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질문자님 나이 때 그런 질문을 하고 가르침을 받을 수 있었다면 제 인생이 조금은 달라졌을까요. 질문 참 잘 하셨네요. 스무 살에 빠른 실패를 겪고 빠른 회복을 겪으시는 게 나중 인생에 밑거름이 되실 거예요. 저는 서른 다 되어 첫 번째 실패를 겪은 후 회복하는 데 10년이 넘게 걸렸답니다. 질문자님께서 원하시는 바대로 진학 잘 이루시기를 기원합니다.
자기보다 못하면 다 패배자라는 오만한 마음이지요. 다른 사람들이 자기보다 못한 부분이 있어도 자기보다 잘하는 부분이 있을수있다라는 점을 경험하거나 인정하게 되면 실패가 없어짐. 자기를 위한 원동력으로서는 좋지만 그 기본 마음 자체가 오만이죠. 그냥 하고 싶은거 한다~ 이렇게 생각하면 됩니다. 안되면 다시하면 되고, 아닌거 같음 그만하면 되고. 최선을 다하면 다 이루어질거라면 나의 최선이 항상 남보다 좋은 결과가 나와야된다라는 당위성이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자기의 최선이 최선이라는 보장이 없어요. 최선을 안해도 자기보다 잘하는 사람을 보면 없던 열등의식에 괴로워 하게 되겠지요. 그래서.. 최선을 다해도 안되면 그냥 안된 것일 뿐입니다. 그걸 실패로 보고 괴로워하는건 자기 선택입니다. 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거나 흥미나 재미가 있다면.. 괴로워도 다시 도전하면 됩니다. 그런데 나 할만큼 했는데 안되었다? 그만둬야 되나? 이건 그 자체가 욕심입니다. 반드시 되어야만되는데 왜 안되지? 그건 세상이 내 중심으로 돌아가야만 된다라는 마음이고, 나보다 사람들이 못해야 된다라는 마음이기도 하죠. 실망과 실패를 생각하는건 자기가 하고 싶다는 것에 대해서 생각보다 결과에 큰 의미를 두지않았기 때문입니다. 간절하면 또 하게 됩니다. 저도 남들이 별로 그정도까지 잘 할 필요가 있나? 라는 취미의 영역이 있었는데 너무나 하고 싶어서 나이가 좀 들어서 도전을 하다가 몇번이나 넘지못할거 같은 벽을 만났습니다. 근데 실망하고 괴롭고 하다가 다시 해보자고 계속 하려고하면 어떻게 또 그 하나씩 벽을 넘어섭니다. 나중에 몇년 지나 이제야 원리를 깨우치고 이제 꾸준히 하기만 하면 전문가 수준에 도달할수있겠구나.. 를 느꼈을때 과거의 벽들을 돌아보면 내가 지금이 있기까지의 필요한 경험이었더군요. 이제 하나의 큰 벽만 남았는데 쉽지않지만 뭐라도 계속 할수있어서 그냥 계속 이렇게저렇게 시도해보면서 해보고 있습니다. 그렇게, 욕심과 원 이라는건 차이가 있다고 생각이 되네요. 원이라면 그냥 할 뿐입니다. 실망하고 괴롭고해도 다시 하게 됩니다. 욕심은 안되면 괴롭고 안하게 됩니다. 그렇게 간절하지 않은 거에요.
저도 마음먹은 대로 웬만큼 결과가 좋았고 실패도 없었어요. 제 잘난 맛에 살았었죠. 대학생 때 어느 날 운전면허 시험장에서 필기시험을 합격하고 연이어 실기시험을 보는데 코스에서 후진하다 선을 밟아 떨어졌어요. 시험에서 처음 떨어진거였죠. 저의 첫 실패.
