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임원분이 사무실로 저를 혼자 불러서 이런 말씀을 해주셨는 기억이 나네요. 임원이 되려면 회사에 큰 이익을 안겨줄 수 있는 업적이 있어야한다고요. 삼성종합기술원에 있을때 오디오쪽에 큰 업적이 있었다고 말씀을 해주셨던 기억이 나네요. 한가지 질문을 하셨는데 잘하는거랑 열심히 하는거 중에 뭐가 중요하냐고 물으셨죠. 잘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말씀하셨죠.
환경이 중요한거죠. 노르웨이 유전국 룩셈브루크 금융강국. 사람 없이도 인프라가 잘 조성되어 있으면 사람이 일 안해도 되는 환경.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제조강국이라 절대적인 인적 자원 중심. 자원 하나 없는 나라에서 뒤늦게 쫓아온 것만 해도 엄청난 한강의 기적인 것 같습니다.
@deankim9996 16
2020년 7월 01일 03:04예전에 임원분이 사무실로 저를 혼자 불러서 이런 말씀을 해주셨는 기억이 나네요. 임원이 되려면 회사에 큰 이익을 안겨줄 수 있는 업적이 있어야한다고요. 삼성종합기술원에 있을때 오디오쪽에 큰 업적이 있었다고 말씀을 해주셨던 기억이 나네요. 한가지 질문을 하셨는데 잘하는거랑 열심히 하는거 중에 뭐가 중요하냐고 물으셨죠. 잘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말씀하셨죠.
@joya_creator 11
2020년 6월 30일 18:35영상 잘 보았습니다
열심히 일하는데 조직의 성과가 낮은 원인을 정리하자면
첫번째, 구성원들 자체가 사욕을 채우려고 일할 때
'내가 상사에게 잘보이는데 도움이 돼' 라는 생각으로 일을 할때
두번째, 조직의 제도나 문화가 잘못됐을 때
평가제도가 경쟁사와의 경쟁에서 이겼을 때보다 동료와의 경쟁에서 이겼을 때 보상을 주는 경우
이렇듯 보상이 시장경쟁이 아닌 내부경쟁에 의해 주어질 때
세번째 생각이 마비되는 경우
권위적인 조직이거나 일이 너무 바빠서 구성원들의 생각이 쉽게 바뀌지 않고 고착화됐을 때
이 경우 구성원이 잘못된걸 잘못됐다고 표현하기가 어려움
결국 일의 성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조직의 제도가 뒷받침되고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네요
@abcdefg12312 7
2021년 1월 02일 16:33환경이 중요한거죠. 노르웨이 유전국 룩셈브루크 금융강국. 사람 없이도 인프라가 잘 조성되어 있으면 사람이 일 안해도 되는 환경.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제조강국이라 절대적인 인적 자원 중심. 자원 하나 없는 나라에서 뒤늦게 쫓아온 것만 해도 엄청난 한강의 기적인 것 같습니다.
@Only_One_AI 7
2020년 6월 30일 20:05김작가TV에서 영감을 얻고 갑니다 ~!
임원들의 특성은 일 자체에 자신을 몰입시키는 능력이 공통점으로 있네요.
임원을 넘어 모든 성공하는 사람의 공통점인 것 같네요 ㅎㅎ
리더로서의 역량이 예전에는 감독자에서
최근에는 코치, 방향을 찾아주는 사람이라는 것은 동감합니다 ㅎㅎ
늘 좋은 인터뷰 감사합니다!
Jongsu Kim 7
2020년 6월 30일 18:28재밌네요. 생산성이 떨어지는 근무. 마치 ... 하루종일 학교에 매여서 밤 10시까지 야자를 하지만 실제 공부하는 시간은 얼마 되지않는것과 같네요.
@GreatHumiliator 7
2020년 7월 01일 12:43영상에서 언급한대로 As was 임원이 실적과 원가절감을 통해 아래 직원들을 쪼는 방식이었다면, To be 임원은 성과를 낼 수 있는 필드를 조성할 역량이 갖춰져야 한다고 봅니다.
물론 이런 방향은 산업구조의 부가가치 순서가 제조업에서 IT나 고객만족으로 조금씩 변화되면서 함께 변경됐다고 봅니다.
