐수 있습니다.
javaxer jack
2021년 4월 09일 23:22환경 보호라는 측면도 있지만, 유럽도 점점 빈부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점도 생각해 봐야 할듯 하네요.
홍타운
2020년 8월 19일 23:54정말 생각해봐야할 문제인거 같아요~^^ 제대로 인식이 바뀔때까지 서로 노력하고 생각해봐야할꺼 같아요~ 우선 일상생활에서부터 작은것부터 실천해보는것도 시작일꺼 같구요^^
정백현
2020년 9월 05일 01:18웃긴다.... 독일이 유태인 죽인게 600만이고.... 1,2차 대전 통틀어 죽인 사람만해도... 1억 이상인데....
javaxer jack
2021년 4월 09일 23:22환경 보호라는 측면도 있지만, 유럽도 점점 빈부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점도 생각해 봐야 할듯 하네요.
M & S Kim
2020년 8월 19일 15:4468년도부터 미래생명에 대한 책임을 느끼고 국민의 80%가 넘도록 소비에 죄의식을 느낀다면서 여태 그러고 사는건지.... 정말 입만 살아있는 유럽...
김유진
2020년 9월 02일 16:45마지막 인간 마지막 인류..
눈물 나지 않나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인류가 처한 위험성에 대해서 그렇게 큰 경감심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같아 진심으로 걱정입니다..
클릭
2021년 2월 05일 01:25깊이 생각해볼 문제인듯
iron man
2020년 9월 07일 07:33자본주의 시스템을 수정 해야 하는가 ?
M & S Kim
2020년 8월 19일 15:4468년도부터 미래생명에 대한 책임을 느끼고 국민의 80%가 넘도록 소비에 죄의식을 느낀다면서 여태 그러고 사는건지.... 정말 입만 살아있는 유럽...
carpe diem
2020년 12월 02일 16:07우리나라사람들은 특징이 배울려고하지를 않음......
뀨잉
2020년 10월 09일 16:22일단 강연하는 저냥반 약력부터소개해주던가
누구야도대체
정성우
2020년 8월 23일 10:59다 하면서 뭘걱정해
carpe diem
2020년 12월 02일 16:07우리나라사람들은 특징이 배울려고하지를 않음......
파렴치한
2020년 8월 23일 09:04공간은 한정작이고 쓸수있는자원은 한계가 있다..
우리가 가진 사상 중 행복할 권리 자유로울 권리라고 외치지만 실상 가장 무책임한 행동양상을 보이기 딱 좋은 사상 중 하나다
은띵똥
2021년 5월 12일 17:44개인이 소비할 때 죄책감을 느끼는 것 거기서부터 시작인 것 같아요.
플라스틱과 쓰레기, 비닐 쌓여있는 것만 봐도 죄책감이 들어요.
지금이라도 변하려면 정부,기업,개인 모두 강제성을 만들어서라도 행동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파렴치한
2020년 8월 23일 09:04공간은 한정작이고 쓸수있는자원은 한계가 있다..
우리가 가진 사상 중 행복할 권리 자유로울 권리라고 외치지만 실상 가장 무책임한 행동양상을 보이기 딱 좋은 사상 중 하나다
은띵똥
2021년 5월 12일 17:44개인이 소비할 때 죄책감을 느끼는 것 거기서부터 시작인 것 같아요.
플라스틱과 쓰레기, 비닐 쌓여있는 것만 봐도 죄책감이 들어요.
지금이라도 변하려면 정부,기업,개인 모두 강제성을 만들어서라도 행동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AN
2020년 11월 02일 03:00아니 이 문제는 다수가 생각 없이 행동하고 일부 가끔가다 한 두명이 깨시민이랍시고 환경생각한다고 뭐가 바뀌는게 아님. 새마을 운동같이 국가적인 프로젝트로 만들어서 정책으로 밀고나가야하는데. 문제는 그런걸 적극적으로 하는 정부를 본적이 없음.
Rich M
2020년 8월 16일 15:01소비는 죄라는걸 느끼기 시작하는 나이...
아슈세이버
2020년 8월 19일 13:39소비포기할겸 목숨도 포기하지그러냐
꼭 저런데서 강의하는새끼들 조사하면 사기꾼새끼들이더라
jason 1
2020년 8월 22일 13:41중국 인도같이 인구대국들이 나서야 지구에 영향을 줄 만큼 변하지 인구 1억도 안되는 나라들이 바뀐즐 크게 바뀌지도 않는데
Soo Lee Biancalana
2020년 9월 18일 08:40너무갔다...무슨 비행기 탈때 죄책감?
스타잔TV
2021년 3월 20일 14:38귀찮아 다 죽어 ㅡ교육청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