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가 우리 인생의 전부가 된 이유 | 미래수업 Living the New Normal EP.2
tvN인사이트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2회) 코로나 시대, 교육혁명을 말하다 ▷ 6.25 (목) 저녁 7시 50분 / tvN 반월간기획 #미래수업 #포스트코로나 #코로나특강 ......
tvN인사이트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2회) 코로나 시대, 교육혁명을 말하다 ▷ 6.25 (목) 저녁 7시 50분 / tvN 반월간기획 #미래수업 #포스트코로나 #코로나특강 ......
Jacky NZKIWI 73
2020년 7월 18일 12:58한국 교육을 한마디로 정의 하자면 "내가 너보다 우월하다"이다
한국에서의 구성원간에 사회적 관계는 동등한 인격체를 두고 누가 더 우월한지를 가늠하고 재보고 비교해서 서열을 정하는 것이 개인에게 잔인한 한국사회와 경직된 한국교육의 가혹한 현실이다
북유럽 사회보장 인권선진국(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의 구성원들간의 속성은 서로간 존중성을 바탕으로하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서로 비교하지 않으며 동등하고 토론과 소통이 존재하는 수평적인 커뮤니티적인 개념이 있는데 이러한 현실적인 개념이 한국인에게는 없다
아시아에서만 비현실적인것이다
@Fuwawang-u4m 64
2020년 8월 09일 10:19그나마 교수가 이런 얘기해서 그렇지... 일반인이 이런 얘기하고 있으면 넌 노력을 안했자나라던가 열등감 폭발했냐고 이런식으로 반응하게 보통이다. 누군가는 일찍이 공부에 눈뜨거나 꿈이 생겨서 열심히 살아갈지 몰라도 다른 누군가는 나이를 먹어감에도 쉽게 찾기 힘든 사람들도 있다. 그런 사람들이 노력이 부족했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고통을 다 짊어지거나 과소평가되야 할 이유가 없다.
@begatzby8815 46
2020년 7월 08일 00:25경쟁자가 죽어 없어지는 건 좋은 경쟁이 아니다. 패배한 사람이 너무 큰댓가를 치르는 경쟁은 지양해야한다.
승자가 다음 경쟁에서도 긴장할수 있는 만큼의 성과물이 있어야한다. 경쟁이 모든것을 결정해서는 안된다
@jamesk3774 43
2020년 7월 22일 01:43짐작은 했는데, 역시나 일제식민지교육 잔재가 남아있는 게 문제네요. 군대식교육.
왜그래놀라 34
2020년 7월 22일 21:47너무 슬프다 정말 이런 걸 보면 너무 눈물이 난다
@ym3707 31
2020년 8월 07일 19:46교육부 장관 되셔야합니다!!
우리나라는 교육이 아이들을 다 죽이는듯합니다~~ ㅜㅜ
@gallina1703 30
2020년 6월 29일 12:45대학 입시 없애고 서열화 없애는게 맞는거라 생각합니다
@jackynzkiwi 26
2020년 7월 18일 13:02강인100'C 약자에 대해 말하다 방영중
예전에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가지 설문조사를 했다
8명의 승객을 태운 버스가 사고로 절벽에 반쯤 걸쳐졌다
이들중 한명이 떨어지면 승객 전부 살 수 있다
누구를 떨어트리겠습니까?라는 질문에 무려 80%가 가장 약한 사람 가장 아픈 사람 사회적인 약자라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사회는 언제든지 가장 약한 사람들을 희생시킬 준비가 되어있는 사회라는 방증이다
약자들의 희생이 당연시 하는 사회 일수록 부조리하고 험학한 사회와 각종 범죄가 많이 일어난다
누구나 언제든지 약자가 될수있다
@딸똑이와언니 22
2020년 7월 08일 15:35교수님 열심히 활동해주십시오. 감사합니다
민철 19
2020년 8월 08일 18:18노벨상 하나 못타는거보면 확실히 한국교육은 쓰레기다
@zinaisfree 17
2020년 8월 10일 22:59김누리 교수님을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하는 것을 적극 지지합니다
SY Lee 12
2020년 7월 18일 18:21새빨간 거짓말이다. 듣기는 좋은데 대학 서열 폐지, 특목고 폐지해서 인재양성이라는 백년대계를 놓쳐 버리면 다같이 무지해지는 방법뿐이다.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은 다양하고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지 있는 기회조차 없애버림으로써 경쟁을 없앴다고 이야기한다면 이보다 더한 위선이 있을 수 없다. 수능 한 번, 입시 한 번으로 인생의 모든 것이 결정된다면 당연히 불합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 평가의 기준을 다양화시키고 대학마다 학생을 다양한 방식으로 뽑으면 된다. 아니면 더 우수한 대학들이 많이 생겨나야 한다. 그런데 있는 우수한 학교들마저 없앤다니 말이 되는가?