예전에는 회사에 충성하며 인생을 갈아넣는다면 별을 달 수 있는 확률이 높았겠지만 현재는 점점 더 실무 기반의 근본적인 실력이 인정받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봅니다.
@mickelimbo 3
2020년 7월 01일 22:32완벽하게 현명한 지도자가 시키고 나머지는 따르는 게 제일 효율적이고 이상적이긴 하지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소통이 필요하고 경청이 필요한 것..
@tmxkdlf 3
2020년 7월 03일 17:33원인과 결과가 뒤바뀐건 아닐까요? 근무시간이 길어서 비효율성이 커지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eotv4960 3
2020년 6월 30일 18:38정말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일단 실력이 좋아야 기본이죠.
https://youtu.be/FgFFiv2T8FM
M과장 3
2020년 7월 01일 07:40[요약]
* 임원되는법
1.워커홀릭ㆍ일 몰입도
2.리더역량ㆍ부하방향성&문제해결&코칭
3.조직적합도
* 재택근무
- 장점ㆍ출퇴근 낭비되는 103분 절약
- 단점ㆍ협업이 필요할 땐 비효율적
비언어적요소가 소통에 50%이상 차지
언어의 영역은 7% (메러디언효과)
* 한국의 (질적)노동생산성이 낮다
(GDP10위 2018기준ㆍ규모는 충족)
1시간당 39.55불ㆍG7 시간당 60불
한국 구조상 헛일이 많음
* 생산성 저하 요인
1.개인의 이익에 시간을 쓸때ㆍ아부
2.조직문화 제도의 실패ㆍ동료경쟁 성과보상 제도
3.생각이 마비될 때ㆍ권위적인ㆍ대형ㆍ바쁜조직
늘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THE NZ TV 3
2020년 7월 08일 13:41울나라는 회사에서 커피 마시러 나가고 담배 피러 나가고 다들 놀면서 일하는 사람들 많던데요. 유럽은 일만하고 일찍 퇴근함
@cgcode 2
2020년 7월 02일 01:03노르웨이는 산유국이고 나머지 예로든 국가들도 노동에서 얻는 이득이 아니라 쌓아올린 브랜드 가치로 인센티브 같이 얻는 이득이 많은데, 이것은 노동자가 개선해야할 점은 아니죠. 김작가님이 그 부분을 살짝 집으신 것 같은데 더 파고 드시지 않은 것이 아쉽네요.
@moneyfriend 2
2020년 7월 03일 11:15모든 분들이 부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저 또 한 부자가 되도록 열심히 노력 할 겁니다!
@귄하-m1l 2
2020년 6월 30일 18:07난 2등
@andrek9782 1
2020년 7월 01일 08:02재드라곤 임원 그까이꺼 대충 재벌 집에 태어나면 되는거 아녀
@헤지펀드운용 1
2020년 7월 01일 19:04이분 임원은 아니시고, 임원 인사도 담당했던 인재개발원 직원인거죠??
미스터브로 1
2021년 4월 18일 11:37전형적인엘사스타일로 말하시네요 현실이 저렇게피상적인공식으로 기술될수없다는것을 인정하고 좀더본질에접근하는 방식으로 변모하길 기대합니다 보기좋고듣기좋은내용이 가치있는내용은 아니거든요
@고재봉-b3d 1
2020년 6월 30일 17:311등 시청입니다
@lucky_tv 1
2020년 7월 03일 17:41강승훈 위원님의 신간입니다.
우리 모두 일하는 방식 공부해서 함께 성공해요:)
📚 『이제부터 일하는 방식이 달라집니다』 도서 구매 📚
👉 https://bit.ly/31t21fu
@양선주-s1r
2023년 8월 01일 19:38연봉이 많아질수록~,
더 많은 대출과 신용능력을 가지면서~???
이미 사회초년생의 신분을 잊고~,
소비 진작에 힘쓰다보면~???
빚의 노예~???
월급의 노예~??? 로 살아가야 하는 진실~???
슬프다~
Angry Villain
2020년 6월 30일 18:16임원은 얼마받음 평균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