돌아오는 버스안에서 엄마가 저를 달래주려고 날씨가 좋네... 이따 뭐 먹을까...이러시는데 듣기싫어 조용히 하라고 엄마에게 짜증을 냈죠. 그 때 엄마가 "우리 ㅇㅇ이가 이제 사람이 되려나 보네" 이런 말씀을 하셨어요. 그 때 그 충격이란..... 그 후로 저는 작은 것에 더 감사하고 잘되는 일에는 주변의 사람이나 나를 도와준 환경에 감사하며 행복하게 살고 있습니다. 최선을 다하고 결과는 받아들이면 돼요
@ecosang88 28
2025년 4월 01일 05:1820살때 이 얘기를 들었더라면 어떠한 인생이 있었을지 궁금하네요. 그렇지만 지금이라고 듣고있는 현재가 충분히 행복하고 감사합니다.🎉
@한수련-y3c 20
2025년 4월 01일 08:44복은 성공이라는 이름으로 오는 게 아니다
때로는 실패라는 이름으로, 재앙이라는 이름으로 복이 온다
@이승민-m7q 15
2025년 4월 01일 06:40실패와 재앙도 복이다!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스님 감사합니다.
@l고맙습니다l 12
2025년 4월 01일 07:23이른 성공은 인생살이를 환상으로 살 수 있다 ㅡㅡㅡ
고맙습니다
@nancyk5647 11
2025년 4월 01일 05:13제가 질문자님 나이 때 그런 질문을 하고 가르침을 받을 수 있었다면 제 인생이 조금은 달라졌을까요. 질문 참 잘 하셨네요. 스무 살에 빠른 실패를 겪고 빠른 회복을 겪으시는 게 나중 인생에 밑거름이 되실 거예요. 저는 서른 다 되어 첫 번째 실패를 겪은 후 회복하는 데 10년이 넘게 걸렸답니다. 질문자님께서 원하시는 바대로 진학 잘 이루시기를 기원합니다.
@borealis_임박사 8
2025년 4월 01일 05:36노력보다는 방향이 중요해요. 세상은 만만하지 않아요. 항상 자신이 별인줄 알았지만 나중에 알고보니 반디불인 경우가 많아요. 그러니 실망하지 말고 계속 인생의 방향을 수정해 나가면 되요.
@Jj-ang12-3YC 7
2025년 4월 01일 10:32실패도 재앙도 경험을 살리면 복이다. 수긍합니다, 스님.
@지금이순간-s9l 4
2025년 4월 01일 05:001등
@hosungyun7193 4
2025년 4월 01일 10:20대략 10분 영상에 얼마나 많은 가르침을 주시는지..
스님 항상 건강하세요😆
@코스-r4y 4
2025년 4월 01일 05:24공부와 인생은 아무상관 없습니다 다만 인성교육이 바르게된 사람이 바른길을 갈수있습니다 공부는 죽을때까지 배워야하기 때문입니다
@lesser-panda 3
2025년 4월 01일 06:35자기보다 못하면 다 패배자라는 오만한 마음이지요. 다른 사람들이 자기보다 못한 부분이 있어도 자기보다 잘하는 부분이 있을수있다라는 점을 경험하거나 인정하게 되면 실패가 없어짐.
자기를 위한 원동력으로서는 좋지만 그 기본 마음 자체가 오만이죠. 그냥 하고 싶은거 한다~ 이렇게 생각하면 됩니다.
안되면 다시하면 되고, 아닌거 같음 그만하면 되고. 최선을 다하면 다 이루어질거라면 나의 최선이 항상 남보다 좋은 결과가 나와야된다라는 당위성이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자기의 최선이 최선이라는 보장이 없어요. 최선을 안해도 자기보다 잘하는 사람을 보면 없던 열등의식에 괴로워 하게 되겠지요.
그래서.. 최선을 다해도 안되면 그냥 안된 것일 뿐입니다. 그걸 실패로 보고 괴로워하는건 자기 선택입니다. 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거나 흥미나 재미가 있다면..
괴로워도 다시 도전하면 됩니다.
그런데 나 할만큼 했는데 안되었다? 그만둬야 되나? 이건 그 자체가 욕심입니다. 반드시 되어야만되는데 왜 안되지? 그건 세상이 내 중심으로 돌아가야만 된다라는 마음이고, 나보다 사람들이 못해야 된다라는 마음이기도 하죠. 실망과 실패를 생각하는건 자기가 하고 싶다는 것에 대해서 생각보다 결과에 큰 의미를 두지않았기 때문입니다.
간절하면 또 하게 됩니다.