@탑방긋 12
2020년 8월 16일 04:12잘못된점은 공부에 유리한아이,손재주가있는아이,운동을잘하는아이 다다르지만 우리나라에선 공부아니면 엠생이라는 의식이있다 그래서 아이들이 공부에그리 목을매는거다 아이들이게 그저 공부말고도 다른길있어 하지만 공부하는만큼 힘들거야하며 아이에게 맞는길을 찾아주는게 중요하다본다 이렇게 무작정 경쟁입시제도는 세련되보이지않아 하면서 까는것보단..
매미맴맴맴 9
2020년 7월 01일 07:35경쟁이 없는 행복한 학교가 듣기엔 달콤하겠지.... 평생 개천에서 붕어 개구리 가재로 사세요...
@김도훈-t5l 8
2020년 8월 15일 02:33이걸 보고도 내일 6시에 일어나서 학교 가서 밤12시까 야자해야 하는 내 인생이 너무 슬프고 속상하다...ㅜㅜ
@환타-h6c 8
2020년 7월 23일 17:31그러기 위해서 현재 많은 대학교들을 없애야 할거 같아요ㅠㅠㅠ 대학교가 넘치고 넘치니...
@mintingbling8113 7
2020년 7월 22일 23:13이론적으로는 아는데 실제로 적용은 잘 안돼. 슬픈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사농공상..안없어져. 내가 밟고 올라가지 않으면 밟히게 되어있는데 누가 대학 포기하겠어?
@mh12- 7
2020년 8월 11일 19:59경쟁은 필요없는 시대에 온것같습니다! 서로가 존중하지 않으면 공존하기 힘든 시대라고나 할까요...인간의 존엄성이 우선시 되는 시대에 살게 될거라 봅니다. 사회가 기술 발전이 될수록 더 인간성이 우선시 될거에요!
@rokmcmartialarts 7
2020년 9월 23일 23:13학문발전을 위한 교육혁명: 모두의 행복을 위한 길.
1. 대학입시 철폐,
2. 대학서열 철폐 (대학 평준화),
3. 학비 전면철폐,
4. 학업경쟁 철폐,
5. 대학입시를 위한 특수학교 폐지 (고교 평준화)
@azuri9330 5
2020년 7월 19일 15:57저 교수님 자식들은 과연 어떻게 대학을 다니는지 궁금하네요. 아마 독일로 유학보내셨겠죠.ㅋㅋㅋ
@소망인 4
2020년 11월 14일 10:06이렇게 교육열 높은데도 노벨상 하나도 없다는게 팩트
@진실대한민국 4
2020년 8월 15일 10:06나쁜 입시는 진짜 버릴것이다.
@mbdmTV-486 4
2021년 3월 21일 02:06인간은 사악하고
현실은 차갑다
@lalalanolga 2
2020년 10월 07일 22:13경쟁해서 위로 올라간 사람들? 최고의 인재는 아닌거 같음. 다 우둔한자들이 지금 한국 중요한위치에 다 있는거 같음. 경쟁하는 습관을 못버리니 다들 살아남을려고 서로 죽일려고하지. 상생이란걸 모르는거 같음.
@박준용-u7x 2
2020년 8월 27일 22:33나는 경쟁 절대주의 속에 따라도 제발 다음 세대만큼은 이런 무한 경쟁 속에서 고통을 겪게 하고 싶지 않다...
@Nasty_Jello 2
2020년 8월 16일 02:28아무래도 합법적으로 돈 많이 버는 직업들은 고학력이 요구되니까
@yoosong2000 1
2020년 8월 18일 05:09딱 사회주의 이념인데?
@mcy2756 1
2021년 1월 30일 01:31대학을 졸업한 친구들도 자기가 뭘하고 싶은지 모르는애들이 너무 많아요
그러니 너도나도 공무원 공부하고 있고 ...
제론아비 1
2020년 8월 06일 21:45어차피 되지도 않는데 지껄여봐야 소용없지...휴
@Hi-un6gb 1
2020년 10월 12일 13:05보통 경쟁을 뚫고 폐쇄적인 집단에 들어간 사람들이 경쟁제한과 시스템 개선을 반대하죠. 내가 어떻게 공부해서 의대 들어갔는데 아무나 막 들어오게 만든다고? 절대안돼. 입학문 더 좁히고 더 심한경쟁해서 올라온 애들만 뽑아야지! 군대폭력이 정말 오랫동안 안없어진 이유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는 맞았는데 얘는 왜 안맞아. 니도 맞아야지. 이런마인드. 욕할거 없습니다. 누구든 그 자리에 가서 그 입장 되면 똑같은 소리 할겁니다. 그래서 시스템을 고쳐야 하는겁니다.
@이창옥-s2n
2020년 10월 24일 16:30100년교육실패 다시시작하는 100년교육 근본적으로 확 바꾸어 독일처럼 해 주세요 국회법을 바꾸세요
@user-lkjin
2020년 10월 04일 18:05ㅈ 발음이 ᆢ
@정우민-h5d
2020년 7월 30일 17:16인간은 지배에 고통받습니다. 고통의 해소를 위한 노력은 훈육이라는 병신같은 전통 아래서 혹은 항상 곁에 있어줄순 없는 부모의 사정에 의해서 절망을 격었습니다. 그러기에 인간은 타인과 고통을 연관지었습니다. 분리불안에게 사랑과 성욕 혹은 사티즘과 마조히즘이란 이름을, 훈육 에겐 반항과 규율, 왕따등의 집단의 선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인간은 도태라는 단어를 고통을 칭할때 사용합니다. 집단의 도태를 통해 정의된 선과 증오를 통해 정의된 악이라는 제도가 인류와 끊임없는 전쟁을 할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열등을 싫어하고, 그 열등으로 이루어진 지배를 싫어하기 때문에
simple
2020년 8월 06일 00:05경쟁은 좋은데 한국의 입시는 역설적으로 경쟁을 방해한다 왜냐? 20살때 경쟁불능 낙인을 찍거든 스포츠도 역전이 존재하고 유망주들에게 낙인은 안찍음 근데 우리 사회는 별 쓸데없는 시험을 봐서 가장 아름다운 시기를 버리게 하고 소모전을 펼치고 결국 남는건 보이지 않는 낙인... ㅅㅂ 무슨 나치 낙인찍는것도 아니고 이딴 모순적인 일재의 잔재가 눈앞에 있는데 정작 정부는 관심이 없다 일본 조차 지금 교육혁명을 진행중인데 ㅅㅂ 부끄럽다
@이성은-w4p
2022년 1월 23일 21:56수능1등급아니더라도
이해하고 외우고 실습 실천하고 생명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누구나 의사가 될 수 있는데 말이죠...
예전 허준은 서울대급었겠습니까
@question7823
2021년 2월 02일 23:29그러면 그런 말을 하는 교수님은 왜 저소득층보다 더 많은 재산과 더 좋은 집을 갖고 계시죠?
@injhs
2020년 8월 18일 23:162:28 경zㅐㅇ을 없zㅐ야된다.. zㅣ급ㄹ합니다 선생님
@이름-pt3fi
2022년 7월 25일 19:20한국 교육은 파멸에 길로 가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