저도 남들이 별로 그정도까지 잘 할 필요가 있나? 라는 취미의 영역이 있었는데 너무나 하고 싶어서 나이가 좀 들어서 도전을 하다가 몇번이나 넘지못할거 같은 벽을 만났습니다.
근데 실망하고 괴롭고 하다가 다시 해보자고 계속 하려고하면 어떻게 또 그 하나씩 벽을 넘어섭니다. 나중에 몇년 지나 이제야 원리를 깨우치고 이제 꾸준히 하기만 하면
전문가 수준에 도달할수있겠구나.. 를 느꼈을때 과거의 벽들을 돌아보면 내가 지금이 있기까지의 필요한 경험이었더군요.
이제 하나의 큰 벽만 남았는데 쉽지않지만 뭐라도 계속 할수있어서 그냥 계속 이렇게저렇게 시도해보면서 해보고 있습니다. 그렇게, 욕심과 원 이라는건 차이가 있다고 생각이 되네요.
원이라면 그냥 할 뿐입니다. 실망하고 괴롭고해도 다시 하게 됩니다.
욕심은 안되면 괴롭고 안하게 됩니다. 그렇게 간절하지 않은 거에요.
@해숙-y9w 3
2025년 4월 01일 09:43실패없이 달릴수있는
인생은 없습니다.
실패를 경험하면 더 나은
자기발전이 올 확률이 높습니다.
스님말씀 고맙습니다😊
@leadership2050 3
2025년 4월 01일 09:40깊은 메시지 감사합니다!
@fftsfftsffts 3
2025년 4월 01일 09:53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인생은 참으로 묘미가 있습니다
@bin38onlyone 3
2025년 4월 01일 14:33오늘두 스님 지혜의 말씀
덕분으로 잘 살아가겠습니다!!!
늘 덕분이며 감사합니다!!!
참 희망입니다!!!
@선택과책임 3
2025년 4월 01일 05:26감사합니다
@다행다복심상사성 2
2025년 4월 01일 08:29🙏🙏🙏
@mnmnmn337 2
2025년 4월 01일 15:15저 나이에 근기가 대단한 학생입니다 부럽기도 기특하기도 합니다
@seonhokim943 2
2025년 4월 01일 11:26항상 삶의 지혜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삶은가볍게 2
2025년 4월 01일 07:28법륜스님 감사합니다
@요정-p3i 2
2025년 4월 01일 08:54성불하십시요 스님. __((()))__
@changhong5088 1
2025년 4월 01일 08:37겨우 20년 살고 무슨
큰일 난것처럼?
앞으로. 살면서 닥칠일이 얼마나 많은데? 본인은 너무 자만하지말고 한숨한번 쉬고 다시 시작해보세요.
@콘치즈야놀자 1
2025년 4월 01일 14:18스님과 같은 시대에 산다는거 복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스님 건강하세요🙏🏻
@dslee313 1
2025년 4월 01일 09:00스님 항상 좋은말씀 고맙습니다 오늘도 늘 건강하세요
@사과사랑-p2w 1
2025년 4월 01일 11:25스님 말씀 공감하고 갑니다~🙏🙏🙏
@gykim6963 1
2025년 4월 01일 15:00저도 마음먹은 대로 웬만큼 결과가 좋았고 실패도 없었어요. 제 잘난 맛에 살았었죠.
대학생 때 어느 날 운전면허 시험장에서 필기시험을 합격하고 연이어 실기시험을 보는데 코스에서 후진하다 선을 밟아 떨어졌어요. 시험에서 처음 떨어진거였죠. 저의 첫 실패.
돌아오는 버스안에서 엄마가 저를 달래주려고
날씨가 좋네... 이따 뭐 먹을까...이러시는데 듣기싫어 조용히 하라고 엄마에게 짜증을 냈죠.
그 때 엄마가 "우리 ㅇㅇ이가 이제 사람이 되려나 보네" 이런 말씀을 하셨어요.
그 때 그 충격이란.....
그 후로 저는 작은 것에 더 감사하고 잘되는 일에는 주변의 사람이나 나를 도와준 환경에 감사하며 행복하게 살고 있습니다.
최선을 다하고 결과는 받아들이면 돼요
@홍도현-e4y 1
2025년 4월 01일 17:49지나보면 다 별일아니고 달일수준